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829Y1 - 음식물 수거 뼈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수거 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829Y1
KR200378829Y1 KR20-2004-0030544U KR20040030544U KR200378829Y1 KR 200378829 Y1 KR200378829 Y1 KR 200378829Y1 KR 20040030544 U KR20040030544 U KR 20040030544U KR 200378829 Y1 KR200378829 Y1 KR 200378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separating means
bone
bones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일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일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일스텐
Priority to KR20-2004-0030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을 때 발생되는 뼈나 가시를 수거하는 뼈통의 보관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지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부딪힘에 의한 충격으로 부터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포개진 원통형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받침부 또는 돌출돌기, 오목돌기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음식점에서 수거된 뼈와 가시를 세척한 후 보관시 상기 분리수단에 의한 원통형 몸체와 몸체간에 포개어 재치 또는 접촉면적을 작게하면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상기 분리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수거 뼈통{A BONE TUB FOR COLLECTION FOODS}
본 고안은 음식물 수거 뼈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점에서 뼈가 많은 육류 또는 가시가 많은 어류를 먹을 때 발생되는 뼈나 가시등을 담아 수거하는 뼈통의 보관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음식물 수거 뼈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또는 식당에서는 음식을 먹는 도중 또는 먹고 난 후 발생되는 떨어뜨린 음식물 또는 휴지, 기타 쓰레기를 모아 버리게 되는 별도의 쓰레기통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쓰레기통은 보통 식탁 밑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음식을 먹는 사람은 식사 도중이나 식사후에 발생되는 흘린 음식물이나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통에 버리게 되고, 이 버려진 음식물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로 함께 처리되어 쓰레기량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많아지는 쓰레기는 그 만큼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어 음식점은 물론 일반가정에서도 쓰레기의 량을 가급적 줄이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와 분리 수거하게 된다.
특히 음식점의 경우 뼈와 가시 그리고 껍질이 많은 육류와 어류 및 어패류 음식의 경우, 식사중에 발생되는 많은 뼈, 가시, 껍질을 쓰레기통이나 식기에 수거하지 않고 별도의 뼈통을 마련하여 수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점에서 뼈와 가시, 껍질을 수거하는 종래의 뼈통은 전체적으로 수직형태의 원통형 형상 또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역삼각형태의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은 주연부에 세척 또는 보관시 인체의 손상 방지는 물론, 보관시 분리가 용이하도록 외향하여 내측으로 말아주거나, 외향으로 펼쳐지는 테두리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뼈통은 사용후 보관시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위하여 서로 포개어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로 포개어 보관시 뼈통과 뼈통간에 면접촉에 의하여 밀폐되어 뼈통과 뼈통간에 진공상태로 인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분리시 좀처럼 쉽게 분리가 되지 않아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을 주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사용에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음식물 수거 뼈통의 외주벽에 다수개의 볼록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후 포개어 보관시 뼈통의 불록돌기가 포개어지는 또 하나 뼈통의 내측면과 점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포개지면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록돌기에 의하여 뼈통 간에 공간부 및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뼈통 사용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실제로 상기 포개어지는 뼈통은 자중에 의하여 뼈통과 뼈통 간에 깊숙하게 포개지는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국 상기 볼록돌기는 포개진 뼈통의 내측면을 강압하는 형태로 포개어져 결합되게 되므로 사용시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을 때 발생되는 뼈나 가시를 수거하는 뼈통의 보관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지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부딪힘에 의한 충격으로 부터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포개진 원통형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경사부하단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여 받침턱을 갖는 받침부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부는 수직 형상의 원통형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는 2 등분되는 분리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분리수단은 외향으로 돌출 또는 내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볼록돌기 또는 오목돌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을 발생되는 뼈나 가시를 수거하는 뼈통의 원통형 몸체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경사지는 분리수단을 하단 또는 중앙부위에 구비하여 음식을 먹은 후 수거된 뼈와 가시를 세척한 후 보관시 분리수단에 의한 원통형 몸체와 몸체간에 재치 또는 접촉면적을 작게하면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상기 분리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사용상태 단면도 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진 원통형 몸체(100)와;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상부에 상단이 외향져 내측으로 말아진 테두리(110)와; 상기 테두리(110)와 이어져 하방으로 임의의 소정길이에 사용 또는 보관시 부딪힘에 의한 충격으로 부터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120)와; 상기 보강부(120)의 하부에 하방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는 외경(L)을 갖는 경사부(130)와; 상기 경사부(130)의 하부에 포개진 원통형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분리수단(14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분리수단(140)은 상기 경사부(130)하단의 외경(L)보다 작은 외경(ℓ)으로 형성하여 받침턱(141)을 갖는 받침부(142)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부(142)는 임의의 소정높이를 갖는 수직 원통형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육류 또는 어류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을 때 발생되는 뼈나 가시를 담는 뼈통인 원통형 몸체(100)를 식탁마다에 제공하고, 음식을 먹는 손님은 제공된 뼈통인 원통형 몸체(100)에 발생되는 뼈와 가시를 버리게 된다.
이어서 사용 완료 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몸체(100)를 깨끗이 씻은 후 서로 포개어 적층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적층되는 원통형 몸체(100)는 보강부(120)의 하방으로 구비된 경사부(130)및 그 경사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분리수단(140)의 받침부(142)의 하단이 다른 원통형 몸체(100')의 분리수단(140')인 받침부(142')의 받침턱(141')상단에 재치된 채 보관되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 포개져 보관되는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경사부(130)는 다른 원통형 몸체(100')의 경사부(130')와 접촉 내지는 결합되지 않은 재치된 상태로 보관되게 되어, 상기 뼈통을 사용하기 위하여 원통형 몸체(100)를 집어들게 되면 상기 원통형 몸체(100)는 다른 원통형 몸체(100')와 접촉 내지는 결합 마찰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다른 원통형 몸체(100')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제 2 실시예도 이고, 도 4 는 제 2 실시예도의 사용 상태 단면도 로서, 상기 도 1의 분리수단(140)을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진 원통형 몸체(100)의 보강부(120)의 직하부에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뼈통인 원통형 몸체(100)를 서로 포개어 보관시 상기 원통형 몸체(100)는 다른 원통형 몸체(100')에 포개져 보관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통형 몸체(100)는 상부에 구비된 분리수단(140)의 외측면이 다른 원통형 몸체(100')의 분리수단(140')과의 내측면에 서로 재치된채 포개져 보관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원통형 몸체(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원통형 몸체(100')에 포개어져 있는 상기 원통형 몸체(100)를 집어들게 되면, 상기 원통형 몸체(100)와 다른 원통형 몸체(100')는 상기 분리수단(140)에 의하여 재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원통형 몸체(100)를 다른 원통형 몸체(100')로 부터 약간의 힘으로도 용이하게 분리해 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제 3 실시예도이고, 도 6 은 제 3 실시예도에 대한 사용 상태 단면도 로서, 상기 도 1의 분리수단(140)을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진 원통형 몸체(100)의 중앙부위에 구비하되, 상기 분리수단(140)의 상,하단 각각에는 상방으로 가면서 점점 커지고, 하방으로 가면서 작아지는 외경을 각각 갖는 경사부(130)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뼈통인 원통형 몸체(100)를 다른 원통형 몸체(100')에 포개져 보관시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앙부위에 구비된 분리수단(140)의 외측면이 다른 원통형 몸체(100')의 분리수단(140')과의 내측면에 재치되어 포개져 보관되게 된다.
이어서 원통형 몸체(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원통형 몸체(100')에 포개어져 있는 원통형 몸체(100)를 집어들게 되면, 상기 원통형 몸체(100)와 다른 원통형 몸체(100')간에 중앙부위가 상기 분리수단(150)에 의하여 재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원통형 몸체(100)를 다른 원통형 몸체(100')로 부터 약간의 힘으로도 용이하게 분리해 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은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제 4 실시예도로서, 도 1의 보강부(120)와 분리수단(140)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 마찰력을 작게하는 다수의 볼록돌기(143) 또는 오목돌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형성하게 된다.
또는 상기 보강부(120)와 분리수단(140)의 외측면 각각에는 접촉 마찰력을 작게하는 다수의 볼록돌기(143) 또는 오목돌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뼈통인 경사진 원통형 몸체(100)의 외주면에 보강부(120) 또는 분리수단(140)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볼록돌기(143) 또는 오목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다른 원통형 몸체(100')에 포개어 보관시 재치되는 원통형 몸체(100)와 다른 원통형 몸체(100')간에 접촉마찰력을 최소화시키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100)를 다른 원통형 몸체(100')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점에서 뼈가 많은 육류 또는 어류를 먹을 때 발생되는 뼈나 가시를 수거하는 뼈통의 원통형 몸체에 받침부 또는 돌기등의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포개어 보관하게 되는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접촉 또는 결합을 최소화하면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뼈통인 원통형 몸체 사용시 상기 포개져 있는 다른 원통형 몸체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제 2 실시예도
도 4 는 제 2 실시예도에 대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제 3 실시예도
도 6 은 제 3 실시예도에 대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음식물 수거 뼈통의 제 4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원통형 몸체 100'; 다른 원통형 몸체
110; 테두리 120; 보강대
130; 경사부 140, 150,160; 분리수단
141; 받침턱 142; 받침부
143; 볼록돌기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지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부딪힘에 의한 충격으로 부터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포개지는 다른 원통형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경사부의 하단 외경(L)보다 작은 외경(ℓ)으로 형성하여 받침턱을 갖는 받침부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임의의 소정높이를 갖는 수직 원통형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4.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지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부딪힘에 의한 충격으로 부터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직하부측에 보강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수직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포개지는 다른 원통형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수단의 하단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5.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로 가면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경사지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하방이 점차 좁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직하부측에 이 경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수직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포개지는 다른 원형통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수단의 직하부측에 하부가 점차 좁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가 순차적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6.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분리수단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 마찰력을 작게하는 다수의 볼록돌기 또는 오목돌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7.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분리수단의 외측면 각각에는 접촉 마찰력을 작게하는 다수의 볼록돌기 또는 오목돌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뼈통.
KR20-2004-0030544U 2004-10-28 2004-10-28 음식물 수거 뼈통 KR200378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44U KR200378829Y1 (ko) 2004-10-28 2004-10-28 음식물 수거 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44U KR200378829Y1 (ko) 2004-10-28 2004-10-28 음식물 수거 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829Y1 true KR200378829Y1 (ko) 2005-03-16

Family

ID=4368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544U KR200378829Y1 (ko) 2004-10-28 2004-10-28 음식물 수거 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8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38B1 (ko) 2007-02-08 2009-10-22 수-화 린 위성 접시형 안테나의 테두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38B1 (ko) 2007-02-08 2009-10-22 수-화 린 위성 접시형 안테나의 테두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150B1 (en) Used cooking grease disposal and storage device
US8871092B2 (en) Collapsible colander and bowl
US7934449B2 (en) Serving tray and food container
US4440321A (en) Debris receptacle, cover, and contents compressor and discharge assembly
US20090120930A1 (en) Expandable receptacle
US20210177213A1 (en) Collapsible colander and bowl
US20120261327A1 (en) Expanding colander
AU763943B2 (en)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KR200378829Y1 (ko) 음식물 수거 뼈통
US20140183105A1 (en) Serving bowl
IL186597A (en) Collapsible container
WO2005016793A1 (en) Waste bin
KR101625171B1 (ko) 닭뼈 수거가 용이한 치킨 포장상자용 다용도 뚜껑
KR200359832Y1 (ko) 음식점용 뼈통
KR20080037277A (ko) 젓가락선별기
KR200297567Y1 (ko) 판촉물용 접이식 수저 받침대
KR200275243Y1 (ko) 컵라면 용기
KR20240024702A (ko) 음식물 취출용기
KR950004623Y1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US20110079599A1 (en) Flexible organic waste receptacle
JP6884360B1 (ja) 多機能衛生容器
CN208339441U (zh) 一种餐具收纳装置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CA2679808A1 (en) Flexible organic waste receptacle
JPH1052375A (ja) 食缶および食品用容器の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