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756U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756U
KR20110011756U KR2020100006280U KR20100006280U KR20110011756U KR 20110011756 U KR20110011756 U KR 20110011756U KR 2020100006280 U KR2020100006280 U KR 2020100006280U KR 20100006280 U KR20100006280 U KR 20100006280U KR 20110011756 U KR20110011756 U KR 201100117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unit
control unit
card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664Y1 (ko
Inventor
정영훈
황일봉
Original Assignee
엔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06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64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되는 두 개 이상의 수거함들이 구비되고 상측에 투입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도어를 통해 낙하한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통(container) 형상으로서 수거함들 위에 설치되되 내측 공간이 압축되도록 내부에서 이동하는 활주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출부;와 상기 반출부를 수거함들의 열(row)을 따라 활주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투입 또는 접촉된 카드를 식별하고 카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리딩(reading)하는 카드인식부; 및 상기 카드인식부와 통신하며 디스플레이창에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특정 수거함으로 이동시킬 메뉴를 표시하고, 구동부와 반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반출부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를 선택된 메뉴에 따라 압축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활주면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수거함으로 반출부를 이송시키고 상기 반출부의 바닥면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Separate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쓰레기를 더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하고 사용자에게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여 재활용 쓰레기의 수거율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제도적으로도 관련 법규 및 규칙 등이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 중, 아파트 또는 업무용 빌딩에서 주로 배출되는 쓰레기는 PET병, 캔, 유리병, 종이류 등과 같이 재활용 가능한 것이 많다. 재활용 쓰레기의 수거 방식은 플라스틱, 비닐, 공병, 종이류를 구분에서 버릴 수 있도록 자루 또는 수거함 등을 비치해 놓고,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이 직접 분류하여 버리도록 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에 대해 보상을 함으로서 분리수거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고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리는 방식은 물론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더욱 효율적인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되는 두 개 이상의 수거함들이 구비되고 상측에 투입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도어를 통해 낙하한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통(container) 형상으로서 수거함들 위에 설치되되 내측 공간이 압축되도록 내부에서 이동하는 활주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출부;와 상기 반출부를 수거함들의 열(row)을 따라 활주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투입 또는 접촉된 카드를 식별하고 카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리딩(reading)하는 카드인식부; 및 상기 카드인식부와 통신하며 디스플레이창에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특정 수거함으로 이동시킬 메뉴를 표시하고, 구동부와 반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반출부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를 선택된 메뉴에 따라 압축 및 절단 여부를 결정하여 활주면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수거함으로 반출부를 이송시키고 상기 반출부의 바닥면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거함들은 낙하된 재활용쓰레기가 수거함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깔대기(funnel)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상단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의 지름이 하단의 지름보다 더 넓게 형성되되, 내주면 하단에는 수거함 내부의 재활용 쓰레기 적재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레벨센서는 제어부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을 초과하는 수거함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선택메뉴에서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반출부는 내주면의 일측에서 전진후퇴하는 압축피스톤의 전면에 활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피스톤은 활주면의 표면에서 절단날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출부는 절단날이 외부로 관통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절단날의 관통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외주면에 장착된다.
상기 투입도어는 제어부에서 개폐가 제어되되 카드인식부를 통해 인가된 카드가 삽입 또는 접촉되고 디스플레이창에서 메뉴가 선택되면 개방되고, 반출부 내에서 재활용 쓰레기의 투입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 후에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된 리드스크류; 및 상기 반출부의 하단에 결합되되 리드스크류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를 활주하는 스크류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 아래로 가이드부재들의 상측 각각에는 제어부와 통신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각각 부설되고, 제어부에 의해 활성화된 리미트스위치는 활주하는 스크류너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도어는,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으로서 일측면이 개구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되어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개폐되되, 상기 엑추에이터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반출부는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은 제어부로 측정된 무게의 데이터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값을 미리 정해진 포인트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상기 포인트 또는 측정된 무게를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카드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카드 정보와 제어부의 제어 상태 및 포인트값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를 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 수거함(더 상세하게는 수거함 상부에 제공되는 가이드부재)에는 레벨센서가 설치되어 (수거함 내) 재활용 쓰레기의 과적(過積)을 방지하며, 반출부는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 및/또는 절단하므로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리드스크류 및 스크류너트로 구성된 볼스크류(ball screw) 방식으로 구성되어 소음 및 마찰을 최소화하며 더 용이하게 반출부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적절한 보상(포인트)을 제공하므로 분리수거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장치는 디스플레이창에 선택 메뉴가 표시되고 작동 상태가 스피커로 안내되어 사용자가 더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의 내부모습이 도시된 정면투시도,
도 2a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출부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
도 2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출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입도어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입도어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입도어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재활용 쓰레기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서 분리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분리수거 장치(100)는 하우징(10)에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거함(11)들이 내부에서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수거함(11)들은 열을 맞춰서 배치되며, 각각의 수거함(11)들은 상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재(12)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 내주면에는 수거함에 적재된 쓰레기의 양을 측정하는 레벨센서(14)가 부설된다. 그리고, 상기 수거함(11)은 하우징(10)에서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단에는 바퀴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투입도어(60: 도 3 의 도면부호 참조)가 형성되고,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수거함(11)들의 상측에는 투입도어(60)를 통해 수거된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함(11)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임시로 보관하며 압축 및 절단을 수행하는 반출부(20) 및 상기 반출부(20)를 활주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으로는 반출부(20) 및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센서들에 의해 분리수거 장치(100) 전체를 모니터링하며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창(51)에 사용자가 수거할 쓰레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하며, 선택된 메뉴에 따라 재활용 쓰레기가 투입될 특정 수거함(11)의 위치를 결정하고 재활용 쓰레기의 압축 및/또는 절단 여부를 결정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수거함(11)의 충진율 및 투입된 쓰레기의 중량 등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셋팅값에 맞춰 특정 메뉴의 비활성화와 사용자에게 포인트부여 등과 같은 전체적인 컨트롤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도록 CPU, ECU, SENSOR, CABLE, Electronic Module 등과 같은 개별적인 부품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공지된 기술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각 부분별 레이아웃, 회로구성, 배선방식, 통신규격 등과 같은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카드 및 관리자의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부가 설치된다. 상기 카드인식부는 사용자카드인식부(41)와 관리자카드인식부(42)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관리자에게는 구체적인 제어 및 셋팅이 가능하도록 관리자용 버튼(43)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아울러, 제어부에서 사용자에게 진행상황 등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스피커(52)가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이하, 도 2a 및 2b 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출부(2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반출부(20)는 상측의 투입도어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박스형 통(桶) 형상을 갖되, 이동하여 특정 수거함(11)에 쓰레기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22)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주면의 일측면은 쓰레기를 압축시키도록 활주가능한 활주면(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반출부(20)의 바닥면(22)은 제어부가 작동을 제어하는 제2엑추에이터(23)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반출부(20)는 일측으로 압축피스톤(24)이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므로서 상기 압축피스톤(24)의 전면이 반출부(20)의 활주면(21)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피스톤(24)은 한쌍의 제4엑추에이터(27)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며 반출부(20) 내부에 적재된 재활용 쓰레기를 압축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피스톤(24)에는 다 수개의 절단날(25)이 돌출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절단날(25)은 제3엑추에이터(26)에 의해 돌출되어 재활용 쓰레기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는 재질 및 부피에 따라 압축 가능한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압축피스톤(24)이 최종 전진 위치(활주면이 정지한 위치)가 각각 상이하다. 따라서, 절단날(25)의 손상을 방지하며 더 빠르게 쓰레기의 절단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출부(20)는 절단날(25)이 외부로 관통가능하도록 홀(hole)이 형성되며, 절단날(25)의 관통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28)가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28)는 제어부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절단날(25)이 반출부(20)의 외부로 관통되면 제어부는 제3엑추에이터(26)의 전진을 중단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4엑추에이터(27)와 제3엑추에이터(26) 또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작동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유리병 같이 압축이나 절단이 불가능한 쓰레기의 투입시에는 압축피스톤(24) 및 절단날(25) 모두가 동작(활주)하지 않으며, 음료캔 또는 PET 병과 같은 쓰레기가 투입된 경우에는 제4엑추에이터(27)가 작동하여 압축피스톤(24)이 쓰레기를 압축하되 제3엑추에이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종이재질의 쓰레기인 경우 제4엑추에이터(27)가 작동하여 압축피스톤(25)이 쓰레기를 압축한 다음, 제3엑추에이터(26)가 작동하여 절단날(25)을 활주면(21)의 표면에서 돌출시킴으로서 쓰레기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출부의 하부에는 로드셀(load cell)이 장착되어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의 무게를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 또는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전송된 무게 데이터는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립될 포인트의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은 반출부(20)는 구동부에 의해 선택된 수거함 위로 이동하고 제2엑추에이터(23)의 작동으로 바닥면(22)을 개방함으로 쓰레기를 낙하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밀링머신 등과 같은 기계장치에서 정반(定盤), 가공장치 또는 가공물 등을 이동시킬 때 주로 사용되는 볼스크류(ball screw)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터(31)와 상기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33) 및 상기 리드스크류(33)와 치합되어 활주하는 스크류너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드스크류(33)와 스크류너트(32) 사이에는 강구(steel ball)가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되 리드스크류(33)와 스크류너트(32)의 나사산들 사이에 구속되어 마찰력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너트(32)는 반출부(20)의 하단에 결합되고 리드스크류(33)는 수거함(11)들의 열을 따라 평행하게 놓여지도록 구성되어, 모터(31)의 작동에 따라 반출부(20)는 선택된 특정 수거함(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3) 아래로 각각의 수거함(11) 또는 가이드부재(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13)가 장착되어 제어부는 반출부(20)가 정해진 위치(선택된 수거함이 설치된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모터(3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입도어(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투입도어(60)는,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호형(弧形)이며 일측면이 개구된 지지체(62)와 상기 지지체(62)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인 회전드럼(61) 및 상기 회전드럼(61)을 회전시키는 제1엑추에이터(6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엑추에이터(63)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회전드럼(61)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드럼(61)은 회전각도에 따라서 재활용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하측의 바로 아래 놓여진 반출부(20)로 재활용 쓰레기를 낙하시킨다.
다른 실시예들로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회전드럼을 대신하여 호형드럼(71)으로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지지체(72)의 형상 및 크기가 전술한 실시예의 지지체와는 달라질 수도 있으며, 제1엑추에이터를 대신하여 구동모터(74)와 벨트(73)가 호형드럼(7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식으로서 회전드럼을 대신하여 커버(81)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벨트(82)와 구동모터(83)로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순서를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드인식부에 카드가 삽입(또는 접촉)되기 전까지 투입도어는 닫힌 상태로 대기한다. 정당한 카드가 삽입되면 카드를 카드인식부는 승인을 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창으로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표시한다. 터치스크린 또는 다른 선택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쓰레기의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투입될 쓰레기의 압축 및 절단 여부와 쓰레기가 버려질 수거함을 결정하며, 제1엑추에어터를 작동시켜 투입도어를 개방시킨다. 사용자가 회전드럼에 쓰레기를 투입하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 후에 회전드럼이 회전하여 투입도어는 닫히고 재활용 쓰레기는 반출부로 낙하한다.
반출부에서는 로드셀에 의하여 투입된 쓰레기의 무게가 계측되고 계측량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선택된 재활용 쓰레기 종류와 무게에 따라 포인트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 또는 다른 저장수단에 상기 포인트를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반출부 내부에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선택된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압축 및/또는 절단을 수행하거나 생략한다. 제어부는 구동부의 모터를 작동시켜 반출부를 미리 선택된 수거함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로부터 반출부가 정해진 위치에 있음을 확인하고, 반출부에 바닥면을 개방하도록 제2엑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바닥면의 개방에 의해 쓰레기가 낙하하면 반출부는 바닥면이 닫힘상태로 돌아오도록 동작하고 투입도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원위치로 복귀가 수행된다.
쓰레기가 새로 적재된 수거함은 레벨센서에 의해 적재량이 감지되며, 상기 적재량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정해진 기준의 충진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미충만일 때는 다음 수거를 위하여 대기하고, 충만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창에서 상기 수거함에 적재될 쓰레기를 선택할 수 없도록 메뉴가 비활성화된다. 수거함의 탈거는 정해진 관리자의 카드가 인식될 때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비워진 수거함은 초기 상태로 셋팅이 리턴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수거함
20 : 반출부
31 : 모터
60 : 투입도어

Claims (12)

  1.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되는 두 개 이상의 수거함들이 구비되고 상측에 투입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도어를 통해 낙하한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통(container) 형상으로서 수거함들 위에 설치되되 내측 공간이 압축되도록 내부에서 이동하는 활주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출부;와
    상기 반출부를 수거함들의 열(row)을 따라 활주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투입 또는 접촉된 카드를 식별하고 카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리딩(reading)하는 카드인식부; 및
    상기 카드인식부와 통신하며 디스플레이창에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특정 수거함으로 이동시킬 메뉴를 표시하고, 구동부와 반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반출부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를 선택된 메뉴에 따라 압축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활주면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수거함으로 반출부를 이송시키고 상기 반출부의 바닥면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들의 상단에는 상단의 직경이 수거함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깔때기(funnel)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적재된 재활용 쓰레기의 적재량을 측정하고 제어부와 통신하는 레벨센서가 설치되어, 적재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을 초과하는 수거함은 선택메뉴에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는 내주면의 일측에서 전진후퇴하는 압축피스톤의 전면에 활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피스톤은 활주면의 표면에서 절단날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는 절단날이 외부로 관통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절단날의 관통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외주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도어는 제어부에서 개폐가 제어되되, 카드인식부를 통해 인가된 카드가 투입 또는 접촉되고 디스플레이창에서 메뉴가 선택되면 개방되고, 반출부 내에서 재활용 쓰레기의 투입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 후에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된 리드스크류; 및
    상기 반출부의 하단에 결합되되 리드스크류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를 활주하는 스크류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 각각에는 제어부와 통신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각각 부설되고, 제어부에 의해 활성화된 리미트스위치는 활주하는 스크류너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도어는,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으로서 일측면이 개구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되어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개폐되되, 상기 엑추에이터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는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제어부로 측정된 무게의 데이터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값을 미리 정해진 포인트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상기 포인트 또는 측정된 무게를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카드 정보와 제어부의 제어 상태 및 포인트값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KR20100006280U 2010-06-15 2010-06-15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KR200462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6280U KR200462664Y1 (ko) 2010-06-15 2010-06-15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6280U KR200462664Y1 (ko) 2010-06-15 2010-06-15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56U true KR20110011756U (ko) 2011-12-21
KR200462664Y1 KR200462664Y1 (ko) 2012-09-24

Family

ID=4556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6280U KR200462664Y1 (ko) 2010-06-15 2010-06-15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64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1741A (zh) * 2015-12-10 2016-04-20 山东建筑大学 一种电动分类垃圾箱
KR20170077867A (ko) * 2015-11-24 2017-07-07 주식회사 이마스 쓰레기 적재량 표시 장치
CN108014920A (zh) * 2018-01-15 2018-05-11 大连民族大学 垃圾分类回收一体机
CN109205132A (zh) * 2017-07-03 2019-01-15 合肥中科奥威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分选机器人
CN110002136A (zh) * 2019-05-14 2019-07-12 吕名轩 垃圾回收装置
CN110254997A (zh) * 2019-06-10 2019-09-20 徐娇娇 自动分类垃圾箱
CN110436090A (zh) * 2019-09-02 2019-11-12 浙江揭迪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袋回收装置
CN110683242A (zh) * 2019-11-14 2020-01-14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一种智能分类垃圾箱
CN111056181A (zh) * 2019-12-25 2020-04-24 徐玮祎 一种具有自动倾到垃圾的垃圾桶回收装置
CN111319890A (zh) * 2020-03-11 2020-06-23 广州优强环保设备有限公司 楼宇垃圾回收管道的分类引导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10087270A (ko) * 2020-01-02 2021-07-12 공아라 포인트 적립기능을 갖는 재활용 분리수거통
CN113479522A (zh) * 2021-08-10 2021-10-08 杨野秾 轻便型垃圾集运车及垃圾集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347B1 (ko) 2013-03-11 2014-11-21 루센에코로 주식회사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장치
KR101964972B1 (ko) * 2016-11-09 2019-08-07 이현진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KR20210035373A (ko) 2019-09-23 2021-04-01 황동혁 폐비닐 쓰레기 수거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5372A (ko) 2019-09-23 2021-04-01 황동혁 플라스틱 쓰레기 수거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4911A (ko) 2019-09-23 2021-03-31 황동혁 재활용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5374A (ko) 2019-09-23 2021-04-01 황동혁 캔 재활용 쓰레기 수거시스템 및 방법
KR102244066B1 (ko) 2019-10-07 2021-04-23 장진혁 재활용률 상승 효과가 있는 분리수거 박스
KR102414992B1 (ko) 2021-01-29 2022-06-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
PL437183A1 (pl) * 2021-02-26 2022-08-29 Gzula-Feliszek Luiza Zautomatyzowany śmietnik
KR20230091065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서르 복수의 분리 수거부를 갖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51B1 (ko) 2009-03-12 2009-11-19 (주)콘포테크 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
KR100949905B1 (ko) 2009-10-27 2010-03-26 (주)오토코리아 쓰레기 수거 장치
KR100946617B1 (ko) 2009-12-11 2010-03-09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867A (ko) * 2015-11-24 2017-07-07 주식회사 이마스 쓰레기 적재량 표시 장치
CN105501741A (zh) * 2015-12-10 2016-04-20 山东建筑大学 一种电动分类垃圾箱
CN109205132A (zh) * 2017-07-03 2019-01-15 合肥中科奥威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分选机器人
CN108014920B (zh) * 2018-01-15 2024-02-02 大连民族大学 垃圾分类回收一体机
CN108014920A (zh) * 2018-01-15 2018-05-11 大连民族大学 垃圾分类回收一体机
CN110002136A (zh) * 2019-05-14 2019-07-12 吕名轩 垃圾回收装置
CN110254997A (zh) * 2019-06-10 2019-09-20 徐娇娇 自动分类垃圾箱
CN110436090A (zh) * 2019-09-02 2019-11-12 浙江揭迪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袋回收装置
CN110683242A (zh) * 2019-11-14 2020-01-14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一种智能分类垃圾箱
CN111056181A (zh) * 2019-12-25 2020-04-24 徐玮祎 一种具有自动倾到垃圾的垃圾桶回收装置
CN111056181B (zh) * 2019-12-25 2021-10-08 温州企一家具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倾倒垃圾的垃圾桶回收装置
KR20210087270A (ko) * 2020-01-02 2021-07-12 공아라 포인트 적립기능을 갖는 재활용 분리수거통
CN111319890A (zh) * 2020-03-11 2020-06-23 广州优强环保设备有限公司 楼宇垃圾回收管道的分类引导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319890B (zh) * 2020-03-11 2023-09-22 广州优强环保设备有限公司 楼宇垃圾回收管道的分类引导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479522A (zh) * 2021-08-10 2021-10-08 杨野秾 轻便型垃圾集运车及垃圾集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64Y1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664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US8366030B2 (en)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US8322641B2 (en)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having a monitor
KR101964972B1 (ko)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KR102129548B1 (ko) 전동 압축 및 분리 수거 쓰레기통
JP2011005459A (ja) 飲料容器自動分別減容回収機
KR101975575B1 (ko) 건축물 내 재활용쓰레기 수거장치
KR100973548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EP2851318A1 (en) System for handling dry waste
CN201524592U (zh) 切碎机
US20110041711A1 (en) Article compaction apparatus
EP2514586A1 (en) Press device
CN111099201A (zh) 垃圾收集分类机
KR20090119593A (ko) 재활용품 분리압축장치
KR101044850B1 (ko) 금속음료용기 처리장치
JP2023093422A (ja) 物品回収装置
CN215827562U (zh) 一种智能垃圾箱
KR20190071040A (ko) 스마트 자동 분리수거함
JPH0577901A (ja) 空き容器回収装置
CN111099202A (zh) 一种垃圾收集分类机
CN211811426U (zh) 垃圾收集分类机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CN211997160U (zh) 一种用于垃圾收集分类机的感应门及垃圾收集分类机
CN211811425U (zh) 一种垃圾收集分类机
CN116882874B (zh) 一种基于无人驾驶技术的收件系统及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