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358Y1 - 컵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컵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358Y1
KR200415358Y1 KR2020060004785U KR20060004785U KR200415358Y1 KR 200415358 Y1 KR200415358 Y1 KR 200415358Y1 KR 2020060004785 U KR2020060004785 U KR 2020060004785U KR 20060004785 U KR20060004785 U KR 20060004785U KR 200415358 Y1 KR200415358 Y1 KR 200415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extraction
cups
cam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교국
Original Assignee
윤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교국 filed Critical 윤교국
Priority to KR2020060004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Abstract

다수의 컵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컵을 용이하게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컵 추출장치는 하나 이상의 컵을 적층하여 수용하는 컵 수용부; 및 상기 컵 수용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된 컵을 하나씩 추출하는 컵 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컵 추출부는, (a) 적층된 컵의 둘레에 위치하여, 컵의 상부 걸림턱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된 최하부의 컵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낙하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고, 하부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둘 이상의 추출캠, (b) 내주면에, 상기 추출캠의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 플레이트 및 상기 링 형상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 및 (iii) 상기 추출캠 및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컵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컵, 추출장치, 추출캠, 회전수단, 나선형 홈, 톱니바퀴

Description

컵 추출장치 {Cup extrac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의 정면도(A) 및 사시도(B).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 및 컵의 정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은 컵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컵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컵을 용이하게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는 정수기나 생수통 옆에 종이컵을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고, 물을 마시거나 커피, 차 등을 마실 때,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고 있다. 이때 컵을 단순히 적층하여 보관하면, 일정 높이 이상 적층하기 곤란하므로, 많은 양의 컵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종이컵을 노출상태로 적층, 보관하면, 개미, 파리 등의 벌레가 접근하거나, 먼지나 불순물이 쌓이게 되어 비위생적이고, 이와 같은 사정은 포장마차나 노상 음식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회용 컵을 다수 적층할 수 있는 매거진 내에, 다수의 일회용 컵을 적층, 보관하다가, 필요 시, 하나씩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컵 추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 제20-407867호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추출캠(58a, 58b)이 컵(c2)의 상부 걸림턱(a1)에 걸리도록 한 다음,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배출조작기구(50)를 밀어, 상기 한 쌍의 추출캠(58a, 58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컵(c2)을 배출시키는 컵 추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캠(58a, 58b)에는 소정의 각도로 2개의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추출캠(58a, 58b)이 회전함에 따라, 컵(c2)을 지지한 하나의 걸이부가 첫 번째 컵(c2)의 걸림을 해제하여, 컵(c2)을 낙하시킬 때, 다른 하나의 걸이부가 낙하된 컵(c2)의 상부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함으로서, 배출조작기구(50)를 1회 동작시킬 때마다 하나의 컵(c2)이 낙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컵 추출장치는, 컵(c2)을 지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추출캠(58a, 58b) 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컵(c2)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고, 또한 두 개의 추출캠(58a, 58b)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야 하므로(즉,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가지므로), 추출캠(58a, 58b)의 제작 및 조립이 번거로울 뿐 만 아니라, 배출조작기구(50)의 직선운동을 추출캠(58a, 58b)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또한, 요즘은 사용되는 컵의 종류가 일반 자판기용 컵, 테이크아웃용 컵, 아이스크림용 컵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고, 그 용도에 따라 컵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컵을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컵을 적층, 보관하며, 간단한 작동으로 컵을 하나씩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크기가 다른 컵의 경우에도, 컵의 추출이 가능한 컵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컵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컵을 적층하여 수용하는 컵 수용부; 및 상기 컵 수용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된 컵을 하나씩 추 출하는 컵 추출부를 포함하는 컵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 추출부는, (a) 적층된 컵의 둘레에 위치하여, 컵의 상부 걸림턱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된 최하부의 컵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낙하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고, 하부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둘 이상의 추출캠, (b) 내주면에, 상기 추출캠의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 플레이트 및 상기 링 형상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 및 (iii) 상기 추출캠 및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컵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컵 추출장치 포함하는 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는, 하나 이상의 컵을 적층하여 수용할 수 있는 컵 수용부(10) 및 상기 적층된 컵을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부(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기 컵 추출부(20)에서 추출된 컵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컵 인출부(40), 상기 컵 추출장치를 벽면 등의 고정 장소에 부착하는 고정판(45), 및 상기 컵 추출부(20) 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추출된 컵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링 (49)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 수용부(10)는 하나 이상의 컵의 적층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11), 및 상기 원통(11)의 상단에 장착되어, 컵의 공급 통로를 제공하고, 먼지 등의 출입을 차단하는 뚜껑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2)는 상기 원통(11)의 상단에 끼움 연결되는 원통 끼움부(13), 상기 원통 끼움부(13)를 덮는 뚜껑(14), 및 뚜껑개폐수단(15)으로서, 상기 원통 끼움부(13)와 뚜껑(14)을 힌지(hinge)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컵 수용부(10)는 일반적인 크기를 가지는 자판기용 컵(6.5온스) 뿐만 다양한 크기의 컵(6~7온스, 4~5온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원통(11)의 하단은 컵 추출부(20)의 상단에 끼움 연결된다. 상기 컵 인출부(40)는 상기 컵 추출부(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컵 추출부(20)로부터 추출되는 컵을 일시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추출된 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 컵 인출부(40)의 후면 하단은 추출되는 컵보다 약간 작은 반경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은 개방되어 있어, 낙하한 컵이 상기 컵 인출부(40)의 후면 하단에 걸리면, 사용자가 상기 컵 인출부(40)의 전면을 통하여 상기 컵을 인출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컵 추출부(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 추출부(20)는 상부 프레임(21), 하부 프레임(25), 추출캠(30), 및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21, 25)은 상기 추출캠(30) 및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25)의 중앙에는 컵 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 관통홀(26)의 둘레에는 상기 추출캠(30)이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추출캠 고정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5)의 상부면에는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안정한 회전을 위한 원형 가이드(27) 등의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1)의 중앙에도 컵 관통홀(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관통홀(26a)의 둘레에는 상기 컵 수용부(10)의 원통(11)과 끼움 연결되는 원통형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21) 측면에는 컵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원형 고리 형상의 컵 홀더링(49)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21) 또는 하부 프레임(2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를 벽면 등의 고정 장소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판(45)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고정판(45)은 접착, 나사결합, 걸림 등의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5) 하단에는 상기 컵 인출부(60)가 걸림, 끼워 맞춤 등의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추출캠(30)은 컵의 둘레, 예를 들면,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컵의 상부 걸림턱을 지지하며,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된 하나의 컵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낙하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본 고안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캠(30)의 정면도(A) 및 사시도(B)를 도 4에 도시하였 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추출캠(30)은 측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홈(308)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판(301) 및 상기 원통판(30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내면과 기어 결합으로 연결되는 톱니바퀴(305)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판(301)과 톱니바퀴(305)의 중심에는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22)에 끼워지는 중심홀(30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캠(30)은 컵의 둘레에 2개 이상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캠(3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컵을 지지하는 면이 많아, 컵을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톱니바퀴(305)는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내면과 기어 결합되어 추출캠(30)의 회전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상기 나선형 홈(308)은 상기 원통판(301)의 둘레 표면에,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308)의 상부에는, 상기 추출캠(30)이 회전할 때, 최하단 컵의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컵 삽입부(3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308)의 하부에는, 최하단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고 있다가,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단 컵을 낙하시키는 컵 지지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초기 상태에서, 최하단 컵의 걸림턱은 상기 컵 지지부(303)의 경사면(304)에 걸려 있으며, 추출캠(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컵 지지부(303)의 경사면(304)이 회전이동한다. 따라서, 최하단 컵이 상기 컵 지지부(303)에 의하여, 지지되지 못하고, 상기 나선형 홈(308)을 빠져나와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컵 삽입부(302) 역시 회전하여, 낙하한 최하단 컵의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추출캠(30)을 역회전시키면, 상기 컵 삽입부(302)가 역회전하고, 상기 컵 삽입부(302)에 의하여 지지된 컵의 걸림턱이, 컵 삽입부(302)로부터 이탈하며, 역시 역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상기 컵 지지부(30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중심홀(307)은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21, 26)에 형성된 추출캠 고정돌기(22)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심홀(37) 대신에 중심축(미도시)이 추출캠(30)에 형성되고, 상하부 프레임(21, 26)에 중심축 고정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추출캠(30)을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21, 26)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캠(30)의 원통판(31)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R1, R2)을 가질 수 있으며(여기서, R1 < R2), 곡률이 R1인 부분에 각각 컵 삽입부(302)와 컵 지지부(303)가 형성되고, 곡률이 R2인 부분에 각각 컵 삽입부(302a)와 컵 지지부(303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통판(31)에 둘 이상의 곡률(R1, R2)을 형성하고, 각각 컵 삽입부(302, 302a)와 컵 지지부(303, 303a)를 형성함에 의하여, 본 고안의 컵 추출장치가 큰 크기의 컵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곡률이 작은 쪽, 즉 곡률이 R1인 부분의 컵 삽입부(302)와 컵 지지부(303)가 컵을 지지하도록, 상기 추출캠(30)을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22)에 끼우며(도 3 참조), 본 고안의 컵 추출장치가 작은 크기의 컵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곡률이 큰 쪽, 즉 곡률이 R2의 부분의 컵 삽입부(302a)와 컵 지지부(303a)가 컵을 지지하도록, 추출캠(30)을 180도 회전시켜, 추출캠 고정돌기(22)에 장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30),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 및 컵의 정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는 내주면에 다수의 톱니(362)가 형성되어 있는 링(ring) 형상 플레이트(364) 및 상기 링(ring) 형상 플레이트(364)의 일측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하부 프레임(21, 26) 외부로 연장된 조작부(366)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부(366)의 일면에는 탄성 스프링(37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스프링(370)의 타단은 상기 컵 추출부(20)의 상부 프레임(21) 또는 하부 프레임(25)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톱니(362)는 상기 추출캠(30)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바퀴(35)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3 참조), 컵의 낙하 및 지지를 수행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상기 추출캠(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추출캠(30)과 기어 결합되는 부분에만, 상기 톱니(362)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370)은 상기 조작부(366)를 이동시킨 후, 복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탄성 스프링(370)은 상기 조작부(366)의 양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추출캠(30)은 상기 컵 추출부(20)의 상부 프레임(20) 또는 하부 프레임(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캠(30)의 원통판(301)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바퀴(305)와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내주면에 형성된 톱니(362)는 서로 맞 물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하단에는 상기 링부재(36)의 형태를 따라 원 형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원 형태의 홈이 컵 추출부(20)의 하부 프레임(25)에 형성된 원형 가이드(27)에 끼워지거나(도 3 참조), 상기 컵 추출부(20)의 하부 프레임(25)에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둘레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형성함에 의하여,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가 상기 컵 추출부(20)의 하부 프레임(2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조작부(366)를,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주면에 다수의 톱니(362)가 형성되어 있는 링(ring) 형상 플레이트(36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톱니(362)에 기어 결합된 다수의 추출캠(30)도 추출캠 고정돌기(2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추출캠(30)은 상기 나선형 홈(308)의 일측에 형성된 홈 삽입부(302)가 낙하하는 컵(5)의 상부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추출캠 고정돌기(53)에 끼워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가 회전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추출캠(30)은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컵 지지부(303)에 걸려있던 컵(5)은 낙하하고, 홈 삽입부(302)는 낙하하는 컵(5)의 상부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 하단으로 삽입되어, 낙하하는 컵(5)의 상부에 위치한 컵을 지지한다. 이때, 사용자가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조작부(366)를 놓으면, 상기 조작부(366)는 탄성 스프링(370)의 탄력에 의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홈 삽입부(302)는 낙하하는 컵(5)의 상부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상기 컵은 홈 삽입부(302)와 컵 지지부(303)의 거리만큼 아래로 하강한 후, 상기 컵 지지부(303)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36)의 조작부(366)를 회전 및 복귀시키는 동작을 1회 반복하면, 하나의 컵을 낙하시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를 크기가 다른 컵의 추출에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추출캠(30)을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22)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추출캠(30)을 180도 회전시켜, 추출캠(30)의 반대쪽(곡률이 R2인 부분, 도 4 참조)에 형성된 컵 삽입부(302a)와 컵 지지부(303a)가 컵을 지지하도록,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22)에 끼워 사용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는 다수의 컵을 보관하고, 간단한 작동으로 컵을 하나씩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컵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간단한 분해 조립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나 이상의 컵을 적층하여 수용하는 컵 수용부; 및
    상기 컵 수용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된 컵을 하나씩 추출하는 컵 추출부를 포함하는 컵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 추출부는, (a) 적층된 컵의 둘레에 위치하여, 컵의 상부 걸림턱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된 최하부의 컵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낙하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고, 하부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둘 이상의 추출캠, (b) 내주면에, 상기 추출캠의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 플레이트 및 상기 링 형상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 및 (c) 상기 추출캠 및 추출캠 회전용 링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컵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컵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일면에는 탄성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컵 추출부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인 컵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캠은 측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판 및 상기 원통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바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형 홈의 상부에는, 상기 추출캠이 회전할 때, 최하단 컵의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컵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의 하부에는, 최하단 컵의 걸림턱을 지지하고 있다가, 상기 추출캠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단 컵을 낙하시키는 컵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컵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캠의 원통판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R1, R2)을 가질 수 있으며, 곡률이 R1인 부분에 각각 상기 컵 삽입부와 컵 지지부가 형성되고, 곡률이 R2인 부분에도 각각 상기 컵 삽입부와 컵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컵 추출장치.
KR2020060004785U 2006-02-21 2006-02-21 컵 추출장치 KR200415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85U KR200415358Y1 (ko) 2006-02-21 2006-02-21 컵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85U KR200415358Y1 (ko) 2006-02-21 2006-02-21 컵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358Y1 true KR200415358Y1 (ko) 2006-05-02

Family

ID=4176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85U KR200415358Y1 (ko) 2006-02-21 2006-02-21 컵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3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37B1 (ko) 2006-12-06 2008-05-02 김옥련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KR200450802Y1 (ko) 2010-07-22 2010-11-02 류근필 소음저감형 컵 디스팬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37B1 (ko) 2006-12-06 2008-05-02 김옥련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KR200450802Y1 (ko) 2010-07-22 2010-11-02 류근필 소음저감형 컵 디스팬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328B1 (ko) 정제 카세트
US7516831B2 (en) Coin-operated item vending and game apparatus housing with foreign object removal-enabling means
ES2315863T3 (es) Armario de distribucion de capsulas para el suministro de maquinas para la preparacion de bebidas o bien otros preparados alimenticios.
AU2002221594B2 (en) Magazine for capsules of espresso coffee
US6471092B1 (en) Article dispenser
US5954229A (en) Wall mounted earplug dispenser
CA2684313A1 (en) Vending apparatus
KR200415358Y1 (ko) 컵 추출장치
KR20020076781A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410402Y1 (ko) 컵 추출장치
KR101354264B1 (ko) 정량을 배출하는 뚜껑
US6270080B1 (en) Coin-operated item vending and game apparatus
US8960492B2 (en) Coin-operated gumball machine
KR200345911Y1 (ko) 컵공급장치
KR101712777B1 (ko) 물품의 자동판매기
KR200391644Y1 (ko) 일회용 컵 배출장치
KR200407867Y1 (ko) 일회용 컵 배출장치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KR200415013Y1 (ko) 컵 인출장치
US20130213994A1 (en) Gumball Machine That Dispenses Multiple Gumballs
CN217408501U (zh) 一种咖啡机及其水箱
KR20110007152U (ko)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ES2822097T3 (es) Dispositivo para dispensar artículos de una pila de artículos anidados, en particular tapas de vaso
CN210810559U (zh) 胶囊咖啡存储分落结构
KR200232307Y1 (ko)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