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855B1 -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855B1
KR102304855B1 KR1020200063134A KR20200063134A KR102304855B1 KR 102304855 B1 KR102304855 B1 KR 102304855B1 KR 1020200063134 A KR1020200063134 A KR 1020200063134A KR 20200063134 A KR20200063134 A KR 20200063134A KR 102304855 B1 KR102304855 B1 KR 10230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le
type blade
torsion spring
re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센
Priority to KR102020006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6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봉지용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내장된 토션스프링을 수단으로 하여 절단부재에 탄설지지되는 직도 형태의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에 의해 포장봉지의 일측 절개부를 절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Cutting apparatus for package bag}
본 발명은 포장봉지, 바람직하기로는 일회용 밀폐 포장팩을 절취하여 개봉을 돕는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봉지는 분말상, 입상, 액상 등의 내용물 변질을 막기 위해 연질 재질을 이용하여 밀폐 포장되어 있다. 예컨대, 스틱형 포장봉지(커피믹스, 조미료, 건강식품 등 포장봉지)는 포장봉지를 쉽고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치(notch)부 또는 이지-컷(easy-cut line)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스틱형 포장봉지는 전술되었듯이 노치부 또는 이지-컷을 따라 개방하기 위해서는 두 손을 사용해야만 하고, 노약자들은 손가락 힘이 약해서 절취가 용이하지 않고, 물기가 있는 손으로 개봉하는 경우에는 포장봉지 절취시 미끄러져 의도한 대로 개봉되지 않는다. 간혹 내용물이 밖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에, 일부 사용자는 번거롭더라도 가위를 사용하고 있는 데 간혹 내용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잘려진 봉지 조각을 주워 쓰레기통에 넣는 것도 불편함을 준다.
특허문헌 1의 '일회용 커피공급장치'는 절단칼을 이용하여 커피봉지의 일측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절단부는 경사안내로의 끝단에 배치된 절단칼을 하향 가압하여 커피봉지의 일측을 절단하게 되는데, 절단칼의 하향가압시 연질 커피봉지의 일측이 예상치 못하게 꺾여져서 커피봉지의 절단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933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토션스프링을 수단으로 하여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에 의해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취할 수 있는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케이스와;
전면 패널과, 전면 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 패널,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개재된 토션스프링을 갖추고,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수용하도록 케이스의 전면부 일측에 배치된 절단부재;
절단부재에 내장된 토션스프링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설지지되어 케이스의 전면부 타측을 향해 길이연장된 바타입 블레이드; 및
바타입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케이스의 전면부 타측에서 수직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바타입 블레이드는 누름부재의 누름 조작에 연동되어 절단부재에 인입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절단부재는 제1 인입공과 제1 축공을 구비한 전면 패널과; 제1 인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인입공과, 제1 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축공, 토션스프링의 일 단부를 삽입하는 호형 장공, 및 토션스프링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는 결합공을 구비한 후면 패널; 및 전면 패널의 제1 축공과, 토션스프링의 권선부, 바타입 블레이드의 관통공, 및 후면 패널의 제2 축공을 가로질러 배치된 축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은 제1 인입공 유입측에 배치된 삽입 안내부와, 토션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 패널의 내부면에 축공 주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한편, 후면 패널은 제2 인입공 유출측에 배치된 걸림턱과, 후면 패널의 내부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간격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후면 패널의 제2 인입공 하부를 제2 만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누름부재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수용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전면부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로 상부면과 전면 상단을 개방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외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전방 구획벽과; 전방 구획벽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도록 전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내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후방 구획벽; 좌측면부의 내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우측면부의 내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 및 전방 구획벽과 후방 구획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동일 평면 상에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전면 패널과, 전면 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 패널,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개재된 토션스프링을 갖추고,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수용하는 절단부재와;
절단부재에 내장된 토션스프링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설지지되어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된 바타입 블레이드; 및
바타입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누름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바타입 블레이드는 누름부재의 누름 조작에 연동되어 절단부재에 인입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절단부재는 제1 인입공과 제1 축공을 구비한 전면 패널과; 제1 인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인입공과, 제1 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축공, 토션스프링의 일 단부를 삽입하는 호형 장공, 및 토션스프링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는 결합공을 구비한 후면 패널; 및 전면 패널의 제1 축공과, 토션스프링의 권선부, 바타입 블레이드의 관통공, 및 후면 패널의 제2 축공을 가로질러 배치된 축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은 토션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 패널의 내부면에 축공 주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한편, 후면 패널은 후면 패널의 내부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간격부와, 후면 패널의 외부면 가장자리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후면 패널의 제2 인입공 하부를 제2 만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의 일측 상단을 라운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누름 조작을 통한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으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커팅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중에서 쉽게 구매가능한 커터 칼날을 바타입 블레이드로 채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조달 비용이 현저히 저감되고 바타입 블레이드 파손시 바타입 블레이드의 용이한 교체를 가능하게 돕는다.
특히, 본 발명은 절단될 포장봉지의 절개부 아래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직도(直刀) 형태를 갖는 바타입 블레이드를 사용하여도 더욱 용이하고 깔끔한 절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팅장치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설계가능하여 얇은 종이 재질의 포장상자 혹은 케이스 등에 쉽게 탈거 및/또는 장착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바타입 블레이드를 갖춘 절단부재를 전술된 바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하여 포장박스에 사각형 구멍을 내어 삽입하거나, 마그네틱이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다양한 위치에 부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으로 절취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절단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단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토션스프링을 수단으로 하여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에 의해 포장봉지의 일측을 절취하여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절단된 포장봉지의 절단편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1)는 케이스(110)와, 케이스의 전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절단부재(120), 절단부재에 내장된 토션스프링(S)을 수단으로 하여 절단부재(120)에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130), 및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누름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10)는 전술되었듯이 전면에 절단부재(120)와 누름부재(140)를 배치하고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구성부재로서, 내부공간에는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누름 조작으로 절단된 포장봉지의 절단편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상부면과 전면 상단을 개방한 개구부(참조번호 없음)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부재(120)와 누름부재(140)의 배치 뿐만 아니라 절단부재와 누름부재의 분해 및/또는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면부(111)와 이와 마주보는 후면부(112), 좌측면부(113)과 이와 마주보는 우측면부(114), 전면부(111)의 상측 가장자리 외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전방 구획벽(115), 및 전면부(111)의 상측 가장자리 내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되며 상기 전방 구획벽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후방 구획벽(116)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케이스(110)는 전방 구획벽(115)과 후방 구획벽(116)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덧붙여서, 케이스(110)는 전면부(111)와 인접한 좌측면부(113)의 내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제1 가이드 홈(113a)을 형성한다.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110)는 전면부(111)와 인접한 우측면부(114)의 내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제2 가이드 홈(114a)을 형성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전방 및 후방 구획벽(115,116)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1 가이드 홈(113a), 및 제2 가이드 홈(114a)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전방 및 후방 구획벽(115,116)은 케이스의 전면부 일측과 전면부 타측을 구분하는 경계로서 제공된다. 여기서, 전방 구획벽은 가늘고 긴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구획벽(116)은 케이스(110)의 내부공간 내에서 누름부재(140)의 이동 경로를 한정하기 위해 전면부(111)의 내부면과 우측면부(114)의 내부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전면부(111)와, 후면부(112), 좌측면부(113), 및 우측면부(114)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의 하측을 저면부(117)로 폐쇄하여 절단된 포장봉지의 절단편을 내부공간 내에 수거/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선택가능하기로, 저면부(117)는 케이스(110)의 하부면에서 탈장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개방된 상부면을 덮개부(118)로 내부공간의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케이스는 상부면과 전면 상단을 개방한 개구부를 절단부재, 누름부재, 덮개부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절단부재(120)는 누름부재(140)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각운동 가능하도록 돕는 구성부재로서, 전면 패널(121)와 후면 패널(122) 사이에서 바타입 블레이드(130)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재(120)의 좌측 선단은 제1 가이드 홈(113a) 내에 삽입배치되는 한편 절단부재(120)의 우측 선단은 전방 구획벽(115)과 후방 구획벽(116)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삽입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절단부재(120)는 전면 패널(121)과, 전면 패널(121)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 패널(122),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각운동을 유도하는 토션스프링(S), 및 토션스프링과 바타입 블레이드의 위치선정을 돕는 축핀(123)으로 구성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축핀은 볼트와 너트의 볼팅체결을 통해 일부 구성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면 패널(121)은 케이스(110)의 전면부 일측에 배열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의 내부 영역에 포장봉지의 절개부에 인입을 허용하는 제1 인입공(121a)과 축핀(123)의 관통을 허용하는 제1 축공(121b)을 구비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전면 패널(121)은 제1 인입공(121a) 유입측 둘레를 따라 전면패널의 외부면에 삽입 안내부(121d)를 배치할 수 있다. 삽입 안내부(121d)는 제1 인입공(121a) 내로 포장봉지의 용이한 삽입을 보장할 수 있도록 삽입 안내부 내측 둘레를 따라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면 패널(121)은 이의 내부면에 수용부(121e)를 오목하게 형성하는데, 수용부(121e)의 내부 영역에 전술된 축공(121b)을 배치한다. 수용부(121e)는 토션스프링(S)을 안착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전면 패널(121)의 내부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21f)를 형성하는데, 오목부(121f)의 내부 영역에 제1 인입공(121a)을 배치한다. 오목부(121f)는 제1 인입공의 하부에 대해 오목부의 하부를 전면 패널의 우측 선단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제1 만곡면(121g)으로 형성되는데, 제1 만곡면은 바타입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된다.
후면 패널(122)은 케이스(110)의 전면부 일측에 배열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 패널(121)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이의 내부 영역에 포장봉지의 절개부에 관통을 허용하도록 제1 인입공(121a)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 제2 인입공(122a)과, 축핀(123)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제1 축공(1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 제2 축공(122b),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를 삽입하는 호형 장공(122c), 및 토션스프링(S)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는 결합공(122d)을 구비한다. 도시되었듯이, 호형 장공(122c)은 제2 인입공(122a)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편 결합공(122d)은 호형 장공(122c)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덧붙여서, 후면 패널(122)은 내부면, 다시 말하자면 전면 패널의 내부면과 대향되는 후면 패널의 내부면 가장자리에 간격부(122e)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부(122e)는 바타입 블레이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후면 패널(122)의 우측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 선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절단부재(120)는 간격부(122e)를 수단으로 하여 전면 패널의 내부면과 후면 패널의 내부면 사이에 유격을 제공하여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각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토션스프링(S)의 수용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후면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간격부는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불필요한 상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패널(122)은 도시되었듯이 제2 인입공(122a)을 전면 패널(121)의 오목부(121f)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천공할 수 있다. 제2 인입공(122a)의 하부는 후면 패널의 우측 선단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제2 만곡면(122g)을 구비하는바, 제2 만곡면은 바타입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만곡면(122g)과 제1 만곡면(121g)은 동일 곡률을 갖는다.
선택가능하기로, 후면 패널(122)은 제1 인입공(121a)과 제2 인입공(122a)을 통과한 포장봉지의 절개부에 인입 정도를 제한하는 걸림턱(122f)을 제2 인입공(122a) 유출측에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1 인입공(121a)의 편평한 바닥면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제1 및 제2 만곡면(121g,122g)을 통해 직도(直刀) 형태로 형성된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하향 가압시 칼날과 봉지가 만나는 각도를 점차 증대시켜 원활한 절단을 가능하게 돕는다. 가정하여 만곡면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블레이드(130)의 하향 가압시 칼날과 봉지가 만나는 각도는 절단의 초입지점에서 후방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즉, 절단의 후방지점으로 갈수록 칼날과 봉지가 만하는 각도가 줄어들어서 연질의 봉지를 절단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상기와 같이 만곡면을 구성함으로써 절단의 후방지점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절단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바타입 블레이드의 하향 가압시 포장봉지의 본체는 제1 인입공의 바닥면 상에 편평하게 배치되고 포장봉지의 절개부는 제1 및 제2 만곡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휘어져 포장봉지의 절개부에만 비틀림을 제공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절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타입 블레이드(130)는 토션스프링(S)을 위치고정하는 축핀(123)으로 내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전면 패널(121)의 내부면과 후면 패널(122)의 내부면 사이에서 절단부재(120)의 우측 선단을 지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데, 바타입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는 전방 구획벽(115)과 후방 구획벽(116)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해 전면부 타측에 배치된 누름부재의 슬롯에 삽입된다.
바타입 블레이드(130)는 시중에서 문구용 등으로 판매되는 커터 칼날으로서 내측 단부에 관통공(131)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전면 패널(121)의 제1 축공(121b)과, 토션스프링(S)의 권선부(참조부호 없음),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관통공(131), 및 후면 패널(122)의 제2 축공(122b)을 가로지르는 축핀(123)을 중심으로 하여 바타입 블레이드(130)를 선회가능하게 결합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를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칼날을 형성한 하단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호형 장공(122c) 내로 삽입한다. 누름부재(140)의 누름 조작에 종속되어, 바타입 블레이드로 가압된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는 호형 장공의 형성방향을 따라 활주이동하게 된다.
누름부재(140)는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되, 누름부재의 우측 선단은 제2 가이드 홈(114a) 내에 삽입배치되는 한편 누름부재의 좌측 선단은 전방 구획벽(115)과 후방 구획벽(116)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삽입배치된다. 누름부재(140)는 제2 가이드 홈 그리고 전방 및 후방 구획벽(115,116)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방향을 따라 수직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누름부재(140)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141)을 구비하는데, 슬롯(141)은 누름부재의 모서리 둘레, 즉 좌측면에서 하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1)는 전면 패널(121)의 제1 인입공(121a)을 통해 절단부재에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삽입한 다음에, 누름부재(140)의 누름 동작을 통한 외력으로 바타입 블레이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축핀(123)을 중심으로 바타입 블레이드(130)를 강제로 하방으로 선회이동시켜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칼날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된 포장봉지의 절단편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다.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S)에 의해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13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토션스프링(S)의 탄성복원력에 위해 바타입 블레이드(130)를 상방 이동시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토션스프링을 수단으로 하여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에 의해 포장봉지의 일측을 절취하여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예컨대 포장상자(B) 일부를 절취한 개봉부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장착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2)는 포장상자의 개봉부에서 탈장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절단부재(220)와, 절단부재에 내장된 토션스프링(S)을 수단으로 하여 절단부재(220)에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230), 및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누름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포장상자(B)는 스틱형 포장봉지(예를 들어 커피믹스 포장봉지)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종이 재질, 합성수지 재질의 구성부재이다. 포장상자(B)는 하단에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포장상자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상단에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본 발명의 커팅장치(2)를 거치할 수 있는 개봉부(B')를 제공할 수 있다.
절단부재(220)는 누름부재(240)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각운동 가능하도록 돕는 구성부재로서, 전면 패널(221)과 후면 패널(222) 사이에서 바타입 블레이드(230)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부재(220)는 전면 패널(221)과, 전면 패널(221)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 패널(222),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각운동을 유도하는 토션스프링(S), 및 토션스프링과 바타입 블레이드의 위치선정을 돕는 축핀(223)으로 구성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축핀은 볼트와 너트의 볼팅체결을 통해 일부 구성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면 패널(221)은 예컨대 포장박스의 개봉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의 내부 영역에 포장봉지의 절개부에 인입을 허용하는 제1 인입공(221a)과 축핀(223)의 관통을 허용하는 제1 축공(221b)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전면 패널(221)의 일측, 예컨대 바타입 블레이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전면 패널(221)의 우측면 상단을 라운딩(rounding)되게 형성된다, 이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시 누름부재와 전면 패널의 우측 선단 간에 접촉 기회를 미연에 배제하는 동시에 바타입 블레이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면 패널(221)은 이의 내부면에 수용부(221e)를 오목하게 형성하는데, 수용부(221e)의 내부 영역에 전술된 축공(221b)을 배치한다. 수용부(221e)는 토션스프링(S)을 안착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전면 패널(221)의 내부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1f)를 형성하는데, 오목부(221f)의 내부 영역에 제1 인입공(221a)을 배치한다. 오목부(221f)는 제1 인입공의 하부에 대해 오목부의 하부를 전면 패널의 우측 선단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제1 만곡면(221g)으로 형성하는데, 제1 만곡면은 바타입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된다.
후면 패널(222)은 예컨대 포장박스의 개봉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 패널(221)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이의 내부 영역에 포장봉지의 절개부에 관통을 허용하도록 제1 인입공(2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 제2 인입공(222a)과, 축핀(223)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제1 축공(2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 제2 축공(222b),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를 삽입하는 호형 장공(222c), 및 토션스프링(S)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는 결합공(222d)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후면 패널(222)의 일측, 예컨대 바타입 블레이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후면 패널(222)의 우측면 상단을 라운딩되게 형성한다. 이는 바타입 블레이드의 각운동시 누름부재와 후면 패널의 우측 선단 간에 접촉 기회를 미연에 배제하는 동시에 바타입 블레이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는 후면 패널(222)의 외부면 둘레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222h)를 포장상자(B)의 개봉부(B') 내측 둘레면과 대면접촉되게 배치하여 포장상자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물론, 지지부(222h)는 바타입 블레이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후면 패널의 우측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 선단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지지부의 높이가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전면 패널의 외부면 둘레에도 배치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도시되었듯이, 호형 장공(222c)은 제2 인입공(222a)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편 결합공(222d)은 호형 장공(222c)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덧붙여서, 후면 패널(222)은 내부면, 다시 말하자면 전면 패널의 내부면과 대향되는 후면 패널의 내부면 가장자리에 간격부(222e)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부(222e)는 바타입 블레이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후면 패널(222)의 우측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 선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절단부재(220)는 간격부(222e)를 수단으로 하여 전면 패널의 내부면과 후면 패널 사이의 내부면 사이에 유격을 제공하여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각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토션스프링(S)의 수용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후면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간격부는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불필요한 상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패널(222)은 도시되었듯이 제2 인입공(222a)을 전면 패널(221)의 오목부(221f)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천공할 수 있다. 제2 인입공(222a)의 하부는 후면 패널의 우측 선단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제2 만곡면(222g)을 구비하는바, 제2 만곡면은 바타입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만곡면(222g)과 제1 만곡면(221g)은 동일 곡률을 갖는다.
선택가능하기로, 후면 패널(222)은 제1 인입공(221a)과 제2 인입공(222a)을 통과한 포장봉지의 절개부에 인입 정도를 제한하는 걸림턱(미도시;도 6의 122f 참조)을 제2 인입공(222a) 유출측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인입공(221a)의 편평한 바닥면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제1 및 제2 만곡면(221g,222g)을 통해 직도 형태로 형성된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하향 가압시 칼날과 봉지가 만나는 각도를 점차 증대시켜 원활한 절단을 가능하게 돕는다. 가정하여 만곡면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블레이드의 하향 가압시 칼날과 봉지가 만나는 각도는 절단의 초입지점에서 후방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즉, 절단의 후방지점으로 갈수록 칼날과 봉지가 만하는 각도가 줄어들어서 연질의 봉지를 절단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상기와 같이 만곡면을 구성함으로써 절단의 후방지점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절단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바타입 블레이드의 하향 가압시 포장봉지의 본체는 제1 인입공의 바닥면 상에 편평하게 배치되고 포장봉지의 절개부는 제1 및 제2 만곡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휘어져 포장봉지의 절개부에만 비틀림을 제공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절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타입 블레이드(230)는 토션스프링(S)을 위치고정하는 축핀(223)으로 내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전면 패널(221)의 내부면과 후면 패널(222)의 내부면 사이에서 절단부재(220)의 우측 선단을 지나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바타입 블레이드(230)는 시중에서 쉽게 구매가능한 커터 칼날일 수 있으며 내측 단부에 관통공(231)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면 패널(221)의 제1 축공(221b)과, 토션스프링(S)의 권선부(참조부호 없음),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관통공(231), 및 후면 패널(222)의 제2 축공(222b)을 가로지르는 축핀(223)을 중심으로 하여 바타입 블레이드(230)를 선회가능하게 결합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를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칼날을 형성한 하단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호형 장공(222c) 내로 삽입한다. 누름부재(240)의 누름 조작에 종속되어, 바타입 블레이드로 가압된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는 호형 장공의 형성방향을 따라 활주이동하게 된다.
누름부재(240)는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용이하게 돕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2)는 전면 패널(221)의 제1 인입공(221a)을 통해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삽입한 다음에, 누름부재(240)의 누름 동작을 통해 외력으로 바타입 블레이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축핀(223)을 중심으로 바타입 블레이드(230)를 강제로 하방으로 선회이동시켜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칼날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단한다. 절단된 포장봉지의 절단편은 포장박스(B)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다.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S)에 의해 탄설지지되는 바타입 블레이드(23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토션스프링(S)의 탄성복원력에 위해 바타입 블레이드(230)를 상방 이동시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얇은 플레이트 타입의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장착가능할 뿐만 아니라 후면 패널(222)의 외부면 및/또는 지지부(222h) 뒤면에 마그네틱, 양면테이프 등의 부착수단을 배치하여 냉장고, 벽면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지용 커팅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2 ----- 커팅장치,
110 ----- 케이스,
120, 220 ----- 절단부재,
130, 230 ----- 바타입 블레이드,
140, 240 ----- 누름부재,
B ---- 포장상자,
S ----- 토션스프링.

Claims (12)

  1. 삭제
  2. 케이스(110)와;
    전면 패널(121)과, 상기 전면 패널(121)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 패널(122),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 사이에 개재된 토션스프링(S)을 갖추고,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부 일측에 배치된 절단부재(120);
    상기 절단부재에 내장된 상기 토션스프링(S)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설지지되어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타측을 향해 길이연장된 바타입 블레이드(130); 및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부 타측에서 수직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130)는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 조작에 연동되어 상기 절단부재(120)에 인입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단하며,
    상기 절단부재(120)는,
    제1 인입공(121a)과 제1 축공(121b)을 구비한 상기 전면 패널(121)과;
    상기 제1 인입공(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인입공(122a)과, 상기 제1 축공(1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축공(122b), 상기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를 삽입하는 호형 장공(122c), 및 상기 토션스프링(S)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는 결합공(122d)을 구비한 상기 후면 패널(122); 및
    상기 전면 패널(121)의 상기 제1 축공(121b)과, 상기 토션스프링(S)의 권선부,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130)의 관통공(131), 및 상기 후면 패널(122)의 상기 제2 축공(122b)을 가로질러 배치된 축핀(123);을 포함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121)은 상기 제1 인입공(121a) 유입측에 배치된 삽입 안내부(121d)와, 상기 토션스프링(S)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의 내부면에 상기 제 1 축공(121b) 주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121e)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후면 패널(122)은 상기 제2 인입공(122a) 유출측에 배치된 걸림턱(122f)과, 상기 후면 패널의 내부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간격부(122e)를 추가로 구비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널(122)의 상기 제2 인입공(122a)은 이의 하부를 제2 만곡면(122g)으로 형성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수용하는 슬롯(141)을 구비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전면부(111)와, 후면부(112), 좌측면부(113), 및 우측면부(114)으로 상부면과 전면 상단을 개방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111)의 상측 가장자리 외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전방 구획벽(115)과;
    상기 전방 구획벽(115)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도록 상기 전면부(111)의 상측 가장자리 내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후방 구획벽(116);
    상기 좌측면부(113)의 내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13a); 및
    상기 우측면부(114)의 내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114a);을 구비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113a)과, 상기 제2 가이드 홈(114a), 및 상기 전방 구획벽(115)과 상기 후방 구획벽(116) 사이의 이격 공간은 동일 평면 상으로 배열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8. 삭제
  9. 전면 패널(221)과, 상기 전면 패널(221)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 패널(222),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 사이에 개재된 토션스프링(S)을 갖추고,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수용하는 절단부재(220)와;
    상기 절단부재에 내장된 상기 토션스프링(S)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설지지되어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된 바타입 블레이드(230); 및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누름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230)는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 조작에 연동되어 상기 절단부재(220)에 인입된 포장봉지의 절개부를 절단하며,
    상기 절단부재(220)는,
    제1 인입공(221a)과 제1 축공(221b)을 구비한 상기 전면 패널(221)과;
    상기 제1 인입공(2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인입공(222a)과, 상기 제1 축공(2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축공(222b), 상기 토션스프링(S)의 일 단부를 삽입하는 호형 장공(222c), 및 상기 토션스프링(S)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는 결합공(222d)을 구비한 상기 후면 패널(222); 및
    상기 전면 패널(221)의 상기 제1 축공(221b)과, 상기 토션스프링(S)의 권선부, 상기 바타입 블레이드(230)의 관통공(231), 및 상기 후면 패널(222)의 상기 제2 축공(222b)을 가로질러 배치된 축핀(223);을 포함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221)은 상기 토션스프링(S)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의 내부면에 상기 제 1 축공(221b) 주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221e)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후면 패널(222)은 상기 후면 패널의 내부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간격부(222e)과, 상기 후면 패널의 외부면 가장자리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222h)를 추가로 구비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널(222)의 상기 제2 인입공(222a)은 이의 하부를 제2 만곡면(222g)으로 형성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221)와 상기 후면 패널(222)의 일측 상단은 라운딩되게 형성되는,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KR1020200063134A 2020-05-26 2020-05-26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KR10230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34A KR102304855B1 (ko) 2020-05-26 2020-05-26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34A KR102304855B1 (ko) 2020-05-26 2020-05-26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855B1 true KR102304855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34A KR102304855B1 (ko) 2020-05-26 2020-05-26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8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599A (ko) * 2004-04-26 2005-11-01 김경중 밀폐포장(펙) 개봉장치
KR20060062742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절단 블레이드용 홀더
KR20090009933U (ko) 2008-03-28 2009-10-01 김진아 일회용 커피 공급장치
KR20150052815A (ko) * 2015-03-19 2015-05-14 비앰 코리아(주) 포장끈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599A (ko) * 2004-04-26 2005-11-01 김경중 밀폐포장(펙) 개봉장치
KR20060062742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절단 블레이드용 홀더
KR20090009933U (ko) 2008-03-28 2009-10-01 김진아 일회용 커피 공급장치
KR20150052815A (ko) * 2015-03-19 2015-05-14 비앰 코리아(주) 포장끈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591B2 (en) Case with elastic-secured end cap
EP2965869A1 (en) Inserts for an assortment box
US20080073371A1 (en) Dispenser for a rolled material
US6634728B1 (en) Device for detachably fixing objects
KR102304855B1 (ko) 포장봉지용 커팅장치
JP5314599B2 (ja) サッシェに収容された製品のディスペンサー
US20070012752A1 (en) File folder with sequentially arranged envelopes
KR20070038857A (ko) 랩 케이스 장치
KR101427297B1 (ko) 포장용 랩 홀더
US3042469A (en) Means for filing and handling phonograph records
US2575482A (en) Selector binder
JP3205064U (ja) リングファイル用シート体およびリングファイル用パンチ
KR200388594Y1 (ko) 날클립 디스펜서가 설치된 호치키스
WO2009003517A1 (en) Multifunctional folder
KR200260070Y1 (ko) 인덱스 클리어 파일
JP2004033490A (ja) カッターナイフの替刃ケース
US6899405B2 (en) Organizer for sheet materials
FI88906B (fi) Visitkortsfodral
JPH11130025A (ja) 錠剤パック用オープナー
KR200404819Y1 (ko) 절단용 기구가 장착된 포장상자
KR101906784B1 (ko) 서류 순서 전환 클리어 파일
KR200236875Y1 (ko) 지폐 묶음 띠지의 인출 케이스
KR20190064026A (ko) 심 보관함을 갖는 스테이플러
KR200285839Y1 (ko) 봉투칼이 부설된 스크랩 커터
JP2010006013A (ja) 文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