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92B1 -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 Google Patents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92B1
KR100952392B1 KR1020080046455A KR20080046455A KR100952392B1 KR 100952392 B1 KR100952392 B1 KR 100952392B1 KR 1020080046455 A KR1020080046455 A KR 1020080046455A KR 20080046455 A KR20080046455 A KR 20080046455A KR 100952392 B1 KR100952392 B1 KR 10095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late
cupboard
spr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576A (ko
Inventor
이규주
Original Assignee
이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주 filed Critical 이규주
Priority to KR102008004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일상적으로 음료수 자판기에서 음료수를 뽑아 먹을때는 컵인출기 문을 열고 컵을 드려다 보면서 손으로 잡고 꺼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이 있고 컵이 찌그러 지거나 음료수가 튀어나와 손에 묻는 결점들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점들을 해결시키고자 컵을 받아줄 컵받이판, 컵받이판을 잡아줄 컵받이 보조판, 컵받이 보조판을 잡아줄 고정판을 구성시켜 컵받이판 설치턱과 컵받이 보조판을 동적으로 결합시키고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을 고정판과 동적으로 결합시키며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에 컵받이판 스프링을 설치시키고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에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을 설치시키며 컵받이판의 컵받이판 끈 설치구에 컵받이판 끈을 설치시켜 끈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는 회전판과 연결시키고 회전판을 컵인출함문과 고정결합시켜 컵인출함 문을 열때 컵받이판에 있는 컵이 컵인출함 밖으로 나오도록 하는 써비스를 받게 된다.
Figure R1020080046455
음료수 자판기, 컵받이판, 컵인출함, 컵받이 보조판, 고정판, 회전판.

Description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omitted}
본 발명은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음료수 자판기에서 음료수가 담긴 컵을 꺼낼때 허리를 굽히고 컵을 꺼내야 하는 불편과 컵을 손으로 꺼내는 과정에서 컵이 찌그러 지거나 음료수가 튀어 나오는 결점들이 있다. 이러한 결점들을 개선시키고자 본 발명에서는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에 컵걸림턱(42)을 유연성이 있게 구성시켜 빈컵은 걸리도록 하고 빈컵에 음료수가 담기면 음료수의 중량으로 컵걸림턱(42)이 밖으로 밀리면서 음료수가 담긴 컵이 아래쪽으로 빠지도록 하며 컵걸림턱(42) 바로 아래쪽 위치에 컵받이판(1)을 설치시키고 컵받이판(1) 평면에 컵받음자리(5)를 설치시켜 음료수가 담긴 컵을 받아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는 컵받이판(1)을 구성시키며, 컵받이판(1)을 잡아주면서 컵받이판을 전,후로 이동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시킨 컵받이 보조판(7)과 컵받이 보조판(7)을 잡아주면서 컵받이 보조판을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고정판(14)을 구성시킨 다음 컵받이판 설치턱(4)과 컵받이 보조판(7)을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키고,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8)을 고정판 설치턱(19)과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킨 다음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11)에 컵받이판 스프링(37)을 설치시키고,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15)에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33)을 설치시키며, 컵받 이판(1)에 설치시킨 컵받이판 끈 설치구(3)에 컵받이판 끈(32)을 설치시킨 다음 고정대 저면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고정대(24)에 고정시킨다.
컵받이판 끈(32)의 길이를 조절시켜줄 수 있도록 회전판(28)을 구성시켜 고정판(14) 저면에 설치시키며 회전판(28)의 회전판 턱(34)을 컵인출함문(38)과 고정 결합시킨 다음 컵인출함문(38)을 열면 컵받이판(1)이 컵인출함(41) 밖으로 나오도록 함으로서 컵받음자리(5)에 있는 컵이 컵인출함(41) 밖으로 나오도록 하는 컵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함에서는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에 경고한 컵걸림턱을 구성시키고 있으므로 음료수가 담겨도 컵걸림턱에 걸려 있게 되고 컵을 컵인출함 밖으로 이동시키는 시설이 없으므로, 컵을 드려다 보면서 꺼내야 함으로 허리를 굽히고, 드려다 보고 조심성있게 컵을 잡고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컵이 찌그러 지거나 음료수가 손에 묻는 결점들이 있어 음료수 자판기를 사용하기 꺼려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시키고자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에 유연성이 있는 컵걸림턱(42)을 구성시키며,
컵을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컵받이판(1)을 구성시키고, 컵받이판(1)을 이동시켜줄 수 있는 컵받이 보조판(7)을 구성시켜 컵받이판(1) 아래쪽 에 설치시키며,
컵받이 보조판(7)을 이동시켜줄 수 있는 고정판(14)을 구성시켜 컵받이 보조판(7) 아래쪽에 설치시키고,
컵받이판(1)을 끌어 당길 수 있는 컵받이판 끈(32)을 컵받이판 끈 설치구(3)에 설치시키며,
고정판(14)과 컵받이 보조판(7)에 스프링을 설치시켜 컵받이판(1)과 컵받이 보조판(7)의 운동을 돕도록 하고,
컵받이판 끈(32)의 길이를 조절시켜 컵받이판(1)을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판(28)을 구성시키고 고정판 저면에 설치시키며 회전판 턱(34)을 컵인출함문(38)과 고정시켜 컵인출함문(38)을 열면 컵받이판(1)이 컵인출함(41)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컵인출함 안에 있던 컵이 컵인출함 밖으로 나오도록 함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함(41) 안에서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에 도 33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컵걸림턱(42)을 구성시켜 도 34와 같이 빈컵은 걸리고 빈컵에 음료수가 담기면 음료수의 중량에 의해 컵걸림턱(42)이 도 35와 같이 겉쪽으로 밀리면서 컵은 도 1과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1) 위에 구성시킨 컵받음자리(5)로 미끄러져 내려 도 36과 같이 놓이도록 하고, 컵받이판(1)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잡아주도록 구성시킨 컵받이 보조판(7)을 도 3, 도 4와 같이 구성시키며, 컵받이 보조판(7)을 도 31과 같이 전,후로 이동 가능 하게 하면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 주도록 구성시킨 고정판(14)을 도 5, 도 7과 같이 구성시킨다. 도 5와 같은 고정판(14) 평면에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15)을 구성시키고 도 11과 같이 스프링(33)을 도 15와 같이 설치시킨 다음 고정판 설치턱(19)에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8)을 동적으로 도 16과 같이 설치 결합시켜 컵받이 보조판(7)을 도 31과 같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키고, 컵받이 보조판(7)에 도 3과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11)에 컵받이판 스프링(37)을 도 17, 도 18과 같이 설치시키고, 도 1, 도 2와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설치구(3)에 도 10과 같은 컵받이판 끈(32)을 도 19와 같이 설치시킨 다음 컵받이판 설치턱(4)을 컵받이 보조판(7)과 결합시켜 도 20 도 21과 같이 구성시킨다.
컵받이판 끈(32)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도 9와 같이 구성시킨 회전판(28)을 도 8과 같은 회전판 보호대(25)에 도 13, 도 14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도 12와 같이 결합시킨다.
도 19와 같이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에 설치시킨 컵받이판 끈(32)을 도 6과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통로구(22)를 도 20과 같이 통과시켜 도 7과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통로대(23)를 도 23과 같이 지나 컵받이판 끈 고정대(24)에 고정시켜 고정판(14) 저면에서 도 20 도 22 도 23과 같은 방법으로 컵받이판 끈(32)을 설치시키고 회전판 턱(34)을 도 32와 같이 컵인출함문(38)과 결합시키고 컵인출함문(38)을 열면 회전판(28)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걸림봉(30)은 컵받이판 끈(32)을 도 25와 같이 이동시키면서 컵받이판(1)을 도 27 도 28과 같이 전진시키게 되고 회전판(28)을 도 29와 같이 90도 회전시키면 회전판 끈(32)은 크게 움직이 게 되면서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에 설치시킨 컵받이판 끈(32) 끝부분이 도 30과 같이 컵받이판 끈 통로구(22)까지 끌려나오게 되어 컵받이판(1)은 도 30 도 31 도 32와 같이 컵받이 보조판(7)을 끌고나오면서 컵받이판(1)은 도 36과 같이 컵인출함(41) 안에서 컵받음자리(5)에 놓인 컵을 도 37과 같이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음료수 자판기에서 음료수가 담긴 컵을 컵인출함 밖으로 이동시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편리함을 추구한 자판기의 컵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자판기에서 음료수를 뽑아 먹을때는 컵인출함 안쪽을 드려다 보면서 컵을 잡고 꺼내게 되어 있어 허리를 굽히고 드려다 보는 불편과 컵을 꺼내는 과정에서 컵이 찌그러지고 뜨거운 음료수가 손에 묻게 되므로 사용하기 불편한 점들이 많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음료수 자판기 컵인출함문을 열면 음료수가 담겨진 컵이 컵받이판에 놓인채로 컵인출함 밖으로 나오게 되므로 컵을 손으로 잡기에 편한 편리함을 제공받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6과 같은 컵인출함(41) 안에서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에 컵걸림턱(42)을 도 33과 같이 유연성이 있게 구성시켜 도 34와 같이 빈컵은 걸리도록 하고 빈컵에 음료수가 담기면 음료수의 중량으로 컵걸림턱(42)이 도 35와 같이 겉쪽으로 밀려나면서 음료수가 담긴 컵이 아래쪽으로 빠지도록 하여 컵받이판(1) 위에 도 1, 도 21 과 같이 구성시킨 컵받음자리(5)에 도 36과 같이 놓이도록 한다.
컵받음자리(5)를 구성시키고, 양쪽 끝 부위(측면)에 컵받이판 설치턱(4)을 구성시키고, 안쪽 끝에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를 구성시켜 아래쪽에 컵받이판 끈 설치구(3)를 구성시켜 도 1과 같은 컵받이판(1)을 구성시키고
컵받이판(1)을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킬때 컵받이판(1)을 잡아줄 수 있는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8),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11), 컵받이 스프링 보호대 이동홈(21), 컵받이 보조판 걸림턱(10), 컵받이판 보조판 스프링 밀대(9),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8)을 구성시킨 도 3, 도 4와 같은 컵받이 보조판(7)을 구성시키며, 평면에 컵받이 보조판(7)을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는 고정판 설치턱(19)을 구성시키고,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15), 고정판 걸림턱(17), 피스구(18),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걸림턱(20), 컵받이 스프링 보호대 이동홈(21), 컵받이판 끈 통로구(22), 컵받이판 끈 설치홈(16)을 구성시키며, 저면에는 도 6과 같이 컵받이판 끈 통로구(22), 컵받이판 끈 통로대(23), 컵받이판 끈 고정대(24), 컵받이판 끈 걸림봉 통로(35)를 구성시켜 도 5, 도 7과 같이 고정판(14)을 구성시키고,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에 설치시킨 컵받이판 끈(32)의 길이를 도 25와 같이 조절시켜줄 수 있는 컵받이판 끈 걸림봉(30)을 도 9와 같이 설치시킨 회전판(28)을 구성시키고 도 12와 같이 회전판(28)을 설치시킬 회전판 보호대(25)를 도 8과 같이 구성시켜 도 13, 도 14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판(28)을 도 12와 같이 결합 구성시키고 도 5와 같은 고정판(14)에 구성시킨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15)에 도 15와 같이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33)을 구성시키고 도 3, 도 4와 같은 컵받이 보조판(7) 을 도 16과 같이 결합시킨다.
이때 도 3, 도 4와 같이 컵받이 보조판(7)에 구성시킨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8)을 고정판(14)에 도 5와 같이 구성시킨 고정판 설치턱(19)과 도 21과 같이 결합시키며 도 3, 도 4와 같이 컵받이 보조판(7)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11)에 컵받이판 스프링(37)을 도 17 도 18과 같이 설치시키며 이와는 별도로 도 1 도 2와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의 컵받이판 끈 설치구(3)에 도 19와 같이 컵받이판 끈(32)을 설치시킨 다음 고정판(14)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설치홈(16)에 도 20과 같이 설치시키고 컵받이판 설치턱(4)을 컵받이 보조판(7) 측면 가장자리에 도 21과 같이 결합시켜 도 20과 같이 결합시킨다.
컵받이판 끈(32)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킨 도 9와 같은 회전판(28)을 도 8과 같이 회전판 보호대(25)에 구성시킨 회전판 설치실(26)에 도 13, 도 14와 같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 12와 같이 구성시키고,
컵받이판(1) 안쪽 끝부분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에 도 19와 같이 설치시킨 컵받이판 끈(32)을 고정판(14)에서 도 5와 같이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설치홈(16)에 설치시켜 도 6과 같은 컵받이판 끈 통로구(22)로 도 20과 같은 방법으로 통과시켜 도 7과 같이 고정판 저면(뒷면)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통로대(23)를 통과시켜 컵받이판 끈 고정대(24)에 도 23과 같이 고정시켜 도 23, 도 24와 같이 회전판(28) 회전 유격 공간을 설정시키므로서 컵받이판(1) 운동을 용도에 맞게 설정시킬 수 있도록 컵받이판 끈 걸림봉(30) 위치를 설정시켜 구성시키면 도 23, 도 24와 같이 회전판을 회전시켜도 컵받이판(1)은 도 24와 같이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판을 유격거리를 벗어나 도 25와 같이 크게 회전시키면 컵받이판 끈(32)의 길이가 크게 조절되면서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가 컵받이판 스프링(37)을 도 26과 같이 수축시키면서, 컵받이판(1)을 도 26, 도 27, 도 28과 같이 컵인출함문(38) 쪽으로 전진시키게 되며 이때 회전판을 계속해서 90도까지 도 29와 같이 회전시키면 컵받이판(1)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2)는 컵받이 보조판(7)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11) 턱에 걸리면서 컵받이 보조판(7)을 끌고 도 30 도 31 도 32와 같이 컵인출함문(38)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고정판(14)에 구성시킨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15)에 구성된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33)은 도 30과 같이 수축되면서 컵받이판(1)과 컵받이 보조판(7)은 도 30 도 31 도 32 도 37과 같이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되어 컵받이판(1)의 컵받음자리(5)에 있는 컵은 컵인출함 밖으로 도 37과 같이 나오게 되어 손으로 쉽게 컵을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컵인출함문(38)에서 손을 떼면 수축된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33)과 컵받이판 스프링(37)이 원형으로 회복되면서 컵받이판(1)과 컵받이 보조판(7)은 후진되어 컵인출함(41) 안쪽으로 들어가고 컵인출함문(38)이 닫히게 된다.
도 1 컵받이판 평면도
도 2 컵받이판 저면도
도 3 컵받이 보조판 평면도
도 4 컵받이 보조판 저면도
도 5 고정판 평면도
도 6 컵받이판 끈 통로구 단면도
도 7 고정판 저면도
도 8 회전판 보호대 도
도 9 회전판 도
도 10 컵받이판 끈 도
도 11 스프링 도
도 12 회전판 보호대에 회전판 결합도
도 13 회전판 회전 방법도
도 14 회전판 최대(90도) 회전도
도 15 스프링이 설치된 고정판 도
도 16 컵받이 보조판과 고정판의 결합도
도 17 스프링이 설치된 컵받이 보조판 도
도 18 스프링이 설치된 컵받이 보조판 저면도
도 19 컵받이판 끈이 설치된 컵받이판 도
도 20 스프링과 컵받이끈이 설치된 컵인출기 단면도
도 21 컵받이판 컵받이 보조판, 고정판, 회전판 보호대의 결합도
도 22 컵받이판 끈 설치도
도 23 회전판 회전 유격도
도 24 회전판 회전 유격도
도 25 회전판이 회전할때 컵받이판 끈의 동작도
도 26 컵받이판이 전진할때 스프링 축소도
도 27 컵받이판 전진도
도 28 컵받이판 전진도
도 29 회전판이 90도 회전시 컵받이판 끈 도
도 30 컵받이판이 컵인출함 밖으로 이동상태의 컵인출기의 단면도
도 31 컵받이판, 컵받이 보조판의 전진 상태도
도 32 컵인출기의 동작도
도 33 컵걸림턱의 유연성 도
도 34 컵걸림턱에 빈컵 걸린 상태도
도 35 컵걸림턱의 유연성과 음료수가 담긴 컵이 빠지는 도
도 36 컵인출함 안에서 컵걸림턱으로부터 컵이 빠진 도
도 37 컵인출함 안에서 밖으로 컵인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기호)
1. 컵받이판
2. 컵받이판 스프링 밀대
3. 컵받이판 끈 설치구
4. 컵받이판 설치턱
5. 컵받음자리
6. 컵받이판 턱
7. 컵받이 보조판
8.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
9.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밀대
10. 컵받이 보조판 걸림턱
11.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
12. 컵받이판 스프링 걸림턱
13. 컵받이판 스프링 보호대
14. 고정판
15.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
16. 컵받이판 끈 설치홈
17. 고정판 걸림턱
18. 피스구
19. 고정판 설치턱
20.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걸림턱
21. 컵받이 스프링 보호대 이동홈
22. 컵받이판 끈 통로구
23. 컵받이판 끈 통로대
24. 컵받이판 끈 고정대
25. 회전판 보호대
26. 회전판 설치실
27. 회전판 설치봉 설치구
28. 회전판
29. 회전판 설치봉
30 컵받이판 끈 걸림봉
31. 피스
32. 컵받이판 끈
33.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34. 회전판 턱
35. 컵받이판 끈 걸림봉 통로
36. 자판기 앞벽
37 컵받이판 스프링
38 컵인출함문
39 컵인출함문 장식
40 컵
41 컵인출함
42 컵걸림턱

Claims (1)

  1.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함(41) 안에서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에 유연성이 있는 컵걸림턱(42)을 구성시켜 빈컵은 걸리고 빈컵에 음료수가 담기면 아래쪽으로 빠지게 하고 컵받음자리(5) 컵받이판 설치턱(4) 겁받이판 스프링 밀대(2)를 구성시킨 컵받이판(1)을 구성시켜 컵걸림턱(42) 아래쪽에 설치시키며
    컵받이 보조판 설치턱(8)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밀대(9) 컵받이 보조판 걸림턱(10) 컵받이판 스프링 설치홈(11) 컵받이 스프링 보호대 이동홈(21)을 구성시킨 컵받이 보조판(7)을 구성시켜 컵받이판(1) 아래쪽에 설치시켜 컵받이판(1)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컵받이판(1)과 결합시키며
    평면에 고정판 설치턱(19) 컵받이 보조판 스프링 설치홈(15) 컵받이 스프링 보호대 이동홈(21) 컵받이판 끈 설치홈(16)을 구성시키고 저면에 컵받이판 끈 걸림봉 통로(35) 컵받이판 끈 통로대(23) 컵받이판 끈 고정대(24)를 구성시킨 고정판(14)을 구성시켜 컵받이 보조판(7) 아래쪽에 설치시켜 컵받이 보조판(7)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컵받이 보조판(7)과 결합시키며
    컵받이판 끈 걸림봉(30)을 구성시킨 회전판(28)을 구성시켜 컵받이판 끈(32)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90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판 보호대(25)에 설치시켜 고정판 아래쪽에서 고정판(14)과 결합시키고
    회전판 턱(34)을 컵인출함문(38)과 결합 고정시키고 컵인출함문(38)을 열면 컵받이판 끈(32)은 회전판(28)에 구성시킨 컵받이판 끈 걸림봉(30)에 의해 컵받이 판 끈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컵받이판(1)을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컵받이판(1)에 구성시킨 컵받음자리(5)에 있는 음료수가 담긴 컵을 컵인출함(41)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KR1020080046455A 2008-05-20 2008-05-20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KR10095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55A KR100952392B1 (ko) 2008-05-20 2008-05-20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55A KR100952392B1 (ko) 2008-05-20 2008-05-20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76A KR20090120576A (ko) 2009-11-25
KR100952392B1 true KR100952392B1 (ko) 2010-04-14

Family

ID=4160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55A KR100952392B1 (ko) 2008-05-20 2008-05-20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0918B (zh) * 2019-09-26 2021-09-24 杭州为我健康新零售科技有限公司 适用于蜂蜜饮品贩卖机的降温系统以及降温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19A (ko) * 1998-03-05 1999-10-05 배길성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KR20010038349A (ko) * 1999-10-25 2001-05-15 배길성 자동판매기의 컵 이송장치
KR200247291Y1 (ko) 2001-07-03 2001-10-31 한국토탈디자인뱅크주식회사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보조받침판 절첩장치
KR100827037B1 (ko) 2006-12-06 2008-05-02 김옥련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19A (ko) * 1998-03-05 1999-10-05 배길성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KR20010038349A (ko) * 1999-10-25 2001-05-15 배길성 자동판매기의 컵 이송장치
KR200247291Y1 (ko) 2001-07-03 2001-10-31 한국토탈디자인뱅크주식회사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보조받침판 절첩장치
KR100827037B1 (ko) 2006-12-06 2008-05-02 김옥련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76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236B2 (en) Simple serve topping dispenser
US9198545B2 (en) Sanitary wipe dispensing apparatus
US6719168B2 (en) Controlled output automatic product dispensing machine
US5667136A (en) Object collector
US9759471B2 (en) Mega ice bin
PT2189088E (pt)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com sistema de suporte e de recuperação de gotas para recipientes de diferentes dimensões
EP2241225A1 (en) Parcel box for receiving and keeping parcels in a theftproof manner
KR101120116B1 (ko) 위생장갑 착용장치
US7870974B2 (en) Ice bucket having a sliding dispenser
KR100952392B1 (ko) 음료수 자판기의 컵인출기
CA2616716C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CA3048417A1 (en) Toilet accessory holder
US6779794B2 (en) Gaming device having a container-item holder
JP2009504228A (ja) 可動式注ぎ口を有する飲み物を入れる装置
KR20090109951A (ko) 컵 인출이 용이한 커피자판기
EP3875001B1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RU2779134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дл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имеющая крышку для закрытия отверстия, образованного в стенке корпуса
JP7319285B2 (ja) 筐体壁に形成された開口部を覆う覆い板を有する抽出飲料用飲料調製機
KR200410402Y1 (ko) 컵 추출장치
KR100844212B1 (ko) 일회용 컵 보관대
KR101005258B1 (ko) 음료수 자판기의 컵 인출기
KR20150003471U (ko) 주방용품 걸이대
US1724128A (en) Towel cabinet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JP2009237982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