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31B1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31B1
KR102393031B1 KR1020200184540A KR20200184540A KR102393031B1 KR 102393031 B1 KR102393031 B1 KR 102393031B1 KR 1020200184540 A KR1020200184540 A KR 1020200184540A KR 20200184540 A KR20200184540 A KR 20200184540A KR 102393031 B1 KR102393031 B1 KR 10239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unit
input
lab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8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2Materia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폐기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모인 다수의 폐기물을 차례로 상승 이송시키는 상승이송유닛과, 상기 상승이송유닛에 의해 차례대로 상승한 폐기물을 이송하는 투입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폐기물 투입부; 상기 투입 이송유닛 상의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 폐기물을 재질별로 선별하도록, 폐기물 이송로를 제공하는 선별 컨베이어와, 상기 폐기물 이송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로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과,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폐기물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폐기물을 분배하는 폐기물 분배기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부; 및 상기 폐기물 선별부에 의해 재질별로 선별된 폐기물이 수거되는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들을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고, 투입된 폐기물들을 재질 별로 자동 선별하여 수거할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을 재활용 폐기물 분류하고 있으며, 이들을 재활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어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의 재질 별로 선별되어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폐기물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과정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재질 별로 분류하여 수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주거지나 공공장소에는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종류 별로 구별하여 각기 다른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함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수거 방식은 여전히 사용자가 집안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저장 보관한 후, 한꺼번에 건물 외부에 설치된 재활용 폐기물 수거함에 버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재활용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분리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경제적 가치의 부족,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지식 부족, 생활 폐기물을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분리 수거함에 따른 번거로움, 생활 폐기물 수집 장치의 저변 확대 부족,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보상 체계 미비 등의 이유로 금속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수거 및 재활용 비율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0895871호 (2009. 04. 30.)
따라서, 재활용 폐기물을 재질별로 선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재활용 폐기물의 재질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재화룡 폐기물의 재질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더라도, 재활용 폐기물이 정위치로 정렬되지 않으면, 그 수단은 쓸모없게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개 또는 여러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들이 한꺼번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재질을 인식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하더라도, 한꺼번에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들을 구분하여 인식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들을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고, 투입된 폐기물들을 재질 별로 자동 선별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폐기물의 분리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폐기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모인 다수의 폐기물을 차례로 상승 이송시키는 상승이송유닛과, 상기 상승이송유닛에 의해 차례대로 상승한 폐기물을 이송하는 투입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폐기물 투입부; 상기 투입 이송유닛 상의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 폐기물을 재질별로 선별하도록, 폐기물 이송로를 제공하는 선별 컨베이어와, 상기 폐기물 이송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로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과,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폐기물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폐기물을 분배하는 폐기물 분배기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부; 및 상기 폐기물 선별부에 의해 재질별로 선별된 폐기물이 수거되는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분배기는 상기 가이드 격벽과 상기 투입 이송유닛 사이에 폐기물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가이드와, 상기 가동 가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동 가이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가이드 구동부가 상기 폐기물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가동 가이드를 회전시켜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 중 사전 설정된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폐기물 투입부는 상기 상승이송유닛과 상기 투입 이송유닛 사이에 상기 상승이송유닛에 의해 차례대로 상승한 후 떨어지는 폐기물을 받아 정렬하는 정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 이송유닛은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분배기 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폐기물 검출기는,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후에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도록, 상기 투입 이송유닛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상승이송유닛은 하부 풀리 및 상부 풀리와, 상기 하부 풀리 및 상부 풀리에 설치되어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하부 풀리 또는 상기 상부 풀리와 연결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하는 루프와, 상기 루프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있는 폐기물을 픽업하는 픽업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기물 투입구의 하단에서 상기 상승이송유닛의 하단에 부근까지 경사지게 이어진 가이드 슬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이송유닛 상에 있는 폐기물의 외면 전체가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 이송유닛 하측에는 상기 투입 이송유닛 상의 폐기물을 회전시키는 폐기물 회전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상승이송유닛의 상단과 인접한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투입 이송유닛 부근의 제2 단부까지 경사지게 낮아지는 경사 받침부와, 상기 경사 받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져서 전방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폐기물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경사 받침부는 중앙이 길고 주변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환봉들을 포함한다.
상기 환봉들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단부 측에서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기준선에 맞추어져 정렬된다.
상기 가동 가이드는,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갖는 가동 가이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가이드 몸체는, 상기 가동 가이드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별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선별 컨베이어를 향해 연장되는 제1 가이드판과,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선별 컨베이어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이드판과 마주하는 제2 가이드판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 가이드는,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하여 폐기물을 상기 통로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판에서 연장되는 제1 날개와,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하여 폐기물을 상기 통로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판에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가동 가이드 몸체에서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향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은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과,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는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와, 상기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을 수용하는 유리 폐기물 수거부와, 상기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금속 폐기물을 수거하는 금속 폐기물을 수거하는 금속 폐기물 수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 또는 상기 금속 폐기물 수거부 상측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쇄기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날개편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날개 구조의 투입 가이드 유닛과, 상기 날개편들과의 사이에 가변형 투입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후면판과, 상기 날개편에 의해 가압되면서 가변형 투입 통로를 통해 아래로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파쇄유닛은,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파쇄날들을 외주면에 구비한 제1 파쇄롤과,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파쇄롤의 제1 파쇄날들과 엇갈려 배치된 다수의 제2 파쇄날들을 외주면에 구비한 제2 파쇄롤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선별 컨베이어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의 사이에 배치된 라벨 제거기와, 상기 라벨 제거기에 의해 제거된 라벨을 수거하는 라벨 수거부와,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하도록,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와 상기 라벨 제거기 사이에 배치된 파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투입 이송유닛의 수직 아래 공간에는 상기 투입 이송유닛을 따라 이송중인 폐기물에 떨어지는 이물질을 아래로 가이드하는 이물질 가이드와 상기 이물질 가이드를 통해 떨어진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부가 배치된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상기 선별 컨베이어의 중간에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선별 컨베이어의 끝까지 이송한 후 떨어지는 폐기물을 수거하는 비선별 폐기물 수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투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 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여러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들이 한꺼번에 투입된다 하더라도,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들의 재질을 폐기물 검출기가 차례대로 하나씩 검출하고, 폐기물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폐기물 선별부가 폐기물을 재질 별로 분류하여 폐기물 수거부에 재질 별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 및 관리가 쉬워 주거지나, 다양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재활용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플라스틱 폐기물 또는 금속 폐기물을 자체적으로 파쇄함으로써 부피를 줄인 상태로 수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된 라벨을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 후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별도의 후속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폐기물 투입부에 구비된 상승이송유닛과 정렬유닛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폐기물 투입부에 구비된 정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폐기물을 폐기물 선별부로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유닛 및 폐기물 회전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폐기물 선별기에서 폐기물이 선별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라벨 제거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에 나타낸 라벨 제거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나타낸 라벨 제거기에 구비되는 타격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는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의 상부에 적용된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도시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파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1는 도 19및 도 20에 도시된 파쇄기의 가이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파쇄기의 파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폐기물 투입부(107)와,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121)와, 투입되는 폐기물(W)을 재질 별로 선별하여 이송하는 폐기물 선별부(127)와, 폐기물 선별부(127)에서 재질 별로 선별되어 이송되는 폐기물(W)을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와,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5)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폐기물 검출기(121)를 통해 검출하고, 재질이 검출된 폐기물(W)을 폐기물 선별부(127)를 통해 재질에 따라 분류하여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에 재질 별로 분류하여 수거함으로써,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폐기물의 분리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101)은 폐기물 검출기(121), 폐기물 선별부(127),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 등을 수용하여 이들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하우징(101)은 폐기물 투입부(107)가 구비된 전면만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건축물의 벽체 등에 매립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대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에 폐기물 선별부(127)가 설치된다. 하우징(101)의 측면에는 도어(10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의 출입구(103)가 마련된다. 출입구(103)를 통해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 등이 하우징(101)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하우징(101)에는 복수의 바퀴(105)가 구비되며, 하우징(101)은 바퀴(105)를 통해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
폐기물 투입부(107)는 사용자가 다양한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1)의 전면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폐기물 투입구(108)를 갖는다. 폐기물 투입구(108)는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병, 유리 병, 금속 캔 등 다양한 용기 형상의 폐기물(W)을 여러 개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폐기물 투입구(108)는 하우징(101)의 전면 하부 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W)들이 하우징(101) 내 바닥에 낙하할 때 생기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폐기물 투입부(107)는 폐기물 투입구(108)를 통해 투입되어 폐기물 투입부(107) 내측 바닥에 모인 다수의 폐기물(W)들을 하나씩 차례로 수직 상승 이송시키는 상승이송유닛(109)와, 상승이송유닛(109)에 의해 차례대로 상승한 후 떨어지는 폐기물(W)을 받아 위치를 정렬하여 이송하는 정렬유닛(106)을 포함한다. 또한, 폐기물 투입부(107)는 상승이송유닛(109)을 통해 차례로 수직 상승한 후 정렬유닛(106)에 의해 정렬된 폐기물(W)을 차례로 받아 폐기물 선별부(127) 측으로 이송하는 투입 이송유닛(110)과, 투입 이송유닛(110) 상에 있는 폐기물(W)을 회전시키기 위한 폐기물 회전유닛(114)을 더 포함한다. 상승이송유닛(109), 투입 이송유닛(110) 및 폐기물 회전유닛(114)은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된다.
상승이송유닛(109)은 체인 스프로킷 또는 일반 풀리일 수 있는 하부 풀리(1091) 및 상부 풀리와(1092)과, 하부 풀리(1091) 및 상부 풀리(1092)에 설치되어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하부 풀리(1091) 또는 상부 풀리(1092)와 연결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또는 체인형의 루프(1093)와, 루프(1093)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폐기물(W)을 픽업하여 유지하며 루프(1093)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폐기물(W)을 상승 이송시키는 픽업날개(1094)를 포함한다. 상승이송유닛(109)은 해당 픽업날개(1094)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폐기물(W)를 픽업하고 해당 이송날개(1094)가 가장 높은 위치에서 도달한 후 아래로 하강하는 순간 폐기물(W)을 떨어뜨려 정렬유닛(106)에 전달한다.
하우징(101)은 폐기물 투입구(107)의 하단에서 상승이송유닛(109)의 하단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경사지게 이어진 가이드 슬로프(1012)를 포함한다. 폐기물 투입구(107)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W)은 가이드 슬로프(1012)를 따라 상승이송유닛(109)의 픽업날개(1094)들 중 가장 낮게 위치한 픽업날개(1094) 부근으로 미끄러져 이동한다.
도 3 내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유닛(106)은 상승이송유닛(109)의 상단과 인접한 제1 단부로부터 투입 이송유닛(110) 부근의 제2 단부까지 경사지게 낮아지는 경사 받침부(1061)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경사 받침부(1061)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판(1062a, 1062b)로 이루어진다. 점진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가이드판(1062a, 1062b)에 의해 전방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폐기물 통로가 형성되며, 폐기물(W)은 이와 같은 폐기물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그 위치가 정렬되며, 그와 같이 정렬된 상태로 투입 이송유닛(110)에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경사 받침부(1061)는 길이가 다른 환봉들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의 환봉들이 가장 길고 주변으로 갈수록 환봉들의 길이는 짧아진다. 경사 받침부(1601)는 제1 단부 측에서 환봉들이 기준선에 맞추어져 정렬되므로 제2 단부 측에서 중앙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사 받침부(1601)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구배를 가지므로, 폐기물(W)은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된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이송유닛(110)은 폐기물 회전유닛(114)의 상측에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를 포함한다. 이들 투입 컨베이어(111)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된 후 전술한 상승이송유닛(109)에 의해 상승하고 전술한 정렬유닛(106)에 의해 정렬된 폐기물(W)을 함께 떠받치면서 폐기물 선별부(127) 측으로 이송한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 사이의 간격은 폐기물(W)의 폭보다 작고, 각각의 투입 컨베이어(111)는 상대 투입 컨베이어(11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폐기물 투입구(108)로 투입되는 폐기물(W)이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는 이들 사이의 간극이 벌어지도록 컨베이어 이동부(112)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컨베이어 이동부(112)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에 의해 떠받쳐지는 폐기물(W)이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도달하도록 각각의 투입 컨베이어(111)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컨베이어 이동부(112)에 의해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폐기물(W)이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이동부(112)가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를 원상 복귀시키면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도달했던 폐기물(W)이 다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에 떠받쳐져서 폐기물 회전유닛(114)에서 벗어나 폐기물 선별부(127)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폐기물 회전유닛(114)은 폐기물(W)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투입 이송유닛(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폐기물 회전유닛(114)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롤러(115)와, 각각의 회전 롤러(115)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116)를 포함한다. 한 쌍의 회전 롤러(115) 사이의 간격은 폐기물(W)의 폭보다 작다. 한 쌍의 회전 롤러(115)는 폐기물(W)을 함께 떠받친 상태에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들 위에 놓인 폐기물(W)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는 폐기물(W)을 폐기물 검출기(121)의 하측까지 이송시키고 정지한다. 이때, 컨베이어 이동부(112)가 작동하여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111)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폐기물(W)이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도달하고, 폐기물 회전유닛(114)이 작동하여 폐기물(W)을 대략 1회전시킴으로써, 폐기물 검출기(121)가 폐기물(W)에 마킹되어 있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폐기물(W)이 투입 이송유닛(1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폐기물(W)은 이에 마킹되어 있는 바코드가 폐기물 검출기(121)를 향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폐기물 검출기(121)의 하측에 도달한 폐기물(W)을 폐기물 회전유닛(114)으로 대략 1회전시키면, 폐기물 검출기(121)가 폐기물(W)에 마킹된 바코드를 스캔하기 유리하다.
투입 이송유닛(110)의 투입 컨베이어(1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 컨베이어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이동부(112)는 각각의 투입 컨베이어(111)를 스윙시키거나, 또는 투입 컨베이어(111)에 놓인 폐기물(W)이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도달하도록 투입 컨베이어(111)를 다른 형태로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회전유닛(114)은 한 쌍의 회전 롤러(115)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폐기물(W)의 외면 전체가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스캔될 수 있도록 폐기물(W)을 회전시키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폐기물 투입부(107)의 하측 공간, 정렬유닛(160), 투입 이송유닛(110) 및 폐기물 회전유닛(114)의 수직 아래 공간에는 이물질 가이드(118)와, 이물질 수거부(119)가 배치된다.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은 이물질 가이드(118)에 의해 이물질 수거부(119)로 가이드되어 이물질 수거부(119)에 수거될 수 있다. 이물질 수거부(119)는 하우징(101)의 출입구(103)를 통해 하우징(101)의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다. 이물질 수거부(119)를 상승이송유닛(109)의 직하 영역까지 확장하거나 또는 상승이송유닛(109)의 직하 영역에 별도의 이물질 수거부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폐기물 검출기(121)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된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도록 투입 이송유닛(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폐기물 검출기(121)는 바코드 리더(122)와, 광학 분석기(123)와, 금속 센서(124)와, 영상 분석기(125)를 통해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송신한다.
바코드 리더(122)는 폐기물(W)에 마킹되는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바코드에 담긴 정보로부터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이 폐기물 검출기(121)의 하측에 정지한 상태에서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의해 대략 1회전함으로써 바코드 리더(122)는 폐기물(W)의 바코드를 원활하게 스캔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122)는 폐기물(W)의 바코드로부터 폐기물(W)의 재질을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으로 판별할 수 있고, 금속의 경우는 철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23)는 폐기물(W)에 광을 조사하고 폐기물(W)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함으로써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23)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폐기물(W)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23)는 근적외선(NIR) 또는 다른 분석용 광을 이용하여 폐기물(W)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분석기(123)는 폐기물(W)을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 별로 분류할 수 있고, 플라스틱의 경우 PET, PP, PE, PS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으며, 금속의 경우는 철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다.
금속 센서(124)는 금속 폐기물을 검출할 수 있다. 금속 센서(124)는 마그네틱 센서 등 금속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금속을 철,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다.
영상 분석기(125)는 투입되는 폐기물(W)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폐기물(W)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영상 분석기(125)는 폐기물(W)의 투명도를 분석함으로써 유색 폐기물과 무색 폐기물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기(125)로는 CCD 카메라 등 폐기물(W)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검출기(121)는 다양한 재질 분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제공할 수 있다. 폐기물 검출기(1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바코드 리더(122)와, 광학 분석기(123)와, 금속 센서(124)와, 영상 분석기(125)가 폐기물(W)의 투입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구조 이외에, 바코드 리더(122)와, 광학 분석기(123)와, 금속 센서(124)와, 영상 분석기(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 또는 그 이외에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과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폐기물 선별부(127)는 하우징(101)의 선별 챔버에 배치되어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을 재질 별로 분류한다. 폐기물 선별부(127)는 선별 컨베이어(128)와,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 및 그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135)와, 폐기물 분배기(140) 등을 포함한다.
선별 컨베이어(128)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거쳐 들어온 폐기물(W), 더 구체적으로는, 폐기물 투입부(107)의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재질이 검출된 폐기물(W)을 이송하는 것으로, 그 상측에 폐기물(W)을 이송하기 위한 폐기물 이송로(136)를 제공한다. 폐기물 이송로(136)는 선별 컨베이어(128)의 상측에 마련되며, 선별 컨베이어(128)가 작동함에 따라 폐기물(W)이 폐기물 이송로(136)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선별 컨베이어(128)의 상측에는 덮개(135)가 설치되어 폐기물 이송로(136)를 덮을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은 상기 덮개(135)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덮개(135) 내측에 이하 설명되는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이 형성된다.
선별 컨베이어(128)는 벨트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선별 컨베이어(128)는 그 상측에 폐기물(W)을 실어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129)와, 컨베이어 벨트(129)를 무한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 롤러(130) 및 지지 롤러(131)와, 구동 롤러(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기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구동기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195)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폐기물(W)이 투입될 때 컨베이어 구동기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29)가 폐기물(W)을 그 외면에 실어 이송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은 폐기물(W)에서 떨어지는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선별 컨베이어(128)의 인접 위치에 스크레이퍼(134)가 설치된다. 스크레이퍼(134)는 그 끝단이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4)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29)에서 제거된 이물질과 같이 컨베이어 벨트(129) 끝까지 이송한 이물질은 비선별 폐기물 수거부(147e)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은 선별 컨베이어(128)의 상측에 배치되어 폐기물 이송로(136)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분할한다. 선별 컨베이어(128)의 상측에는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과 함께 투입 가이드(146)가 배치된다. 투입 가이드(146)는 폐기물 투입부(107)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폐기물 투입부(107)에서 폐기물 이송로(136)로 이동하는 폐기물(W)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격벽(139) 및 투입 가이드(146)는 선별 컨베이어(128)의 컨베이어 벨트(129)와 간섭되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129)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가이드 격벽(139)은 복수 개가 폐기물 이송로(136) 중에 배치됨으로써 폐기물 이송로(136)를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으로 구획한다.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은 플라스틱 폐기물(Wp)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은 유리 폐기물(Wg)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은 금속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폐기물 분배기(140)는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재질이 검출된 후 투입 이송유닛(110)을 통해 들어오는 폐기물(W)을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으로 분배한다. 즉, 폐기물 분배기(140)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투입되는 폐기물(W)을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검출된 재질에 따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 중 사전 설정된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가이드한다. 폐기물 분배부(140)는 가동 가이드(141)와, 가동 가이드(1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를 포함한다.
가동 가이드(141)는 선별 컨베이어(128)의 컨베이어 벨트(129)와 간섭되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129)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동 가이드(141)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접할 수 있도록 가이드 격벽(139)과 폐기물 투입부(107) 사이에 배치된다. 가동 가이드(141)는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에 의해 폐기물(W)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킨다.
가동 가이드(141)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142d)를 갖는 가동 가이드 몸체(142)와,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을 통로(142d)로 가이드하기 위해 가동 가이드 몸체(142)에 결합되는 제1 날개(143a) 및 제2 날개(143b)를 포함한다.
가동 가이드 몸체(142)는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에 결합되어 선별컨베이어(128)의 위쪽에 배치되는 연결부(142a)와, 연결부(142a)의 양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가이드판(142b) 및 제2 가이드판(142c)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판(142b)은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접할 수 있도록 연결부(142a)의 일측에서 선별 컨베이어(128)를 향해 연장된다. 제2 가이드판(142c)은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접할 수 있도록 연결부(142a)의 다른 일측에서 선별 컨베이어(128)를 향해 연장되어 제1 가이드판(142b)과 마주한다. 통로(142d)는 제1 가이드판(142b)과 제2 가이드판(142c)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날개(143a)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접하여 폐기물(W)을 통로(142d)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판(142b)에서 폐기물 투입부(107) 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제2 날개(143b)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접하여 폐기물(W)을 통로(142d)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판(142c)에서 폐기물 투입부(107) 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제1 날개(143a)와 제2 날개(143b)는 가동 가이드 몸체(142)에서 폐기물 투입부(107)를 향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폐기물 검출기(121)의 검출 신호에 따라 가동 가이드(141)를 회전시킨다.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가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에 따라 가동 가이드(141)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동 가이드(141)가 투입되는 폐기물(W)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폐기물 분배부(140)에 의한 구체적인 폐기물 분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폐기물들이 폐기물 투입부(107)에 투입된 후, 여러 종류의 폐기물들 중 유리 폐기물(Wg)이 상승이송유닛(109)에 의해 다른 폐기물들과 구분된 상태로 상승하고, 다음으로 그 유리 폐기물(Wg)은 정렬유닛(106)을 거쳐 투입 이송유닛(110)에 의해 이송가능하게 그리고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정렬된 상태에서, 폐기물 검출기(121)가 유리 폐기물(Wg)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195)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 가이드(141)의 통로(142d)가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를 제어한다. 이때,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유리 폐기물(Wg)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제1 날개(143a) 및 제2 날개(143b)와, 제1 가이드판(142b) 및 제2 가이드판(142c)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로(142d)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통로(142d)를 통과한 유리 폐기물(Wg)은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을 따라 유리 폐기물 수거부(147b)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폐기물들이 폐기물 투입부(107)에 투입된 후, 여러 종류의 폐기물들 중 플라스틱 폐기물(Wp)이 상승이송유닛(109)에 의해 다른 폐기물들과 구분된 상태로 상승하고, 다음으로 그 플라스틱 폐기물(Wp)은 정렬유닛(106)을 거쳐 투입 이송유닛(110)에 의해 이송가능하게 그리고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 정렬된 상태에서, 폐기물 검출기(121)가 플라스틱 폐기물(Wp)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195)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 가이드(141)의 통로(142d)가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를 제어한다. 이때,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제1 날개(143a) 및 제2 날개(143b)와, 제1 가이드판(142b) 및 제2 가이드판(142c)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로(142d)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통로(142d)를 통과한 플라스틱 폐기물(Wp)은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을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폐기물들이 폐기물 투입부(107)에 투입된 후, 여러 종류의 폐기물들 중 금속 폐기물(Wm)이 상승이송유닛(109)에 의해 다른 폐기물들과 구분된 상태로 상승하고, 다음으로 그 금속 폐기물(Wm)은 정렬유닛(106)을 거쳐 투입 이송유닛(110)에 의해 이송가능하게 그리고 폐기물 회전유닛(114)에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 정렬된 상태에서, 폐기물 검출기(121)가 금속 폐기물(Wm)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195)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가이드(141)의 통로(142d)가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과마주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가동 가이드 구동부(145)를 제어한다. 이때,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금속 폐기물(Wm)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제1 날개(143a) 및 제2 날개(143b)와, 제1 가이드판(142b) 및 제2 가이드판(142c)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로(142d)를 통과하게 된다. 통로(142d)를 통과한 금속 폐기물(Wm)은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을 따라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c)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선별부(127)는 폐기물이 이송되는 선별 컨베이어(128)의 폐기물 이송로(136)를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들이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으로 구획하고, 폐기물 이송로(136)에 배치되는 가동 가이드(141)가 움직여 선별 컨베이어(128)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폐기물(W)을 재질 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폐기물 선별부(127)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폐기물 이송로(136) 상에 마련되는 폐기물 이송트랙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폐기물 이송 트랙의 개수나 배치 구조에 따라 폐기물 분배기(140)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는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137f)을 따라 각각 이송되는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폐기물 선별부(127)의 하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폐기물 수거부(147a)(146b)(147b)(147c)(147d)는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에 수거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운반될 수 있도록 바퀴(148)를 가질 수 있다. 이들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는 하우징(101)의 출입구(103)를 통해 하우징(101)의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다.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 중에서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수거하기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수용한다. 유리 폐기물(Wg)을 수거하기 위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7b)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을 수용한다. 금속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c)는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d)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금속 폐기물(Wm)을 수용한다. 라벨 수거부(147d)는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제거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로 수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에 부착된 라벨을 제거하기 위해 선별 컨베이어(128)와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의 사이에는 라벨 제거기(150)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에는 제품의 상표, 사용설명서 및 안내문구 등이 표시된 라벨이 부착된다. 라벨은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과 다른 폴리 프로필렌, 비닐크로라이드 등의 수지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접착제를 통해 플라스틱 용기의 외면에 접착된 후 열가압 수축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용기에 단단히 부착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 등의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라벨을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해야 한다.
도 14은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제거기(150)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수용하는 케이싱(151)과, 케이싱(15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157)과, 회전축(157)에 결합되는 나선 가이드(159)와, 타격체(160)와, 회전날(167) 및 배출 가압 날개(168)와,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흡입하여 케이싱(151)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라벨 흡입기(170)를 포함한다.
케이싱(151)에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이 수용되는 라벨 제거 챔버(152)와, 플라스틱 폐기물(Wp)이 라벨 제거 챔버(152)로 투입될 수 있도록 라벨 제거 챔버(152)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와,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플라스틱 폐기물(Wp)이 배출될 수 있도록 라벨 제거 챔버(152)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와,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배출하기 위해 라벨 제거 챔버(152)와 연결되는 라벨 흡입구(155)가 구비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을 통해 이송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은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를 통해 라벨 제거 챔버(152)로 유입되어 라벨 제거 챔버(152)를 따라 이송되면서 타격 및 압축되는 과정을 통해 라벨이 제거되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로 수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되는 라벨은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배출되어 라벨 수거부(146f) 측으로 이송된다. 라벨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라벨 흡입구(155)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보다 상측에, 또한 플라스틱 폐기물(Wp)의 이송 방향에 대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케이싱(151)의 내면에는 복수의 고정날(156)이 회전축(157)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날(156)은 타격체(160)와 회전날(167)이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타격 및 가압할 때 플라스틱 폐기물(Wp)의 표면에 밀착되어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타격 및 가압할 수 있다. 고정날(156)은 플라스틱 폐기물(Wp)에 부착된 라벨을 찢거나 플라스틱 폐기물(Wp)로부터 라벨을 떼어낼 수 있다.
회전축(157)은 라벨 제거 챔버(152) 속에 라벨 제거 챔버(152)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회전축(157)은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에서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까지 연장되며, 회전축 구동기(158)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회전축(157)에는 나선 가이드(159)와, 타격체(160)와, 회전날(167)과, 배출 가압 날개(168)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차례로 결합된다.
나선 가이드(159)는 회전축(157)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이송시킨다. 도시된 것과 같이, 나선 가이드(159)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까지 연장되지 않고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의 하측에서 타격체(160)까지만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나선 가이드(159)가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를 통해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타격체(160) 측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타격체(160)와 회전날(167)에 도달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은 나선 가이드(159)에 의해 밀리는 다른 플라스틱 폐기물들(Wp)에 의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밀려 이송될 수 있다.
타격체(160)는 회전축(15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타격체 바디(161)와, 타격체 바디(16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163)을 포함한다.
타격체 바디(161)는 중간에 축 삽입구멍(162)이 형성된 도넛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축 삽입구멍(162)에 회전축(157)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축(157)에 지지된다. 축 삽입구멍(162)의 내경은 회전축(157)의 외경보다 크다. 회전축(157)이 회전할 때, 타격체 바디(161)의 내면이 회전축(157)의 외면에 접함으로써 타격체 바디(161)가 회전축(157)의 회전력 및 원심력을 제공받아 회전축(157)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타격체 바디(161)에 회전축(157)의 회전력 및 원심력을 더욱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축(157) 중 타격체 바디(161)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은 타원 등 원형 이외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타격 날(163)은 복수 개가 타격체 바디(161)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타격 날(163)은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타격체 바디(161)가 회전할 때 타격체 바디(161)와 케이싱(151)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타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Wp)에 부착된 라벨을 찢어내고, 플라스틱 폐기물(Wp)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다.
타격체(160)는 나선 가이드(159)와 회전날(167) 사이에 복수 개가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회전축(157)에는 타격체(160)를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타격체(16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64)가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타격체(160) 사이에는 스페이서(165)가 배치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타격체들(160) 사이를 이격시키고, 타격체(16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스토퍼(164)와 스페이서(165)의 작용으로 복수의 타격체(160)는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나선 가이드(159)나 회전날(167)과 간섭되거나 상호 간섭되는 문제없이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라벨을 분리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회전날(167)은 타격체(160)와 배출 가압 날개(168)의 사이에 배치되며,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157)의 외면에 결합된다. 회전날(167)은 복수 개가 회전축(157)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들 회전날(167)은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Wp)에 부착된 라벨을 찢어내고, 플라스틱 폐기물(Wp)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다.
배출 가압 날개(168)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157)의 외면에 결합된다. 배출 가압 날개(168)는 복수 개가 회전축(157)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이들 배출 가압 날개(168)는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하면서 타격체(160)와 회전날(167)을 거치면서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라벨 흡입기(170)는 라벨 흡입구(155)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케이싱(151)의 라벨 제거 챔버(152)로부터 흡입하여 라벨 수거부(146f)로 배출시킨다. 라벨 흡입기(170)는 라벨 흡입구(155)와 연결되는 라벨 배출 가이드(171)와, 라벨 배출 가이드(171)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177)와, 라벨 배출 가이드(171)로 흡입되는 라벨을 라벨 수거부(146f) 측으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를 포함한다.
라벨 배출 가이드(171)에는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배출되는 라벨을 이송할 수 있도록 케이싱(151)의 라벨 흡입구(155)와 연결되는 라벨 이송로(172)와, 라벨 이송로(172)의 라벨을 라벨 수거부(146f)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라벨 이송로(172)와 연결되는 라벨 배출구(173)와, 라벨 이송로(172)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라벨 이송로(172)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74)가 구비된다. 공기 흡입구(174)에는 거름망(175)이 배치된다. 거름망(175)은 공기는 통과하되 라벨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통공이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라벨을 걸러낼 수 있다. 케이싱(151)의 라벨 제거 챔버(152)로부터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로 유입되는 라벨은 라벨 이송로(172)를 따라 이송되어 라벨 배출구(173)를 통해 라벨 수거부(146f)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력 발생부(177)는 공기 흡입구(174)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174)와 연결된다. 흡입력 발생부(177)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은 공기 흡입구(174) 및 라벨 이송로(172)를 통해 라벨 흡입구(155)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151)의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된 라벨이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로 흡입될 수 있다.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는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로 흡입되는 라벨을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이송시킨다.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는 라벨 이송로(172)에 배치되어 라벨을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부(179)를 구비한다. 라벨 이송부(179)는 이송 스크류(180)를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180)는 라벨 이송로(17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라벨 이송 회전축(181)과, 라벨 이송 회전축(18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라벨 이송 나선 가이드(182)를 구비하며, 라벨 흡입구(155)에서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연장된다. 이송 스크류(180)는 이송 스크류 구동기(18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송 스크류(180)가 회전함으로써 라벨 이송로(172)로 흡입되는 라벨이 이송 스크류(180)의 라벨 이송 나선 가이드(182)를 따라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강제 이송될 수 있다.
흡입력 발생부(177)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라벨 배출구(173)에까지 강하게 작용하면 라벨 배출구(173)에서 라벨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라벨 흡입기(170)는 라벨 배출구(173)에서는 흡입력이 가능한 작용하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즉, 라벨 흡입기(170)의 라벨 이송로(172)는 라벨 배출구(173)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Wc2)이 공기 흡입구(174)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Wc1)보다 축소된 형태를 가지며, 라벨 이송로(172)의 중간 부분에서 라벨 배출구(173)와 연결되는 부분까지의 일정 구간은 이송 스크류(180)의 폭보다 다소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라벨 이송로(172)를 이러한 형태로 하면, 라벨 이송로(172)의 중간 부분에서 라벨 배출구(173)와 연결되는 부분까지의 하류부에서 라벨 배출 가이드(171)와 이송 스크류(180) 간의 간섭을 피하면서 이송 스크류(180)에 의한 공기 저항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벨 이송로(172) 하류부에서는 이송 스크류(180)가 공기 유동을 방해함으로써 흡입력 발생부(177)의 흡입력이 약하게 작용하게 되고, 라벨이 이송 스크류(180)에 의해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라벨 제거기(150)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Wp)이 투입될 때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Wp)과 라벨을 각각 분리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와 라벨 수거부(146f)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라벨 제거기(150)는 타격체(160)가 라벨을 1차 분리하고, 회전날(167)이 라벨을 2차 분리하고, 라벨 흡입기(170)로 라벨을 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라벨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벨 제거기(150)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에서 케이싱(151)의 내측으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먼저 타격체(160)로 타격함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압축시키면서 타격체(160)에 구비되는 타격 날(163)과 케이싱(151)의 고정날(156)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Wp)에 부착된 라벨을 찢고 라벨을 1차 분리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격체(160)는 회전축(15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인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타격체(160)와 케이싱(151) 사이에 놓이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강하게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Wp)이 타격체(160)에 의해 부피가 감소된 상태로 회전날(167)이 배치된 부분으로 이송된다.
회전날(167)이 배치된 부분에서 회전날(167)과 고정날(156)의 작용으로 플라스틱 폐기물(Wp)에 부착된 라벨이 2차 분리된다. 그리고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Wp)은 배출 가압 날개(168)의 작용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를 통해 원활하게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로 수거되고, 플라스틱 폐기물(Wp)에서 분리되는 라벨은 라벨 흡입기(170)의 흡입력 발생부(177)에서 발생하는 흡입력과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에 의한 이송력에 의해 라벨 수거부(146f)에 수거된다.
라벨 흡입기(170)에 구비되는 라벨 배출 가이드(171)와, 흡입력 발생부(177)와,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는 이송 스크류(180)를 포함하는 구조 외이에, 라벨 이송로(172)의 라벨을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강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의 사이, 더 나아가서는, 라벨 제거기(150)와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의 사이에는 플라스틱 폐기물 파쇄기(200)가 설치된다. 상기 플라스틱 파쇄기(200)는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파쇄하도록 구성된다. 파쇄된 플라스틱 폐기물(Wp)은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로 수거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파쇄기(200)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의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Wp)을 파쇄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로 투입시킨다. 플라스틱 폐기물 파쇄기(200)의 작용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7a)에 더욱 많은 플라스틱 폐기물(Wp)이 수거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폐기물 파쇄기(20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1, 202)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1, 2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날개편(212)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날개 구조의 투입 가이드 유닛(210)과, 날개편(212)들과의 사이에 가변형 투입 통로(290)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1, 202)에 고정 설치된 후면판(220)을 포함한다.
투입 가이드 유닛(210)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이 투입 가이드 유닛(210)의 회전에 의해 날개편(212)과 후면판(220) 사이의 가변형 투입 통로(290)에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아래로 눌려 압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기물 파쇄기(200)는 날개편(212)에 의해 가압되면서 가변형 투입 통로(290)를 통해 아래로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유닛(230)을 가변형 투입 통로(290)의 직하에 구비한다.
파쇄유닛(230)은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파쇄날(232a)들을 외주면에 구비한 제1 파쇄롤(232)과,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파쇄롤(232)의 파쇄날(232a)들과 엇갈려 배치된 다수의 제2 파쇄날(234a)들을 외주면에 구비한 제2 파쇄롤(234)을 포함한다. 제1 파쇄날(232a)들과 제2 파쇄날(234a)들이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쇄롤(232)과 상기 제2 파쇄롤(234)이 회전하면, 상기 제1 파쇄날(232a)들과 상기 제2 파쇄날(234a)들이 플라스틱 폐기물을 잘게 파쇄한다. 또한, 투입 가이드 유닛(210)을 기준으로 상기 후면판(22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1, 202)를 가로질러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바(250)가 설치된다. 하부 가이드부(250)는 투입 가이드 유닛(210)의 회전에 의해 투입 가이드 유닛(210)의 날개편(212)과 후면판(220) 사이의 갭을 통해 파쇄유닛(230)에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제1 파쇄롤(232)과 제2 파쇄롤(234)의 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 제1 파쇄롤(232)과 제2 파쇄롤(234)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체인 스프로킷 및 기어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과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c)의 사이에는 금속 폐기물 파쇄기(200')가 설치될 수 있다. 금속 폐기물 파쇄기(200)')는 금속 폐기물(Wm)을 파쇄하도록 구성된다. 파쇄된 금속 폐기물(Wm)은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c)로 수거된다. 상기 금속 폐기물 파쇄기(200')는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과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c)의 사이에 배치되어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에서 떨어지는 금속 폐기물(Wm)을 파쇄하여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a)로 투입시킨다. 금속 폐기물 파쇄기(200')의 작용으로 금속 폐기물 수거부(147a)에 더욱 많은 금속 폐기물(Wm)이 수거될 수 있다.
금속 폐기물 파쇄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플라스틱 폐기물 파쇄기(200)와 동일한 구조의 것이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유리 폐기물(Wg)을 수거하기 위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에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Wg)를 떠받치기 위한 완충유닛(188)이 설치된다. 완충유닛(188)은 유리 폐기물(Wg)을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완충 베드(189)와, 완충 베드(189)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193)를 포함한다. 완충 베드(189)는 승강 구동부(193)와 결합되어 승강 구동부(193)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190)와, 유리 폐기물(Wg)과 접촉할 수 있도록 승강대(190) 위에 배치되는 받침대(191)와, 승강대(190)와 받침대(191)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92)을 포함한다. 완충 베드(189)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Wg)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유리 폐기물(Wg)이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로 떨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승강 구동부(193)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완충 베드(18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베드(189) 상에 유리 폐기물(Wg)의 적재량이 적을 때, 승강 구동부(193)는 완충 베드(189)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완충 베드(189)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Wg)이 받는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베드(189) 상에 유리 폐기물(Wg)의 적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승강 구동부(193)는 완충 베드(189)의 높이를 낮춰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에 가능한 많은 양의 유리 폐기물(Wg)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완충유닛(188)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Wg)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유리 폐기물(Wg)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95)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5)는 투입 이송유닛(110)와, 폐기물 회전유닛(114)을 제어하여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이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재질 분석된 후 폐기물 선별부(127)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5)는 폐기물 검출기(12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폐기물 선별부(127), 라벨 제거기(150), 폐기물 압축기(185), 완충유닛(188) 등을 적당한 타이밍에 적당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입력부(197)와, 디스플레이부(198)를 포함한다. 입력부(197) 및 디스플레이부(198)는 하우징(101)의 전면에 배치된다. 입력부(197)를 통해 사용자나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8)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이나 재활용 여부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폐기물 검출기(121)가 검출하고, 폐기물 검출기(12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폐기물 선별부(127)가 폐기물을 자동으로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 별로 분류하여 폐기물 수거부에 재질 별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 및 관리가 쉬워 다양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재활용 폐기물 분리 수거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01)과, 폐기물 투입부(107)와, 투입 이송유닛(110)와, 폐기물 회전유닛(114)와, 폐기물 검출기(121)와, 폐기물 선별부(127)와, 폐기물 수거부(147a)(147b)(147c)(147d)와, 라벨 제거기(150) 등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01 : 하우징
103 : 출입구 104 : 도어
106: 정렬유닛 107 : 폐기물 투입부
108: 폐기물 투입구 109: 상승이송유닛
110 : 투입 이송유닛 111 : 투입 컨베이어
112 : 컨베이어 이동부 114 : 폐기물 회전유닛
115 : 회전 롤러 118 : 이물질 가이드
119 : 이물질 수거부 121 : 폐기물 검출기
127 : 폐기물 선별부 128 : 선별 컨베이어
129 : 컨베이어 벨트 134 : 스크레이퍼
136 : 폐기물 이송로 137a :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
137b :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 137c :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
139 : 가이드 격벽 140 : 폐기물 분배기
147a :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 147b : 유리 폐기물 수거부
147c : 금속 폐기물 수거부 200, 200': 파쇄기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폐기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모인 다수의 폐기물을 차례로 상승 이송시키는 상승이송유닛과, 상기 상승이송유닛에 의해 차례대로 상승한 폐기물을 이송하는 투입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폐기물 투입부;
    상기 투입 이송유닛 상의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
    폐기물을 재질별로 선별하도록, 폐기물 이송로를 제공하는 선별 컨베이어와, 상기 폐기물 이송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로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과,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폐기물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폐기물을 분배하는 폐기물 분배기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부; 및
    상기 폐기물 선별부에 의해 재질별로 선별된 폐기물이 수거되는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분배기는 상기 가이드 격벽과 상기 투입 이송유닛 사이에 폐기물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가이드와 상기 가동 가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동 가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되, 상기 가동 가이드 구동부가 상기 폐기물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가동 가이드를 회전시켜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 중 사전 설정된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가동 가이드는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갖는 가동 가이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가이드 몸체는 상기 가동 가이드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별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선별 컨베이어를 향해 연장되는 제1 가이드판과,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선별 컨베이어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이드판과 마주하는 제2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투입부는 상기 상승이송유닛과 상기 투입 이송유닛 사이에 상기 상승이송유닛에 의해 차례대로 상승한 후 떨어지는 폐기물을 받아 정렬하는 정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 이송유닛은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분배기 측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이송유닛은 하부 풀리 및 상부 풀리와, 상기 하부 풀리 및 상부 풀리에 설치되어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하부 풀리 또는 상기 상부 풀리와 연결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하는 루프와, 상기 루프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있는 폐기물을 픽업하는 픽업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기물 투입구의 하단에서 상기 상승이송유닛의 하단에 부근까지 경사지게 이어진 가이드 슬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상승이송유닛의 상단과 인접한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투입 이송유닛 부근의 제2 단부까지 경사지게 낮아지는 경사 받침부와, 상기 경사 받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져서 전방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폐기물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가이드는,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하여 폐기물을 상기 통로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판에서 연장되는 제1 날개와,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접하여 폐기물을 상기 통로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판에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가동 가이드 몸체에서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향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은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과,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는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와, 상기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을 수용하는 유리 폐기물 수거부와, 상기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금속 폐기물을 수거하는 금속 폐기물을 수거하는 금속 폐기물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 또는 상기 금속 폐기물 수거부 상측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 또는 금속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날개편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날개 구조의 투입 가이드 유닛과, 상기 날개편들과의 사이에 가변형 투입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후면판과, 상기 날개편에 의해 가압되면서 가변형 투입 통로를 통해 아래로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유닛은,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파쇄날들을 외주면에 구비한 제1 파쇄롤과,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파쇄롤의 제1 파쇄날들과 엇갈려 배치된 다수의 제2 파쇄날들을 외주면에 구비한 제2 파쇄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선별 컨베이어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의 사이에 배치된 라벨 제거기와, 상기 라벨 제거기에 의해 제거된 라벨을 수거하는 라벨 수거부와,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하도록,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와 상기 라벨 제거기 사이에 배치된 파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이송유닛의 수직 아래 공간에는 상기 투입 이송유닛을 따라 이송중인 폐기물에 떨어지는 이물질을 아래로 가이드하는 이물질 가이드와 상기 이물질 가이드를 통해 떨어진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0200184540A 2020-12-28 2020-12-28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39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40A KR102393031B1 (ko) 2020-12-28 2020-12-28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40A KR102393031B1 (ko) 2020-12-28 2020-12-28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031B1 true KR102393031B1 (ko) 2022-05-03

Family

ID=8159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540A KR102393031B1 (ko) 2020-12-28 2020-12-28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0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71B1 (ko)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1921A (ko) * 2018-12-28 2020-07-08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20200104086A (ko) * 2019-02-26 2020-09-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품 자동 분류 수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71B1 (ko)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1921A (ko) * 2018-12-28 2020-07-08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20200104086A (ko) * 2019-02-26 2020-09-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품 자동 분류 수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3418787B2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179534B1 (ko) 재활용품 자동 분류 수거기
US49293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materials
US5551573A (en)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matter
KR10214295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339656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KR10239303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3165622B2 (ja) ガラス瓶分類装置
KR102339655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93031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20150004632A (ko) 재활용 쓰레기 처리장치
JP4480107B2 (ja) 空き缶等の選別処理装置
KR100934901B1 (ko)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KR102084012B1 (ko) 포대로부터 분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포대 자동 개봉장치
KR200203552Y1 (ko)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KR101820342B1 (ko)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JP3400931B2 (ja) 分別装置
CN110721988B (zh) 垃圾分离装置及系统
CN112024576A (zh) 一种玻璃回收系统
KR102540070B1 (ko) 재활용 용기 압축 및 선별장치
KR20030035235A (ko) 색상별 폐유리병 분류 파쇄장치
JPH05138067A (ja) 空き缶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