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672B1 - 컵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컵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672B1
KR101760672B1 KR1020150123108A KR20150123108A KR101760672B1 KR 101760672 B1 KR101760672 B1 KR 101760672B1 KR 1020150123108 A KR1020150123108 A KR 1020150123108A KR 20150123108 A KR20150123108 A KR 20150123108A KR 101760672 B1 KR101760672 B1 KR 10176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contents
separated
moveme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54A (ko
Inventor
윤장혁
장재혁
김규홍
임병주
김환욱
오승섭
이지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6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컵 수거 장치는,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컵을 올려놓으면 상기 컵을 상기 개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쓰러뜨려 상기 컵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컵기울임부, 상기 컵기울임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쓰러진 상기 컵이 중력 작용에 따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이동경로의 전방을 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컵이동부 및 상기 이동경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컵을 수거하는 컵수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 수거 장치{CUP COLLECTION APPARATUS}
본원은 일회용 컵 등과 같은 컵을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크 아웃은 단시간에 다양한 메뉴를 간편하게 즐기고 싶어하는 젊은층에게 음식문화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커피의 경우, 커피숍과 같은 지정된 자리에 앉아서 마시는 것보다 이동 중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은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풍은 일회용품 사용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일회용컵 사용량만 해도 2억 8600만개로 연간 생활폐기물 발생의 3분의 1이 일회용품이다. 이를 수거, 처리하는 비용 또한 연간 수백억원에 달한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커피에 사용되는 일회용컵의 경우, 컵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빨대, 먹고 남은 잔유물 등 구성이 다양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신경쓰지 않는 이상 각각의 구성물이 정확하게 분리 배출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일회용 컵의 분리, 배출이 안될 경우 기존의 분리, 배출에 드는 비용과 시간, 노력이 배가 되며, 2차적인 환경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일회용 컵을 분리 배출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 내에 손님이 먹은 일회용 컵을 직접 버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곳도 있으나, 이는 손님이 분리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 직원들이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잔유물 미처리로 인해 미관상 및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직원이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한다 하더라도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실용신안등록공보 20-1999-00370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간의 동력을 최소한으로 이용하면서도 컵 자체 부속품 및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는 컵 수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손님에게 일회용 컵을 제공하고 이를 버릴 수 있는 분리수거함을 제공하는 많은 시장(카페, 페스트푸드점, 영화관)에 적용될 수 있는 컵 수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는,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컵을 올려놓으면 상기 컵을 상기 개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쓰러뜨려 상기 컵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컵기울임부, 상기 컵기울임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쓰러진 상기 컵이 중력 작용에 따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이동경로의 전방을 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컵이동부 및 상기 이동경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컵을 수거하는 컵수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이동부의 경사는, 상기 컵이 중력가속도보다 작은 가속도를 가지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하향 경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에 내용물이 잔여하고 있는 경우, 상기 컵이동부의 하향 경사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컵의 가속도보다 큰 가속도로 낙하하여 상기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이동부는, 쓰러진 상기 컵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3개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3개 이상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기울임부는, 상기 컵의 하단이 놓여지고 하향 경사를 갖는 하단경사부 및 상기 컵의 상단부가 걸쳐지도록 상기 하단 경사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단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레일부는, 상기 하단경사부보다 큰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과 뚜껑을 분리하는 뚜껑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분리부는 상기 컵기울임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분리부는, 상기 컵의 직경보다 크고 뚜껑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 상에 상기 뚜껑이 걸쳐지도록 상기 컵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컵과 상기 뚜껑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분리부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보관하는 뚜껑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분리부는, 분리된 상기 뚜껑이 상기 뚜껑보관부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하향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이동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상기 컵으로부터 분리되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용물보관부는,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상기 내용물과 함께 분리된 빨대를 상기 내용물로부터 걸러내기 위한 빨대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빨대분리부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그물망이고, 상기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용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컵과 컵의 잔류 음료수 등을 포함한 내용물 및 각기 다른 재질을 가진 부속품(빨대, 뚜껑, 컵홀더)들을 사용자의 최소한의 동력만을 사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분리수거를 할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컵을 쓰러뜨린 상태로 정렬 배출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컵을 회수하는데 필요한 이차적인 인력을 낭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품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최소한의 인력만으로도 신속한 컵의 분리 및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 대기 시간이 짧아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작동이 간편하여 짧은 작동시간(분리수거시간)으로 분리수거가 가능할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수단에 의하면, 일회용 컵을 포함한 다양한 용기를 분리하도록 적용될 수 있어, 인적 자원의 대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컵 수거 장치(100)는 사용자의 동력을 최소한으로 이용하면서 컵 자체, 부속품(뚜껑,빨대 등) 및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더불어 회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테이크 아웃용 컵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컵을 포함하여 내용물이나 뚜껑이 있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의 컵 수저 장치(100)는 팝콘을 담는 박스 또는 유리병 등을 분리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사용되는 "컵"이라는 용어는 용기 전반을 아우르는 표현으로 넓게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수거 장치의 평면도이다.
뚜껑분리부(110)는 뚜껑과 컵을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에 사용되는 일회용 컵의 경우, 컵, 컵홀더, 뚜껑(덮개), 빨대 및 먹고 남은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분리부(110)는 일회용 컵에서 컵과 뚜껑만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뚜껑분리부(110)는 컵의 직경보다 크고 뚜껑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슬롯(11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11) 상에 뚜껑이 걸쳐지도록 컵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컵을 살짝 아래로 당겨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컵과 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슬롯(111)과 이웃하여 단차(A)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단차(A) 부분에서 슬롯(111)과 연결되는 오픈된 부분의 폭(w2)은 컵의 직경 및 뚜껑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111)의 폭(w1)은 뚜껑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반면, 단차(A)의 오픈된 부분의 폭(w2)은 뚜껑이 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됨으로써, 단차(A)의 오픈된 부분을 통해 컵과 결합된 뚜껑이 술롯(111) 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컵을 살짝 아래로 당겨줌으로써 컵과 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슬롯(111)의 폭(w1)은 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롯(111)의 위쪽에서 컵을 하향시켜 슬롯(111)으로 삽입하면, 슬롯(111) 상에는 뚜껑만 걸려있게 되고, 컵을 슬롯(111)을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서도 컵과 뚜껑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뚜껑분리부(110)는 분리된 뚜껑이 후술할 뚜껑보관부(160)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하향 경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롯(111)을 통해 컵과 분리된 뚜껑은 하향 경사부(112)를 통해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면서 낙하되어 뚜껑수납부(160)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뚜껑분리부(110)는 후술할 컵기울임부(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후술할 케이스(150)의 후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거나, 케이스(15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지지대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컵기울임부(120)에는 뚜껑이 분리된 컵 또는 뚜껑이 원래 없는 컵이 그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컵기울임부(120)는 컵의 개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쓰러뜨려 컵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컵기울임부(120)는 컵의 하단이 놓여지고 하향 경사를 갖는 하단경사부(121)와 컵의 상단부가 걸쳐지도록 하단경사부(12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단레일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단레일부(122)는 하단경사부(121)보다 큰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레일부(122)의 적어도 일부(전방측)의 경사가 하단경사부(121)의 적어도 일부(전방측)의 경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컵의 하단이 하단경사부(1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속도보다 컵의 상단부가 상단레일부(122)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 이?壅풔? 속도가 더 빠르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속도 차이에 의해, 컵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쓰러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컵의 하단부의 슬라이딩 전진이 상단부에 비하여 더딘만큼, 컵은 그 하단을 회전 중심축(X)으로 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기울임부(120)는 상단레일부(122)의 경사가 전방으로 갈수록 급해지면서 하단경사부(121)의 경사보다 커지게 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단레일부(122)와 하단경사부(121)의 경사 구배 차이는, 컵을 전반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컵의 하단보다 컵의 상단부를 조금 더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정도의 차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단경사부(121)와 상단레일부(122) 사이에 경사 구배의 차이를 두는 유기적인 구성간의 연계를 통하여, 컵이 스스로, 또는 사용자의 작은 인력 제공(예를 들면, 사용자가 컵을 전방으로 살짝 미는 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쓰러지게 되는 컵 기울임 동작(컵이동부로의 방향 전환 동작)에 대한 재현성이 보다 높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컵에 컵홀더가 끼워져 있는 경우라면, 컵기울임부(120)의 상단레일부(122)에 컵의 상단부가 걸쳐졌을 때, 사용자가 컵홀더를 컵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히 당겨 컵의 전방으로의 쓰러짐을 유도하면서 자연스럽게 분리할 수 있다.
컵이동부(130)는 컵기울임부(12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쓰러진 컵이 중력 작용에 따라 그 개구부가 이동경로의 전방(이동경로를 따라 전진되거나 후진된다는 개념상 이동경로의 전방이라는 용어를 정의하였음)을 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동경로라 함은 뚜껑이 분리된 컵이 후방 상측(컵기울임부(120)의 끝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컵이동부(130)의 경사는, 컵이 중력가속도보다 작은 가속도를 가지고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하향 경사일 수 있다. 따라서 컵에 내용물이 잔여하고 있는 경우, 컵이동부(130)의 하향 경사에 의해, 내용물이 컵의 가속도보다 큰 가속도로 낙하하여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컵의 이동경로를 참조하면, 컵이동부(130)의 경사는 컵기울임부(1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초입부분(B)은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되고, 중간부분(C)은 전방으로 갈수록 가파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초입부분은 완만한 경사, 중간부분은 가파른 경사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컵 내부에 잔여하는 내용물이 있는 경우, 초입부분에서는 그 내용물이 천천히 전방으로 이동되고(내용물 배출 준비 단계), 이후 중간부분에서 내용물이 본격적으로 컵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내용물 배출에 있어서 보다 높은 재현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컵이동부(130)는 쓰러진 컵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3개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이동부(130)는 3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었으나, 프레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컵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컵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프레임 각각은, 컵이 컵이동부(130)를 거쳐 이동될 때, 발생되는 마찰이 저감되도록 컵의 외주면 중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컵이동부(130)는 컵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통로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컵의 외주면의 일부와 최소한으로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 철사 등과 같이 접촉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골조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컵은 최소한의 접촉을 가지며, 최소한의 마찰력을 가지고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컵수거부(140)는 이동경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컵이동부(130)를 통해 이동된 컵을 수거할 수 있다. 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이동부(130)를 통해서 개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컵수거부(140)에는 컵이 개구부가 앞서 수거되어 있는 컵의 하단부(돌출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차곡차곡 수거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컵이 수거될 경우, 공간 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다.
케이스(150)는 컵 수거 장치(100)의 전체를 아우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50)는 좌우 방향(도 1 기준 2시-8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의 오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된 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컵 수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뚜껑보관부(160)는 뚜껑분리부(110)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보관할 수 있다.
내용물보관부(170)는 컵이동부(1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컵이동부(130)를 통해 컵으로부터 분리되는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다.
내용물보관부(170)는 빨대분리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빨대 분리부(171)는 컵이동부(130)를 통해 내용물과 함께 분리된 빨대를 내용물로부터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빨대분리부(171)는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그물망일 수 있다. 그물망이라 함은 빨대와 같은 음료보조기구(숟가락, 포크 등) 들이 걸러지고 내용물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홀을 가지는 부재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빨대분리부(17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용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겹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컵 수거 장치
110: 뚜껑분리부
120: 컵기울임부
130: 컵이동부
140: 컵수거부
150: 케이스
160: 뚜껑보관부
170: 내용물보관부

Claims (12)

  1. 컵 수거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컵을 올려놓으면 상기 컵을 상기 개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쓰러뜨려 상기 컵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컵기울임부;
    상기 컵기울임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쓰러진 상기 컵이 중력 작용에 따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이동경로의 전방을 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컵이동부; 및
    상기 이동경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컵을 수거하는 컵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기울임부는,
    상기 컵의 하단이 놓여지고 하향 경사를 갖는 하단경사부; 및
    상기 컵의 상단부가 걸쳐지도록 상기 하단경사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단레일부를 포함하는, 컵 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동부의 경사는,
    상기 컵이 중력가속도보다 작은 가속도를 가지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하향 경사인 것인, 컵 수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에 내용물이 잔여하고 있는 경우,
    상기 컵이동부의 하향 경사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컵의 가속도보다 큰 가속도로 낙하하여 상기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것인, 컵 수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동부는,
    쓰러진 상기 컵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3개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3개 이상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인, 컵 수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레일부는, 상기 하단경사부보다 큰 하향 경사를 가지는 것인, 컵 수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과 뚜껑을 분리하는 뚜껑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분리부는 상기 컵기울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인, 컵 수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분리부는,
    상기 컵의 직경보다 크고 뚜껑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 상에 상기 뚜껑이 걸쳐지도록 상기 컵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컵과 상기 뚜껑을 분리하는 것인, 컵 수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분리부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보관하는 뚜껑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분리부는,
    분리된 상기 뚜껑이 상기 뚜껑보관부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하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컵 수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동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상기 컵으로부터 분리되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컵 수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보관부는,
    상기 컵이동부를 통해 상기 내용물과 함께 분리된 빨대를 상기 내용물로부터 걸러내기 위한 빨대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컵 수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분리부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그물망이고,
    상기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용기 상에 배치되는 것인, 컵 수거 장치.
KR1020150123108A 2015-08-31 2015-08-31 컵 수거 장치 KR101760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08A KR101760672B1 (ko) 2015-08-31 2015-08-31 컵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08A KR101760672B1 (ko) 2015-08-31 2015-08-31 컵 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54A KR20170025954A (ko) 2017-03-08
KR101760672B1 true KR101760672B1 (ko) 2017-07-24

Family

ID=5840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08A KR101760672B1 (ko) 2015-08-31 2015-08-31 컵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6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147B1 (ko) 2018-08-30 2019-04-11 김보광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KR20190095830A (ko) * 2018-02-07 2019-08-16 김보광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101983064B1 (ko) * 2018-01-29 2019-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64B1 (ko) * 2018-01-29 2019-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KR20190095830A (ko) * 2018-02-07 2019-08-16 김보광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102034256B1 (ko) * 2018-02-07 2019-10-18 김보광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101968147B1 (ko) 2018-08-30 2019-04-11 김보광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54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672B1 (ko) 컵 수거 장치
US10687655B2 (en) Beverage brewing device for brewing and removal of different sized beverage capsules
US8695484B2 (en) Used capsule collector for beverage devices
US20070151461A1 (en) Beverage infusion making apparatus
US7882991B2 (en) Food container having drinking or refuse cup
EP0385877A1 (fr) Ratelier à couverts pour lave-vaisselle
US7882796B2 (en) Dispenser cabinet
US20170354282A1 (en) Elevated Coaster
US9888794B2 (en)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US9801501B1 (en) Tray holder
US6060097A (en) Food cup
KR100866930B1 (ko) 찻잎 거름망
US7731058B2 (en) Semi-automatic dispenser for disposable cups
JP2007244541A (ja) 容器
KR20190109030A (ko)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KR200415467Y1 (ko) 컵 수거장치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CN208339441U (zh) 一种餐具收纳装置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KR101983064B1 (ko)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CA2957101A1 (en) Beverage brewing device for brewing and removal of different sized beverage capsules
FR3044649A1 (fr) Distributeur de couverts
EP2380823A1 (fr) Dispositif de recueil de déchets, avec sacs de rechange et compartiments de tri sélectif.
EP4346512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verts
KR200378829Y1 (ko) 음식물 수거 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