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499B1 -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499B1
KR101885499B1 KR1020180063139A KR20180063139A KR101885499B1 KR 101885499 B1 KR101885499 B1 KR 101885499B1 KR 1020180063139 A KR1020180063139 A KR 1020180063139A KR 20180063139 A KR20180063139 A KR 20180063139A KR 101885499 B1 KR101885499 B1 KR 10188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liding
supporting
stack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석
Original Assignee
권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석 filed Critical 권오석
Priority to KR102018006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의 테두리의 양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이동하면서 적층된 컵 중에서 최하단 컵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층된 컵을 수직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컵 공급부, 및 컵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받쳐 적층된 컵의 무게를 지지하고, 적층된 컵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왕복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하여 적층된 컵에서 최하단 컵을 분리하여 수직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는 수평 방향의 대기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제1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받침면이 형성된 제1 받침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받침면이 형성된 판상의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는 적층된 컵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와 차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배출 위치로 슬라이딩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받침부의 시작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적층된 컵의 최하단 컵이 상위에 적층된 컵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Beverage Cub Discharger of Slide Way}
본 발명은 음료나 얼음 등을 컵에 담아 판매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요소 중에서 컵에 음료나 얼음을 담기전에 하나의 컵을 배출 위치로 배출하기 위한 컵 배출 장치로서, 특히 컵의 테두리의 양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이동하면서 적층된 컵 중에서 최하단 컵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 컵 배출장치로서,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1040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컵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나선모양 홈이 형성된 원통판으로 이루어진 추출캠(30)과 추출캠을 회전시키는 추출캠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추출캠의 회전 과정에서 최하단 컵을 상위 컵과 분리하여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캠에 컵의 모든 무게를 견뎌야 하고, 캠의 회전에만 의지하여 컵을 분리하는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캠의 회전축(37)에 대한 캠의 수평이 조금이라도 비틀어지면 오작동이 일어나고 캠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게 되어 오랜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91644호에는 컵배출기구(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컵배출기구에 형성된 제1걸이부(21)와 제2걸이부(22)에 의하여 적층된 컵의 테두리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본 개시의 경우에는 복수의 적층된 컵을 모두 컵배출기구의 걸이부에 의지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오랜 사용으로 걸이부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으로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판매기에서 음료로 제공되는 컵의 규격이 커져서 복수의 컵이 적층되는 경우 과거보다 무게가 증가하여 종래의 방식으로는 하중을 감당하지 못하여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1040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916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중이 많이 나가는 적층된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장치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등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는 적층된 컵을 수직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컵 공급부, 및 컵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받쳐 적층된 컵의 무게를 지지하고, 적층된 컵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왕복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하여 적층된 컵에서 최하단 컵을 분리하여 수직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는 수평 방향의 대기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제1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받침면이 형성된 제1 받침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받침면이 형성된 판상의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는 적층된 컵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와 차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배출 위치로 슬라이딩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받침부의 시작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적층된 컵의 최하단 컵이 상위에 적층된 컵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받침부는 대기 위치에서 상기 최하단 컵의 테두리의 연장부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형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걸림턱의 후단에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와 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 사이를 이격시켜 분리하기 위한 경사형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어 랙기어를 전후로 움직이기 위한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하단에 고정된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를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랙기어의 전후단에 랙기어의 최대 이동위치의 끝단에 설치되어 랙기어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에 의하면,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적층된 컵이 견고하게 구성되는 제1 받침부와 제2 받침부의 제1 받침면과 제2 받침면을 따라 슬라이딩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무게가 많이 나가는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구성부품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음료컵 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컵 배출장치의 두 가지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도 6은 도 5에서 구동부가 제거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조립된 모습(a)과 상하로 분해된 모습(b)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수평적 움직임에 따른 최하단 컵의 분리 배출 과정을 도시하는 순차적 평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수평적 움직임에 따른 컵의 분리 배출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도 10은 도 9의 평면 구성과 측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료컵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테두리 연장부가 형성되고, 테두리 연장부보다 작은 직경의 음료 저장부가 가운데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들과 같이 음료컵의 테두리 연장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적층된 컵에서 최하단 컵만을 분리하는 기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는 컵 공급부(100)와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컵 공급부(100)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의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되고, 자동판매기의 외부에서, 일반적으로 세트로 공급되는, 복수의 컵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자동판매기에 고정되어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해당 위치로 컵을 정확하게 수직 하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컵 공급부(100)는 원형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02)가 형성된,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내면을 따라 컵의 테두리 외면이 하방으로 미끄러져 잘 내려갈 수 있도록 마찰력이 작은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역할은 1차적으로 컵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컵을 지지하여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이고, 2차적으로는 적층된 복수의 컵 중에서 최하단 컵만을 분리하여 하방으로 떨어뜨림과 동시에 나머지 컵은 그대로 최하단 컵이 위치하였던 높이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즉,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는 컵 공급부(100)에서 수직 하방으로 공급되는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받쳐 적층된 컵의 무게를 지지하고, 적층된 컵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왕복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하여 적층된 컵에서 최하단 컵을 분리하여 수직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1차적인 목적으로서 컵의 지지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면을 제공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컵의 원형 테두리 연장부에서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응하는 끝단의 테두리 연장부를 함께 지지하는 받침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받침면은 컵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의 공간에는 컵의 음료저장부가 게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는 수평 방향의 대기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제1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받침면(212)이 형성된 제1 받침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받침면(214)이 형성된 판상의 제2 받침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받침부(250)와 제2 받침부(240)의 구성은 도 7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기술과 달이 본 발명에서는 컵을 지지하는 영역이 최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무게가 많이 나가는 음료컵이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에도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높이는 적층된 컵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 최하단 컵(10a)의 테두리 연장부(11a)와 차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11b)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배출 위치로 슬라이딩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받침부의 시작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적층된 컵의 최하단 컵이 상위에 적층된 컵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받침부(250)는 대기 위치에서 상기 최하단 컵의 테두리의 연장부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 지지면(212R)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형 중공(218)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240)는 상기 걸림턱(213)의 후단에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와 최하단 컵의 위에 위치하는 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 사이를 이격시켜 분리하기 위한 경사형 돌기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형 돌기부(216)는 판상의 제2 받침부(240)의 한 변을 절단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2 받침부(24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구성할 수 있고, 이때 경사형 돌기부(216)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면서도 길이를 길게 하여 분리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받침부(250)와 제2 받침부(240)는 일체로 구성하거나 두 부품의 조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7(b)는 후자의 예를 나타낸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받침부(250) 상에, 통상적으로 볼트 결합되는, 결합구(255)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위에 제2 받침부(240)가 설치되어 두 부품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제1 받침면(212)과 제2 받침면(214)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슬라이딩을 한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208), 상기 랙기어(208)에 치합되어 랙기어(208)를 전후로 왕복 움직이기 위한 피니언 기어(304), 및 상기 피니언 기어(304)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부(302)는 변속기어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208)를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전반적인 폭을 형성하는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슬라이딩 왕복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따른 종래의 장치에서는 구동부가 슬라이딩 방향에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컵 배출장치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랙기어를 측면에 형성하여 슬라이딩 왕복 거리를 최대화하면서도 전체 장치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200)의 하단에 고정된 레일 결합부(222), 및 상기 레일 결합부(222)를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결합부(222)에는 베어링 구조물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레일(220)과의 미끄럼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랙기어(208)의 전후단에 랙기어(208)의 최대 이동위치의 끝단에 설치되어 랙기어(208)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310)는 랙기어(208)의 끝단이 접촉하는 접촉 플레이트(312)가 형성되어, 랙기어(208)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이탈할 때에 구동부의 구동모터부(302)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컵 공급부(100)에 절곡홈(104)이 형성되고, 절곡홈(104)에 컵 감지부(500)가 설치되어 컵 공급부(100)에 음료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컵 배출장치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컵 감지부(500)는 자동판매기에 고정되는 고정부(510)과 고정부(510)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적으로 (컵이 존재하는 경우) 컵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탄성 결합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과공(410)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400)가 더 포함되고, 통과공(410)은 컵 공급부(100)의 삽입구(102)에 일치되도록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00) 상에 컵 지지 및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레일(220)의 하면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컵 공급부(100)와 같이 자동판매기 본체에 고정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수평적 움직임에 따른 최하단 컵의 분리 배출 과정을 도시하는 순차적 평면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수평적 움직임에 따른 컵의 분리 배출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 구성과 측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8(a) 내지 도 8(c)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음료컵(10)은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대기 위치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배출 위치로 이동하면서 최하단 컵(10a)가 상위 컵으로부터 분리되어 아래로 배출되고, 도 8(d)와 도 8(e)에 의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상위 컵이 최하단 컵의 위치로 이동하여 배출 대기 상태로 존재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최하단 음료컵은 대기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동할 때에 걸림턱(213)에 의하여 분리되고, 경사형 돌기부(216)에 의하여 분리가 강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적층된 컵을 수직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컵 공급부; 및
    컵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받쳐 적층된 컵의 무게를 지지하고, 적층된 컵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왕복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하여 적층된 컵에서 최하단 컵을 분리하여 수직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는 수평 방향의 대기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제1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받침면이 형성된 제1 받침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 위치에서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의 하면의 양단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지지하여 받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받침면이 형성된 판상의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는 적층된 컵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와 차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배출 위치로 슬라이딩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받침부의 시작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적층된 컵의 최하단 컵이 상위에 적층된 컵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는 대기 위치에서 상기 최하단 컵의 테두리의 연장부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형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걸림턱의 후단에 최하단 컵의 테두리 연장부와 상위 컵의 테두리 연장부 사이를 이격시켜 분리하기 위한 경사형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어 랙기어를 전후로 움직이기 위한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컵 지지 및 슬라이딩 분리부의 하단에 고정된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를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의 전후단에 랙기어의 최대 이동위치의 끝단에 설치되어 랙기어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KR1020180063139A 2018-06-01 2018-06-01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KR10188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39A KR101885499B1 (ko) 2018-06-01 2018-06-01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39A KR101885499B1 (ko) 2018-06-01 2018-06-01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499B1 true KR101885499B1 (ko) 2018-08-03

Family

ID=6325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139A KR101885499B1 (ko) 2018-06-01 2018-06-01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345A (zh) * 2019-09-26 2019-12-06 昆山力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CN114348672A (zh) * 2021-12-15 2022-04-15 浙江佰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分杯装置和自动分杯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644Y1 (ko) 2005-05-18 2005-08-04 김성식 일회용 컵 배출장치
KR200410402Y1 (ko) 2005-12-23 2006-03-08 윤교국 컵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644Y1 (ko) 2005-05-18 2005-08-04 김성식 일회용 컵 배출장치
KR200410402Y1 (ko) 2005-12-23 2006-03-08 윤교국 컵 추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345A (zh) * 2019-09-26 2019-12-06 昆山力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CN114348672A (zh) * 2021-12-15 2022-04-15 浙江佰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分杯装置和自动分杯方法
CN114348672B (zh) * 2021-12-15 2023-12-15 浙江佰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分杯装置和自动分杯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238B2 (en) Cartridge ejector for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101885499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JPH0789604A (ja) 貯蔵用箱の自動貯蔵及び取り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EP1818881A1 (en) Cup conveyor and holder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CN211585183U (zh) 麻将机
CN107519637B (zh) 麻将机及其上牌方法
US20070126185A1 (en) Article acquistion game apparatus
US20060169712A1 (en) Rimmed cup dispenser
EP0366881A1 (en) Fruit hopper for single head juice extractor
CN107433034B (zh) 麻将机及其上牌方法
CN108581930B (zh) 管体打塞机
KR20110106614A (ko) 컵 배출기
CN107281746B (zh) 麻将机的拾牌搬运系统和上牌方法
JP433664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CN211418564U (zh) 推料组件及送料装置
CN212322355U (zh) 一种取货系统及售卖机
US48364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oxed goods
US6793214B2 (en) Device for subdividing stacks
CN216623411U (zh) 一种盲盒游艺机
CN209879642U (zh) 一种饮品胶囊供应装置
CN220795951U (zh) 一种爆米花送杯机构及爆米花自动贩卖机
CN210515467U (zh) 一种取货系统及售卖机
JP4874539B2 (ja) 自動販売機
CN217426197U (zh) 一种用于售卖机的自动出杯装置
KR20050026872A (ko) 메달 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