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297B1 - 포장용 랩 홀더 - Google Patents

포장용 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297B1
KR101427297B1 KR1020120131523A KR20120131523A KR101427297B1 KR 101427297 B1 KR101427297 B1 KR 101427297B1 KR 1020120131523 A KR1020120131523 A KR 1020120131523A KR 20120131523 A KR20120131523 A KR 20120131523A KR 101427297 B1 KR101427297 B1 KR 10142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lap
wrapping
protrud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320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이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영 filed Critical 이종영
Priority to KR102012013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4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의 절단면을 일정하게 자를 수 있는 포장용 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용 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랩통, 랩통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랩통에 덮개부를 닫은 상태에서 포장용 랩에서 인출된 랩 일부를 절단하는 칼날을 구비한 절단부, 수용 공간에 위치한 상기 포장용 랩을 지지하는 랩지지부, 랩지지부에 지지된 포장용 랩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랩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랩통 안에 랩지지부를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여 랩의 교체가 용이하고, 랩의 일단을 잡기 쉽게 하여 랩의 인출을 도울 수 있으며, 랩통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덮개부를 쉽게 여닫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포장용 랩 홀더{A Wrap Hold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해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흔히 사용하는 롤형상의 랩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용 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랩이 끼워진 랩지지부가 랩통 안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잘리는 부분에서 랩이 팽팽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랩을 일정하게 자를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포장용 랩(wrap)은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을 롤 형상으로 감아서 직육면체의 포장체에 수용하고, 사용시에는 포장체에 수용된 롤 형상의 랩의 일단을 외부로 당겨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 후 자르고자 하는 부위를 포장체의 일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커팅도구에 접촉시켜 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커팅도구는 주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랩을 자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로 인출된 랩의 일단을 파지하고서 자르고자 하는 부분을 톱니 위에 걸친 후 톱니가 랩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포장체를 위로 당기거나 파지한 랩을 아래로 당기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용 랩의 경우 사용자가 포장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랩을 자를 때 톱니 위에 걸쳐진 랩이 고정되지 않고 미끄러짐으로써 랩이 일정하게 잘려지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랩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커팅도구를 슬라이딩 나이프 형식으로 구성하여 랩의 절단면을 일정하게 하려는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상기 슬라이딩 나이프를 이용한 랩커터는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선된 랩커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외부로 인출된 랩이 잘리는 부분의 양단에서 팽팽하게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커팅도구 위에 올려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나이프가 랩의 표면을 지나가는 경우 얇은 필름의 특성상 랩이 절단 방향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나이프에 의한 랩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7208호(2003. 6. 25.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롤 형상의 포장용 랩을 수용하는 랩 홀더에 있어서, 랩통 안에 위치한 랩지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외부로 인출된 랩을 절단하는 경우 랩이 팽팽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랩의 절단면을 일정하게 자를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랩통 안에 랩지지부를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여 랩의 교체가 용이한 포장용 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랩통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덮개부를 쉽게 여닫을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포장용 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장용 랩 홀더는, 포장용 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랩통; 상기 랩통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랩통에 상기 덮개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포장용 랩에서 인출된 랩 일부를 절단하는 칼날을 구비한 절단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한 상기 포장용 랩을 지지하는 랩지지부; 상기 랩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포장용 랩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랩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랩통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막음된 보호 케이스, 상기 보호 케이스의 양단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구, 상기 보호 케이스의 양단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랩통의 일측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포장용 랩의 인출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출된 랩의 일부를 걸쳐 놓기 위한 돌출 거치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 거치대에 놓여진 랩의 일부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거치대와 상기 누름판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요철 구조를 적용하되, 상기 누름판의 제1누름구는 상기 돌출 거치대의 경사면에 얹혀져 면접촉하고, 상기 누름판의 제2누름구는 상기 돌출 거치대의 요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용 랩의 인출을 돕기 위해 상기 돌출 거치대 상면에 부분적으로 움푹하게 형성한 인출홈, 상기 돌출 거치대에 상하 방향으로 뚫려진 안내홈을 따라 상기 절단부가 이동하고, 상기 안내홈의 하부를 막음 처리하기 위하여 결합된 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랩지지부는 상기 포장용 랩을 끼워 고정하는 걸이봉과, 상기 걸이봉에 끼워진 포장용 랩의 내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걸이봉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랩지지부의 걸이봉 양단을 상기 끼움구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랩지지부는 상기 걸이봉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에 끼움 결합되는 걸이구와, 상기 걸이구 외측면에 형성한 쐐기형 걸림턱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쇄기형 걸림턱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눌림이 해제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복수의 스톱퍼는 상기 걸이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교호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랩가이드부재는 상기 걸이구 외측에 끼워지도록 고리 모양의 외관을 갖고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선단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선단에 의해 상기 스톱퍼가 눌러지면 상기 걸이구 안쪽으로 이동하고, 눌림 해제된 상기 스톱퍼가 상기 랩가이드부재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덮개 몸체, 상기 덮개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회동 손잡이, 상기 랩가이드부재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는 랩통 안에 끼워진 랩가이드부재를 덮개부의 누름편으로 구속함과 아울러 돌출 거치대와 누름판에 요철 구조를 적용하여 인출된 랩의 표면을 압착한 상태에서 절단부를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절단 과정에서 랩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절단 방향으로 랩이 뭉쳐지지 않으므로 절단면을 일정하게 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탈 구조를 적용하여 랩이 끼워진 랩지지부를 랩통 안에 넣거나 꺼내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랩의 교체가 용이하고, 돌출 거치대에 형성한 인출홈을 이용하여 랩의 일단을 잡기 쉽게 하여 랩의 인출을 도울 수 있으며, 랩통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덮개부를 쉽게 여닫을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부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랩지지부의 걸이봉 양측에 랩가이드부재를 끼우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랩통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a는 덮개부를 열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덮개부의 하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의 사용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는 랩통 안에 랩을 장착한 경우이고, (b)는 랩을 인출하고 덮개부를 닫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c)는 인출된 랩의 일부를 절단부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용 랩 홀더(1)는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랩통(100)과, 랩통(10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 몸체(201)를 구비한 덮개부(200)와, 랩통(100) 안에 위치한 포장용 랩을 지지하는 랩지지부(300), 그리고 포장용 랩에서 인출한 랩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부(400)를 포함한다.
랩통(100)은 포장용 랩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움푹하게 파인 보호 케이스(102)를 구비한다. 보호 케이스(102) 양단은 막음 처리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102) 양단 내측에 랩지지부(300) 양단을 끼우기 위한 끼움구(101)를 형성한다. 끼움구(101)에 대한 구조는 도 7에 따라 후술하기로 한다.
랩통(100) 상단 일측에 돌출 거치대(110)를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덮개부(200) 일측에 누름판(220)을 연장 형성하는데, 덮개부(200)를 회동시켜 닫으면 돌출 거치대(110) 위에 누름판(220)이 놓여진다.
돌출 거치대(110) 상면에 경사면(111), 안내홈(112), 요홈(113)을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한다. 경사면(111)이 상면 모서리에 위치하고, 요홈(113)이 상면 뒷쪽에 위치하며, 안내홈(112)이 경사면(111)과 요홈(113) 사이에 위치한다.
돌출 거치대(110) 상면 부위 중 경사면(11)과 안내홈(112)을 이어주는 표면은 매끄럽게 가공하여 인출된 랩의 표면이 잘 접착되게 하고, 안내홈(112)과 요홈(113)을 이어주는 표면은 거칠게 가공하여 랩이 붙지 않도록 하여 다시 인출할 때 랩의 일단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안내홈(112)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절단부(400)의 칼날(402)이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요홈(113)의 중도에 상대적으로 깊게 파인 인출홈(122)을 형성한다. 인출홈(122)은 안내홈(112) 뒤쪽에 근접 위치하여 랩지지부(300)에 감긴 랩의 일단을 잡기 쉽게 하여 랩의 인출을 돕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절단부(400)는 칼날(402)을 이동시키기 위한 칼날 손잡이(401)와 칼날(402)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칼날 지지부(403)를 포함한다.
한쪽 칼날 지지부(403a)의 내측 상부에 한쌍의 결합돌기(404a)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다른 쪽 칼날 지지부(403b)의 내측 하부에 결합돌기(404b)를 일체로 돌출 형성한다. 두 칼날 지지부(403a)(403b) 사이에 칼날(402)을 위치시키고, 서로 맞대어 결합하면 한쪽 칼날 지지부(403a)의 상부 결합돌기(404a)가 칼날(402)의 끼움공을 관통하여 다른 쪽 칼날 지지부(403b)의 끼움공에 결합된다. 이와 함께 다른 쪽 칼날 지지부(403b)의 하부 결합돌기(404b)가 한쪽 칼날 지지부(403a)의 끼움공에 결합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칼날지지부(403a)(403b)를 결합하고 그 상부가 돌출 거치대(110)의 안내홈(112)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끼워지는데, 상부는 안내홈(112)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걸려지며, 두 칼날 지지부(403a)(403b) 상부에 칼날 손잡이(401)를 눌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절단부(400)의 칼날 손잡이(401)는 돌출 거치대(110)의 상면에 노출되는 한편 칼날(402)과 칼날 지지부(403)는 안내홈(112) 내부와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절단부(400)를 설치한 후 하판(140)으로 돌출 거치대(110) 하부를 막음 처리한다.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판(140)은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칼날지지부(403a)(403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안내레일(141)이 일정 높이만큼 입설되고 그 안내레일(141)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돌기(142)를 형성한다. 고정 돌기(142)는 돌출 거치대(11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공(미도시)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6을 참고하여, 랩지지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걸이봉(310), 걸이봉(310) 외측면에 일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복수의 지지편(311), 걸이봉(310) 양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이구(312)를 포함한다.
걸이구(312) 외측면에 쐐기형 걸림턱을 구비한 복수의 스톱퍼(320)를 형성한다. 여기서 쐐기형 걸림턱은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부분이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턱이 눌려지고 외력이 해제되면 우너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다.
복수의 스톱퍼(320)는 바깥에서 안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교호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320) 개수와 배치 구조는 제품의 용도와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걸이봉(310)에 포장용 랩이 끼워진 후, 양측 걸이구(312)에 랩가이드부재(330)가 끼워진다. 랩가이드부재(330)는 걸이구(312) 외측에 끼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의 외관을 가지며, 일측 방향을 연장된 가이드 선단(331)을 형성한다.
랩가이드부재(330)를 걸이구(312)로 진입 시 가이드 선단(331)은 스톱퍼(320)를 누르며 이에 따라 걸이구(312)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후 가이드 선단(331)에 의한 스톱퍼(320) 눌림이 해제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랩가이드부재(330)의 타측을 걸림 지지하게 된다.
복수의 지지편(311)은 일정 거리 떨어져서 걸이봉(310)에 끼워지는 포장용 랩의 내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포장용 랩은 지지편(311)에 조금 헐겁게 지지됨으로써 랩 인출 시 포장용 랩이 원활하게 돌아가면서 랩의 일부가 풀려지도록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끼움구(101)에 걸이구(312) 외면이 끼워지게 된다. 걸이봉(310)을 들어 올리면 끼움구(101)에서 걸이구(312)가 빠져나와 분리된다. 이에 따라 랩지지부(300)는 랩통(100) 안에 넣거나 꺼내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랩통(100)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103)에 덮개부(200)의 끼움홈(202)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덮개부(200)는 덮개 몸체(201) 내측면 양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한 한쌍의 누름편(203)을 각각 구비한다. 덮개부(200)를 닫으면 한쌍의 누름편(203)이 랩지지부(300)의 걸이구(312)를 구속시켜 랩(A)의 인출 시 걸이봉(310)에 끼워진 랩(A)의 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판(220)은 절단부(400)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슬라이딩 홈(221)과, 그 누름판(220) 하부면에 슬라이딩 홈(221)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복수의 누름구(222)을 구비한다.
선단에 형성한 제1누름구(222a)는 경사지게 돌출되어, 돌출 거치대(110)의 경사면(111)에 면접촉함으로써 돌출 거치대(110) 상면에 놓여진 랩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누름구(222b)는 제1누름구(222a) 뒷쪽에 위치하며, 돌출 거치대(110)의 요홈(113)에 끼워짐으로써 돌출 거치대(110) 상면에 놓여진 랩(A)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덮개부(200)는 덮개 몸체(201)의 외측에 완만하게 외향 돌출되고 안쪽에 홈이 파인 회동 손잡이(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손으로 랩통(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회동 손잡이(210)를 밀거나 당겨 덮개 몸체(201)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1)는 도 9 (a)와 같이 덮개부를 열어 랩통 안에 랩(A)이 끼워진 랩지지부를 설치하고, 도 9 (b)와 같이 랩(A) 일부를 밖으로 인출하여 덮개부를 닫는다. 그런 다음 도 9 (c)와 같이 절단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출된 랩(A)의 일부를 절단한다.
한편, 지금까지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랩 홀더는 랩통(100)과 덮개부(200)를 분해 또는 결합가능한 착탈 구조를 적용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실시예와 다르게 랩통(100)과 덮개부(200)의 연결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랩통(100)의 끼움돌기(103)와 덮개부(200)의 끼움홈(202)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고, 각 관통공에 단일 원형봉을 차례로 끼움으로서 랩통(100)에 대해 덮개부(200)가 회동하는 구조로서, 이를테면 경첩구조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랩통(100)의 끼움돌기(103)와 덮개부(200)의 끼움홈(202)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가 분리되지 아니하고 일체로 연결한 이음구조를 적용하되, 랩통(100)과 덮개부(200)의 재질로서 플렉시블한 연질 수지로 제조하고 그 이음 부위에 주름을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접철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를테면 바인더의 접철 구조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덮개부(200)를 회동시키기기 위한 회동 손잡이(210)를 적용한 경우에는 랩통(100)으로부터 덮개부(200)를 열고자 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덮개부(200)가 회동 방향으로 과도하게 젖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을 고려하여, 랩통(100)과 덮개부(200) 중 어느 일측에 돌출 스톱퍼를 형성하여, 일정 각도이상 덮개부(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재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랩통 안에 끼워진 랩가이드부재를 덮개부의 누름편으로 구속함과 아울러 돌출 거치대와 누름판이 서로 맞물려 인출된 랩의 표면을 압착한 상태에서 절단부를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절단 과정에서 랩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절단 방향으로 랩이 뭉쳐지지 않으므로 절단면을 일정하게 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랩통 양단에 형성한 끼움구에 걸이봉 양단을 끼우는 착탈 구조를 적용하여 랩을 넣거나 꺼내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랩의 교체가 용이하고, 랩통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덮개부를 쉽게 여닫을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1 : 포장용 랩 홀더 100 : 랩통
101 : 끼움구 102 : 보호 케이스
103 : 끼움돌기 110 : 돌출 거치대
111 : 경사면 112 : 안내홈
113 : 요홈 122 : 인출홈
140 : 하판 141 : 안내레일
142 : 고정돌기 200 : 덮개부
201 : 덮개 몸체 202 : 끼움홈
203 : 누름편 210 : 회동 손잡이
220 : 누름판 221 : 슬라이딩 홈
222, 222a, 222b : 누름구 300 : 랩지지부
310 : 걸이봉 311 : 지지편
312 : 걸이구 320 : 스톱퍼
330 : 랩가이드부재 331 : 가이드 선단
400 : 절단부 401 : 칼날 손잡이
402 : 칼날 403, 403a, 403b : 칼날 지지부
404a, 404b : 결합돌기

Claims (8)

  1. 포장용 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랩통;
    상기 랩통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랩통에 상기 덮개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포장용 랩에서 인출된 랩 일부를 절단하는 칼날을 구비한 절단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한 상기 포장용 랩을 지지하는 랩지지부;
    상기 랩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포장용 랩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랩가이드부재;
    상기 랩통의 일측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포장용 랩의 인출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출된 랩의 일부를 걸쳐 놓기 위한 돌출 거치대; 및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 거치대에 놓여진 랩의 일부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누름구를 구비한 누름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거치대와 상기 누름판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요철 구조를 적용하되, 상기 누름판의 선단에 경사지게 돌출 형성한 제1누름구는 상기 돌출 거치대의 경사면에 얹혀져 면접촉하고, 상기 누름판의 제1누름구 뒷쪽에 돌출 형성한 제2누름구는 상기 돌출 거치대의 요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통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막음된 보호 케이스, 상기 보호 케이스의 양단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구, 상기 보호 케이스의 양단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랩의 인출을 돕기 위해 상기 돌출 거치대 상면에 부분적으로 움푹하게 형성한 인출홈,
    상기 돌출 거치대에 상하 방향으로 뚫려진 안내홈을 따라 상기 절단부가 이동하고, 상기 안내홈의 하부를 막음 처리하기 위하여 결합된 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랩지지부는 상기 포장용 랩을 끼워 고정하는 걸이봉과, 상기 걸이봉에 끼워진 포장용 랩의 내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걸이봉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랩지지부의 걸이봉 양단을 상기 끼움구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랩지지부는 상기 걸이봉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에 끼움 결합되는 걸이구와, 상기 걸이구 외측면에 형성한 쐐기형 걸림턱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쇄기형 걸림턱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눌림이 해제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복수의 스톱퍼는 상기 걸이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교호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랩가이드부재는 상기 걸이구 외측에 끼워지도록 고리 모양의 외관을 갖고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선단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선단에 의해 상기 스톱퍼가 눌러지면 상기 걸이구 안쪽으로 이동하고, 눌림 해제된 상기 스톱퍼가 상기 랩가이드부재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덮개 몸체, 상기 덮개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회동 손잡이, 상기 랩가이드부재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랩 홀더.

KR1020120131523A 2012-11-20 2012-11-20 포장용 랩 홀더 KR10142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23A KR101427297B1 (ko) 2012-11-20 2012-11-20 포장용 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23A KR101427297B1 (ko) 2012-11-20 2012-11-20 포장용 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20A KR20140064320A (ko) 2014-05-28
KR101427297B1 true KR101427297B1 (ko) 2014-08-06

Family

ID=5089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23A KR101427297B1 (ko) 2012-11-20 2012-11-20 포장용 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9831A (zh) * 2018-05-31 2018-10-12 三门华和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断膜功能的包装筒
CN108639832A (zh) * 2018-05-31 2018-10-12 三门华和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断膜包装筒
KR102334714B1 (ko) * 2019-08-02 2021-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 스티커 안전 절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857A (ko) * 2005-10-07 2007-04-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랩 케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857A (ko) * 2005-10-07 2007-04-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랩 케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20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97B1 (ko) 포장용 랩 홀더
KR101358418B1 (ko) 테이프 접힘 기능을 갖는 테이프 컷터기
KR100724603B1 (ko) 랩 케이스 장치
US8967440B2 (en) Wrapping film dispenser
KR20190091660A (ko) 물티슈 케이스 커버
JP5806055B2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
KR101135991B1 (ko) 테이프 원터치 커팅기
KR200483035Y1 (ko) 롤러식 먼지제거기
KR101609098B1 (ko) 박스포장용 테이프 절단기
KR20130109334A (ko) 절단용 슬라이드가 부착된 랩 케이스
KR101415696B1 (ko) 포장용 랩 홀더
JP3149796U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とその収納ボックス
KR101581123B1 (ko) 포장용 랩 홀더
JP4312073B2 (ja) ラップフィルム巻物収納箱
KR101746392B1 (ko) 포장 랩 포장 패키지
KR101322569B1 (ko) 접철식 축홀더가 구비된 래핑기구
KR200364723Y1 (ko) 테이프 커팅기의 프리사이즈 나이프용 안전덮개
KR102304855B1 (ko)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KR101502685B1 (ko) 롤 필름 수납용기
JP2015212174A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の受け皿システム。
KR20190035118A (ko)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뚜껑
KR20140125703A (ko) 랩 절단기
KR200392331Y1 (ko) 포장 랩 절단장치
KR200472683Y1 (ko) 식품 포장 용기
KR101746394B1 (ko) 커터를 포함한 포장 랩 포장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