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872A - 메달 게임기 - Google Patents

메달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872A
KR20050026872A KR1020040071936A KR20040071936A KR20050026872A KR 20050026872 A KR20050026872 A KR 20050026872A KR 1020040071936 A KR1020040071936 A KR 1020040071936A KR 20040071936 A KR20040071936 A KR 20040071936A KR 20050026872 A KR20050026872 A KR 20050026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al
movable
game machine
guid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694B1 (ko
Inventor
가쯔야마노부유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ublication of KR2005002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58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메달 게임기는 플레이어가 메달(8)을 투입하는 투입구(4)와, 투입된 메달을 적재하는 메달 적재 부재(12)와, 상기 메달 적재 부재(12)의 메달 적재면 상에서,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투입구(4)로부터 투입된 메달(8)을 포함하는 상기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군을 압박하는 이동 부재(13)와, 상기 이동 부재(13)의 왕복 운동을 행하게 하는 구동 기구(15, 16, 17, 18)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부재(13)는 그 전방면에 있어 상기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8)에 접촉하여 압박하도록 하방으로 수직 하강하는 복수의 가로로 나열한 가동 부재(66)와, 상기 가동 부재(66)를 상기 메달 적재면에 압박하는 스프링(69)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 부재(13)의 왕복 운동에 의해, 메달(8)이 메달 적재 부재(12) 등의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13)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메달 게임기{MEDAL GAME MACHINE}
본 발명은, 메달 적재 부재의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군을 이 메달 적재면 상을 이동하는 이동 부재로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밀어낼 수 있는 메달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 적재 부재인 필드 플레이트(01) 상에서, 이동 부재인 메달 푸셔(02)가 구동 기구(03)에 의해 전후(상기 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필드 플레이트(01) 상의 메달(04)을 메달 취출부에 밀어 내는 메달 게임기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8-19661호 공보).
이 메달 게임기에서는, 메달 푸셔(02)의 하부면이 필드 플레이트(01)의 상부면으로부터 부상되지 않도록, 커버(05)로부터 수직 하강한 수직 하강 부재(06)에 압박 금구(07)가 부착되어 있어, 압박 금구(07)가 메달 푸셔(02)를 위로부터 압박하고 있다.
도18에 도시되는 메달 게임기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연속하여 메달 푸셔(02)가 필드 플레이트(01) 상을 미끄럼 이동하면, 메달 푸셔(02)의 상하부면이 마모되는 동시에, 필드 플레이트(01)의 상부면도 마모되어 메달 푸셔(02)의 선단부 하부면과 필드 플레이트(01)의 상부면에 간극이 발생되고, 이 간극에 메달(04)이 협입되어 메달 푸셔(02)가 전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메달이 메달 적재 부재 등의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일이 없는 메달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메달을 투입하기 위한 메달 투입구와, 투입된 메달을 적재하는 메달 적재면을 갖는 메달 적재 부재와, 상기 메달 적재 부재의 메달 적재면 상에서,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포함하는 상기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군을 압박하는 운동을 행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에 운동을 행하게 하는 구동 기구를 갖는 메달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에 접촉하도록,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의 전방면 부분에 마련된 가동 수단과, 상기 가동 수단을 상기 메달 적재면에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달 적재 부재의 메달 적재면 상을 이동하는 이동 부재의 전방면에 있어서, 상기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을 압박하는 부분에 가동 수단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수단을 상기 메달 적재면에 압박하는 압박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메달 적재면 상을 장기간에 걸쳐 이동하여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메달 적재면이 현저히 마모되어도, 상기 이동 부재의 가동 수단이 상기 압박 수단에 의해 메달 적재면에 항상 압박되어, 상기 가동부는 메달 적재면에 간극 없이 접촉한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결과, 메달이 상기 이동 부재의 가동 수단과 메달 적재 부재에 협입하는 것이 미연에 저지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정지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의 전방면에 병치된 복수개의 가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메달 적재면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이 복수의 가동 부재의 각각에 대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달 적재면이 이미 만곡되거나 또는 장기간의 가동으로 국부적으로 마모되어도, 이 곡면에 대해 상기 복수의 가동 부재를 각각 간극 없이 밀접할 수 있는 결과, 메달이 메달 적재 부재와 이동 부재의 가동부에 끼워지는 것이 확실하게 회피된다.
메달 게임기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상태에서는, 메달 적재 부재가 판인 경우, 메달 적재판 상의 메달의 자중이나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이 적재판이 불규칙적으로 곳곳이 오목하고, 이동 부재와 적재 부재 사이에 메달이 끼워지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분할 가동 부재의 하단부와 메달 적재면과의 간극을 매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동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메달 적재면 사이의 간극을 차폐하도록 병치된 복수개의 가동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박 수단은 전형적으로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달이 메달 적재 부재와 이동 부재의 가동부에 끼워지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회피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이동 부재에 전진 및 후퇴를 포함하는 왕복 운동을 행하게 하는 기구이며, 상기 이동 부재의 후퇴시에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면에 놓여진 메달군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는 벽부가 설치되고, 이 벽부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면에 있는 메달이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메달 적재면에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벽부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면에 있는 메달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가동 수단과, 이 가동 수단을 이동 부재의 상부면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수단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부의 가동 수단은 병치된 복수의 가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상부면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수단이 복수의 벽부 가동 부재에 대해 각각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메달 적재 부재의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뿐만 아니라, 이동 부재의 상부면의 메달군도 밀어 내어 상기 메달 적재면 상에 낙하시킬 수 있고, 게다가 메달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동 수단을 상기 압박 수단을 갖고, 상기 이동 부재 상부면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가동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 상부면에 메달이 끼워지는 것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수단은 상하 방향에 가동으로 하고, 가동 수단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동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동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가동 수단의 압박을 위한 이동의 안내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이동 부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부재 지지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양측부에 인접하여 상기 이동 부재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이동 부재를 왕복 이동을 위해 안내하는 왕복 안내 부재와, 상기 왕복 안내 부재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면의 좌우 부분에 접촉하는 엄폐 부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왕복 안내 부재의 안내면이 만곡되거나 또는 장기간의 가동으로 국부적으로 마모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왕복 안내 부재에 대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도, 상기 엄폐 부재의 하단부면이 상기 이동 부재 상부면의 좌우 부분에 항상 밀접할 수 있어, 메달이 상기 이동 부재와 전후 안내 부재에 끼워지는 것이 미연에 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부재의 양측면부에 이동 감마 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재 지지 부재는 수평 기판을 갖고, 또한 상기 왕복 안내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부재에 접촉하는 안내 벽부와, 상기 안내 벽부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 벽부보다 상기 이동 부재를 향해 밀어 낸 압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엄폐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의 압박부에 압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감마 수단에 의해 무리하지 않고 전후로 왕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이동 부재 지지 부재에 대해 좌우로 어긋나는 일이 있어도, 상기 엄폐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면 양측부에 항상 밀접할 수 있어, 상기 이동 부재와 전후 왕복 안내 부재에 메달이 끼워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17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메달 게임기(1)는 평면 형상이 육각형을 이루고, 그 육각형의 중심과 각 정상각을 연결하는 면에서 6개로 분할된 새털라이트 게임 유닛(2)으로 이루어지고, 각 새털라이트 게임 유닛(2)마다 플레이어가 각각 플레이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새털라이트 게임 유닛(2)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전방측의 유리판(3)의 상부에 메달 투입구(4)가 설치되고, 유리판(3)으로 구획된 게임 공간(5)의 깊이측에 배면판(6) 및 투명판(7)이 연직 방향으로 지향되어 메달(8)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어, 배면판(6)과 투명판(7) 사이에 메달 통로(9)가 형성된다. 메달 투입구(4)로부터 메달 통로(9)의 정상단부를 향해 메달 가이드(10)가 설치되고, 이 배면판(6)의 전방면에는 빠찡코 게임기의 못과 같이 다수의 못(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투명판의 하부에는 메달 센서(11)가 마련되어 게임 공간(5)의 바닥부에는 메달 적재 부재(12)가 수평하게 설치되고, 그 위에 이동 부재(13)가 적재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메달 투입구(4)로부터 메달(8)을 투입하면, 메달 투입구(4)는 메달 가이드(10) 내를 통과하여 메달 통로(9) 내에 들어가고, 도중의 못에 의해 경로를 바꾸면서 메달 통로(9) 내를 낙하하여, 메달 센서(11)의 근접한 곳을 메달(8)이 통과되면, 소정 매수의 메달(8)이 메달 적재 부재(12) 또는 이동 부재(13) 상으로 불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13)에는 연결 레버(14)의 선단부가 피봇 부착되고, 구동 모터(15)의 회전축(16)이 연직 방향으로 바로 선 상태에서 구동 모터(15)가 새털라이트 게임 유닛(2)의 본체에 설치되고, 회전축(16)의 상단부에 일체로 적재된 크랭크(17)의 선단부에 연결 레버(14)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5)가 가동 상태가 되어 크랭크(17)가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면, 이동 부재(13)는 전후로 왕복 운동된다.
메달 적재 부재(12)는 전체적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다. 메달 적재 부재(12)는 베이스 지지 부재(18)(도6 내지 도8 참조)와, 베이스 지지 부재(18)의 천정판(19)에 일체로 겹쳐친 판형의 베이스(25)(도3, 도4 참조)와, 베이스(25)의 좌우 양측부에 일체로 장착된 사이드 가이드(26)(도9 내지 도1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5)의 상부면은 메달 적재면을 구성한다. 사이드 가이드(26)에는 메달 가이드부(32)가 설치되고, 메달 가이드부(32)의 내측면부로부터 돌출하는 엄폐 부재 보유 지지 돌기 부재(35)에 자기 윤활성이 풍부한 합성 수지제 엄폐 부재(43)(도5 참조)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엄폐 부재(43)를 엄폐 부재 보유 지지 돌기 부재(35)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압박하는 압박판(44)(도5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엄폐 부재(43)의 상하 방향 위치는, 압박판(44)에 의해 미세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지지 부재(18)에서는, 강판제의 천정판(19)의 양측부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판(20)이 형성되고, 이 측판(20)의 하부가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 수평 부재(21)가 형성되고, 측판(20)에 인접한 천정판(19)의 양측부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펀칭되어 급상승 부재(22)가 형성되고, 천정판(19)의 전방부가 하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 하강판(23)이 형성되고, 이 수직 하강판(23)의 하부가 전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되접힘 수평 부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25)는 이동 부재 지지 부재를 구성하고, 사이드 가이드(26)는 전후 왕복 안내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각 사이드 가이드(26)는,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가이드판(27)과, 도12 내지 도14에 도시된 한 쌍의 보강판(36)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이드판(27)은 바닥판부(28)와, 바닥판부(28)의 외단부에서 상측으로부터 기립한 되접힘 보강 부재(29)와, 바닥판부(28)의 내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한 이동 부재 가이드부(30)와, 이동 부재 가이드부(30)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단차부(31)와, 단차부(31)의 내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한 상기 메달 가이드부(32)와, 메달 가이드부(32)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되접힘 정상판부(33)와, 메달 가이드부(32)의 전방으로부터 직각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전방단부 보강 부재(34)와, 메달 가이드부(32)의 대략 중앙부가 내측으로 펀칭되어 형성된 상기 엄폐 부재 보유 지지 돌기 부재(35)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각 보강판(36)은 도12에 도시한는 형상의 본체부(37)와, 본체부(37)의 바닥부와 정상부에 의해 내측으로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바닥 부재부(38) 및 정상 부재부(39)와, 본체부(37)의 내측 하부와 상부에 의해 내측으로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가이드판 보유 지지 부재(40, 41)와, 본체부(37)의 외측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되접힘 부재(42)로 이루어져 있고, 각 보강판(36)의 가이드판 보유 지지 부재(40, 41)가 가이드판(27)의 이동 부재 가이드부(30) 및 메달 가이드부(32)에 각각 접착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도5에 도시된 대략 앵글형의 압박판(44)은 그 정상부(45)가 가이드판(27)의 되접힘 정상판부(33)에 겹쳐져, 양자를 관통하는 나사 등으로 가이드판(27)에 일체로 고정 부착되고, 압박판(44)의 전방단부에는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이동 저지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 적재 부재(12)의 베이스(25)의 선단부에는 메달 적재판(47)이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13)는 메달 적재 부재(12)의 베이스(25) 상을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며,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 부재(13)는 이동 부재 베이스(50)와,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겹쳐져 적재되는 메달 지지 플레이트(57)와, 이 메달 지지 플레이트(57)의 상부면 전방단부에 일체로 적재되는 선단부 엣지 부재(58)로 이루어진다. 이동 부재 베이스(50)에서는, 그 좌우 양측부에서 하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측판부(51)가 설치되고, 각 측판부(51)의 전방부측 부재(51a)와 후방부측 부재(51b)의 각각 후방부의 하방에 지지 롤러(52)가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는 동시에, 각 측판부(51)의 후방부 부재(51b)의 전방부 상방에 압박 롤러(53)가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 베이스(50)에서는, 전방부 부재(51a)와 후방부 부재(51a) 사이에서 외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전방 수평부 부재(51c)와, 후방부 부재(51b)의 후방에서 외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후방 수평부 부재(51d)가 설치되고, 이러한 전방 수평부 부재(51c)와 후방부 부재(51b)에 가이드 롤러(54)가 각각 연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있다. 롤러(52, 53, 54)는 이동 부재(13)의 이동 감마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양측판부(51)의 사이에서 전방 중앙부에 연결 레버 피봇 부착 블록(55)이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연결 레버(14)의 선단부가 연결 레버 피봇 부착 블록(55)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선단부 판부(56)가 설치되고, 이 선단부 판부(56)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구멍(59)이 마련되고, 이러한 부착 구멍(59)에 도16, 도17에 도시되는 좌우 1쌍의 부착판(60)에 형성한 구멍(61)이 합쳐지고, 이러한 부착 구멍(59, 61)을 관통하여 나사 부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를 갖고, 부착판(60)이 선단부 판부(56)에 장착되어 각 부착판(60)의 정상부에는 하부 3 부위에 가이드 돌기(62a)를 구비한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가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부착판(60)에는 인접하는 가이드 돌기(62a) 사이와 외측 가이드 돌기(62a)의 외측으로, 각각 비스듬하게 나열한 3개의 구멍(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호 64는 후술한 가동 부재(66)를 위한 보유 지지 부재를 나타내고, 각 보유 지지 부재(64)의 배면에 도시되지 않은 2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보유 지지 부재(64)의 2개의 돌기가 3개의 상기 구멍(63) 내의 양단부의 구멍(63a)에 끼워 맞춰진다. 각 보유 지지 부재(64)의 전방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오목부의 중앙에 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65)과 3개의 구멍(63) 중 중앙의 구멍(63b)을 관통하여 나사 부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64)는 부착판(60)에 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각 보유 지지 부재(64)의 좌우로는, 플랜지형의 되접힘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66)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피안내 작용을 다하는 직사각형의 피안내 구멍(67)이 형성되고, 이 피안내 구멍(67)에 상기 보유 지지 부재(64)의 본체 부분이 헐겁게 끼워진다. 가동 부재(66)는 자기 윤활성이 풍부하던 합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가동 부재(66)의 정상부 2 부위에는 블라인드 구멍(68)이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의 하부면에도 블라인드 구멍(68)과 대응한 부위에 도시되지 않은 블라인드 구멍이 형성되고, 가동 부재(66)의 블라인드 구멍(68)과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의 블라인드 구멍과 코일 스프링(69)이 각각 헐겁게 끼워져 있고, 이 코일 스프링(69)이 탄력에 의해 가동 부재(66)는 항상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의 전방면에 엣지 부재(58)가 고정된다. 즉, 엣지 부재(58)는 상기와 일체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착부(58a)를 갖고, 이 부착부(58a)가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의 전방면에 접촉이 분리된다. 그리고,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를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선단부 판부(56)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로 나사 부착할 때에, 이 나사가 엣지 부재(58)의 부착부(58a)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관통하여, 엣지 부재(58)는 부착판(60) 및 간격 보유 지지 부재(62)와 같이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선단부 판부(56)에 함께 체결되게 된다. 엣지 부재(58)의 선단부(58b)는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선단부 판부(56)의 상단부 모서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6)의 하단부에는 이동 부재(13)의 메달 지지 플레이트(57)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는 벽부(70)가 전후로 이동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고, 이동 부재(13)가 후퇴(도2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이동 부재(13) 상의 메달(8)은 벽부(70)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밀어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 벽부(70)는 전술한 가동 부재(66), 코일 스프링(69), 보유 지지 부재(64)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달 압박 장치와 균등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17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메달 투입구(4)로부터 메달(8)을 투입하면, 메달(8)은 메달 가이드(10) 내를 경유하여 메달 통로(9) 내를 낙하하고, 이동 부재(13)의 메달 지지 플레이트(57) 상에 적재된다. 그리고, 이동 부재(1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메달 지지 플레이트(57) 상의 메달(8)이 차례로 전방으로 밀어 내어지고, 메달(8)은 이동 부재(13)의 선단부 엣지 부재(58)로부터 메달 적재 부재(12)의 메달 적재판(47) 상에 낙하하고, 또한 메달 적재판(47) 상의 다수의 메달(8)은 조금씩 전방으로 밀어 내어져 메달 적재 부재(12)의 선단부 엣지 부재(48)로부터 낙하하여 불출하고, 상기 슈트(49)를 경유하여 불출구(49a)로 불출된다. 계속해서, 이동 부재(13)는 후퇴한다.
이동 부재(13)가 구동 모터(15)에 의해 전후로 왕복 구동되는 경우에, 이동 부재(13)는 지지 롤러(52)에 의해 저항이 적게 전후로 구동되는 동시에, 사이드 가이드(26)의 이동 부재 가이드부(30)에 접하여 구르는 지지 롤러(52)에 의해 좌우로 어긋나는 일도 없이 전후로 진퇴할 수 있고, 게다가 사이드 가이드(26)의 단차부(31)에 접하여 구르는 압박 롤러(53)에 의해 상방으로 부상하는 일도 없이, 안정적으로 왕복할 수 있다.
또한, 엄폐 부재(43)는 엄폐 부재 보유 지지 돌기 부재(35), 가이드판(27) 및 압박판(44)을 갖고 전후 좌우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되고, 엄폐 부재(43)가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메달 지지 플레이트(57) 상에 항상 접촉한다. 이로 인해, 사이드 가이드(26)의 가이드판(27)과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메달 지지 플레이트(57)의 측모서리 사이에 메달(8)이 진입하여 끼워지는 일이 전혀 없다.
또한, 이동 부재 베이스(50)의 메달 지지 플레이트(57)의 전방에 복수의 가동 부재(66)가 좌우 방향으로 분산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69)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13)의 왕복 이동시에 가동 부재(66)의 하단부면이나 베이스(25)의 상부면의 마모나, 지지 롤러(52)의 외주면의 마모는 무관하게, 가동 부재(66)의 하단부면이 베이스(25)에 어떠한 상태라도 간극 없이 접촉한다. 따라서, 베이스(25)와 가동 부재(66) 사이나 베이스(25)와 선단부 판부(56) 사이에 메달(8)이 끼워지는 것이 미연에 저지된다.
게다가 또한, 가동 부재(66)에 직사각형의 피안내 구멍(67)이 형성되고, 이 피안내 구멍(67)에 단면이 직사각형의 보유 지지 부재(64)가 끼워 맞춰져 있으므로, 보유 지지 부재(64)에 안내되어 가동 부재(66)는 안정적으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보유 지지 부재(64)에는 되접힘부(6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69)의 스프링력이 좌우 어느 한 쪽 부위에 어긋나 작용해도 가동 부재(66)는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고, 보유 지지 부재(64)에 의해 가동 부재(66)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메달 적재 부재인 베이스(25)에 대한 가동부인 가동 부재(66)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동 부재(66)를 자기 윤활성이 풍부한 합성 수지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덧붙여 가동 부재(66)의 하부면을 선단부측이 낮은 후단부측이 높아진 대패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정면으로부터 보아 가동 부재(66)의 하부 모서리를 파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가동 부재(66)를 가로 방향으로 1열로 배열하지 않고, 평면으로부터 보아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해도 좋다. 또한, 가동 부재(66) 상호간의 배열 간극은 도시한 바와와 같이 반드시 좁지 않아도 좋고, 메달(8)의 직경보다도 작은 간극으로서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달 적재 부재의 메달 적재면 상의 메달군을 이 메달 적재면 상을 이동하는 이동 부재로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밀어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메달 게임기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1의 일부를 절결한 주요부 사시도.
도4는 메달 적재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5는 도4의 정면도.
도6은 메달 적재 부재의 베이스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7은 도6의 정면도.
도8은 도7의 측면도.
도9는 가이드판의 측면도.
도10은 도9의 평면도.
도11은 도9의 정면도.
도12는 보강판의 측면도.
도13은 도12의 정면도.
도14는 도12의 평면도.
도15는 이동 부재를 비스듬하게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6은 부착판에 가동 부재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17은 도16의 분해 사시도.
도18은 종래의 메달 게임기의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달 게임기
2 : 새털라이트 게임 유닛
3 : 유리판
4 : 메달 투입구
5 : 게임 공간
6 : 배면판
7 : 투명판
8 : 메달
9 : 메달 통로
10 : 메달 가이드
12 : 적재 부재
13 : 이동 부재
14 : 연결 레버
15 : 구동 모터
16 : 회전축
17 : 크랭크
18 : 베이스 지지 부재
19 : 천정판
20 : 측면판
21 : 절곡 수평 부재
25 : 베이스
26 : 사이드 가이드
27 : 가이드판
30 : 안내 벽부
31 : 단차부
32 : 메달 가이드부
33 : 정상판부
34 : 전방 단부 보강 부재
35 : 엄폐 부재 보유 지지 돌기 부재
36 : 보강판
37 : 본체부
39 : 정상 부재부
40, 41 : 가이드판 보유 지지 부재
43 : 합성 수지제 엄폐 부재
44, 60 : 압박판
50 : 이동 부재 베이스
52 : 지지 롤러
53 : 압박 롤러
54 : 가이드 롤러
55 : 피봇 부착 블럭
56 : 선단부 판부
57 : 메달 지지 플레이트
58 : 엣지 부재
59, 61 : 부착 구멍
64 : 보유 지지 부재
65 : 구멍
66 : 가동 부재
69 : 압박 수단
70 : 벽부

Claims (10)

  1. 플레이어가 메달(8)을 투입하기 위한 메달 투입구(4)와, 투입된 메달(8)을 적재하는 메달 적재면(25)을 갖는 메달 적재 부재(12)와, 상기 메달 적재 부재(12)의 메달 적재면(25) 상에서, 상기 투입구(4)로부터 투입된 메달(8)을 포함하는 상기 메달 적재면(25) 상의 메달군을 압박하는 운동을 행하는 이동 부재(13)와, 상기 이동 부재(13)에 운동을 행하게 하는 구동 기구(15, 16, 17, 18)를 갖는 메달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13)는 상기 메달 적재면(25) 상의 메달(8)에 접촉하도록, 이동 부재(13)의 이동 방향의 전방면 부분에 마련된 가동 수단(66)과,
    상기 가동 수단(66)을 상기 메달 적재면(25)에 압박하는 압박 수단(6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13)의 전방면에 병치된 복수개의 가동 부재(66)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압박 수단(69)이 복수의 가동 부재(66)의 각각에 대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13)와 상기 메달 적재면(25) 사이의 간극을 차폐하도록 병치된 복수개의 가동 부재(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69)이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15, 16, 17, 18)는, 상기 이동 부재(13)에 전진 및 후퇴를 포함하는 왕복 운동을 행하게 하는 기구이며, 상기 이동 부재(13)의 후퇴시에 상기 이동 부재(13)의 상부면에 놓여진 메달군(8)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는 벽부(70)가 설치되고, 이 벽부(70)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13)의 상부면에 있는 메달(8)이 상기 이동 부재(13)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메달 적재면(25)에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70)는 상기 이동 부재(13)의 상부면에 있는 메달(8)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가동 수단과, 이 가동 수단을 이동 부재(13)의 상부면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70)의 가동 수단은 병치된 복수의 가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상부면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수단이 복수의 벽부 가동 부재에 대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수단(66)은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고, 가동 수단(6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동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6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13)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부재 지지 부재(12, 25)와,
    상기 이동 부재(13)의 양측부에 인접하여 상기 이동 부재 지지 부재(12, 25)에 설치되어 이동 부재(13)를 왕복 이동을 위해 안내하는 왕복 안내 부재(26)와,
    상기 왕복 안내 부재(26)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13)의 상부면의 좌우 부분에 접촉하는 엄폐 부재(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13)의 양측면부에 이동 감마 수단(52, 53, 54)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 부재 지지 부재(12, 25)는 수평 기판을 갖고,
    상기 왕복 안내 부재(26)는 상기 이동 부재(13)의 이동 감마 수단(52, 53, 54)에 접촉하는 안내 벽부(30)와,
    상기 안내 벽부(3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 벽부보다 상기 이동 부재(13)를 향해 밀어 낸 압박부(44)를 구비하고,
    상기 엄폐 부재(43)는 상기 안내 부재(26)의 압박부(44)에 압박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
KR1020040071936A 2003-09-10 2004-09-09 메달 게임기 KR101052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9029 2003-09-10
JP2003319029A JP4400151B2 (ja) 2003-09-10 2003-09-10 メダルゲーム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872A true KR20050026872A (ko) 2005-03-16
KR101052694B1 KR101052694B1 (ko) 2011-07-28

Family

ID=3441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36A KR101052694B1 (ko) 2003-09-10 2004-09-09 메달 게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00151B2 (ko)
KR (1) KR101052694B1 (ko)
CN (1) CN100569324C (ko)
TW (1) TW2005188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4517B1 (ja) * 2006-02-15 2007-07-1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ダル遊技機
JP4652354B2 (ja) * 2007-02-14 2011-03-1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メダルゲーム装置
GB2462541B (en) * 2007-08-21 2011-02-16 Namco Bandai Games Inc Token game machine
JP4934637B2 (ja) * 2008-05-30 2012-05-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並びにこれを構成する業務用ゲーム装置及び管理装置
KR20110135670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안다미로 홀 가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달 푸셔 게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00151B2 (ja) 2010-01-20
TWI330542B (ko) 2010-09-21
TW200518808A (en) 2005-06-16
CN100569324C (zh) 2009-12-16
JP2005081010A (ja) 2005-03-31
CN1593708A (zh) 2005-03-16
KR101052694B1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8785B (zh) 制冷器具
US7504067B2 (en) Automatic tube-type specimen container supply apparatus
US6257394B1 (en) Part-conveying apparatus
KR101070563B1 (ko)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US4010766A (en) Change dispensing apparatus
KR101052694B1 (ko) 메달 게임기
CA2355015A1 (en) Running machine
JP2002369919A (ja) パチンコ機のステージの遊技球振り分け構造
GB2426369A (en) Coin-dispensing apparatus
JP2005081010A5 (ko)
KR101885499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JP4400602B2 (ja) メダルゲーム機
US5074432A (en) Card dispensing device
JP4606937B2 (ja) 遊技機の球払出装置
CN114132768B (zh) 分杯机构及供料装置
JP433664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KR200397479Y1 (ko) 메달 게임기
JP532489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上下搬送装置
KR100561151B1 (ko)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CN216710891U (zh) 铁片上料机构
JP3605481B2 (ja) 弾球遊技機の中枠
US5467895A (en) Ticket dispensing machine
JP4874539B2 (ja) 自動販売機
JP2725139B2 (ja) 弾球遊技機の入賞装置
JP6242310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