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727B1 - 컵뚜껑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컵뚜껑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727B1
KR100716727B1 KR20060015244A KR20060015244A KR100716727B1 KR 100716727 B1 KR100716727 B1 KR 100716727B1 KR 20060015244 A KR20060015244 A KR 20060015244A KR 20060015244 A KR20060015244 A KR 20060015244A KR 100716727 B1 KR100716727 B1 KR 10071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lid
locking jaw
beverag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정 filed Critical 김은정
Priority to KR2006001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8Serving devices for one-hand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10Devices for counting or marking the number of consumptions
    • A47G23/12Consumption counters combined with table-ware or table-service
    • A47G23/16Consumption counters combined with table-ware or table-service combined with drinking vessels or with lid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컵에 덮혀있는 컵뚜껑을 분리하는 컵뚜껑 분리장치로서, 음료용 컵에 덮혀있는 컵뚜껑을 분리하는 컵뚜껑 분리장치로서,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구멍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음료용 컵에 덮혀진 컵뚜껑이 진입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턱이 컵뚜껑에 의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컵뚜껑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한 후에는 상기 걸림턱이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컵뚜껑을 상기 걸림턱에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서 상기 컵뚜껑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지 못하고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컵뚜껑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컵뚜껑, 걸림턱, 탄성부, 구멍

Description

컵뚜껑 분리장치{Apparatus for detaching cap from cup}
도 1은 컵뚜껑이 덮혀있는 음료용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컵뚜껑 분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컵뚜껑이 걸림턱내로 진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2의 컵뚜껑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컵뚜껑을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컵뚜껑이 음료용 컵에서 분리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컵뚜껑 분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컵뚜껑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컵뚜껑을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컵
11...돌출부
20...컵뚜껑
21...걸림부
30...본체
31...구멍
40...탄성부
41...걸림턱
본 발명은 음료용 컵으로부터 컵뚜껑을 분리해내는 컵뚜껑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턱을 이용하여 컵뚜껑을 음료용 컵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컵뚜껑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등에서 사용되는 음료용 컵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담겨지는 원통형 모양의 음료용 컵(10)과, 상기 음료용 컵(10)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개구부 둘레에 탈부착가능하게 덮여져 있는 컵뚜껑(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료용 컵(10)의 원형개구부는 끝부분이 둥글게 말려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뚜껑(20)에는 상기 돌출부에 걸릴 수 있도록 뚜껑의 내부로 돌출된 걸림부(21)가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11)와 걸림부(21)의 맞물림에 따라서 컵뚜껑(20)이 음료용 컵(10)에 고정되어 덮힐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음용하기 위하여 컵뚜껑을 음료용 컵에 덮어 음료가 외부로 넘쳐 흐르지 않게 한 상태에서 빨대 등을 컵뚜껑에 꽂아 음료를 마시게 되고, 음료를 다 마신 후에는 상기 음료용 컵와 컵뚜껑을 손으로 분리하여 분리수거 함 넣게 된다.
그러나, 항상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컵뚜껑 분리작업은 한손으로는 음료용 컵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컵뚜껑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한손에 가방을 들고 있거나 또는 물건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는 컵뚜껑을 분리할 수가 없다. 또한, 양손으로 컵뚜껑을 분리하는 경우라도, 컵뚜껑이 음료용 컵에 밀착되어 있으면 분리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음료를 다 마신후에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컵뚜껑이 부착된 채로 쓰레기통에 버리는 일이 많아, 제대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컵뚜껑을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해낼 있으며, 컵뚜껑이 음료용 컵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컵 뚜껑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컵뚜껑 분리장치는, 음료용 컵에 덮혀있는 컵뚜껑을 분리하는 컵뚜껑 분리장치로서,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구멍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음료용 컵에 덮혀진 컵뚜껑이 진입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턱이 컵뚜껑에 의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 턱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컵뚜껑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한 후에는 상기 걸림턱이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컵뚜껑을 상기 걸림턱에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서 상기 컵뚜껑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지 못하고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있다.
또한 컵뚜껑 분리장치에는 상기 본체의 구멍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컵뚜껑 분리장치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구멍의 둘레에 복수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구부러진 갈고리형상을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용어와 관련되어 정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 1 위치"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걸림턱의 위치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걸림턱이 다른 외부의 수단등에 의하여 이동하기 전의 상태에서의 위치를 말한다. 또한, "제 2 위치"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이 외부의 수단등에 의하여 밀리거나 잡아당겨져서 이동된 경우의 최초의 위치와는 다른 이동된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제 2 위치"란 어느 특정의 지점이라기보다는 "제 1 위치"이외에 걸림턱이 외력에 의하여 이동된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진입방향"이란 음료용 컵이 구멍둘레에 배치된 걸림턱을 통과하여 본 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본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며, "진입반대방향"이란 상기 "진입방향"과는 반대방향이며, 구멍으로부터 걸림턱을 통과하여 본체내부와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특별한 다른 정의가 없으면 상술한 "제 1 위치", "제 2 위치", "진입방향", "진입반대방향" 에 대한 개념은 명세서 전체에서 상술한 바에 따른다.
상술한 컵뚜껑(20)이 구비된 음료용 컵(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 컵(10)과 컵뚜껑(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컵뚜껑(20)은 착탈가능하게 음료용 컵(10)에 덮여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컵 뚜껑 분리장치는 구멍(31)을 갖는 본체(30)와, 상기 구멍(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걸림턱(4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컵뚜껑 분리장치에는 상기 구멍(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본체(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진 사각박스, 원통형박스와 같이 컵뚜껑(20)을 보관수납할 수 있는 구성이며, 그 재질도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30)는 분리수거통 근방의 벽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영화관 출입구나 음료를 마시는 곳의 근방에 설치하여 음료를 마시고 난 후에 곧장 컵뚜껑(20)을 분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에서는 본체(30)로써 원통형박스를 일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박스내에 분리된 컵뚜껑(20)이 보관된 다.
본체(30)의 하단에는 원형의 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31)의 직경은 컵뚜껑(20)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구멍(31)내에 컵뚜껑(20)을 구비한 음료용 컵(10)이 본체(30)의 내부로 넣어지거나 빼내어질 수 있고, 컵뚜껑(20)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구멍(31)의 둘레에는 다수의 탄성부(4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40)들은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40)는 그 일단이 구멍(31)에 배치되고, 타단은 걸림턱(41)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탄성부(40)는 음료용 컵(10)의 진입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 잡아당김이나 밀어냄등에 의하여 제 1 위치에서 벗어나도 다시 제 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도 3 내지 도 7의 도면에서는 상기 탄성부(40)에 의하여 걸림턱(41)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0)의 재질은 복원력을 가지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이 좋은 플라스틱이 좋으며, 기타 탄성이 좋은 금속재질등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0)의 그 두께나 폭도 사용하고자 하는 컵뚜껑(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즉, 컵뚜껑(2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컵뚜껑(20)을 음료용 컵(10)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많은 힘이 요구되므로 탄성력을 조금 줄이더라도 탄성부(40)의 두께나 폭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고, 컵뚜껑(2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작은 힘만으로도 컵뚜껑(2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탄성부(40)의 두께나 폭을 감소시켜도 될 것이다.
상기 탄성부(40)의 타단에는 갈고리모양으로 굽어져 있는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41)의 끝단은 내측을 향하고 있다. 상기 걸림턱(41)의 재질은 탄성부(40)와 동일한 플라스틱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40)와는 다른 비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걸림턱(41)은 컵뚜껑(20)과 결합하여 컵뚜껑(20)을 음료용 컵(10)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원칙적으로 탄성력을 가질 필요가 없으나, 제작상의 탄성부(40)와 일체로 생산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에는 탄성부(40)와 동일재질도 가능하다. 다만, 컵뚜껑(20)의 직경이 크거나 또는 컵뚜껑(20)이 음료용 컵(10)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컵뚜껑(20)을 음료용 컵(10)으로부터 분리해내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므로, 휘어지거나 구부려지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턱(41)의 크기 및 두께를 변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은 도 3 내지 도 8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음료용 컵(10)을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으로 걸림턱(41)에 음료용 컵(10)이 닿기 전상태를 나타내며 걸림턱(41)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컵뚜껑(20)이 걸림턱(41)에 닿아서 탄성부(40)가 휘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다.
음료용 컵(10)을 본체(30)의 내부로 점점 밀어넣을 수록 탄성부(40)는 점점 더 크게 휘어지게 되고, 걸림턱(41)은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도 5 에는 걸림턱 (41)이 제 2 위치로 이동된 후에 컵뚜껑(20)이 걸림턱(41)을 통과하게 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후, 상기 음료용 컵(10)을 점차 진입반대방향인 아래방향으로 음료용 컵(10)을 잡아당기면 컵뚜껑(20)의 둘레부분이 걸림턱(41)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걸림턱(41)에 끼워맞춰진 컵뚜껑(20)은 음료용 컵(10)을 아래로 잡아당겨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만 컵뚜껑(20)과 결합되어 있던 음료용 컵(10)만이 아래로 떨어져 음료용 컵(10)과 컵뚜껑(2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후 컵뚜껑(20)은 음료용 컵(10)과는 별도로 본체(30)내부에 보관되며, 어느 정도 컵뚜껑(20)이 본체(30)내부에 쌓이게 되면, 본체(30)에서 컵뚜껑(20)을 수거하면 된다.
다만, 컵뚜껑(20)이 반드시 본체(30)내부에 보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음료용 컵(10)에서 분리된 후에 아래로 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주로 의도하는 바는 음료용 컵(10)과 컵뚜껑(20)을 분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이후에 컵뚜껑(20)의 보관 등에 관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충분히 변경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음료용 컵(10)은 본 발명에 따른 컵뚜껑 분리장치의 본체(30)내부로 밀어넣었다 빼는 단 한번의 동작으로 컵뚜껑(20)을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한손으로도 컵뚜껑(20)을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상기 탄성부(40)의 위치를 제 1 실시예와 같이 음료용 컵(10)의 진입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 아닌 진입방향과 수직 하면서 진입하는 컵뚜껑(2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턱(41)은 상기 탄성부(40)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음료용 컵(10)의 내부 또는 음료용 컵(10)의 진입방향과 평행한 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제 2 실시예의 작용은 제 1 실시예의 작용과 같이 도 8의 위치에서 점차 음료 컵(10)을 본체(30)에 밀어넣음으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탄성부와 걸림턱의 연결은 반드시 일체형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경첩과 같이 힌지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힌지연결시에는 탄성부 대신 구부러짐이 없는 별도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걸림턱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사이를 이동하게 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뚜껑분리장치는 음료를 다 마신후에 컵뚜껑을 한 손만으로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으며, 단 한번만의 넣고 빼는 동작만으로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갈고리의 탄성재질 및 탄성부의 폭과 넓이를 조정함에 의하여 컵뚜껑을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는 힘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컵뚜껑과 음료용 컵이 강하게 밀착고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편리하게 컵뚜껑을 분리해 낼 수 있다.

Claims (4)

  1. 음료용 컵에 덮혀있는 컵뚜껑을 분리하는 컵뚜껑 분리장치로서,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구멍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음료용 컵에 덮혀진 컵뚜껑이 진입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턱이 컵뚜껑에 의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컵뚜껑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한 후에는 상기 걸림턱이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컵뚜껑을 상기 걸림턱에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서 상기 컵뚜껑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지 못하고 음료용 컵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컵뚜껑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구멍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컵뚜껑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삽입구멍의 둘레에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구부러진 갈고리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분리장치.
KR20060015244A 2006-02-16 2006-02-16 컵뚜껑 분리장치 KR10071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5244A KR100716727B1 (ko) 2006-02-16 2006-02-16 컵뚜껑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5244A KR100716727B1 (ko) 2006-02-16 2006-02-16 컵뚜껑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727B1 true KR100716727B1 (ko) 2007-05-09

Family

ID=3827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5244A KR100716727B1 (ko) 2006-02-16 2006-02-16 컵뚜껑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7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728A (zh) * 2015-12-18 2016-05-25 吴伟峰 一种户外作业用的杯子
CN105595729A (zh) * 2015-12-18 2016-05-25 吴伟峰 一种易开盖的杯子
KR102087861B1 (ko) 2019-09-20 2020-03-12 (주)에스티아이 뚜껑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샘플링 장치
KR20210034454A (ko) 2019-09-20 2021-03-30 (주)에스티아이 뚜껑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샘플링 장치
KR20210034538A (ko) 2020-01-07 2021-03-30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샘플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701A (ja) * 1992-10-14 1994-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極板の製造法
KR19990068366A (ko) * 1999-04-29 1999-09-06 이병철 다기능쓰레기통
KR20000000114U (ko) * 1998-06-02 2000-01-15 오익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10086612A (ko) * 2001-07-23 2001-09-15 오익환 음성발신용 쓰레기 분리기기
KR20040039577A (ko) * 2002-11-02 2004-05-12 정용권 컵뚜껑 겸용 일회용 즉석식품용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701A (ja) * 1992-10-14 1994-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極板の製造法
KR20000000114U (ko) * 1998-06-02 2000-01-15 오익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9990068366A (ko) * 1999-04-29 1999-09-06 이병철 다기능쓰레기통
KR20010086612A (ko) * 2001-07-23 2001-09-15 오익환 음성발신용 쓰레기 분리기기
KR20040039577A (ko) * 2002-11-02 2004-05-12 정용권 컵뚜껑 겸용 일회용 즉석식품용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728A (zh) * 2015-12-18 2016-05-25 吴伟峰 一种户外作业用的杯子
CN105595729A (zh) * 2015-12-18 2016-05-25 吴伟峰 一种易开盖的杯子
KR102087861B1 (ko) 2019-09-20 2020-03-12 (주)에스티아이 뚜껑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샘플링 장치
KR20210034454A (ko) 2019-09-20 2021-03-30 (주)에스티아이 뚜껑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샘플링 장치
KR20210034538A (ko) 2020-01-07 2021-03-30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샘플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727B1 (ko) 컵뚜껑 분리장치
US20160374489A1 (en) Holster Beverage Holder
US7823724B2 (en) Paint roller sleeve storage container
EP2216287B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flexible bag
JP6578117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US20070295626A1 (en) Paint roller sleeve storage container
US20130020342A1 (en) Storing,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6347579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KR200451321Y1 (ko) 휴대용 컵
US20050061826A1 (en) Wipe dispenser and threader for wipe dispenser
US20050035134A1 (en) Wipe dispenser threader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KR200417042Y1 (ko) 스포츠용 볼 휴대케이스
CA2939519C (en) Bag reloading garbage unit
JP6803208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KR101444888B1 (ko) 우산비닐회수장치
KR101427297B1 (ko) 포장용 랩 홀더
CN109310267B (zh) 清扫工具
KR20150065716A (ko) 점착식 클리너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JP696002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3065579U (ja) 異物取出装置
KR200422357Y1 (ko) 식품용기의 뚜껑부 결합장치
KR200193704Y1 (ko) 왕관따개
KR101193931B1 (ko) 캔따개용 안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