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02Y1 - 컵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컵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02Y1
KR200410402Y1 KR2020050036168U KR20050036168U KR200410402Y1 KR 200410402 Y1 KR200410402 Y1 KR 200410402Y1 KR 2020050036168 U KR2020050036168 U KR 2020050036168U KR 20050036168 U KR20050036168 U KR 20050036168U KR 200410402 Y1 KR200410402 Y1 KR 200410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extraction
slide bar
cam
extraction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교국
Original Assignee
윤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교국 filed Critical 윤교국
Priority to KR2020050036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Abstract

다수의 컵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컵을 용이하게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컵 추출장치는 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최하단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컵을 회전에 의하여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지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모양 홈이 형성된 원통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추출캠, 및 상기 두 개의 추출캠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추출캠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캠은 상기 원통판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은 "ㄷ"형상의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작동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는 "ㄷ"형상 가지부에 형성된 상기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컵, 추출장치, 나선모양 홈, 톱니바퀴

Description

컵 추출장치 {cup extract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추출캠, 슬라이드 바, 작동단추, 및 컵의 정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 회전수단 및 추출캠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컵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컵을 적층 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컵을 용이하게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는 정수기나 생수통 옆에는 컵을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두고, 물을 마시거나 커피 등의 차를 마실 때,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고 있다. 이때 컵을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일정높이 이상으로는 적층하기 어려우므로 많은 양의 컵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포장마차나 노상음식점에서도 이와 같은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종이컵을 노출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개미, 파리 등의 벌레가 접근하거나 먼지나 불순물이 쌓이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며, 보통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판매 시 제공된 비닐봉지 안에 넣은 상태로 사용하거나, 다른 보관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보관상태가 깨끗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으며, 종이컵을 하나씩 꺼내는 일도 용이하지 않아 사용할 때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요즘은 사용되는 컵의 종류가 다양하여, 즉 일반 자판기용 컵뿐 만 아니라 테이크아웃용 컵, 아이스크림용 컵 등이 있어, 그 용도에 따라 컵의 크기가 다르므로 컵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컵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장치를 구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컵을 보관하며, 간단한 작동으로 컵을 하나 씩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크기가 다른 컵의 경우에도 컵을 하나씩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최하단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컵을 회전에 의하여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지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모양 홈이 형성된 원통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추출캠, 및 상기 추출캠을 회전시키는 추출캠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캠은 상기 원통판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은 "ㄷ"형상의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작동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는 "ㄷ"형상 가지부에 형성된 상기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톱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는 하나 이상의 컵을 적층할 수 있는 컵 수용부(10), 상기 적층된 컵을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컵 추출부, 및 상기 컵 추출부에서 추출된 컵을 인출하는 컵 인출부(60)를 포함하며, 컵 추출장치를 벽면 등의 고정 장소에 부착하는 고정판(65) 및 상기 컵 추출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컵을 넣을 수 있는 컵 보관링(25)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 수용부(10)는 하나 이상의 컵의 적층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11) 및 컵의 공급 통로를 제공하고 먼지 등의 출입을 차단하는 뚜껑부(12)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11)의 하단은 상부 프레임(20)에 형성된 컵 수용연결부(21)에 끼움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뚜껑부(1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12)는 상기 원통(11)의 상단에 끼움 연결되는 원통끼움부(13), 뚜껑(14), 및 뚜껑개폐수단(1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컵 수용부(10)는 일반적인 크기를 가지는 자판기용 컵(6.5온스) 뿐만 다양한 크기의 컵(6~7온스, 4~5온스)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컵 추출부는 추출캠(30), 추출캠 회전수단, 및 상하부 프레임(20,50)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은 슬라이드 바(40) 및 작동단추(4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추출캠(30)은 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컵을 회전에 의하여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지된 컵 바로 위에 위치 한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모양 홈(38)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판(31)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판(3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톱니바퀴(35) 및 상기 원통판(31)과 톱니바퀴(35)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홀(37)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나선모양 홈(38)은 상기 원통판(31)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판(31)의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나선모양 홈(38)의 시작부 일측에는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단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테두리에 삽입되도록 컵 삽입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판(31)의 하면을 관통하는 상기 나선모양 홈(38)의 마감부 일측에는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단 컵이 낙하되도록 홈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단부(33) 옆에는 홈 경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최하단 컵의 테두리는 상기 홈 경사부(34)에 걸려 있으며, 추출캠(30)의 회전에 따라 최하단 컵이 상기 홈 경사부(34)로부터 홈단부(33)로 이동하게 되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홀(37)은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하부 프레임(20, 50)에 형성된 추출캠 고정돌기(53)와 결합되며, 상기 중심홀(37) 대신에 중심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캠(30)이 크기가 다른 컵을 지지하고 추출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판(3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곡률(R1, R2)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원통판 측면에는 각각 나선모양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캠(30)은 상하부 프레임(20, 50) 양측에 형성된 추출캠 고정돌기(53)에 끼움 결합되며, 즉 상기 추출캠(30)은 컵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며, 최하단 컵의 양측 테두리가 상기 원통판(31) 나선모양의 홈(38)의 홈 경사부(34)에 각각 걸리게 되어 상기 추출캠(30)은 최하단 컵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바(40)가 상기 추출캠(3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추출캠(30)이 회전할 때, 상기 나선모양 홈(38)의 일측에 형성된 홈 삽입부(32)가 삽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캠(30)을 추출캠 고정돌기(53)에 끼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바(40)가 상기 추출캠(3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좌측에 위치한 추출캠(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우측에 위치한 추출캠(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즉 좌측 및 우측 추출캠(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추출캠(30)에 형성된 홈 삽입부(32)는 어느 경우이든 삽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추출캠(30)에 형성된 원통판(31)이 둘 이상의 곡률(R1, R2)을 가지는 경우, 같은 곡률을 가지는 부분이 상기 최하단 컵을 지지하도록 상기 추출캠(30)을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53)에 끼운다. 즉, 크기가 작은 컵을 지지하고 추출하는 경우에는 곡률이 큰 부분(R2)이 상기 컵을 지지하도록 상기 추출캠(30)을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53)에 끼우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컵을 지지하고 추출하는 경우에는 곡률이 작은 부분(R1)이 상기 컵을 지지하도록 상기 추출캠(30)을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에 끼운다.
상기 톱니바퀴(35)는 추출캠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추출캠(30)의 회전을 유도하는 장치로서, 상기 원통판(3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40)에 형성된 톱니부(41)와 맞물려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톱니부(41)와 맞물린 톱니바퀴(35)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추출캠(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40)는 상기 추출캠(30)을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ㄷ"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 가지부 안쪽에는 톱니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42)는 관통홀(44) 및 작동단추 고정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부(41)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추출캠(30)에 형성된 톱니바퀴(35)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상기 관통홀(44)은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42)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단추 고정돌기(4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작동단추(45)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고, 상기 작동단추 고정돌기(43)의 외주면과 상기 작동단추(45)의 내주면이 일치하여 상기 작동단추(45)를 상기 작동단추 고정돌기(43)에 끼움 설치하면 상기 작동단추(45)가 상기 슬라이드 바(40)와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가지부 밑면에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프레임(50) 양측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54)가 상기 가이드 홈(미도시)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수평방향 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작동단추(45)는 상기 슬라이드 바(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옆으로 기울어진 컵 모양으로 개구부가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연결부(42)에 접촉되어, 작동단추(45)를 상기 슬라이드 바(4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드 바(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작동단추(45)의 내부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작동단추(45) 내부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미도시) 및 하부 프레임(50)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55)에 끼움 설치되며, 따라서 작동단추(45)가 상기 슬라이드 바(40) 방향으로 이동한 후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자리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단추(45)의 개구부에는 플랜지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50)에 형성된 제1 스토퍼(59)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단추(45)가 되돌아 올 때, 상기 상하부 프레임(20, 5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0, 50)은 상기 추출캠(30), 슬라이드 바(40), 및 작동단추(45)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50)은 중심부에 형성된 컵 관통홀(52), 상기 컵 관통홀(52)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캠(30)의 중심홀(37)이 끼움 설치되는 추출캠 고정돌기(53), 상기 컵 관통홀(52)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수평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4), 및 상기 작동단추(45)의 수평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안내홈(5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컵 관통홀(52)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단 플랜지(51), 상기 전면부 상단 플랜지(5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단추(45)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탄성부재(미도시)가 끼움 연결되는 제1 고정돌기(55), 및 상기 안내홈(58)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단추(45)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플랜지부(46)와 접촉하는 스토퍼(59)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20)은 중심부에 형성된 컵 관통홀(22), 상기 컵 수용부(10)의 원통(11)과 끼움 연결되는 컵 수용연결부(21), 상기 컵 수용연결부(21)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추출캠(30)의 중심홀(37)이 끼움 연결되는 추출캠 고정돌기(미도시), 및 상기 작동단추(45)의 수평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안내홈(28)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28)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단추(45)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46)와 접촉하는 스토퍼(29)를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20) 측면에는 컵을 넣을 수 있는 컵 홀더링(2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부 프레임(20)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사각돌기(26)가 형성되며, 상기 컵 홀더링(25)에는 상기 사각돌기(26)와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홀더링(25)은 상기 상부 프레임(20)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컵 홀더링(25)은 크기가 작은 컵을 넣을 수 있으며, 다른 컵 홀더링(25)은 크기가 작은 컵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추출장치를 벽면 등의 고정장소에 부착하기 위하여 고정판(6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뒷면에는 끼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65)에는 상기 끼움부에 상응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 인출부(60)는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의하여 낙하하는 컵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낙하된 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50)과 연결되어 있으며, 원통사다리꼴 모양이다. 또한 낙하하는 컵이 걸리도록 하단이 상단의 지름보다 작은 홀더부(61, 6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다른 컵이 걸릴 수 있도록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홀더부, 즉 제1 홀더부(61), 제2 홀더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홀더부(61)는 크기가 큰 컵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2 홀더부(62)는 크기가 작은 컵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61, 62)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61, 62)에 걸리는 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추출캠(30), 슬라이드 바(40), 작동단추(45), 및 컵(81)의 정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추출캠(30)은 두 개의 곡률(R1, R2)을 가지는 원통판(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통판(31)의 곡률이 작은 부분(R1)이 크기가 큰 컵을 지지하고 있으며, 도 5 중 A부분은 도 4와 같이 정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최하단 컵(81)이 양측에 위치한 추출캠(30)에 형성된 홈 경사부(34)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5 중 B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바(40)가 추출캠(3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양측에 위치한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단 컵(81) 바로 위에 위치하는 컵(82)이 추출캠(30)에 형성된 홈 삽입부(3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 중 A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수용부에 적층된 컵 중 최하단 컵(81)의 테두리가 상기 추출캠(30)의 원통판(31) 측면에 형성된 나선모양의 홈의 홈 경사부(34)에 걸려 있어 상기 최하단 컵(81)은 상기 추출캠(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작동단추(45)를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안쪽 방향, 즉 추출캠(30) 방향으로 밀면, 상기 작동단추(45)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드 바 (40)가 상기 작동단추(45)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40)에 형성된 톱니부(41)와 맞물려 있는 상기 추출캠(30)에 형성된 톱니바퀴(3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추출캠(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최하단 컵(81)의 테두리가 상기 홈 경사부(34)에서 부터 상기 나선모양 홈의 홈단부(33)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최하단 컵(81)은 자중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나선모양의 홈의 홈 삽입부(32)가 상기 최하단 컵(81) 바로 위에 위치한 컵(82)의 테두리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최하단 컵(81) 바로 위에 위치한 컵(82)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낙하되는 최하단 컵(81)은 컵 인출부에 형성된 홀더부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는 개구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컵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작동단추(45)에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작동단추(45)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단추(45)가 상기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원래 자리로 위치하며, 동시에 상기 작동단추(45)와 일체로 거동하는 슬라이드 바(40)도 원래 자리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바(40)의 이동에 의하여 양측에 위치한 상기 추출캠(30)이 처음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추출캠(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선모양의 홈의 홈 삽입부(32)에 걸려있는 컵(82) 테두리가 상기 홈 삽입부(32)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나선모양의 홈의 홈 경사부(34)에 걸리게 되어 처음의 추출캠(30)이 최하단 컵(81)을 지지하는 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크기가 작은 컵을 지지하고 추출하는 경우에는, 원통판(31)의 곡률이 큰 부분(R1)이 최하단 컵(81)을 지지하도록 양측에 위치한 상기 추출캠(30)을 상기 추출캠 고정돌기(53)에 삽입 설치하며, 컵의 추출방법 및 인출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추출캠 회전수단 및 추출캠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추출캠 회전수단는 상기 슬라이드 바(40) 및 작동단추(45)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캠(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 중 A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추출캠(30)은 상기 톱니바퀴(35) 대신에 원통판(3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홀(7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프레임(72)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으로는 "ㄱ"형상의 두 개의 지지대(75) 및 상기 지지대(75)를 이동시키는 작동단추(76)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홀(71)은 원통판(31)이 두 개의 곡률을 가지는 경우 동일 곡률을 가지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72)은 원통판(31)의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대(75)는 각각의 일측이 상기 회전프레임(72)에 형성된 홀(71)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으며, 각 지지대(75)의 타측은 중심을 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작동단추(76)는 상기 두 개의 지지대(75)의 타측에 접촉되어 위치한다.
추출캠(30) 회전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6 중 B, C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단추(76)를 추출캠(30) 방향으로 밀면, 상기 두 개의 지지대(72) 는 각각 상기 추출캠(30)에 형성된 중심홀(37)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양측에 위치한 추출캠(3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미는 힘을 제거하면, 작동단추(76) 내부에 위치한 탄성부재(미도시) 등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단추(76)는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양측에 위치한 상기 추출캠(30)은 처음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은 상기 돕니바퀴(35) 및 회전프레임(72) 대신에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원통판(31)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추출캠 회전수단으로서 "ㄷ"형상의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작동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의 가지부에는 상기 원통판(31)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끼움 설치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원통판(31)의 홀을 상기 슬라이드 바의 가지부에 형성된 각 돌기에 끼워 설치하고, 상기 작동단추를 상기 추출캠(3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바가 동일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양측에 위치한 추출캠(3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는 다수의 컵을 보관하고, 간단한 작동으로 컵을 하나씩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컵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컵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컵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최하단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컵을 회전에 의하여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지된 컵 바로 위에 위치한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모양 홈이 형성된 원통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추출캠; 및 상기 두 개의 추출캠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추출캠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컵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캠은 상기 원통판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캠 회전수단은 "ㄷ"형상의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작동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는 "ㄷ"형상 가지부에 형성된 상기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톱니부를 포함하는 것인 컵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판은 둘 이상의 곡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상기 원통판 측면에는 각각 나선모양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컵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캠 및 추출캠 회전수단을 고정하며 컵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컵을 적층할 수 있는 컵 수용부 ;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캠의 회전에 의하여 낙하된 컵을 지지하며, 하나 이상의 홀더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 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컵 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또는 프레임 측면에 장착되며, 컵을 넣을 수 있는 컵 홀더링 및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임 뒷면에 장착되며 고정장소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인 컵 추출장치.
KR2020050036168U 2005-12-23 2005-12-23 컵 추출장치 KR200410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68U KR200410402Y1 (ko) 2005-12-23 2005-12-23 컵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68U KR200410402Y1 (ko) 2005-12-23 2005-12-23 컵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02Y1 true KR200410402Y1 (ko) 2006-03-08

Family

ID=4176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68U KR200410402Y1 (ko) 2005-12-23 2005-12-23 컵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99B1 (ko) 2018-06-01 2018-08-03 권오석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99B1 (ko) 2018-06-01 2018-08-03 권오석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73780B2 (en) Utensil dispenser system
US6755310B1 (en) Can dispenser
US5131562A (en) Dispenser for soft drink lids and the like
US8016158B2 (en) Beverage lid dispenser
US5944220A (en) Sanitized lid dispenser
US20080148950A1 (en) Drink dispensing device with holding and drip-collect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US20120112019A1 (en) Modular beverage holder
US6471092B1 (en) Article dispenser
JP2004147880A (ja) 遊技機
KR200410402Y1 (ko) 컵 추출장치
US4750640A (en) Sanitary napkin home dispenser
KR200415358Y1 (ko) 컵 추출장치
US10154770B2 (en) Sponge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US2203494A (en) Cup holder and dispenser
JP4899126B2 (ja) リッドディスペンサー
US20040084472A1 (en) Pin for an article dispenser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KR102488309B1 (ko) 컵 살균 소독기
KR200415013Y1 (ko) 컵 인출장치
KR100952392B1 (ko)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CN210810559U (zh) 胶囊咖啡存储分落结构
KR950005853Y1 (ko)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ES2822097T3 (es) Dispositivo para dispensar artículos de una pila de artículos anidados, en particular tapas de vaso
KR20060113025A (ko) 컵 자동 인출구조
KR20110086334A (ko) 컵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