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342B1 -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342B1
KR101820342B1 KR1020160033163A KR20160033163A KR101820342B1 KR 101820342 B1 KR101820342 B1 KR 101820342B1 KR 1020160033163 A KR1020160033163 A KR 1020160033163A KR 20160033163 A KR20160033163 A KR 20160033163A KR 101820342 B1 KR101820342 B1 KR 10182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leeve
conveyor
gripper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276A (ko
Inventor
신민욱
김영서
윤성식
이여규
Original Assignee
신민욱
김영서
윤성식
이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욱, 김영서, 윤성식, 이여규 filed Critical 신민욱
Priority to KR102016003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6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89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72Plates or bu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는,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그리퍼에 의해 컵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부 궤도 구간 아래의 궤도 안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컵 뚜껑은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고 컵 슬리브는 그리퍼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컵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컵 슬리브와의 접촉시 컵 슬리브를 하향으로 밀어서 떨어뜨리는 슬리브 분리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SEPARATION AND EMISSION APPARATUS FOR DISPOSABLE CUPS}
본 발명은 사용한 일회용 컵을 자동으로 분리배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간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회용 종이컵의 양은 116억 개이며, 이를 수거처리하는 비용으로 수백억 원이 요소 된다. 또한, 테이크아웃 커피를 담는 용기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은 컵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뚜껑이나 잔류 내용물이 남아 있어 사용자가 주의하지 않는 이상 정확한 분리배출이 어렵다. 일회용 컵의 정확한 분리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분리수거를 한 번 더 해야 하므로 재 분리수거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시간 및 노동력이 낭비될 수밖에 없다. 통상 테이크아웃 전문점에서는 사용 후 버려진 일회용 컵의 분리배출은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 내에 사용한 일회용 컵을 직접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서비스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용한 일회용 컵을 각 분리 부위별로 정확히 분리하지 않고 잔류 내용물이 남은 컵, 뚜껑, 빨대를 결합상태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로 인해 테이크아웃 전문점의 직원 또는 담당자가 잘못 분리수거된 일회용 컵을 다시 재 분리수거해야 하고 그에 따른 시간, 비용 및 노동력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컵, 뚜껑, 빨대에 남은 잔류 내용물로 인해 미관을 해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사용 후 버려지는 일회용 종이컵을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회용 종이컵 분리배출 장치의 선행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6885호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한 일회용 컵을 컵 슬리브와 컵 뚜껑과 컵에 남은 잔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자동 분리함은 물론 컵을 재질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는,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그리퍼에 의해 컵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부 궤도 구간 아래의 궤도 안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컵 뚜껑은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고 컵 슬리브는 그리퍼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컵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컵 슬리브와의 접촉시 컵 슬리브를 하향으로 밀어서 떨어뜨리는 슬리브 분리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는 상기 컵 슬리브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되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피동 회전부재; 피동 회전부재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구비되고 동력발생장치와 연결되는 구동 회전부재; 상기 피동 회전부재와 구동 회전부재를 연결되면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서, 컵 삽입구멍이 구비되는 그리퍼;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이고, 상기 피동 회전부재 및 구동 회전부재는 체인 스프로킷이며,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 아래에는 분리된 컵 슬리브가 제1 수거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경사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를 지나 컨베이어의 상부 궤도 구간에는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면서 컵 뚜껑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누름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 아래 컨베이어의 궤도 안쪽에는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를 통과하면서 컵 슬리브가 분리된 컵과 접촉시 컵을 회전시켜 컵 뚜껑이 분리되게 하는 컵 뚜껑 분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장치는 상기 컵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되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을 지나 컨베이어의 상부 궤도 구간에는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면서 컵으로부터 분리된 컵 뚜껑이 제1 수거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가이드가 그리퍼와 수직 또는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을 지나 컨베이어의 일측과 하부로 이어지는 일측 코너 궤도 구간에는 컵이 뒤집어 지면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거하는 잔류 내용물 수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류 내용물 수거부를 지나 컨베이어의 하부 궤도 구간에는 컵을 분류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코너 및 하부 궤도 구간 외측을 따라 뒤집혀서 이동하는 컵이 그리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컵을 받쳐주는 받침 프레임이 구비되며, 받침 프레임에는 받침 프레임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수거함과 제3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를 지나 컨베이어의 하부 궤도 구간에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컵 정보를 통해 제2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를 열어 컵을 제2 수거함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컵을 그대로 통과시켜 제3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를 통해 컵이 제3 수거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개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컵 분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컵 분류 플레이트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컵 분류 플레이트의 일단을 회전시켜 한 쌍의 컵 분류 플레이트 타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지게 함으로써 제2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가 열리게 하는 구동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에 의하면, 분리배출 주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순환하는 컨베이어 구조를 통해 여러 개의 일회용 컵을 투입하여도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사용 대기 시간이 짧아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체인을 적용함으로써, 제작이 쉽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체인을 통한 순환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특정 동력부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동력부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 및 컵 뚜껑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으로부터 분리된 컵 뚜껑이 제1 수거함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는, 사용한 일회용 컵(401)을 컵 슬리브(403)와 컵 뚜껑(402)과 컵(401)에 남아 있는 잔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자동 분리배출함은 물론 컵(401)을 재질별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컵(401)을 운반하는 컨베이어(10) 및 컵(401)으로부터 컵 슬리브(403)를 분리하는 슬리브 분리장치(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10)는 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컵(401)을 운반하는 것으로서, 피동 회전부재(12), 피동 회전부재(12)와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구동 회전부재(13), 피동 회전부재(12)와 구동 회전부재(1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15) 및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15)에 배치되는 그리퍼(11)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피동 회전부재(12)는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일 수 있다. 피동 회전부재(12)는 동력전달부재(15)와 연결된다. 피동 회전부재(12)는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피동 회전부재(12)는 전후 한 쌍일 수 있다.
구동 회전부재(13)는 피동 회전부재(12)와 간격을 두고 좌측 또는 우측에 대향 설치된다. 구동 회전부재(13)는 동력발생장치(14)와 연결된다. 동력발생장치(14)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 회전부재(13)는 체인 스프로킷일 수 있다. 구동 회전부재(13)는 전후 한 쌍일 수 있다. 구동 회전부재(13)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동력발생장치(14)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5)는 피동 회전부재(12)와 구동 회전부재(13)를 연결한다. 동력전달부재(15)는 체인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5)는 전후 한 쌍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5)는 구동 회전부재(1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퍼(11)는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15)를 따라 캐터필러(caterpillar) 등과 같은 구조로 배치된다. 그리퍼(11)는 사각 판 형태이다. 그러퍼(11) 중앙에는 컵 삽입구멍(111)이 구비된다. 컵 삽입구멍(111)은 원형 일 수 있다. 이러한 컵 삽입구멍(111)은 컵의 가장 넓은 지름보다는 작고 가장 작은 지름보다는 크게 구성된다. 그리퍼(11)는 강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분리장치(20)는 컨베이어(10) 상부 궤도 구간 아래의 궤도 안쪽에 구비된다. 슬리브 분리장치(20)는 컨베이어(10)에 의해 운반되는 컵(401)의 컵 슬리브(403)와 접촉시 컵 슬리브(403)를 하향으로 밀어서 떨어뜨린다. 컨베이어(10)의 상부 궤도 구간에서 운반되는 컵은 컵 뚜껑(402)이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고 컵 슬리브(403)는 그리퍼(11)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운반된다.
슬리브 분리장치(20)는 컵 슬리브(403)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된다. 슬리브 분리장치(2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원통형 롤러일 수 있다. 슬리브 분리장치(20)는 컵 슬리브(403)를 하향으로 떨어뜨리는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컨베이어(10)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슬리브 분리장치(20)는 축설되어 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한다. 슬리브 분리장치(20)의 표면은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에 부착된 컵 슬리브(403)가 한 쌍의 슬리브 장치(20) 사이를 지나가는 순간 슬리브 장치(20)의 마찰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은 컵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슬리브 분리장치(20) 아래에는 컵(401)으로부터 분리된 컵 슬리브(403)가 제1 수거함(201)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로(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거함(201)은 경사로(30) 끝단에 위치한다. 경사로(30)는 분리된 컵 슬리브(403)가 제1 수거함(201)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적절한 경사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슬리브 분리장치(20)를 지나 컨베이어(10)의 상부 궤도 구간에는 누름판(40)이 구비된다. 누름판(40)은 그리퍼(11) 상부에 위치한다. 누름판(40)은 컵 뚜껑(402)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된다. 누름판(40)에 의해 컵 뚜껑(402)의 회전이 억제됨과 동시에 컵 뚜껑 분리장치(50)에 의해 컵이 힘을 받아 회전하여 컵 뚜껑(402)이 분리된다. 누름판(40)은 한 쌍의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다.
누름판(40) 아래 컨베이어(10)의 궤도 안쪽에는 컵 뚜껑 분리장치(50)가 구비된다. 컵 뚜껑 분리장치(50)는 슬리브 분리장치(20)를 통과하면서 컵 슬리브(403)가 분리된 컵(401)과 접촉시 컵(401)을 회전시켜 컵 뚜껑(402)이 분리되게 한다. 컵 뚜껑 분리장치(50)는 컵(401)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된다. 컵 뚜껑 분리장치(5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원통형 롤러일 수 있다. 컵 뚜껑 분리장치(50)는 컵(401)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컨베이어(10)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컵 뚜껑 분리장치(50)는 축설되어 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한다. 컵 뚜껑 분리장치(50)의 표면은 고무 등과 같은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이 쌍을 이루는 컵 뚜껑 분리장치(50) 사이를 지나다가 컵 뚜껑 분리장치(50)의 반발력에 의해 진행방향과 반대쪽으로 힘을 받으면서 컵 뚜껑(402)이 분리된다.
누름판(40)을 지나 컨베이어(10)의 상부 궤도 구간에는 가이드(60)가 배치된다. 가이드(60)는 그리퍼(11) 상부에 배치된다. 가이드(60)는 컵(401)으로부터 분리된 컵 뚜껑(402)이 제1 수거함(201)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가이드(60)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체일 수 있다. 가이드(60) 하부를 탄성체로 제작하여 컵 뚜껑(402)은 통과하지 못하고 누름판(40)에 끼워진 컵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누름판(40)을 지나 컨베이어(10)의 일측과 하부로 이어지는 일측 코너 궤도 구간에는 잔류 내용물 수거부(70)가 구비된다. 잔류 내용물 수거부(70)는 컵(401)이 코너 궤도 구간을 이동시 뒤집히면서 컵(401)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거한다. 잔류 내용물 수거부(70)는 컵(401)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깔때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내용물 수거부(70)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내용물 수거부(70)를 지나 컨베이어(10)의 하부 궤도 구간에는 센서(80)가 구비된다. 센서(80)는 컵(401)을 종류별로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센서(80)는 컵(401)을 재질별로 분류하여 컵(401)이 제2 수거함(202) 또는 제3 수거함(203)으로 분리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센서(80)는 반사형 포토센서일 수 있다. 센서(8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의 일측 코너 및 하부 궤도 구간 외측을 따라 받침 프레임(90)이 구비된다. 받침 프레임(90)은 컨베이어(10)의 일측 코너 및 하부 궤도 구간을 따라 뒤집혀서 이동하는 컵(401)이 그리퍼(1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컵(401) 상부를 받쳐준다. 받침 프레임(90)에는 복수의 입구(92, 93)가 구비된다. 입구(92, 93)는 받침 프레임(90) 아래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제2 수거함(202)과 제3 수거함(203)에 연통된다.
도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0)를 지나 컨베이어(10)의 하부 궤도 구간에는 개폐장치(300)가 구비된다. 개폐장치(300)는 제2 수거함(202)과 통하는 입구(92)에 배치된다. 개폐장치(300)는 센서(80)로부터 획득한 컵(401) 정보를 통해 제2 수거함(202)으로 통하는 입구(92)를 열어 컵(401)이 제2 수거함(202)으로 배출되게 하거나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컵(401)을 그대로 통과시켜 제3 수거함(203)으로 통하는 입구(93)를 통해 컵(401)이 제3 수거함(203)으로 배출되게 한다.
개폐장치(300)는 제2 수거함(202)으로 통하는 입구(92)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개폐장치(300)는 컵 분류 플레이트(301) 및 컵 분류 플레이트(301)를 작동하는 구동장치(30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컵 분류 플레이트(301)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구동장치(302)는 컵 분류 플레이트(301)의 일단과 연결된다. 구동장치(302)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구동장치(302)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 제2 수거함(202)의 입구(92)는 개폐장치(300)에 의해 닫힌 상태로 운반된 컵(401)이 개폐장치(300)를 지나게 된다. 개폐장치(300)를 지난 컵(401)은 제3 수거함(203)으로 통하는 입구(93)를 통해 제3 수거함(203)으로 떨어지게 된다.
구동장치(302)가 구동하면 구동장치(302)에 의해 한 쌍을 이루는 컵 분류 플레이트(301)의 타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벌어지고 이에 제2 수거함(202)으로 통하는 입구(92)가 열린다. 운반된 컵(401)은 열린 입구(92)를 통해 이 제2 수거함(202)으로 떨어지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의 컵 슬리브, 컵 뚜껑, 잔류 내용물 및 컵의 분리배출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 2와 같이 그리퍼(11)의 컵 삽입 구멍(111)에 삽입된 컵은 컨베이어(10)에 의해 슬리브 분리장치(20)로 운반된다. 컵의 운반 과정에서 컵 뚜껑(402)은 컨베이어(10)의 상부 궤도 구간을 통과하는 그리퍼(11) 상부에 위치하고 컵 슬리브(403)는 그리퍼(11)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슬리브 분리장치(20)로 이동한다.
이때, 컨베이어(10)는 동력발생장치(14)의 구동에 의해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동력발생장치(14)가 구동하면 이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된 구동 회전부재(13)가 회전한다. 구동 회전부재(13)의 회전에 의해 동력전달부재(15)가 회전한다. 동력전달부재(15)와 연결된 피동 회전부재(12)도 동시에 회전한다.
도 4와 같이 컵 슬리브(403)가 슬리브 분리장치(20)에 닿으면 슬리브 분리장치(20)가 공회전하고 이에 컵 슬리브(403)가 하향으로 밀리면서 컵으로부터 컵 슬리브(403)가 분리된다. 분리된 컵 슬리브(403)는 경사로(30)를 미끄러져 제1 수거함(201)으로 떨어진다.
컵 슬리브(403)가 분리된 컵(401)은 컵 뚜껑 분리장치(50)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컵(401)이 컵 뚜껑 분리장치(50)에 닿음과 동시에 컵 뚜껑(402)은 누름판(40)에 끼워진다. 컵(401)이 뚜껑 분리장치(50)에 닿으면 컵 뚜껑 분리장치(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컵 뚜껑(402)이 분리된다. 분리된 컵 뚜껑(402)은 가이드(60)에 의해 제1 수거함(201)으로 떨어진다.
컵 뚜껑(402)이 분리된 컵(401)은 컨베이어(10)의 일측 궤도 및 하부 궤도로 이어지는 구간을 지나면서 컵(401)에 잔류하는 잔류 내용물이 잔류 내용물 수거부(70)로 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컵(401)은 컨베이어(10)의 일측 궤도 및 하부 궤도로 이어지는 구간을 통과하는 하는 과정에서 뒤집혀서 내부의 잔류 내용물이 잔류 내용물 수거부(70)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된다.
도 2와 같이 잔류 내용물이 제거된 컵(401)은 컨베이어(10)의 하부 궤도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센서(80)를 지나게 된다. 컵(401)이 센서(80)를 통과하면 센서(80)는 컵(401)의 재질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여 컵(401)을 분류한다. 예컨대 컵(401) 재질이 종이일 경우 제2 수거함(202)으로 보내고, 컵(401) 재질이 종이가 아닐 경우 제2 수거함(202)을 그대로 통과하게 하여 제3 수거함(203)으로 보낸다.
구체적으로 센서(80)를 통과한 컵(401)이 개폐장치(300)에 도착하면 센서(80)로부터 획득한 컵(401)의 정보에 의해 개폐장치(300)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진다. 컵(401)이 제2 수거함(202)에 배출 대상으로 판정되면 구동장치(302)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컵 분류 플레이트(301)가 도 6과 같이 벌어지면서 제2 수거함(202)으로 통하는 입구(202)를 열어 입구(92)를 통해 컵(401)이 제2 수거함(202)으로 떨어지게 한다.
컵(401)이 제3 수거함(203)에 배출 대상으로 판정되면 구동장치(302)는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구동장치(302)가 제2 수거함(202)의 입구(92)를 막은 상태에서 컨베이어(10)에 의해 운반되는 컵(401)이 개폐장치(300)를 그대로 통과하여 제3 수거함(203)으로 통하는 입구(93)로 이동한다. 개폐장치(300)를 통과하는 컵은 제3 수거함(203)으로 통하는 입구(93)를 통해 제3 수거함(203)으로 떨어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는, 사용한 일회용 컵을 컵 슬리브, 컵 뚜껑, 컵에 남은 잔류 내용물 및 컵 순으로 순차적으로 분리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분리배출 주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순환하는 컨베이어 구조를 통해 여러 개의 일회용 컵을 투입하여도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사용 대기 시간이 짧아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체인을 적용함으로써, 제작이 쉽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체인을 통한 순환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특정 동력부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동력부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컨베이어 11:그리퍼
12:피동 회전부재 13:구동 회전부재
14:동력발생장치 15:동력전달부재
20:슬리브 분리장치 30:경사로
40:누름판 50:컵 뚜껑 분리장치
60:가이드 70:잔류 내용물 수거부
80:센서 90:받침 프레임
92, 93:입구 111:컵 삽입구멍
201:제1 수거함 202:제2 수거함
203:제3 수거함 300:개폐장치
301:컵 분류 플레이트 302:구동장치
401:컵 402:컵 뚜껑
403:컵 슬리브

Claims (14)

  1.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그리퍼에 의해 컵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부 궤도 구간 아래의 궤도 안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컵 뚜껑은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고 컵 슬리브는 그리퍼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컵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컵 슬리브와의 접촉시 컵 슬리브를 하향으로 밀어서 떨어뜨리는 슬리브 분리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는,
    상기 컵 슬리브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되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피동 회전부재;
    피동 회전부재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구비되고 동력발생장치와 연결되는 구동 회전부재;
    상기 피동 회전부재와 구동 회전부재를 연결되면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서, 컵 삽입구멍이 구비되는 그리퍼;
    를 포함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이고, 상기 피동 회전부재 및 구동 회전부재는 체인 스프로킷이며,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 아래에는,
    분리된 컵 슬리브가 제1 수거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경사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를 지나 컨베이어의 상부 궤도 구간에는,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면서 컵 뚜껑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누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 아래 컨베이어의 궤도 안쪽에는,
    상기 슬리브 분리장치를 통과하면서 컵 슬리브가 분리된 컵과 접촉시 컵을 회전시켜 컵 뚜껑이 분리되게 하는 컵 뚜껑 분리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장치는,
    상기 컵의 직경보다 좁은 폭으로 양측에 대향 설치되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을 지나 컨베이어의 상부 궤도 구간에는,
    그리퍼 상부에 위치하면서 컵으로부터 분리된 컵 뚜껑이 제1 수거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가이드가 그리퍼와 수직 또는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을 지나 컨베이어의 일측과 하부로 이어지는 일측 코너 궤도 구간에는 컵이 뒤집어 지면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거하는 잔류 내용물 수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잔류 내용물 수거부를 지나 컨베이어의 하부 궤도 구간에는,
    컵을 분류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코너 및 하부 궤도 구간 외측을 따라 뒤집혀서 이동하는 컵이 그리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컵을 받쳐주는 받침 프레임이 구비되며, 받침 프레임에는 받침 프레임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수거함과 제3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지나 컨베이어의 하부 궤도 구간에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컵 정보를 통해 제2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를 열어 컵을 제2 수거함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컵을 그대로 통과시켜 제3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를 통해 컵이 제3 수거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컵 분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컵 분류 플레이트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컵 분류 플레이트의 일단을 회전시켜 한 쌍의 컵 분류 플레이트 타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지게 함으로써 제2 수거함으로 통하는 입구가 열리게 하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KR1020160033163A 2016-03-21 2016-03-21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KR10182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63A KR101820342B1 (ko) 2016-03-21 2016-03-21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63A KR101820342B1 (ko) 2016-03-21 2016-03-21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76A KR20170109276A (ko) 2017-09-29
KR101820342B1 true KR101820342B1 (ko) 2018-01-19

Family

ID=6003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63A KR101820342B1 (ko) 2016-03-21 2016-03-21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830A (ko) * 2018-02-07 2019-08-16 김보광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101983064B1 (ko) * 2018-01-29 2019-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838B2 (ja) 2006-04-18 2012-07-11 東洋製罐株式会社 カップ型容器の排出装置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838B2 (ja) 2006-04-18 2012-07-11 東洋製罐株式会社 カップ型容器の排出装置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64B1 (ko) * 2018-01-29 2019-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KR20190095830A (ko) * 2018-02-07 2019-08-16 김보광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102034256B1 (ko) 2018-02-07 2019-10-18 김보광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76A (ko)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959B1 (ko) 고형 물질을 배출하고 포장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150206B (zh) 采血管贴标与组装自动连线装置
JP2021014366A (ja) 使用済み飲料又は食品容器を単一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4816855B (zh) 用于从盘中取出容器的设备和方法
KR101820342B1 (ko)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CN109310577A (zh) 用于自动配药装置的给药罐
JP2004184182A (ja) 分注チップ自動供給装置
RU2606080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капсул сыпучим материалом и их закупоривания
EP2937041B1 (en) Container collecting device and urinalysis apparatus using container collecting device
CN210011970U (zh) 自动检测包装装置
KR101591987B1 (ko) 열매씨 제거장치
JP3651797B2 (ja) 容器残渣排出装置
JP6584109B2 (ja) 粉粒体の充填装置
CN104816860B (zh) 用于准备从被托盘封闭的盘中取出容器的设备和方法
KR10239303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EP2265525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used objects
JP6567306B2 (ja) シール装置
KR101763565B1 (ko) 저품질 마늘 선별 장치
KR102393031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H06292865A (ja) 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2037440A (ja) ボトル整列装置
JP6571959B2 (ja) 仕分装置
KR101712603B1 (ko) 압축식 칩컨베이어 장치
JP6433354B2 (ja) 容器移載装置
RU7196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ки емкостей с напитк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