KR102528540B1 - 유충 선별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유충 선별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540B1
KR102528540B1 KR1020210083909A KR20210083909A KR102528540B1 KR 102528540 B1 KR102528540 B1 KR 102528540B1 KR 1020210083909 A KR1020210083909 A KR 1020210083909A KR 20210083909 A KR20210083909 A KR 20210083909A KR 102528540 B1 KR102528540 B1 KR 102528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rvae
collection
sorting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244A (ko
Inventor
김태훈
이유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5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5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이물질과 유충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유충을 선별하기 위한 유충 선별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유입되는 선별 유닛; 및 상기 선별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별 유닛 측으로 혼합물을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 유닛은, 기둥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유체의 유동이 진행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분리 진행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충이 낙하하여 수집되도록 마련되는 유충 수집부; 및 상기 분리 진행부와 유충 수집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충 수집부 측으로 유충이 유입되도록 수집공이 형성되는 수집용 격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 가동 시, 상기 몸체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충 선별 수집 장치{A appratus for screening and collecting of larva}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섭취하여 처리할 수 있는 곤충의 유충을 선별하기 위한 유충 선별 수집 장치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충의 탈피각 및 분변토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과 혼합된 상태에 있는 유충을 유체의 유동을 기반으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어, 유충에 대한 대량 선별까지 진행할 수 있는 유충 선별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인류가 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문명이 발달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생산되는 폐기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 쓰레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중 음식물 쓰레기는 일부 사료와 및 퇴비화로 재활용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매립 및 소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되어 왔으나 2005년부터는 직접 땅에 매립하는 것도 금지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재활용과 소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의 경우에는 토양의 오염이 문제가 되었으며, 소각의 경우는 처리 시 고가의 처리비용 및 불완전 연소 등에 의해 소각 잔재물이 발생되며, 이들 잔재물을 다시 매립장에 매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침출수에 의한 토지와 지하수 오염으로 이어지는 2차 환경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섭취하여 처리할 수 있는 곤충인 동애등에의 유충을 이용한 방법이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으며,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기술은 지금까지 개시된 기술 중 가장 친환경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고 있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술의 경우, 상기 동애등에의 유충만이 음식물 쓰레기를 섭취하며, 성충은 먹이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상기 유충이 음식물 쓰레기를 섭취하여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변토와, 상기 유충의 탈피각 등이 유충과 혼합된 상태로 존재함에 따라 상기 동애등에의 유충 사육장에서, 먹이활동이 가능한 유충만을 선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상기 동애등에의 유충 선별을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선별하여야만 함에 따라,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충의 수거과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어 경제성이 맞지 않아 아직까지는 대량으로 사육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KR 20-2007-0001260 U, 파리목 유충을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2007.12.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유충의 대량 선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는 유충 선별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충의 선별 진행 시, 분변토, 탈피각 등이 포함된 이물질과 유충의 비중 차이를 기반으로 선별을 진행하면서, 특정 형상으로 유동되는 유체를 통해 상기 이물질과 유충의 선별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는 유충 선별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이물질과 유충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유충을 선별하며,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선별 유닛; 및 상기 선별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별 유닛 측으로 혼합물을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이물질과 유충의 비중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유충을 선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흡입 유닛의 작동 시, 상기 선별 유닛의 수용공간 상에서 선회류가 발생되며, 상기 선별 유닛의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선회류를 기반으로 상기 이물질과 유충을 사이클론 방식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이물질과 유충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유충을 선별하기 위한 유충 선별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유입되는 선별 유닛; 및 상기 선별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별 유닛 측으로 혼합물을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 유닛은, 기둥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유체의 유동이 진행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분리 진행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충이 낙하하여 수집되도록 마련되는 유충 수집부; 및 상기 분리 진행부와 유충 수집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충 수집부 측으로 유충이 유입되도록 수집공이 형성되는 수집용 격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 가동 시, 상기 몸체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분리 진행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대해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 측 또는 상기 유출구 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는 상기 분리 진행부 내부에서, 상기 몸체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유동되며, 나선 구조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유입구 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 1 와류 발생부; 및 상기 유출구 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제 2 와류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류 발생부는, 나선 구조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 측으로의 노출면이 경사진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는, 상기 분리 진행부의 하단에 마련되면서,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집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는, 상부면이 상기 수집공의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관로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은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구역과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 진행부는, 상기 분리 진행부 상에서,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충의 분리가 진행될 때, 상기 유충에 소정의 충격을 가하여 상기 유충에 부착된 상태의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분리용 돌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면 둘레를 따라 상호 동일한 이격거리를 보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상기 선별 유닛과 흡입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물에서의 유충 선별 진행 시, 상기 선별 유닛을 거쳐 배출되는 탈피각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은, 기둥 형상의 수집 몸체; 상기 수집 몸체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선별 유닛의 유출구와 연통되어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수집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집 몸체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일단부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상기 유충과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이 투입되며, 투입된 혼합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가 상기 선별 유닛의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공급부; 및 전처리 선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선별 유닛은, 상기 공급부에 투입되기 전의 초기 혼합물에 대한 선별을 진행하기 위해, 소정 주기를 보유하면서 일정한 외력을 상기 초기 혼합물 측에 반복적으로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유충의 사육 중에 있어서, 유충의 배설물, 탈피각 및 사료 등을 포함한 이물질과, 유충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상기 유충만을 선택적으로 선별하기 위해 분리 진행부와 유충 수집부를 통해 상기 유충을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충 선별 수집 장치 가동 시, 분리 진행부 상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통해, 상기 유충과 이물질간의 비중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유충만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와류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체가 유동하는 면적을 향상시켜 유체를 통한 유충의 분리가 진행되는 구역의 확장 뿐만 아니라 유충의 분리 진행 시간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분리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선 구조를 보유하는 와류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유동 시 보다 원활하게 와류를 일으키며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와류의 발생량이 증가되고, 증가된 와류 발생량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유충의 선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진행부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와류 발생부를 통해, 유충을 분리하도록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 발생량을 증가시켜 상기 분리 진행부 상에서의 유충과 이물질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체류 시간을 통해, 보다 향상된 유충의 선별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와류 발생부를 수집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하고, 유체의 유동량이 타 지점에 비해 적은 와류 발생 지점의 중앙에 수집공이 배치되도록 구비하여 다른 이물질에 비해 비중이 높은 유충만이 상기 수집공 측으로 선택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선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상부면이 오목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측으로 낙하한 유충이 자연스럽게 수집공측으로 수집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수집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그리고, 유입구와 유출구의 관로 중심이 몸체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몸체의 연장방향 중심축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와류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유체의 유동 진행 중에, 유충에 대해 충격을 가하여, 유충에 부착된 상태의 탈피각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의 분리를 진행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이물질 수집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흡입 유닛의 작동 진행 시, 상기 이물질의 흡입에 의한 흡입 유닛의 고장율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어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기둥 형상의 수집 몸체를 보유하는 이물질 수집 유닛을 통해, 중력을 기반으로 이물질들이 자유낙하하여 수집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출구의 단부 위치를 상기 유입구와 소정거리 이격 배치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이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상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와 제 1 와류 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와 제 1 와류 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유입구의 유입측을 바라보도록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와 제 1 와류 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를 상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제 2 와류 발생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제 2 와류 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제 2 와류 발생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이물질 수집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물질 수집 유닛의 C-C'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도 2의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충 선별 수집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는, 선별 유닛(100), 흡입 유닛(200) 및 이물질 수집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선별 유닛(100)은, 이물질과 유충이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시키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유충을 선별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 유닛(100)은 상기 이물질과 유충의 비중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유충을 선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유닛(100)은, 후술할 흡입 유닛(200)의 작동 시, 상기 선별 유닛(100)의 수용공간 상에서 선회류가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별 유닛(100)은, 상기 선별 유닛(100)의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선회류를 기반으로 상기 이물질과 유충을 사이클론 방식으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은 상기 유충의 먹이활동에 필요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사료와, 상기 유충의 먹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유충의 배설물 및 유충의 성장시 발생되는 탈피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별 유닛(100)으로 상기 혼합물을 투입시키기 위해, 흡입 유닛(200)과 공급부(H)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H)는 상기 유충과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이 투입되며, 투입된 혼합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가 상기 선별 유닛의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H)를 통해 대량의 혼합물을 투입시키게 된다.
덧붙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선별 유닛(100)에서의 보다 원활한 선별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H)에 투입되기 전의 혼합물인 초기 혼합물에 대한 전처리를 진행하기 위해 전처리 선별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혼합물 내의 이물질의 함량 비율은 상기 공급부(H)에 투입되는 혼합물 내의 이물질의 함량 비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전처리 선별 유닛은 소정 주기를 보유하면서 일정한 외력을 상기 초기 혼합물 측에 반복적으로 인가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유닛(200)은, 상기 공급부(H)에 수용된 혼합물을 상술한 선별 유닛(10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선별 유닛(10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입 유닛(200)을 통해, 상기 선별 유닛(100)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을 발생시켜 유충에 대한 선별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 유닛(200)의 작동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선별 유닛(100)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물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이물질을 상기 선별 유닛(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유충은 상기 선별 유닛(100)의 내부에 체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상기 흡입 유닛(200)을 작동시켜 선별 공정 진행 시, 상기 이물질만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이물질의 수집을 진행하여 작업 공간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동시에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상기 흡입 유닛(200)측으로 상기 이물질이 직접 흡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입 유닛(200)이 이물질의 직접 흡입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상기 선별 유닛(100)과 흡입 유닛(200)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 유닛(100)은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과 연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선별 유닛(100)과 연결된 상태의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상기 흡입 유닛(200)과 연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선별 유닛(100)과 흡입 유닛(200) 및 이물질 수집 유닛(300) 간의 연결은 연질의 관재(P)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선별 유닛(100)과 상기 흡입 유닛(200) 및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의 설치 위치 조정을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선별 유닛(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상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 유닛(100)은, 몸체(110), 분리 진행부(120), 유충 수집부(130), 수집용 격벽 부재(140) 및 와류 발생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상기 혼합물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유체의 유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기둥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혼합물의 유입이 진행되면서, 상술한 흡입 유닛 작동 시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혼합물 중, 이물질의 유출이 진행되면서, 상기 흡입 유닛 작동 시, 상기 몸체 내부에서 유동하던 유체의 유출이 진행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상하방으로 상호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물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112)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유출구(112)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11)는 후술할 상기 유충 수집부(130)의 공간 확보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술한 위치에 상기 유입구(111)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유충이 보다 자연스럽게 상기 유충 수집부(130)측으로 낙하하여 수집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1)와 유출구(112)의 연장 방향이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입구(111)와 유출구(112)의 연장 방향이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11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이동 경로가 확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유체의 이동 경로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유체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유동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증가된 유체의 유동 시간 동안 상기 이물질과 유충의 분리율이 증가될 수 있어, 상기 유충을 보다 정확하게 선별하여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10)는 최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몸체(110)의 최상단을 폐쇄하여, 상기 흡입 유닛 작동 시, 상기 몸체(110)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커버 부재(1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113)의 형성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 고착될 수 있는 이물질에 대한 제거를 보다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고착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 진행부(12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혼합물을 구성하는 유충과 이물질의 분리가 진행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하단에는 상기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상단에는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 진행부(120)에서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유속은 7m/s 내지 18m/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속이 7m/s 미만인 경우에는, 유충과 이물질과의 분리가 진행되지 않고, 18m/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충이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속을 상술한 범위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가동을 진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충 수집부(13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진행부(120)에서 분리된 유충의 수집을 위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충 수집부(130)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 진행부(120)에서 낙하하는 유충의 수집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와 상기 유충 수집부(130)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공간의 구획 뿐만 아니라, 후술할 와류 발생부(150)의 안착을 위해 마련된다.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류 발생부(150)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대해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111) 측 또는 상기 유출구(112) 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류 발생부(150)는, 나선 구조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120) 측으로의 노출면이 경사진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와류 발생부(150)는 제 1 와류 발생부(151) 및 제 2 와류 발생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상기 유입구(111) 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하단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는, 상기 유출구(112) 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상단에 마련된다.
이처럼,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 및 제 2 와류 발생부(152)를 통해, 유충을 분리하도록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 발생량을 증가시켜 상기 분리 진행부(120) 상에서의 유충과 이물질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체류 시간을 통해, 보다 향상된 유충의 선별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수집용 격벽 부재(140) 및 제 1 와류 발생부(151)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와 제 1 와류 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와 제 1 와류 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유입구의 유입측을 바라보도록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와 제 1 와류 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집공(1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를 통해 유체에 대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는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집공(141)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구역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집공(141) 형성 구역에서의 유체의 유동량은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의 형성 구역에 비해 와류 발생량 및 유체의 유동량이 적어, 다른 이물질에 비해 비중이 높은 유충이 상기 수집공 측으로 낙하하게 됨에 따라, 상기 유충에 대한 선별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서로 상이한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1)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형상을 보유할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을 따라 혼합물 중 유충이 상기 유체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유충의 분리를 위한 낙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 최고점으로부터 급격하게 하방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낙하 유도부(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를 따라 상승하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낙하 유도부(151b)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구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술한 형상을 보유한 제 1 와류 발생부(15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체가 상기 분리 진행부(120) 내부에서, 상기 몸체(110)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유동되며, 나선 구조를 보유하도록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나선 구조를 보유하는 제 1 와류 발생부(15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유동 시 와류의 발생량이 현저히 증가되고, 증가된 와류 발생량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유충의 선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를 상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수집용 격벽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는, 상기 유충의 수집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술한 제 1 와류 발생부를 따라 이동한 이후,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에서 이탈하는 유충을 유충 수집부 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중심에는 상기 유충을 상기 유충 수집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집공(141)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상부면이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측으로 낙하한 유충이 자연스럽게 상기 수집공(141)측으로 수집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수집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가 원통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의 둘레 형상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형상과 대응되는 원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11)의 관로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CL1)은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구역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상의 연장선(CL1)은,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형성 구역과 항상 교차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의 관로 중심이 상술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와류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제 2 와류 발생부(152)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제 2 와류 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제 2 와류 발생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는, 위에서 설명한 몸체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커버 부재(113)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유체가 와류를 일으키며 유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특히,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는 상술한 제 1 와류 발생부와 동일하게 나선 구조를 보유하도록 소정 면적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 구조를 보유하는 제 2 와류 발생부(15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유동 시 보다 원활하게 와류를 일으키며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와류의 발생량이 증가되고, 증가된 와류 발생량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유충의 선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구(112)의 관로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CL2)은 상기 커버 부재(11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술한 몸체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구역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상의 연장선(CL2)은 상기 커버 부재(113)의 형성 구역과 항상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출구(112)의 관로 중심이 상술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와류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을 도 2의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선별 유닛(100)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분리 진행부(120)는, 상기 유충에 부착된 상태의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분리용 돌출 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121)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형성 구역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면상에 부착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충의 분리가 진행될 때, 상기 유충에 소정의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121)는, 상기 몸체(110)의 내벽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분리용 돌출 부재(12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121)들이 각각 동일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는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의 최하단은, 상술한 제 1 와류 발생부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를 따라 이동되는 유충에 대해 충격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121)를 통해, 유체의 유동 진행 중에, 상기 유충에 대해 충격을 가하여, 유충에 부착된 상태의 탈피각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의 분리를 진행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이물질 수집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이물질 수집 유닛의 C-C'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앞에서 설명한 이물질과 유충을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에서의 유충 선별 진행 시, 상기 선별 유닛을 거쳐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은 상기 유충보다 가벼운 비중을 보유한 분변토, 탈피각 및 상기 유충이 섭취하기 못한 폐기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별 유닛과 흡입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수집 몸체(310), 유입구(320) 및 유출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수집 몸체(310)는, 기둥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소정 용량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기둥 형상의 수집 몸체(310)를 보유하는 이물질 수집 유닛(300)을 통해, 중력을 기반으로 상기 이물질들을 자유 낙하시켜 수집할 수 있어, 상기 이물질의 수집을 위한 추가적인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이물질의 수집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320)는 상기 수집 몸체(310)의 수용 공간 측으로 상기 이물질을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술한 선별 유닛의 유출구와 연통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유입구(320)는, 상기 수집 몸체(3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320)로 유입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선별 유닛 측으로 재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330)는, 상기 이물질과 함께 상기 유입구(320) 측으로 유입된 유체만이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흡입 유닛이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출구(330)는, 상기 수집 몸체(310)의 최상단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집 몸체(310)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유출구(330)의 일단부는 상기 유입구(320)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수집 몸체(310)의 내부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만 연장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유출구(330)의 배치 구조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유입구(320)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유출구(33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집 몸체(310)내에 소정량의 이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흡입 유닛의 작동을 진행하더라도, 상기 이물질이 상기 유출구(33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흡입 유닛이 상기 이물질을 직접 흡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유충 선별 수집 장치
100 : 선별 유닛
110 : 몸체
111: 유입구
112 : 유출구
113 : 커버 부재
120 : 분리 진행부
121 : 분리용 돌출 부재
130 : 유충 수집부
140 : 수집용 격벽 부재
150 : 와류 발생부
151 : 제 1 와류 발생부
152 : 제 2 와류 발생부
200 : 흡입 유닛
300 : 이물질 수집 유닛
310 : 수집 몸체
320 : 유입구
330 : 유출구
H : 공급부

Claims (15)

  1. 이물질과 유충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유충을 선별하며,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선별 유닛(100),
    상기 선별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별 유닛 측으로 혼합물을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닛(200)으로 이루어진,
    유충 선별 수집 장치(1000)에 있어서,
    선별 유닛(100)은,
    상기 이물질과 유충의 비중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유충을 선별하도록 구비되고,
    흡입 유닛(200)의 작동 시, 상기 선별 유닛(100)의 수용공간 상에서 선회류가 발생되며, 상기 선별 유닛(100)의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선회류를 기반으로 상기 이물질과 유충을 사이클론 방식으로 분리하되,
    기둥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 내부에 유체의 유동이 진행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분리 진행부(120);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충이 낙하하여 수집되도록 마련되는 유충 수집부(130); 및
    상기 분리 진행부(120)와 유충 수집부(130)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충 수집부 측으로 유충이 유입되도록 수집공(141)이 형성되는 수집용 격벽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 가동 시, 상기 몸체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분리 진행부(120)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대해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111) 측 또는 상기 유출구(112) 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류 발생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 내부에서, 상기 몸체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유동되며, 나선 구조로 유동되도록 하되,
    상기 와류 발생부(150)는,
    상기 유입구 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 1 와류 발생부(151); 및
    상기 유출구 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제 2 와류 발생부(152);를 포함하고,
    나선 구조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분리 진행부(120) 측으로의 노출면이 경사진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의 하단에 마련되면서,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집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는,
    상부면이 상기 수집공(141)의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집공(1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를 통해 유체에 대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는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집공(141)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구역에 배치되되,
    상기 수집공(141) 형성 구역에서의 유체의 유동량은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형성 구역에 비해 와류 발생량 및 유체의 유동량이 적어, 다른 이물질에 비해 비중이 높은 유충이 상기 수집공 측으로 낙하하게 됨에 따라, 상기 유충에 대한 선별을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는 서로 상이한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1)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형상을 보유하고,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을 따라 혼합물 중 유충이 상기 유체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유충의 분리를 위한 낙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의 상부면 최고점으로부터 급격하게 하방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낙하 유도부(151b)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와류 발생부(151)를 따라 상승하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낙하 유도부(151b)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는 제 1 와류 발생부(151)와 동일하게 나선 구조를 보유하도록 소정 면적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 구조를 보유하는 제 2 와류 발생부(15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유동 시 보다 원활하게 와류를 일으키며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와류의 발생량이 증가되고, 증가된 와류 발생량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유충의 선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와류 발생부(152)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출구(112)가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112)의 관로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CL2)은 커버 부재(11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술한 몸체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구역과 교차, 즉, 상기 커버 부재(113)의 형성 구역과 항상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향상된 와류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선별 유닛(100)은,
    상기 유입구(111)와 유출구(112)의 관로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은 상기 몸체(110)의 연장 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구역과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리 진행부(120)는,
    상기 분리 진행부(120) 상에서,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충의 분리가 진행될 때, 상기 유충에 소정의 충격을 가하여 상기 유충에 부착된 상태의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분리용 돌출 부재(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용 돌출 부재(121)는,
    상기 몸체의 내벽면 둘레를 따라 상호 동일한 이격거리를 보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리 진행부(120)에서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유속은 7m/s 내지 18m/s의 범위 내의 속도로 한정되도록 하여,
    상기 유속이 7m/s 미만인 경우에는, 유충과 이물질과의 분리가 진행되지 않고, 18m/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충이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속을 상술한 범위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충 선별 수집 장치의 가동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110)가 원통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의 둘레 형상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형상과 대응되는 원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111)의 관로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CL1)은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구역과 교차, 즉, 상기 수집용 격벽 부재(140)의 형성 구역과 항상 교차하도록 구비되어,
    보다 향상된 와류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유충 선별 수집 장치(1000)는,
    상기 선별 유닛(100)과 흡입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물에서 유충 선별 진행 시, 상기 선별 유닛을 거쳐 배출되는 탈피각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 유닛(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수집 유닛(300)은,
    기둥 형상의 수집 몸체(310);
    상기 수집 몸체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선별 유닛의 유출구와 연통되어 연결되는 유입구(320);
    상기 수집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집 몸체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일단부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330);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330)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유충 선별 수집 장치(1000)는,
    상기 유충과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이 투입되며, 투입된 혼합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가 상기 선별 유닛의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공급부(H); 및 전처리 선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선별 유닛은,
    상기 공급부에 투입되기 전의 초기 혼합물에 대한 선별을 진행하기 위해, 소정 주기를 보유하면서 일정한 외력을 상기 초기 혼합물 측에 반복적으로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 선별 수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83909A 2021-06-28 2021-06-28 유충 선별 수집 장치 KR102528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09A KR102528540B1 (ko) 2021-06-28 2021-06-28 유충 선별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09A KR102528540B1 (ko) 2021-06-28 2021-06-28 유충 선별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44A KR20230001244A (ko) 2023-01-04
KR102528540B1 true KR102528540B1 (ko) 2023-05-08

Family

ID=8492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909A KR102528540B1 (ko) 2021-06-28 2021-06-28 유충 선별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5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9250A (ja) * 2009-05-21 2010-12-02 Yuzawa Enterprise:Kk サイクロン式ガスセパレーター
KR101098332B1 (ko) 2003-06-27 2011-12-26 하이드로 인터내셔날 피엘씨 유체역학적 처리 장치
JP2013043112A (ja) 2011-08-23 2013-03-04 Nikuni:Kk 気液分離タンクおよび気液混合溶解装置
KR101701280B1 (ko) * 2015-10-06 2017-02-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사이클론 타입의 기액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강제순환식 증발기
JP2017185426A (ja) * 2016-04-01 2017-10-12 株式会社アコー 粉体等の分離装置
US20180049414A1 (en) * 2016-08-21 2018-02-22 Daniel Michael Leo Insect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33674B1 (ko) 2017-05-04 2018-03-02 황순우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60U (ko) 2007-10-24 2007-12-04 주식회사 하이드 파리 목 유충을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835031B1 (ko) * 2016-06-09 2018-03-06 (주)우영엔지니어링 풍력을 이용한 선별 시스템
PL3726975T3 (pl) * 2017-12-22 2022-06-27 Protix B.V. Urządzenie do transportu żywych owadów
KR102089859B1 (ko) * 2018-07-12 2020-05-25 한국기계연구원 먼지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332B1 (ko) 2003-06-27 2011-12-26 하이드로 인터내셔날 피엘씨 유체역학적 처리 장치
JP2010269250A (ja) * 2009-05-21 2010-12-02 Yuzawa Enterprise:Kk サイクロン式ガスセパレーター
JP2013043112A (ja) 2011-08-23 2013-03-04 Nikuni:Kk 気液分離タンクおよび気液混合溶解装置
KR101701280B1 (ko) * 2015-10-06 2017-02-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사이클론 타입의 기액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강제순환식 증발기
JP2017185426A (ja) * 2016-04-01 2017-10-12 株式会社アコー 粉体等の分離装置
US20180049414A1 (en) * 2016-08-21 2018-02-22 Daniel Michael Leo Insect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33674B1 (ko) 2017-05-04 2018-03-02 황순우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44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2799B2 (ja) 生ごみ処理装置
US200400996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fluids, separating fluids, and separating solids from fluids
KR100526394B1 (ko)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배출장치
CN109719116B (zh) 一种餐厨垃圾回收处理设备及其回收处理方法
KR100986635B1 (ko) 풍력비중선별기
WO20141847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asites from fish
CN103754985B (zh) 餐厨废水油水分离装置
CN202606488U (zh) 餐厨垃圾除杂系统
JP5026282B2 (ja) 家庭廃棄物を含む異種生成物の分離方法
KR102528540B1 (ko) 유충 선별 수집 장치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EA006055B1 (ru) Флотационная машина
JP2004154690A (ja) 懸濁水の沈殿浮上分離構造及び、懸濁水分離処理システム、懸濁水分離処理システムの沈殿物収集ブロック
KR102099122B1 (ko) 타격에 의한 비산거리에 따른 순환토사 선별 장치
KR20210094772A (ko) 수중 부력을 이용한 패각 분류 시스템
CA2072906C (en) Screening apparatus for paper making stock
US20150096946A1 (en) Separator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 contaminated liquid
ES2197101T3 (es) Sistema para el tratamiento de residuos.
JPH05508110A (ja) 遠心抽出装置
AU719402B2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injection of fluidizing liquid between non-fluidized recesses
EP3581276A1 (en) Hydraulic density sensor
KR20150137881A (ko) 복합 폐기물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EP04693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wet separation of heterogeneous mixtures containing solids having different densities
JP5342925B2 (ja) サイクロン式分離装置
JP2983522B1 (ja) 上昇水流を利用した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