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830A -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830A
KR20190095830A KR1020180015306A KR20180015306A KR20190095830A KR 20190095830 A KR20190095830 A KR 20190095830A KR 1020180015306 A KR1020180015306 A KR 1020180015306A KR 20180015306 A KR20180015306 A KR 20180015306A KR 20190095830 A KR20190095830 A KR 2019009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filter
lid
main body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256B1 (ko
Inventor
김보광
고채영
남상대
이청준
Original Assignee
김보광
남상대
이청준
고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광, 남상대, 이청준, 고채영 filed Critical 김보광
Priority to KR102018001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컵 뚜껑 분리부;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상측에서 떨어지는 뚜껑과 내용물 중 상기 뚜껑을 걸러내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에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거하기 위한 잔여물 수거부;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컵이 많이 버려지는 장소에 설치하여 컵과 컵안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컵을 분리수거하고, 자원 절약과 환경 오염 방지를 생활화하여 쾌적한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LIQUID AND SOLID SEPARATING DEVICE INCLUDINIG CUP LID SEPARATOR}
본 발명은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 뚜껑, 컵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 및 컵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버림과 동시에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컵을 사용해 음료를 먹은 후 이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경우, 잔여 내용물과 함께 컵이 투입되어 주위의 환경 미관을 해치고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회용 종이컵 재활용 분리 수거대에 관한 공개실용실안 20-1999-0022445호,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등록특허 10-1521425호, 및 고체, 액체 분리형 쓰레기통에 관한 공개특허 10-2008-0110214가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1회용 종이컵 재활용 분리 수거대의 경우, 뚜껑이 있는 컵에 한해서는 컵 뚜껑을 따로 분리 후에 버려야 하는 문제점과 컵의 내용물이 받침호퍼 상부에 그대로 있어 악취와 미관을 해치고 적은 수거통의 용량으로 인해 자주 점검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의 경우, 동력이 필요하고 다양한 컵의 종류에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 뚜껑을 컵 뚜껑 분리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내부에 비치된 필터부를 통해 액체와 고체의 분리수거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뚜껑이 있는 컵을 처리 할 수 있고, 내부에서 잔여물을 처리하여 악취를 줄이며 미관상 보기 좋고 청소가 용이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 필터와 2차 필터를 통해 컵 뚜껑, 그리고 내용물 중 액체와 고체를 단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컵 뚜껑 분리부,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상측에서 떨어지는 뚜껑과 내용물 중 상기 뚜껑을 걸러내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에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거하기 위한 잔여물 수거부;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뚜껑 걸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연결되며, 휘어진 형상을 갖는 뚜껑 접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뚜껑 접촉체에 부착되는 고무 재질의 다수의 돌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뚜껑 접촉체, 상기 뚜껑 접촉체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뚜껑 접촉체의 타단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단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형성되는 뚜껑 걸림체 및 상기 뚜껑 걸림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부는, 개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필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여물 수거부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2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는 액체가 수용되는 수거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여물 수거부는, 상기 수거통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경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는, 다단 접이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방수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뚜껑 접촉체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컵과 컵 뚜껑을 분리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인 동력원 없이 컵 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철 가능한 제1 필터, 이동 가능한 잔여물 수거부, 및 개폐부를 통해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철 역사 내, 학교 안 등 공공시설에 구비되어 있는 쓰레기통에 잔여액이 남아 있는 채로 컵이 버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미관상의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필터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필터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이하, 분리수거장치)는 본체부(100), 컵 뚜껑 분리부(200), 제1 필터(300), 및 잔여물 수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제1 필터(300)와 잔여물 수거부(4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체부(1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원통형, 사면체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일부분(110)은 청소 작업 등을 위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100)의 특정 면(110)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111)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개폐 방식은 별도의 회동부 또는 힌지를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뚜껑(12)의 수거를 위한 별도의 개폐부(12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와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컵 뚜껑 분리부(200)는 컵(11)으로부터 뚜껑(12)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0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음료를 섭취한 컵 사용자는 컵(11) 내부에 남은 내용물을 버리기 위하여, 컵(11)을 컵 뚜껑 분리부(200)에 위치시켜 적은 힘으로 뚜껑(12)을 컵(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뚜껑(12)과 분리된 컵(11)은 분리수거장치 옆에 설치된 별도의 일회용 컵 수거함에 버릴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컵 뚜껑 분리부(200)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뚜껑 걸림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 사용자는 컵(11)과 뚜껑(12) 사이의 결합 부위(홈)를 뚜껑 걸림체(210)에 건 상태에서, 가볍게 컵(11)을 잡아당기면 자연스럽게 뚜껑(12)이 분리될 수 있다.
뚜껑 걸림체(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뚜껑(12) 크기에 맞는 오목홈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미관을 위하여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별도의 덮개(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20)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실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필터(3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되며, 컵 뚜껑 분리부(2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300)는 상측에서 떨어지는 뚜껑(12)과 내용물 중 뚜껑(12)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 필터(300)는 컵(11)의 잔존하는 내용물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구부(350)를 가질 수 있다.
제1 필터(300)는 다단 접이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필터(300)는 제1 필터부(320), 연결부(330), 및 제2 필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부(320) 및 제2 필터부(34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개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30)는 제1 필터부(320)와 제2 필터부(34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개구부(35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제1 필터(300)에 떨어진 뚜껑(12)은 제2 필터부(340) 쪽으로 모이게 되어, 추후 개폐부(120)를 통한 수거가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300)가 다단 접이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청소 시 운반도 간편해지며, 걸러져 모인 뚜껑(12)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제1 필터(300)의 끝단에는 손잡이(310)가 추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310)는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310)는 제1 필터부(32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컵 뚜껑(12) 배출 시 제1 필터(300)를 흔들어, 뚜껑(12)과 뚜껑(12)에 잔존하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1 필터(3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 내부에는 접이식 제1 필터(300)의 각도를 고정시켜줄 수 있는 별도의 고정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300)는 접이 기능이 없는 단순화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잔여물 수거부(4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되며, 제1 필터(3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 수거부(400)는 제1 필터(300)를 통과한 컵 내용물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잔여물 수거부(400)는 제2 필터(410), 수거통(420), 및 바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필터(410)는 내용물 중 액체가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410)는 본체부(100)와 잔여물 수거부(400) 사이에 잔여액이 흐르지 않도록 하측으로 함입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410)는 수거통(420)의 직경을 고려하여 다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410)는 다수의 구멍(412)이 형성된 하면부(411)과 상기 하면(411)을 일정 높이로 둘러싸는 측면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300)를 통과한 내용물 중 고체 부분은 제2 필터(410)를 통해 다시 한번 걸러질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 중 액체 부분은 수거통(420)으로 흘러 별도 수거될 수 있다.
제2 필터(4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거통(420)은 제2 필터(410)를 통과한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거통(42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제2 필터(410)가 설치될 수 있다.
수거통(420)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거통(420)에는 수거통(420)의 운반을 쉽게 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43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분리수거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방수 코팅될 수 있다. 이는 분리수거장치 내부에 음료가 튀었을 때 해당 음료가 밑으로 떨어져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추후 물청소시 편리함을 주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방수 코팅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컵 뚜껑 분리부(200), 제1 필터(300), 및 잔여물 수거부(400))에 대해서도 방수 코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개폐부(120)는 제1 필터(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개폐부(120)는 셔터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폐부(120)를 기준으로 본체부(100)의 하측 및 상측에는 각각 고정부(122, 123)가 설치되고, 개폐부(120)의 일단에는 고리부(12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개폐부(12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고리부(121)는 하측에 위치한 제1 고정부(122)에 결합될 수 있고, 개폐부(120)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고리부(121)는 상측에 위치한 제2 고정부(12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하 방식으로 슬라이딩 되는 개폐부(120)를 예로 들었으나, 슬라이딩 방향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0)는 셔터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폐 방식을 통해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리수거장치를 일정 기간 사용 후, 개폐부(120)를 개방하여 제1 필터(300)에 위치한 뚜껑(12)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200')는 지지대(221), 및 뚜껑 접촉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컵 뚜껑 분리부(200')는 돌출체(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21)는 본체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 접촉체(22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21)를 통해 사용자와 분리수거장치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21)의 경우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뚜껑 접촉체(222)는 상기 지지대(221)의 끝단에 연결되며,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뚜껑 접촉체(222)는 곡선 형태(예를 들어, U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컵(11)과 뚜껑(12) 사이의 결합 부위(홈)에 넓게 접촉될 수 있어 뚜껑(12)의 분리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뚜껑 접촉체(222)의 양 끝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열 처리된 비닐로 덮여있는 컵(11)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뚜껑 접촉체(222)의 끝단을 이용하여 상기 비닐을 쉽게 찢을 수 있다.
뚜껑 접촉체(222)의 경우,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돌출체(223)는 뚜껑 접촉체(222)의 하부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체(223)는 뚜껑 접촉체(222)과 뚜껑(12)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주어, 뚜껑(12)의 분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돌출체(223)는 필요에 따라 설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200'')는 뚜껑 접촉체(224), 및 두 개의 연결부(225, 226)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접촉체(224)는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뚜껑 접촉체(224)는 곡선 형태(예를 들어, U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컵(11)과 뚜껑(12) 사이의 결합 부위(홈)에 넓게 접촉될 수 있어 뚜껑(12)의 분리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225)는 뚜껑 접촉체(224)의 일단을 본체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26)는 뚜껑 접촉체(224)의 타단을 본체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컵 뚜껑 분리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컵 뚜껑 분리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대(2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뚜껑 분리부(200''')는 뚜껑 걸림체(227) 및 장식 부재(228)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걸림체(227)는 본체부(100)의 상단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뚜껑 걸림체(210)의 경우 본체부(100)의 일단을 따라 형성되나, 본 실시예에 의한 뚜껑 걸림체(227)는 본체부(100)의 상단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형성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뚜껑 걸림체(227)의 내측 공간에는 장식 부재(228)가 위치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뚜껑 걸림체(227)와 장식 부재(228)를 통해 꽃봉오리 형태의 컵 뚜껑 분리부(200''')를 구현하였으나, 그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식 부재(280)의 경우, 사용자가 일회용 컵(11)을 던져서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장식 부재(280)와 뚜껑 걸림체(227)의 모서리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229)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필터(300')은 2단 접이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2의 제1 필터(300)의 경우 3단 접이식으로 구현되었으나,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필터(300')은 2단 접이식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300')는 다수의 개구부(390)가 각각 형성된 제1 필터부(370) 및 제2 필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부(370)와 제2 필터부(380)는 절첩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370)와 제2 필터부(380) 중 적어도 하나는 수거된 뚜껑(12)의 수거 용이성을 위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쉽게 뚜껑(12)을 컵(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뚜껑(12)은 제1 필터(300)에, 고체 내용물은 제2 필터(410)에, 액체 내용물은 수거통(420)에 자동 분리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추가적인 동력원 없이 컵 뚜껑(12)과 잔여물을 분리수거할 수 있다. 또한 접이 기능을 갖는 제1 필터(300), 수거통(420) 밑의 바퀴(430), 본체부(100)의 개폐부(120)를 통해 분리수거 후의 청소작업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장치를 지하철 역사내, 학교안 등 공공시설에 설치함으로써 컵안에 잔여액이 남아 있는 채로 컵이 버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미관상의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장치의 경우 컵과 컵 내용물, 컵뚜껑의 분리가 편하고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기능적 문제 해결에 접근해 쓰레기통을 정리, 청소하는 노동자의 일률을 올리고 노동의 강도를 낮춰주어 업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작위로 쌓이거나 버리는 컵들로 인해 악취를 풍기거나 주위 미관을 해치는 등 부정적인 요소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사용방법이 단순하여 이용하는 사람이 쉽게 접근하여 익숙한 사용을 빠른 시간 내에 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수거통의 기능적, 미관적, 환경적 향상을 통해 사용하는 사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 해당 관리기관 또는 기업, 업체에 대한 이미지 개선이 될 수 있다.
또한, 분리수거통 자체에 대한 애착심을 가지게 할 수 있어서 지속적, 자발적 사용을 유도하여 재활용 비율을 높이고 환경개선에 드는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환경과 사용자의 편의 그리고 이미지에 민감할 수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에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어서 지속 가능한 성장과 소비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가 근처에 깨끗하고 깔끔한 환경을 유도 할 수 있어서 거리 및 상가 주위 분위기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의 자연스러운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 국한 되지 않고 분리수거통의 환경적 효과를 어필하여 해외 환경관련 공공기관, 정부기관을 상대로 긍정적인 구매의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컵
12: 뚜껑
100: 본체부
120: 개폐부
200: 컵 뚜껑 분리부
300: 제1 필터
400: 잔여물 수거부

Claims (17)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컵 뚜껑 분리부;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상측에서 떨어지는 뚜껑과 내용물 중 상기 뚜껑을 걸러내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에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거하기 위한 잔여물 수거부;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뚜껑 걸림체;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연결되며, 휘어진 형상을 갖는 뚜껑 접촉체;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뚜껑 접촉체에 부착되는 고무 재질의 다수의 돌출체; 를 더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뚜껑 접촉체;
    상기 뚜껑 접촉체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뚜껑 접촉체의 타단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단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형성되는 뚜껑 걸림체; 및
    상기 뚜껑 걸림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 부재; 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부는,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필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물 수거부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2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는 액체가 수용되는 수거통; 을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물 수거부는,
    상기 수거통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 를 더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경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다단 접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방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 분리부의 뚜껑 접촉체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분리부를 포함한 분리수거장치.
KR1020180015306A 2018-02-07 2018-02-07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102034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06A KR102034256B1 (ko) 2018-02-07 2018-02-07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06A KR102034256B1 (ko) 2018-02-07 2018-02-07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30A true KR20190095830A (ko) 2019-08-16
KR102034256B1 KR102034256B1 (ko) 2019-10-18

Family

ID=6780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306A KR102034256B1 (ko) 2018-02-07 2018-02-07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235A (zh) * 2019-09-20 2020-01-14 徐州智瑞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程施工的垃圾箱
KR20210146033A (ko) 2020-05-26 2021-12-03 손미성 음료, 컵 분리 수거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82Y1 (ko) * 2004-09-30 2004-12-23 주식회사 센테크 음식물 쓰레기 건조통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US20170190485A1 (en) * 2012-09-14 2017-07-06 Mac Riggan Receptacle system with lid assembly
KR101760672B1 (ko) * 2015-08-31 2017-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수거 장치
KR101820342B1 (ko) * 2016-03-21 2018-01-19 신민욱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82Y1 (ko) * 2004-09-30 2004-12-23 주식회사 센테크 음식물 쓰레기 건조통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US20170190485A1 (en) * 2012-09-14 2017-07-06 Mac Riggan Receptacle system with lid assembly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KR101760672B1 (ko) * 2015-08-31 2017-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수거 장치
KR101820342B1 (ko) * 2016-03-21 2018-01-19 신민욱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235A (zh) * 2019-09-20 2020-01-14 徐州智瑞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程施工的垃圾箱
KR20210146033A (ko) 2020-05-26 2021-12-03 손미성 음료, 컵 분리 수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256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746A (en) Waste separation container
US20080006638A1 (en) Trash can assembly with liner for securing trash bag
US8544673B1 (en) Dual bin waste receptacle
KR102034256B1 (ko)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US7290674B1 (en) Bifurcated trash bin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US10940996B2 (en) Waste receptacle
SE8202124L (sv) Avfallsbehallare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CN213833101U (zh) 一种垃圾桶
KR200383942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수거용지 케이스
KR102179113B1 (ko) 비닐봉투 걸이형 분리수거함
KR200343428Y1 (ko)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CN105692005A (zh) 一种新型固液分离垃圾桶
CN212268464U (zh) 一种果皮箱
GB2444024A (en) A refuse bin
KR20100026542A (ko) 음식물 분리수거 통
CN205366729U (zh) 一种新型垃圾桶
CN104490106A (zh) 图书馆用多功能组合箱
KR200485690Y1 (ko) 야외용 쓰레기통
KR20040009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SU1813684A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отходов 2
CN210823850U (zh) 一种智能分类垃圾桶
CN218663532U (zh) 一种移动垃圾箱体用的开启结构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