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598Y1 - 컵 자동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컵 자동 인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7598Y1 KR200387598Y1 KR20-2005-0009169U KR20050009169U KR200387598Y1 KR 200387598 Y1 KR200387598 Y1 KR 200387598Y1 KR 20050009169 U KR20050009169 U KR 20050009169U KR 200387598 Y1 KR200387598 Y1 KR 2003875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storage container
- support member
- opening
- fix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A47F1/10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47F7/28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for vertically-stacked containers; Stabilis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통 내부에 적층된 컵 중 하나의 컵은 항상 보관통의 바닥에 위치되어 있고, 이 바닥에 위치된 컵을 꺼내는 동작에 의해 적층된 컵의 하나가 또다시 보관통의 바닥으로 자동적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컵을 강제방식이 아닌 자동적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컵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그 구성요소들이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컵 자동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는, 장방형의 높이를 갖고 하부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갖는 보관통(10)과; 상기 보관통(10)의 개방부(11) 바닥에 축설되는 고정축(21)이 하단 중앙에 형성된 호형상의 지지부재(22)와,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단 일측에 입설된 일정 높이의 제1고정봉(23)과 이 제1고정봉(23)의 상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재(24)와, 상기 제1걸림부재(24)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단 타측에 입설되고 상기 제1고정봉(23)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입설된 제2고정봉(25)과 이 제2고정봉(25)의 상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재(26)와, 상기 지지부재(22)의 일측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11)의 측면에 고정된 탄성스프링(27)을 갖고 상기 보관통(10)의 개방부(11) 내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2개의 컵 인출부(20)(20)와; 를 포함한 것과, 또한, 상기 보관통의 전면에는 일측면에 파지부(31)가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보관통(10)의 전면과 힌지부(32)에 의해 힌지결합된 전면커버(3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 자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의 컵을 인출할 때, 컵 보관구의 내부에 수납된 컵이 순차적으로 하단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컵을 강제적으로 빼내지 않고도 쉽게 컵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컵의 손상을 방지하고, 컵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컵 자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전문점 중, 휴대할 수 있는 컵에 커피를 담아 파는 테이크 샵이나 또는 햄버거나 치킨 등을 판매하는 후렌차이즈 전문점에서 음료수를 담아 고객에게 제공하는 수단으로 일회용 컵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컵은 컵 보관장치에 거꾸로 적층시켜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컵 보관장치는 펫트병의 상단을 개방시키고, 펫트병의 목부위를 다수갈래로 절취하여 컵의 데두리부를 탄력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제공된 바 있다.
이러한 컵 보관장치는 펫트병을 거꾸로 매달아 설치시키고, 상부의 개방부위로 다수의 컵을 삽입시키게 되면 하단에 위치된 컵이 펫트병의 목부위에서 걸리어져 하단에 위치한 컵부터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컵 보관장치는 펫트병의 내부로 컵을 정상적인 상태 즉, 컵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삽입시켜 보관시킴에 따라 펫트병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먼지 또는 기타의 오염물질이 투입되어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컵이 인출되는 컵 인출장치가 다양하게 안출된바 있다.
일예로, 특허등록 제170627호인 ' 수동 컵 인출장치' 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홀더 지지수단이 내부에 부여되고, 외부 일측에는 챔버 본체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 하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상부에 결합되며, 챔버의 캡을 이루는 상부 챔버로 이루어지는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에 부여되며 후술하는 다수의 탄성 컵홀더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홀더 지지수단과, 상기 홀더 지지수단에 방사형으로 다수 삽착되며 적재된 컵을 탄지하기 위하여 탄성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챔버 내향으로 다수곳에 절곡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탄성 컵홀더와, 상기 챔버 본체를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에 형성된 고정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한 챔버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51466호인 ' 컵 인출장치' 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다수의 컵이 거꾸로 수납되는 수납구의 하단 일측에 컵을 수납구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인출장치를 설치시키고, 수납구의 하부에 인출장치에 의해 수납구를 이탈하는 컵을 정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설치시킨 것과, 상기 인출장치가 컵의 테구리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밀대와 밀대를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 것과, 거꾸로 인출되는 컵을 정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는 자유 낙하되는 컵의 테두리부를 받쳐주는 걸림턱과, 걸림턱에 의해 회전 낙하되는 컵을 안내하는 경사로와, 경사로를 따라 이동되는 컵이 안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23809호인 ' 컵 인출장치' 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중공으로 형성된 수납통과, 수납통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엔드캡과, 수납통에 수용되며 복수의 중공의 연결로드들이 동심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봉과, 신축봉의 회하단 연결로드를 하부엔드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신축봉의 최상단 연결로드에 결합고정되고 컵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하단부에 환형턱이 형성된 컵의 형상과 대응되는 컵홀더와, 신축봉의 중공에 수용되어 신축봉을 신장시키는 스프링부재와, 수납통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컵홀더의 몸체가 돌출되는 중심공이 형성되고 중심공의가장자리에 컵의 상단척을 지지하며 탄성변형이 가능하는 탄성편을 가지는 상부엔드캡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45911호인 '컵 공급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중앙을 관통하여 컵이 통과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최하단의 컵을 잡아주는 제1집게기구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그 전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집게기구에 잡혀진 컵의 상부에 구비된 컵을 지지하는 제2집게기구와, 상기 제1집게기구와 제2집게기구가 시차를 두고 컵을 잡고 놓을 수 있도록 집게기구를 구동하여 최하단의 컵이 배출되게 하는 구동버튼부와,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프레임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매거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컵 인출장치들은, 적층된 컵을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는 있으나, 그 구성요소들이 복잡하여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적층된 컵을 인출하는 방식이 사용자가 일일이 컵을 인출장치의 아래측에서 강제적으로 빼내어 컵이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쁜 시간대에 적층된 컵을 일일이 인출시켜 사용함에 있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즉, 빠르게 음용수를 담아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컵 인출장치로부터 컵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바, 종래 컵 인출장치의 경우, 컵들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하나씩 강제적으로 인출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컵을 빠르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컵 인출장치가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관통 내부에 적층된 컵 중 하나의 컵은 항상 보관통의 바닥에 위치되어 있고, 이 바닥에 위치된 컵을 꺼내는 동작에 의해 적층된 컵의 하나가 또 다시 보관통의 바닥으로 자동적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컵을 강제방식이 아닌 자동적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컵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그 구성요소들이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컵 자동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는, 장방형의 높이를 갖고 하부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개방부 바닥에 축설되는 고정축이 하단 중앙에 형성된 호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 일측에 입설된 일정 높이의 제1고정봉과 이 제1고정봉의 상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1걸림부재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 타측에 입설되고 제1고정봉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입설된 제2고정봉과 이 제2고정봉의 상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의 측면에 고정된 탄성스프링을 갖는 2개의 컵 인출부가 상기 보관통의 개방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통의 전면에는 일측면에 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보관통의 전면과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전면커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는, 보관통의 내부에 적층되어 보관된 컵 중, 제일 하단에 위치된 컵이 항상 자동적으로 보관통의 하단측에 형성된 개방부로 낙하되어 있음에 따라, 컵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바쁜 영업시간에 빠르게 음용수를 담아 고객에게 전달 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한다.
이하,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컵 자동인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는, 장방형의 높이를 갖고 하부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갖는 보관통(10)과, 상기 보관통(10)의 개방부(11) 바닥에 축설되는 고정축(21)이 하단 중앙에 형성된 호형상의 지지부재(22)와,상기 지지부재(22)의 상단 일측에 입설된 일정 높이의 제1고정봉(23)과 이 제1고정봉(23)의 상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재(24)와, 상기 제1걸림부재(24)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단 타측에 입설되고 상기 제1고정봉(23)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입설된 제2고정봉(25)과 이 제2고정봉(25)의 상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재(26)와, 상기 지지부재(22)의 일측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11)의 측면에 고정된 탄성스프링(27)을 갖는 2개의 컵 인출부(20)(20)가 상기 보관통(10)의 개방부(11) 내측에 각각 대응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24) 및 제2걸림부재(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기 보관통(10)의 내부에 적층된 컵의 테두리 부분을 파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는, 하나의 컵(C1)이 항상 보관통(10)의 개방부(11) 내부에 낙하되어 위치되어 있다가, 이 컵(C1)을 개방부(11)로부터 빼내게 되면, 상기 보관통(10)의 내부에 적층된 컵 중 가장 하측단에 위치된 컵(C2)이 자연스럽게 상기 개방부(11) 내부로 낙하되어 위치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적층된 컵을 강제적으로 빼내거나 하지 않고도 쉽게 컵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1)의 바닥에 위치되어 있던 컵(C1)을 빼내는 과정에서, 상기 컵(C1)이 개방부(11)의 내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된 2개의 컵 인출부(20)(20)의 지지부재(22)를 서로 벌어지게 하여 인출되는 바, 이때, 상기 지지부재(22)(22)들이 서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이 지지부재(22)(22)의 상단에 구성된 제1걸림부재(24)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이 제1걸림부재(24)에 의해 테두리가 거치되어 있던 컵(C2)이 제1걸림부재(24)로부터 간섭됨이 사라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개방부(11) 아래 다시말해, 상기 컵(C1)이 빠져나간 자리에 낙하되어 위치되게 되기 때문에, 항상 개방부(11)의 내측에는 컵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컵(C1)이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보관통(10)의 내부에 적층된 다수개의 컵 중 하나의 컵(C2) 만이 낙하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제2걸림부재(26)가 컵(C2)의 바로 상단측에 위치된 컵(C3)의 테두리를 잡아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이는, 상기 컵(C2)가 제1걸림부재(24)로부터 간섭됨이 해제될 때, 상기 제2걸림부재(26)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컵(C2)의 바로 상단측에 위치된 컵(C3)의 테두리를 잡아줌으로써 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컵(C1)이 개방부(11)로부터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컵 인출부(20)(20)의 지지부재(22)(22)들이 벌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지지부재(22)(22)의 상단 일측에 입설된 제1걸림부재(24)(24)들이 벌어지게 되어 컵(C2)가 컵(C1)이 빠져 나간 개방부(11)의 내측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제1걸림부재(24)(24)가 벌어질 때, 상기 제2걸림부재(26(26)를 오므라지게 되어 상기 컵(C2)의 상단측에 적층된 컵(C3)의 테두리를 파지하고 있다가, 다시 탄성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해 벌어진 지지부재(22)(22)들이 오므라지게 되면, 상기 컵(C3)는 제2걸림부재(26)(26)들이 벌어지는 것에 의해 떨어지다가 오므라지는 제1걸림부재(24)(24)들에 의해 테두리부분이 파지됨으로써, 개방부의 바닥에 떨어진 컵(C2)이 상측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22)(22)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22)(22)의 외측단에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개방부(11)의 내측면에 고정된 탄성스프링(27)(27)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보관통(10)의 개방부(11)에 떨어진 컵을 인출하게 되면, 상기 보관통(10)의 내부에 적층된 컵들이 순차적으로 자연스럽게 개방부(11)측으로 떨어지게 되어 항상 개방부(11)의 내부에는 컵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컵을 바로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통의 전면에는 일측면에 파지부(31)가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보관통(10)의 전면과 힌지부(32)에 의해 힌지결합된 전면커버(30)가 더 구성된다.
이 경우, 컵을 보관통(10)의 상측으로부터 인입하여 보관통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보관통의 전면으로 컵을 인입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에 의하면, 보관통의 내부에 적층되어 보관된 컵 중, 제일 하단에 위치된 컵이 항상 자동적으로 보관통의 하단측에 형성된 개방부로 낙하되어 있음에 따라, 컵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바쁜 영업시간에 빠르게 음용수를 담아 고객에게 전달 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요부에 의해 컵이 인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요부에 의해 컵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컵 자동 인출장치의 구성요부인 지지부재가 벌어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컵 자동 인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관통 11 : 개방부
20 : 컵 인출부 21 : 고정축
22 : 지지부재 23 : 제1고정봉
24 : 제1걸림부재 25 : 제2고정봉
26 : 제2걸림부재 27 : 탄성스프링
C1, C2, C3 : 컵
Claims (2)
- 장방형의 높이를 갖고 하부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갖는 보관통(10)과;상기 보관통(10)의 개방부(11) 바닥에 축설되는 고정축(21)이 하단 중앙에 형성된 호형상의 지지부재(22)와,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단 일측에 입설된 일정높이의 제1고정봉(23)과 이 제1고정봉(23)의 상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재(24)와, 상기 제1걸림부재(24)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단 타측에 입설되고 상기 제1고정봉(23)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입설된 제2고정봉(25)과 이 제2고정봉(25)의 상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재(26)와, 상기 지지부재(22)의 일측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11)의 측면에 고정된 탄성스프링(27)을 갖고 상기 보관통(10)의 개방부(11) 내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2개의 컵 인출부(20)(20)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인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관통의 전면에는 일측면에 파지부(31)가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보관통(10)의 전면과 힌지부(32)에 의해 힌지결합된 전면커버(3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자동 인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9169U KR200387598Y1 (ko) | 2005-04-04 | 2005-04-04 | 컵 자동 인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9169U KR200387598Y1 (ko) | 2005-04-04 | 2005-04-04 | 컵 자동 인출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3946 Division | 2005-03-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7598Y1 true KR200387598Y1 (ko) | 2005-06-20 |
Family
ID=4368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9169U KR200387598Y1 (ko) | 2005-04-04 | 2005-04-04 | 컵 자동 인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759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02609A (zh) * | 2012-04-01 | 2012-07-25 | 孙建波 | 取杯器 |
-
2005
- 2005-04-04 KR KR20-2005-0009169U patent/KR2003875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02609A (zh) * | 2012-04-01 | 2012-07-25 | 孙建波 | 取杯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97984A (en) | Coffee Filter dispenser | |
US8282034B1 (en) | Multiple roll toilet paper holder and dispenser | |
US8695794B2 (en) | Electronic cigarette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 |
US5944220A (en) | Sanitized lid dispenser | |
WO2005105613A1 (en) | Part dispenser assembly | |
US20060102809A1 (en) | Bag holder for holding a bag in an upright and open position | |
JP2012511474A (ja) | プローブカバー用取出し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387598Y1 (ko) | 컵 자동 인출장치 | |
US20160045082A1 (en) | Disposable dispensing apparatus for paper towels | |
US4796779A (en) | Combined filter housing and extractor | |
KR100716727B1 (ko) | 컵뚜껑 분리장치 | |
US20050061826A1 (en) | Wipe dispenser and threader for wipe dispenser | |
US20040188297A1 (en) | Pop-up toilet paper dispenser | |
US20050035134A1 (en) | Wipe dispenser threader | |
US6401597B1 (en) | Coffee vending machine filter paper support | |
US2553389A (en) | Holder for dispensing material in roll form | |
KR20060113025A (ko) | 컵 자동 인출구조 | |
KR20060113024A (ko) | 컵 자동 인출구조 | |
KR200392313Y1 (ko) | 종이컵 인출장치 | |
JP4569890B2 (ja) | コップ回収ボックス | |
KR200415013Y1 (ko) | 컵 인출장치 | |
US6131764A (en) | Wall mounted coffee filter dispenser | |
JP4732914B2 (ja) | 歯間ブラシ用容器 | |
US10874264B1 (en) | Apparatus for storage of bathroom accessories | |
KR200415358Y1 (ko) | 컵 추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