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15B1 -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15B1
KR101432015B1 KR1020130050459A KR20130050459A KR101432015B1 KR 101432015 B1 KR101432015 B1 KR 101432015B1 KR 1020130050459 A KR1020130050459 A KR 1020130050459A KR 20130050459 A KR20130050459 A KR 20130050459A KR 101432015 B1 KR101432015 B1 KR 10143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container
container
bar code
empty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749A (ko
Inventor
김병춘
Original Assignee
(주)다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나테크 filed Critical (주)다나테크
Publication of KR2014006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07Control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comprising adaptations for scanning a record carrier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screen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 Y10S100/902Can cr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출시되는 새로운 음료들의 바코드를 매번 사람이 업데이트 하지 않고 압착장치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하여, 관리비용을 줄이고,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Can or PET bottle pressing machine using Barcode classification}
본 발명은 바코드스캐너를 통해 음료용기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용기의 종류를 구분하여 처리하고, 등록되지 않은 바코드가 인쇄된 용기가 투입되더라도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캔 또는 페트병을 압착하는 장치로는 금속센서 등을 사용하여 투입된 용기가 금속재질인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압착처리를 수행하는 것들이 다수 있었다.
그러나 금속센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투입된 물체에 이물질이 첨가된 경우에는 판별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사용한다면 투입된 용기를 좀 더 쉽게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음료용기 압착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048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람의 작업에 의하지 않고 압착장치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음료용기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킴으로써 관리비용을 줄이고,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된 용기의 바코드가 장치에 저장된 바코드데이터베이스에 있으면 분리드럼을 작동하여 정상 처리하고, 투입된 용기의 바코드가 바코드데이터베이스에 없으면 금속센서 및 저울의 감지결과에 따라 캔, 페트병 또는 이물질로 구분하고, 해당 물건에 적합한 처리를 수행한 후 해당 용기의 바코드를 추가로 저장하여 바코드 DB를 갱신하도록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빈용기가 투입되는 것으로서 하향경사지며 금속감지센서 및 바코드스캐너가 형성된 용기투입부와, 상기 용기투입부의 다음에 위치하며 상기 빈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가 열려진 수용부를 구비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빈용기를 아래로 투하시키는 분리드럼과, 상기 분리드럼의 하부에 형성되며 무게추를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투하된 상기 빈용기가 일정 무게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투하된 상기 빈용기가 일정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회전하는 저울판과, 상기 저울판의 일방향 하부에 위치하여 투하된 빈용기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저울판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의 하부에 위치하여 투하된 상기 빈용기를 이물질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및 상기 금속감지센서 및 상기 바코드스캐너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분리드럼, 상기 압착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바코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는 상기 저울판과 상기 압착부의 사이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판를 갖는 캔/페트병분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속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빈용기가 금속재질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빈용기의 바코드를 캔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빈용기가 금속재질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빈용기의 바코드를 페트병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에 의하면 계속적으로 출시되는 새로운 음료들의 바코드를 매번 사람이 업데이트 하지 않고 압착장치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하여, 관리비용을 줄이고,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는 음료용기로 사용됐던 빈 페트병이나 캔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압축하여 저장하고 이용자에게 일정한 보상 포인트를 주어 재활용품의 수거율을 높이고 운반비용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페트병과 캔의 구분 방법으로써 각 용기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 용기의 종류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사람이 바코드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용기 투입구 부분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분리드럼과 저울과 압착부 등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분리드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저울과 이물질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캔 및 PET용기 분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용기 투입구 부분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분리드럼과 저울과 압착부 등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분리드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저울과 이물질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의 캔 및 PET용기 분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이하 '압착처리장치'라고 함)는 용기투입부(10)와 분리드럼(20)과 캔/페트병분리부(40)와 압착부(50)와 저울판(31)이 설치된 이물질 배출부(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투입부(10)는 처리할 빈용기를 투입하는 부분으로서 원통형 관구조를 가지며 내면의 앞쪽부분에 금속감지센서(11)가 설치되고 내면의 뒤쪽으로 원주상으로 복수개의 바코드스캐너(12)들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투입부(10)는 하향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빈용기가 투입되면 자중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분리드럼(20)은 용기투입부(10)의 후방에 연결되어 모터(21)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는 열려져 있고 하부는 원형관의 상부를 제거한 것과 형상이 유사한 수용부(22)를 갖는다. 분리드럼(20)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투입부(10)를 지나온 빈용기는 수용부(22)에 안착하며 분리드럼(20)을 회전시키면 분리드럼(20)의 열려진 상부를 통해 아래로 빈용기가 떨어지게 된다.
이물질 배출부(30)는 분리드럼(2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저울판(31)과 제1경사부(36)와 제2경사부(37) 및 이물질배출구(38)가 형성된 것이다. 이물질배출구(38)의 일측에는 이물질배출구(38)를 통과하는 빈용기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물질배출구(38)의 센서는 이물질배출구(38)를 물체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물체의 통과를 감지하는데 적합한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물체의 통과를 감지하는데 적합한 센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울판(31)은 전방벽체(34)와 후방벽체(35)의 사이에 힌지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저울판(31)의 일측에는 무게추(33)가 형성된다. 저울판(31)의 회전축(32)은 저울판(31)의 중앙에서 좌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며 무게추(33)는 저울판(31)의 저면의 좌측에 형성된다. 무게추(33)의 무게는 평상시에는 저울판(31)이 좌측으로 하향경사되게 배치되도록 하고 또한 페트병이 분리드럼(20)에서 저울판(31)으로 떨어졌을 때에도 역시 좌측으로 하향경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가지며 또한 분리드럼(20)에서 유리병이 저울판(31)으로 떨어진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되도록 하는 정도의 무게를 갖는다. 분리드럼(20)이 회전하여 빈용기를 왼쪽으로 투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빈용기가 저울판(31)의 위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저울판(31)은 저울판(31)이 좌측으로 하향경사진 상태에서 저울판(31)의 상단이 분리드럼(20)의 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1경사부(36)는 저울판(31)의 아래에 형성되어 우측으로 하향경사진 면을 형성하며 따라서 분리드럼(20)의 오른쪽으로 투하된 빈용기는 제1경사부(36)에 의해 오른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제2경사부(37)는 전방으로 하향경사진 면을 형성하여 제1경사부(36)를 따라 내려온 빈용기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2경사부(37)의 전방에는 이물질 배출구(38)가 형성되어 있어서 처리대상이 아닌 빈용기는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물질 배출구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물질 배출구에서 빈용기가 배출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는 해당 빈용기의 바코드는 저장부에서 삭제한다.
캔/페트병분리부(40)는 저울판(31)과 압착부(50)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통로의 중앙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판(42)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분리판(42)이 회전하며 투입된 빈용기가 캔인 경우에는 캔압착부(51)로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투입된 빈용기가 페트병인 경우에는 페트병캔압착부(51)로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압착부(50)는 캔/페트병분리부(40)의 아래에 설치되며 캔을 압착하는 캔압착부(51)와 페트병을 압착하는 페트병압착부(59)가 나란히 형성된다. 캔압착부(51)와 페트병압착부(59)는 모두 한쌍의 압착판(52)이 상호 접근하면서 용기를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며, 압착판(52)의 하나에는 복수의 침(53)들이 형성되고 다른 압착판(52)에는 침(53)들이 관통하는 구멍(54)들이 형성되어 용기가 압착될 때에 용기에 구멍을 뚫어줌으로써 공기가 빠져나와 압착이 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50)에는 압착용기배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압착이 완료된 용기를 배출하며 압착용기의 배출수단은 다양한 공지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분리드럼(20)과 캔/페트병분리부(40) 및 압착부(50)의 작동을 제어하며 용기투입부(10)의 금속감지센서(11) 및 바코드스캐너(12) 그리고 이물질 배출구의 센서에 연결되어 금속감지센서(11), 바코드스캐너(12) 및 이물질 배출구의 센서로부터 신호 또는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는 빈용기 및 캔에 대한 바코드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는다. 제어부의 저장부에는 우선 다양한 종류의 빈용기 및 캔에 대한 바코드데이터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압착처리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투입된 빈용기에서 취득한 바코드가 저장된 바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용기투입부(10)에 빈용기가 투입되면 바코드스캐너(12)에 의해 빈용기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가 취득되며 취득된 바코드가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바코드와 일치하면 해당 바코드를 바탕으로 용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분리드럼(20)을 왼편으로 돌려 정상 처리한다. 따라서 빈용기는 저울판(31)으로 떨어지고 빈페트병이나 빈캔은 무게가 가벼워서 저울판(31)이 좌측으로 하향경사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빈용기는 캔/페트병분리부(40)로 이동한다. 제어부는 해당 빈용기의 종류를 알고 있기 때문에 빈용기의 종류에 따라 캔/페트병분리부(40)의 분리판(42)을 회전시켜서 빈용기가 캔인 경우에는 캔압착부(51)로 용기의 이동을 안내하고 빈용기가 페트병인 경우에는 페트병압착부(59)로 빈용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캔압착부(51) 및 페트병압착부(59)에는 용기가 투입되면 압착처리를 하여 배출한다.
그러나 분리드럼(20)에 의해 왼쪽으로 투하된 빈용기가 저울판(31)에 떨어지면서 저울판(31)을 회전시켜서 저울판(31)을 오른쪽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변경하면 오른쪽으로 하향경사진 저울판(31)에 의해 빈용기는 제1경사부(36)와 제2경사부(37)를 거쳐 이물질배출구(38)로 배출되고 제어부는 이물질 배출구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해당 빈용기의 바코드를 저장부에서 삭제한다. 이 경우는 투입된 빈용기의 무게가 제어부에 설정된 페트병의 무게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투입된 빈용기가 페트병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유리병이 투입된 경우에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되게 된다.
2) 빈용기의 바코드가 저장된 바코드와 불일치하며 빈용기가 금속인 경우
저장된 바코드와 불일치하는 빈용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빈용기가 금속감지센서(11)에 의해 금속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바코드스캐너(12)에 의해 취득된 빈용기의 바코드는 캔으로 구분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며, 제어부는 분리드럼(20)을 왼쪽으로 회전시켜서 빈용기를 왼쪽으로 투하한다. 왼쪽으로 투하된 빈용기는 저울판(31)에 떨어지며 빈용기의 무게가 가벼워서 저울판(31)이 왼쪽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 캔/페트병분리부(40)는 캔압착기로 빈용기를 안내하고 캔압착기로 투입된 빈용기는 압착되어 배출된다.
그러나 분리드럼(20)에 의해 왼쪽으로 투하된 빈용기가 저울판(31)에 떨어지면서 저울판(31)을 회전시켜서 저울판(31)을 오른쪽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변경하면 오른쪽으로 하향경사진 저울판(31)에 의해 빈용기는 제1경사부(36)와 제2경사부(37)를 거쳐 이물질배출구(38)로 배출되고 제어부는 이물질 배출구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해당 빈용기의 바코드를 저장부에서 삭제한다. 이 경우는 투입된 빈용기의 무게가 제어부에 설정된 캔의 무게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투입된 빈용기가 캔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3) 빈용기의 바코드가 저장된 바코드와 불일치하며 빈용기가 금속이 아닌 경우
제어부에 저장되지 않은 바코드를 가진 빈용기가 투입되고 빈용기가 용기투입구의 금속감지센서(11)에 의해 금속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빈용기를 페트병으로 구분하고 해당 빈용기의 바코드를 페트병으로 구분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분리드럼(20)을 왼쪽으로 회전시켜서 빈용기를 왼쪽으로 투하한다. 왼쪽으로 투하된 빈용기는 저울판(31)에 떨어지며 빈용기의 무게가 가벼워서 저울판(31)이 왼쪽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 캔/페트병분리부(40)는 페트병압착기로 빈용기를 안내하고 페트병압착기로 투입된 빈용기는 압착되어 배출된다.
그러나 분리드럼(20)에 의해 왼쪽으로 투하된 빈용기가 저울판(31)에 떨어지면서 저울판(31)을 회전시켜서 저울판(31)을 오른쪽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변경하면 오른쪽으로 하향경사진 저울판(31)에 의해 빈용기는 제1경사부(36)와 제2경사부(37)를 거쳐 이물질배출구(38)로 배출되고 제어부는 이물질 배출구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해당 빈용기의 바코드를 저장부에서 삭제한다. 이 경우는 투입된 빈용기의 무게가 제어부에 설정된 페트병의 무게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투입된 빈용기가 페트병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유리병이 투입된 경우에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되게 된다.
4) 바코드가 없는 이물질이 투입된 경우
바코드가 없는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면 제어부를 분리드럼(2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서 투입된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5) 제어부의 바코드 업데이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은 바코드를 갖는 빈용기로부터 바코드를 취득하여 취득된 바코드를 캔 또는 페트병으로 구분하여 제어부에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같은 용기가 투입되면 추가로 저장된 바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페트병과 캔을 구분하여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처리대상인 빈용기의 바코드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등록되지 않은 바코드가 인쇄된 용기가 투입되더라도 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바코드가 투입구에 구비된 바코드스캐너(12)에서 감지될 때마다 데이터가 자동으로 추가되므로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감지센서(11) 및 바코드스캐너(12)가 용기투입부(10)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감지센서(11) 및 바코드스캐너(12)를 분리드럼(20)의 수용부(22)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용기투입부, 20 분리드럼, 30 이물질 배출부, 40 캔/페트병분리부, 50 압착부

Claims (3)

  1. 빈용기가 투입되는 것으로서 하향경사지며 금속감지센서 및 바코드스캐너가 형성된 용기투입부;
    상기 용기투입부의 다음에 위치하며 상기 빈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가 열려진 수용부를 구비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빈용기를 아래로 투하시키는 분리드럼;
    상기 분리드럼의 하부에 형성되며 무게추를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투하된 상기 빈용기가 일정 무게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투하된 상기 빈용기가 일정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회전하는 저울판;
    상기 저울판의 일방향 하부에 위치하여 투하된 빈용기를 압착하는 압착부;
    상기 저울판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의 하부에 위치하여 투하된 상기 빈용기를 이물질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및
    상기 금속감지센서 및 상기 바코드스캐너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분리드럼, 상기 압착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바코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울판과 상기 압착부의 사이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판를 갖는 캔/페트병분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속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빈용기가 금속재질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빈용기의 바코드를 캔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빈용기가 금속재질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빈용기의 바코드를 페트병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KR1020130050459A 2012-11-28 2013-05-06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KR101432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5783 2012-11-28
KR1020120135783 2012-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749A KR20140068749A (ko) 2014-06-09
KR101432015B1 true KR101432015B1 (ko) 2014-08-21

Family

ID=5112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459A KR101432015B1 (ko) 2012-11-28 2013-05-06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641A (zh) * 2014-09-02 2014-12-10 山东亨圆铜业有限公司 一种废铜管收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34B1 (ko) 2019-05-21 2020-01-22 함영섭 자동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형 금속캔 파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598A (ja) * 1994-12-28 1996-07-23 Fukuroku Shoji:Kk 空き缶圧縮機
KR20120024349A (ko) * 2010-09-03 2012-03-14 고영진 캔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598A (ja) * 1994-12-28 1996-07-23 Fukuroku Shoji:Kk 空き缶圧縮機
KR20120024349A (ko) * 2010-09-03 2012-03-14 고영진 캔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641A (zh) * 2014-09-02 2014-12-10 山东亨圆铜业有限公司 一种废铜管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749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68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재활용쓰레기 회수방법
US9272842B1 (en) Modular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0972533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EP2873632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compacting recyclable waste
KR20110011756U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US11225349B2 (en) Recycling device
EP3609813A1 (en) Debris cart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432015B1 (ko)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JP2011005459A (ja) 飲料容器自動分別減容回収機
KR20220167871A (ko) 재사용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H1085676A (ja)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を選別する機械および本機械による実施方法
JPH0910750A (ja) ガラス瓶分類装置
KR20200081920A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20090119593A (ko) 재활용품 분리압축장치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SE511290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hantering av returförpackningar
CN209829629U (zh) 饮料瓶回收装置
RU2727549C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KR200219465Y1 (ko) 폐캔 파쇄 분리 수거기
TWI641543B (zh) 垃圾收集系統及其方法
KR102393031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7233138B2 (ja) 減容装置
FI116489B (fi) Laite palautettavien pakkausten kokoonpuristamiseksi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