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147B1 -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147B1
KR101968147B1 KR1020180102712A KR20180102712A KR101968147B1 KR 101968147 B1 KR101968147 B1 KR 101968147B1 KR 1020180102712 A KR1020180102712 A KR 1020180102712A KR 20180102712 A KR20180102712 A KR 20180102712A KR 101968147 B1 KR101968147 B1 KR 10196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raw
cup
conten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광
이청준
고채영
Original Assignee
김보광
이청준
고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광, 이청준, 고채영 filed Critical 김보광
Priority to KR102018010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컵과 뚜껑을 분리하는 뚜껑 분리부, 상기 뚜껑 분리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은 통과시키고, 상기 뚜껑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하강하는 뚜껑 및 빨대를 보관하는 뚜껑 및 빨대 보관부, 상기 뚜껑 및 빨대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뚜껑 및 상기 빨대를 분산시키는 뚜껑 및 빨대 분산부 및 상기 뚜껑 및 빨대 보관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APPARATUS FOR SEPERATING DISPOSABLE CUP}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회용 컵을 분리 수거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음료수 가게, 카페 등이 증가함에 따라 일회용 컵에 대한 소비량이 늘어나고, 길거리 또는 공공장소 쓰레기통에 음료를 섭취한 후 발생하는 일회용 컵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쓰레기통에 담을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쓰레기가 넘치고 악취가 발생하나 환경미화원의 수는 정해져 있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시간 또한 정해져 있어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760672호는 컵을 올려놓으면 컵이 기울어져 쓰러짐으로써 컵 및 컵 내부의 내용물을 수거하는 컵 수거 장치를 개시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뚜껑 분리부에 포함된 슬롯의 직경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컵 및 뚜껑을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분리된 컵 뚜껑 및 빨대 등이 가운데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쌓이기 때문에 내부에 공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리된 컵 뚜껑 및 빨대를 더 이상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60672호 (2017.07.24.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컵과 뚜껑을 분리하는 뚜껑 분리부, 상기 뚜껑 분리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은 통과시키고, 상기 뚜껑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하강하는 뚜껑 및 빨대를 보관하는 뚜껑 및 빨대 보관부, 상기 뚜껑 및 빨대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뚜껑 및 상기 빨대를 분산시키는 뚜껑 및 빨대 분산부 및 상기 뚜껑 및 빨대 보관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 분리부는, 상기 뚜껑을 고정시키고, 상기 뚜껑과 맞닿은 면이 둥글게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체, 상기 복수의 분리체와 각각 결합되고, 신축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체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컵의 상단에 감싸진 비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닐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분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구멍에 상기 컵의 상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삽입한 후 상기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삽입된 컵을 잡아당겨 상기 컵과 상기 뚜껑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및 빨대 분산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뚜껑 및 빨대 분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어 동작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 및 상기 빨대를 분산시키는 분산체 및 상기 회전부에 포함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감싸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하강하는 상기 내용물로부터 보호하는 회전체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는,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통 및 상기 내용물 보관통과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컵 및 뚜껑을 쉽게 분리하고, 분리된 일회용 컵, 뚜껑, 빨대 및 내용물을 보관함으로써 환경미화원의 업무 부담을 해소하고, 악취를 제거하거나 길거리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부에 보관된 뚜껑 및 빨대를 분산시킴으로써 내부 수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분리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및 빨대 보관부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및 빨대 분산부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 및 빨대 분산부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부를 예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는 본체(100), 뚜껑 분리부(200),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 및 내용물 보관부(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은 뚫어져있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뚜껑 분리부(200),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 및 내용물 보관부(500)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100)는 상단부(110), 중단부(120) 및 하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110)는 뚜껑 분리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부(110)의 상단에 위치한 4개의 가장자리가 각각 복수의 분리체(210) 각각의 상단과 맞닿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110) 내부의 4개의 면은 각각 복수의 스프링(220)이 상단부(110) 내부의 각 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중단부(120)는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단부(120)는 4개의 면 중 하나에서 회전부(430)의 일부 및 손잡이부(410)가 중단부(1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중단부(120) 내부의 4개의 면 중 3개의 면은 복수의 고정부(420)가 중단부(120) 내부의 각 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단부(120)의 4개의 면 중 고정부(420)가 결합되지 않은 1개의 면은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단부(120)의 4개의 면 중 개폐가 가능한 면은 외부로 개폐를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결합되고, 해당 면의 가장자리 일단에는 경첩(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하단부(130)는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 및 내용물 보관부(5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부(130)의 상단에 위치한 4개의 가장자리가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의 4개의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단부(130)의 상단에는 결합된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부(130)의 내부에는 내용물 보관부(500)의 바퀴(520)가 하단부(130)의 바닥면에 맞닿은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하단부(130)는 중단부(120)와 마찬가지로 4개의 면 중 일단은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부(130)의 4개의 면 중 개폐가 가능한 면은 외부로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결합되고, 해당 면의 가장자리 일단에는 경첩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단부(120) 및 하단부(130)를 개폐함으로써 중단부(120)에 위치한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와 하단부(130)에 위치한 내용물 보관부(500)을 쉽게 밖으로 꺼낼 수 있어 청소부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본체(100)는 본체(100)의 외부에 결합되고, 분리된 컵을 보관할 수 있는 컵 보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컵과 뚜껑을 분리한 후 분리된 컵을 컵 보관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상단에 상단부 덮개(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단부 덮개를 덮어 악취를 방지하고,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분리부(2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뚜껑 분리부(200)는 본체(100)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컵과 뚜껑을 분리하는 것으로 복수의 분리체(210), 복수의 스프링(220) 및 비닐 제거부(230)을 포함한다.
뚜껑 분리부(200)는 상단 및 하단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 분리부(20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구멍의 폭이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뚜껑 분리부(20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뚜껑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뚜껑 분리부(200)에 형성된 구멍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분리체(210)의 모양 및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원형, 삼각형 등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분리체(210)는 뚜껑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단의 가장자리가 길고, 하단의 가장자리가 짧은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각 분리체(210)는 뚜껑과 맞닿은 면이 둥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 분리체(210)의 하단의 일면은 둥글게 형성되고, 타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리체(210)는 각각의 좌단 및 우단의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은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분리체(210) 간의 결합으로 인해 뚜껑 분리부(200)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리체(210)는 각각 하단이 평평한 면의 중앙 부분에 스프링(220)이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220)은 신축 작용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리체(210)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분리체(210) 및 상단부(110)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프링(220)은 각각 분리체(210)의 하단이 평평한 면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이 평평한 면과 마주보는 상단부(110) 내부의 면의 중앙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비닐 제거부(230)는 컵의 상단에 감싸진 비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닐 제거부(230)는 복수의 분리체(210) 중 하나의 외부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비닐 제거부(230)는 일단이 뾰족한 뿔 모양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비닐 제거부(230)를 이용하여 컵의 상단에 감싸진 비닐에 구멍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비닐 제거부(230)를 이용하여 비닐에 구멍이 생성되었거나 비닐에 이미 구멍이 존재하는 경우, 비닐 제거부(230)에 구멍을 삽입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듯이 컵을 움직여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닐 제거부(230)를 이용하여 컵의 상단을 감싸고 있는 비닐을 제거함으로써 컵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뚜껑 분리부(200)는 사용자가 복수의 분리체(210)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컵의 상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삽입한 후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삽입된 컵을 잡아당겨 컵과 뚜껑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뚜껑 분리부(200)에 형성된 구멍에 컵의 상단이 삽입되면, 복수의 분리체(210) 각각의 하단에 뚜껑이 고정되기 때문에 삽입된 컵을 잡아당길 경우, 고정되어 있던 뚜껑을 아래로 떨어지고, 잡아당긴 컵은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컵과 맞닿은 분리체(210)의 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컵이 구멍에 부드럽게 삽입되고, 적은 힘을 이용하여 삽입된 컵을 잡아당길 수 있다.
한편, 뚜껑 분리부(20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뚜껑보다 작기 때문에 구멍에 작은 크기의 컵이 삽입되더라도 컵과 뚜껑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구멍에 크기가 큰 컵이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스프링(220)이 수축하게 되므로 복수의 분리체(210)가 각각 마주보는 상단부(110)의 면을 향해 이동하므로 복수의 분리체(210)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 분리부(200)는 복수의 스프링(220) 각각의 신축 작용에 기초하여 다양한 크기의 컵과 뚜껑을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는 뚜껑 분리부(200)의 하단에 배치되며, 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은 통과시키고, 뚜껑 분리부(200)에 의해 분리되어 하강하는 뚜껑 및 빨대를 보관한다.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는 하단부(1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는 사각형 모양의 평면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단부(130)의 형태에 기초하여 원형 모양, 삼각형 모양, 반구형 형태 등 다양한 모양 및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는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는 하강하는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빨대 및 뚜껑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는 컵과 뚜껑이 분리된 후 하강하는 물체들 중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보다 큰 직경을 갖는 빨대 및 뚜껑을 걸러내어 보관하고, 컵 내부에 있던 내용물은 통과시켜 아래에 위치한 내용물 보관부(500)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는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에 보관된 뚜껑 및 빨대를 분산시키는 것으로 손잡이부(410), 고정부(420), 회전부(430), 분산체(440) 및 회전체 덮개(45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41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회전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410)는 제1 연결부(43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410)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중단부(12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420)는 본체(100)의 내부에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2 연결부(432)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420)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중단부(120)를 향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회전부(430)는 손잡이부(4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동작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제1 연결부(431), 제2 연결부(432),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31)는 손잡이부(4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십자 모양의 막대가 연결된 링 모양의 형태일 수 있다. 십자 모양의 막대가 겹쳐지는 부분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회전체(433)와 연결되는 막대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32)는 고정부(420) 및 분산체(440)와 연결되는 것으로 링의 내부에 원통형 막대가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432)의 상단은 제2 회전체(434)와 연결되고, 하단은 분산체(4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는 톱니바퀴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톱니바퀴가 맞물려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분산체(440)는 회전부(430)의 회전에 기초하여 뚜껑 및 빨대를 분산시키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부(4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부(410)와 연결된 회전부(430)의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430)와 연결된 분산체(440)가 회전하면서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의 중앙에 쌓여있는 뚜껑 및 빨대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 및 빨대 분산부(400)를 이용하여 뚜껑 및 빨대를 분산시킴으로써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회전체 덮개(450)는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를 감싸고,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를 하강되는 내용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회전체 덮개(450)의 내부는 내부에 배치된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의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 덮개(450)는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의 회전 동작이 수행되더라도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 덮개(450)를 이용하여 내용물로부터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를 보호함으로써 제1 회전체(433) 및 제2 회전체(434)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부(5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용물 보관부(500)는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의 하단에 배치되며 뚜껑 및 빨대 보관부(300)로부터 통과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것으로 내용물 보관통(510) 및 복수의 바퀴(5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 보관통(510)은 직육면체 형태로 상단이 뚫어져 있고, 내부에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바퀴(520)는 각각 내용물 보관통(510)의 하단의 각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바퀴(520)를 이용하여 내용물 보관통(510)을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청소부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은 방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를 사용하더라도 컵 내부의 내용물이 각 구성들에 달라붙지 않고, 내용물 보관부(500)에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10)를 세척하는 청소부의 수고를 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100: 본체
110: 상단부
120: 중단부
130: 하단부
200: 뚜껑 분리부
210: 분리체
220: 스프링
230: 비닐 제거부
300: 뚜껑 및 빨대 보관부
400: 뚜껑 및 빨대 분산부
410: 손잡이부
420: 고정부
430: 회전부
431: 제1 연결부
432: 제2 연결부
433: 제1 회전체
434: 제2 회전체
440: 분산체
450: 회전체 덮개
500: 내용물 보관부
510: 내용물 보관통
520: 바퀴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컵과 뚜껑을 분리하는 뚜껑 분리부;
    상기 뚜껑 분리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은 통과시키고, 상기 뚜껑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하강하는 뚜껑 및 빨대를 보관하는 뚜껑 및 빨대 보관부;
    상기 뚜껑 및 빨대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뚜껑 및 상기 빨대를 분산시키는 뚜껑 및 빨대 분산부; 및
    상기 뚜껑 및 빨대 보관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 분리부는,
    상기 뚜껑을 고정시키고, 상기 뚜껑과 맞닿은 하단의 일면은 둥글게 형성되며, 하단의 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체;
    상기 복수의 분리체와 각각 결합되고, 신축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체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컵의 상단에 감싸진 비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닐 제거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멍에 상기 컵의 상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삽입한 후 상기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삽입된 컵을 잡아당겨 상기 컵과 상기 뚜껑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및 빨대 분산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뚜껑 및 빨대 분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어 동작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 및 상기 빨대를 분산시키는 분산체; 및
    상기 회전부에 포함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감싸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하강하는 상기 내용물로부터 보호하는 회전체 덮개를 포함하는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는,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통; 및
    상기 내용물 보관통과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KR1020180102712A 2018-08-30 2018-08-30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KR10196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12A KR101968147B1 (ko) 2018-08-30 2018-08-30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12A KR101968147B1 (ko) 2018-08-30 2018-08-30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147B1 true KR101968147B1 (ko) 2019-04-11

Family

ID=6616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12A KR101968147B1 (ko) 2018-08-30 2018-08-30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47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741U (ko) * 1993-05-07 1994-12-09 일회용 컵 회수 장치
KR200380897Y1 (ko) * 2004-12-28 2005-04-07 오훈 납작형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US7819151B1 (en) * 2007-04-09 2010-10-26 Kuhn James J Utility equipment cover
US20110006058A1 (en) * 2007-04-09 2011-01-13 Kuhn James J Utility Equipment Cover
JP2011527978A (ja) * 2008-07-14 2011-11-10 マンチキン、インク. 廃棄物処理装置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20130036132A (ko) * 2011-10-03 2013-04-11 김영수 우산비닐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20130140308A (ko) * 2012-06-14 2013-12-24 김영수 우산비닐수거기
KR20140006685A (ko) * 2012-07-08 2014-01-16 김영수 우산비닐수거기
KR20140012795A (ko) * 2012-07-23 2014-02-04 김영수 우산비닐수거기
KR20140034563A (ko) * 2012-09-12 2014-03-20 김영수 우산비닐회수기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KR101760672B1 (ko) 2015-08-31 2017-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수거 장치
KR20180035017A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연 컵 분리 수납기
KR20180074313A (ko) * 2016-12-23 2018-07-03 강성우 커피컵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741U (ko) * 1993-05-07 1994-12-09 일회용 컵 회수 장치
KR200380897Y1 (ko) * 2004-12-28 2005-04-07 오훈 납작형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US7819151B1 (en) * 2007-04-09 2010-10-26 Kuhn James J Utility equipment cover
US20110006058A1 (en) * 2007-04-09 2011-01-13 Kuhn James J Utility Equipment Cover
JP2011527978A (ja) * 2008-07-14 2011-11-10 マンチキン、インク. 廃棄物処理装置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20130036132A (ko) * 2011-10-03 2013-04-11 김영수 우산비닐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20130140308A (ko) * 2012-06-14 2013-12-24 김영수 우산비닐수거기
KR20140006685A (ko) * 2012-07-08 2014-01-16 김영수 우산비닐수거기
KR20140012795A (ko) * 2012-07-23 2014-02-04 김영수 우산비닐수거기
KR20140034563A (ko) * 2012-09-12 2014-03-20 김영수 우산비닐회수기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KR101760672B1 (ko) 2015-08-31 2017-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수거 장치
KR20180035017A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연 컵 분리 수납기
KR20180074313A (ko) * 2016-12-23 2018-07-03 강성우 커피컵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832A (en) Cat litter box with bag system
US7044323B2 (en) Detachable foot pedal for trash can
US5598942A (en) Waste basket liner system
US9499337B2 (en) Receptacle configured for liner replacement without lid removal
US20050252923A1 (en) Spill proof container for non-liquid materials
US61090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a bag during compacting of waste
EP2964061B1 (en) An opening device of coffee capsules
KR101968147B1 (ko) 일회용 컵 분리 수거 장치
KR100785265B1 (ko) 티백 패키지
KR101761770B1 (ko) 다용도 팝콘 용기
KR102034256B1 (ko)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US20070062945A1 (en) Cartridge container
US20050150893A1 (en) Garbage can capable of holding a garbage bag in position
US20060102629A1 (en) Method for protecting beverage can from insects
EP1989979A1 (en) Container with alternative grinding device
KR200464230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스틱제품 포장용상자
KR20150035185A (ko) 닭뼈 수거가 용이한 치킨 포장상자용 다용도 뚜껑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940007985Y1 (ko) 종이컵 수거함
KR101727667B1 (ko) 다기능 보관 용기
KR101898906B1 (ko) 일회용 봉지 보조기
KR20120003824U (ko) 폐 껌 수거통을 구비한 껌 용기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KR100807121B1 (ko) 캔 크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