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151B1 -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151B1
KR100561151B1 KR1020010007653A KR20010007653A KR100561151B1 KR 100561151 B1 KR100561151 B1 KR 100561151B1 KR 1020010007653 A KR1020010007653 A KR 1020010007653A KR 20010007653 A KR20010007653 A KR 20010007653A KR 100561151 B1 KR100561151 B1 KR 10056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al
pressing member
conveying apparatus
game machine
med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683A (ko
Inventor
오꾸아끼마사또
야마기와아쯔히꼬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58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반 상의 특정 위치에 원하는 매수의 메달 덩어리를 공급할 수 있는 메달 반송 장치 및 이를 조립한 메달 푸셔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달이 적재되는 필드(51)와, 메달을 투입하는 메달 투입 기구(45)와, 투입된 메달을 필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메달 압출 부재(50)와, 상기 필드의 단부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회수하는 메달 회수 기구(53)와, 상기 필드에 메달 덩어리를 공급하는 메달 반송 장치(1)를 구비한 메달 게임기이다. 또, 메달 반송 장치는 오목부를 갖는 메달 누름 부재(10)와, 메달 누름 부재의 오목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메달 눌림 부재(11)와, 메달 누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20 내지 29)를 포함하고, 정지중에 있어서 메달 수납부가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하고, 반송중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동시에, 수평 적재된 메달을 메달 눌림 부재에 밀어 붙인다.
메달 슈터, 책커, 메달 누름 부재, 메달 반송 장치, 메달 게임기

Description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MEDAL GAME MACHINE AND MEDAL CONVEYOR}
도1은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메달 누름 부재의 사시도.
도5는 제1 게이트의 사시도.
도6은 제2 게이트의 사시도.
도7은 메달 누름 부재, 제1 게이트 및 제2 게이트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메달 누름 아암의 구동 동작을 도시한 분해도.
도9는 메달 누름 부재에 의한 메달의 밀어내기 동작을 도시한 분해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를 조립 가능한 메달 게임기의 사시도.
도11은 도10의 메달 게임기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12는 도10의 메달 게임기의 제어 블록도.
도13은 도10의 메달 게임기의 특정 동작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달 반송 장치
2 : 주 프레임
3 : 보조 프레임
3a : 부재
3b : 부재
3c : 절결부
4 : 슬라이드 아암
4a : 내측 레일
5 : 안내 레일
6 : 메달 슈터
8 : 모터
10 : 메달 누름 부재
11 : 제1 게이트
12 : 제2 게이트
13 : 메달 수납부
20 : 주축
21 : 제1 핀
22 : 제1 크랭크 아암
23 : 제2 핀
24 : 제2 크랭크 아암
25 : 제3 핀
26 : 제3 크랭크 아암
27 : 제4 핀
28 : 롤러
30 : 롤러 홀더
31 : 롤러 댐퍼
32 : 댐퍼 스프링
33 : 롤러 홀더 엔드
34 : 스톱퍼
35 : 댐퍼 핀
40 : 메달 게임기
41 : 기체부
42 : 메달 보급 장치
43a 내지 43d : 새틀라이트
44a 내지 44d : 메달 취출구
45a 내지 45d : 슈트
47a 내지 47d : 메달 공급관
48a 내지 48d : 룰렛 게임 표시반
50 : 메달 테이블
51 : 플레이 필드
52 : 푸셔판
53a 내지 53d : 메달 회수구
54a 내지 54d : 책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메달 푸셔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달 덩어리를 플레이 필드 상에 공급하는 메달 반송 장치를 갖는 메달 푸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수평한 게임반 상에 다수의 메달을 적재하고, 그 게임반 상에 소정의 영역 내에서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는 메달 푸셔를 설치하고, 플레이어가 소유하고 있는 메달을 게임반 상에 투입하면, 메달 푸셔로 밀어내어진 메달이 또 다른 메달을 밀어서 메달이 게임반 상으로부터 낙하하고, 그 낙하한 메달을 플레이어에게 부여하는 소위 메달 푸셔 게임기가 잘 알려져 있다.
메달 푸셔 게임기의 게임반 상으로의 메달의 공급은 영업 개시전에 게임기의 관리자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즉, 게임기를 가동시키기 전에 미리 인력으로 게임반 상에 적당하게 메달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 메달 배치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메달을 어느 정도 넓은 영역에 걸쳐서 균일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부분 부분에 메달 덩어리 또는 산(이하, 통합하여 「덩어리」라고 함)을 구축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메달 푸셔에 의해서 밀어내어지는 메달은 처음에 놓여진 상태의 형상을 거의 유지하면서 게임반 상을 이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메달 덩어리를 낙하시켜 보다 많은 메달을 획득하려는 의욕이 플레이어에게 샘솟아 게임의 흥미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달 공급 방식에서는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게임기를 점검하여 적절한 양의 메달이 게임반 상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 적당한 수의 메달 덩어리가 게임반 상에 남아 있는지를 판단하여, 한번 게임기를 정지시킨 후에 메달의 공급 작업을 행해야만 되어, 게임기의 운용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 자동적으로 메달을 게임반 상에 공급하는 장치도 존재한다. 이러한 메달 공급 장치의 일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8-215422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달 공급 장치는 메달을 게임반 상에 무작위로 흩어지도록 동작하므로, 게임반 상에 적절한 크기의 메달 덩어리를 배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메달 푸셔 게임기의 게임반(플레이 필드)의 특정 위치에 자동적으로 메달 덩어리를 공급하는 메달 반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달 푸셔 게임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메달 홀더[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제1 게이트, 제2 게이트)가 결합하여 얻어지는 조립체]를 형성하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를 포함하고, 메달 홀더는 복수의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메달 누름 부재는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메달 눌림 부재는 이동중인 메달에 접촉하여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연직 방향을 따라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복수의 메달을 메달 홀더 내에 수평 적재 상태로 적재하는 동시에, 이 적재된 메달을 메달 누름 부재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로 반송하면서 동시에 메달을 정렬시킬 수 있다.
(2)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오목부를 갖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의 오목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메달 눌림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정지중에 있어서 메달 수납부가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하고, 반송중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수평 적재된 메달을 메달 눌림 부재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라 함은 그 속에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용 가능하면, 측벽이 완전히 이어져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는 의미이다.
(3)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오목부를 갖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의 오목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메달 눌림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정지중에 있어서 메달 수납부가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하고, 반송중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동시에, 수평 적재된 메달을 메달 눌림 부재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오목부 및 돌기부를 갖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의 오목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메달 눌림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정지중에 있어서 메달 수납부가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하고, 반송중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동시에, 수평 적재된 메달을 상기 메달 눌림 부재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곡면부 및 돌기부를 갖는 메달 누름 부재와, 각각이 곡면부를 갖고 상기 메달 누름 부재의 곡면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제1ㆍ제2 메달 눌림 부재와, 메달 누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정지중에 있어서, 메달 수납부가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하고, 반송중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돌기부에 의해 제1ㆍ제2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동시에, 수평 적재된 메달을 제1 메달 눌림 부재의 상기 곡면부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와, 상기 메달 누름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제1 위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가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제3 위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메달 수납부에 수납된 적재 메달을 메달 눌림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와, 상기 메달 누름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제1 위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가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제3 위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고,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제4 위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가 메달 수납부에 수납된 적재 메달을 메달 눌림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의 메달 반송 장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0)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게임기는, 메달이 적재되는 필드와, 메달을 투입하는 메달 투입 기구와, 투입된 메달을 필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메달 압출 부재와, 상기 필드의 단부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회수하는 메달 회수 기구와, 상기 필드에 메달 덩어리를 공급하는 메달 반송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필드」라는 말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탄한 반면의 의미로 사용한다. 또, 「메달 압출 부재」라 함은 필드 상에 적재된 메달을 그 일부분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부재를 폭넓게 포함하는 것이며, 그 상면이 메달을 적재 가능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메달」이라는 말은 토큰, 코인, 경화 등의 원반형(외주부가 완전히 원형이 아닌 것도 포함함)의 물체 전부를 포함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11)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메달 게임기는, 메달이 적재되는 필드와, 메달을 투입하는 메달 투입 기구와, 투입된 메달을 필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메달 압출 부재와, 상기 필드의 단부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회수하는 메달 회수 기구를 구비한 메달 게임기로서, 소정 조건의 성립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소정 조건의 성립에 따라서, 상기 필드에 메달 덩어리를 공급하는 메달 반송 장치를 또 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2) 상기 메달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메달 덩어리는 예를 들어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우선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제공되는 메달 반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 메달 반송 장치를 이용한 메달 푸셔 게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 도3은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메달 반송 장치 본체이고, 중공 상자형 형상으로 정형된 주 프레임(2), 주 프레임(2)의 상부에 부착되는 보조 프레임(3), 중공의 ㄷ자형으로 정형된 슬라이드 아암(4)을 갖고, 주 프레임(2)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연신하는 안내 레일(5)이 부착된다. 이들의 지지 부재에는 후술하는 메달 슈터(6), 메달 누름 부재(10), 제1 게이트(11), 제2 게이트(12) 등이 부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프레임(2)의 측면에는 모터(8)가 부착된다. 모터(8)의 회전축은 후술하는 내부의 구동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 아암(4)은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된 내측 레일(4a)이 주 프레임(2)의 안내 레일(5)에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거쳐서 끼워 넣어지고, 주 프레임(2)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 프레임(3)은 주 프레임(2) 상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부재(3a)와, 주 프레임(2) 상에 수직으로 상승하는 부재(3b)로 구성된다. 부재(3a)는 후술하는 절결(3c)을 갖는다. 제1 게이트(11), 제2 게이트(12)는 부재(3b)에 경첩(13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제1 게이트는 도2에서는 도시 생략). 경첩(13a)의 회전축에는 병렬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항상 제1 게이트 및 제2 게이트를 폐쇄하는 방향(도3의 상태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메달 슈터(6)는 부재(3b)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메달 수납부(13)에 메달을 도입하는 작용을 행한다. 주 프레임(2), 보조 프레임(3) 및 메달 슈터(6)가 형성하는 아치의 내부를 슬라이드 아암(4)이 관통한다.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메달 반송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메달 반송 장치(1)의 절결 사시도이고,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주 프레임(2)의 측판의 일부 및 슬라이드 아암(4)의 상부 판 및 측판의 일부, 부재(3b)의 일부, 경첩(13a), 메달 슈터(6)의 일부 등을 제거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 누름 부재(10),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는 그들의 내측에 형성된 곡면이 연속되도록 위치 맞춤되어 있고, 이들 3개의 부재가 내부에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한다.
도4, 도5, 도6, 도7은 메달 누름 부재(10),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의 각각의 형상 및 그들의 도3의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 누름 부재(10)는 그 단면이 대략 ㄷ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오목부(10a)(원기둥을 수직으로 분할한 듯한 형태로 절삭된 곡면)가 메달에 접촉하는 면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오목부(10a)의 상단부는 모따기된다. 또, 오목부(10a)의 좌우는 평평한 면을 형성하여 2개의 돌출부(10b)로 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11)는 두께가 다른 2개의 직육면체(11a, 11b)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연결한 듯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일면에 있어서 접합부가 매끄럽게 가공되어 곡면부(11c)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게이트(12)는 두께가 다른 2개의 직육면체(12a, 12b)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연결한 듯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일변이 곡면형으로 절삭되어 곡면부(12c)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7은 메달 누름 부재(10),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를 메달 반송 장치(1)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서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3의 상태에 있어서는 메달 누름 부재(10)의 2개의 돌출부(10b)가 각각 제1 게이트(11), 제2 게이트(12)에 근접하고, 각각의 오목부(10a) 및 곡면부(11c, 12c)가 원통을 형성하도록 위치 맞춤된다. 이 원통이 메달 수납부(13)를 이루고, 그 내경은 사용되는 메달보다도 크게 설계된다. 도3의 상태에 있어서, 메달 수납부(13)는 메달 슈터(6)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메달 슈터(6)가 형성하는 메달 유도 사면(6a)이 메달 수납부(13)에 연속되도록 위치 맞춤된다.
다음에, 다시 도3을 참조하면, 도3에는 제1 핀(21), 제1 크랭크 아암(22), 제2 핀(23), 제2 크랭크 아암(24), 제3 핀(25), 제3 크랭크 아암(26), 주축(20), 제4 핀(27), 롤러(28), 롤러 홀더(30), 롤러 댐퍼(31), 댐퍼 스프링(32), 롤러 홀더 엔드(33), 스톱퍼(34), 안내부(35)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핀(21)은 제1 크랭크 아암(22)과 모터(8)(도3에는 도시 생략)의 회전축을 결합하는 연결 부재이다. 제1 크랭크 아암(22)은 제1 핀(2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행하는 크랭크 아암이다. 제2 핀(23)은 제1 크랭크 아암(22)과 제2 크랭크 아암(24)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제1 크랭크 아암(22)과 제2 크랭크 아암(24)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제2 크랭크 아암(24)은 제1 크랭크 아암(22)과 제3 크랭크 아암(26)을 접속하는 동력 전달 부재이고, 제1 크랭크 아암(22)의 움직임을 제3 크랭크 아암(26)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제3 핀(25)은 제2 크랭크 아암(24)과 제3 크랭크 아암(26)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제2 크랭크 아암(24)과 제3 크랭크 아암(26)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제3 크랭크 아암(26)은 그 일단부가 주축(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중간부에 있어서 제3 핀(25)에 의해 제2 크랭크 아암(2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주축(20)은 제3 크랭크 아암(26)을 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회전축이다. 또, 제3 크랭크 아암의 다른 일단부에는 롤러(28)가 제4 핀(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롤러(28)는 롤러 홀더(30)와 롤러 댐퍼(31)로 협지된다. 롤러 홀더(30)는 대략 ㄷ자형을 이룬 부재이고, 그 오목부가 롤러(28)의 폭에 적합한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홈이 수직이 되도록 슬라이드 아암(4)의 측판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 댐퍼(31)는 그 일면에 롤러(28)의 폭에 적합한 홈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이고, 댐퍼 핀(35)에 의해서 슬라이드 아암(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그 측면 하단부가 댐퍼 스프링(32)에 의해서 롤러 홀더 엔드(33)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 홀더 엔드(33)는 슬라이드 아암(4)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28)는 롤러 홀더(30)의 홈과 롤러 댐퍼(31)의 홈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스톱퍼(34)는 보조 프레임(3) 상에 부착된 2개의 L자형 부재이고, 롤러 홀더 엔드(33)에 맞닿아 슬라이드 아암(4)의 이동폭을 규제한다.
슬라이드 아암(4)의 전방 단부에는 메달 누름 부재(10)를 격납하기 위한 메달 누름 홀더(4b)가 형성되고, 그 후방 단부에 있어서는 그 일부가 연장되어 전술한 내측 레일(4a)을 형성하고 있다.
메달 누름 부재(10)는 슬라이드 아암(4)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메달 누름 홀더에 상방향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있고, 메달 누름 홀더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메달 누름 부재(1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메달 누름 부재(10)와 부재(3a)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1)에 의한 메달 반송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메달 누름 부재(10)가 메달 반송 장치(1) 내에 격납되고, 메달 누름 부재(10), 제1 게이트 및 제2 게이트가 상술한 메달 수납부(13)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정지 상태 또는 정지중이라고 한다. 정지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메달 보급 장치로부터 메달 슈터(6)에 메달이 공급되면, 메달은 메달 슈터(6)의 메달 유도 사면(6a)으로 유도되어 메달 수납부(13)로 유입되고, 메달 수납부(13) 내에 있어서 수평으로 격납된다. 계속해서 공급되는 메달은 앞의 메달 위에 수평으로 적재되어 가고, 잇달아 투입되는 메달은 소위 수평 적재 상태로 메달 수납부(13) 내에 격납된다. 메달 수납부(13)의 내경은 공급되는 메달보다도 크게 설정되므로, 메달 수납부(13) 내에 수평 적재된 메달은 통상 수직 방향으로 꼭 일치하지는 못하고, 다소의 요철이 있는 상태로 적재되어 있다.
다음에, 도8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아암(4)[메달 누름 부재(10)]의 구동 방법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구동 방법에 의해, 슬라이드 아암(4)은 주 프레임(2)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우측, 좌측, 위, 아래, 시계(반시계) 방향 등의 방향을 의미하는 말은 모두 그 설명이 참조하고 있는 도면의 기재를 기준으로 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 메달 누름 부재(10)가 메달을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반송 상태 또는 반송중이라고 한다.
도8의 (a)에 있어서, 제1 크랭크 아암(22)은 좌측 방향 수평 위치에 있고, 제2 크랭크 아암(24)은 제1 크랭크 아암(22)과 평행하다. 이 상태로부터, 모터(8)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를 거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핀(21)을 거쳐서 제1 크랭크 아암(2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수반하여 제2 크랭크 아암(24)이 제3 크랭크 아암(26)의 우측 방향으로 변위하며, 제3 크랭크 아암(26)을 주축(20)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제3 크랭크 아암(26)이 회전하면, 그에 수반하여 롤러(28)에 우측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여, 롤러(28)가 롤러 홀더(30)를 우측 방향으로 압박한다. 롤러 홀더(30)에 우측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슬라이드 아암(4)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크랭크 아암(22)이 더욱 회전하면, 슬라이드 아암(4)이 또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을 계속한다.
제1 크랭크 아암(22)이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 수평 위치에 도달하면, 제2 크랭크 아암(24)과 제3 크랭크 아암(26)은 다시 평행해진다. 이 때, 제2 크랭크 아암(24) 및 제3 크랭크 아암(26)은 가장 우측으로 변위하고, 슬라 이드 아암(4)은 가장 우측으로 압출된다. 제3 크랭크 아암(26)은 이 위치에 있어서, 절결(3c) 내로 진입한다. 절결(3c)을 형성함으로써, 제3 크랭크 아암(26)의 이동폭을 넓게 설정할 수 있고, 슬라이드 아암(4)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제1 크랭크 아암(22)이 우측 방향 수평 위치를 넘어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번에는 제2 크랭크 아암(24)은 좌측 하방향으로 인장되고, 제3 크랭크 아암(26)은 주축(20)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주축(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28)에는 도면중 좌측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며, 롤러(28)가 롤러 댐퍼(31)를 좌측 방향으로 압박한다. 롤러 댐퍼(31)에 좌측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댐퍼 핀(35), 댐퍼 스프링(32) 및 롤러 홀더 엔드(33)를 거쳐서 메달 누름 홀더(4b)를 좌측 방향으로 복귀시킨다. 제1 크랭크 아암(22)이 하방향 위치를 넘어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8의 (a) 위치로 복귀하면, 슬라이드 아암(4)도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도면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 홀더 엔드(33)가 스톱퍼(34)에 맞닿아 정지되는 동시에, 롤러 댐퍼(31)와 롤러 홀더 엔드(33) 사이에서 댐퍼 스프링(32)이 압축되어 롤러 댐퍼(31)를 역방향으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도9를 참조하여 메달 누름 부재(10)에 의한 메달 수납부(13) 내에 수평 적재된 메달의 반송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의 (a)는 정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달 수납부(13) 내에 복수의 메달이 요철이 있는 상태로 수평 적재되어 있다. 도9의 (a) 내지 (f)는 이 메달의 반송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일부 부재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정지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아암(4)이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선 메달 누름 부재(10)의 돌출부(10c)가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를 압박하고,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는 각각 경첩(13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때, 내부의 수평 적재 메달은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는다[도9의 (a)]. 이 상태는 도8의 (a) 상태에 대응한다.
슬라이드 아암(4)이 우측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면, 메달 누름 부재(10)가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를 밀어 더욱 개방하는 동시에, 메달 누름 부재(10)가 압출하는 수평 적재 메달이 제1 게이트(11)에 접촉하여, 메달 누름 부재(10)와 제1 게이트(11) 사이에서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수평 적재 메달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도9의 (c)]. 슬라이드 아암(4)이 우측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면, 메달 누름 부재(10)가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를 완전히 밀어 개방하고, 슬라이드 아암(4)에 의해서 구동되는 메달 누름 부재(10)가 정렬한 수평 적재 메달을 더욱 압출한다[도9의 (d)].
슬라이드 아암(4)이 완전히 연신되어 메달 누름 부재(10)가 우측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수평 적재 메달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도9의 (e)]. 이 상태는 도8의 (b) 상태에 대응한다.
슬라이드 아암(4)이 도면중 좌측 방향으로 되돌아가면, 수평 적재 메달만이 그 장소에 남겨진다[도9의 (f)]. 슬라이드 아암(4)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9의 (a)]. 슬라이드 아암(4)이 완전히 메달 반송 장치(1) 내에 수납되면, 제1 게이트 및 제2 게이트도 각각 경첩(13a)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메달 반송 장치(1)가 메달 수납부(13)에 공급된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수직 방향으로 정렬한 후에 소정의 위치로 반송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1)를 메달 게임기에 조립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상기 메달 반송 장치(1)를 조립한 본 발명의 메달 푸셔 게임기(4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메달 푸셔 게임기(4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부(41)와, 기체부(41)의 상방에 부착되는 메달 보급 장치(42)와, 플레이어가 메달을 투입하여 게임을 행하는 플레이부(43)를 구비한다.
플레이부(43)는 4개의 독립된 플레이 구획(이하, 새틀라이트라고 함)(43a, 43b, 43c, 43d)으로 분할되고, 4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게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새틀라이트는 개폐 가능한 투명 덮개(도시 생략)로 덮혀져, 플레이어가 직접 새틀라이트 내부의 기구에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하, 각 새틀라이트마다 설치되는 부재, 기능, 장치 등에 대해서는 그들의 부호 뒤에 a 내지 d의 부가 부호를 부여하여, 그것이 설치되는 새틀라이트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들 부재, 기능, 장치 등에 대하여 언급할 때는 부가 부호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우측 하방향으로는 2개의 새틀라이트(43a, 43b)가 명시되어 있는데, 다른 2개의 새틀라이트(43c 및 43d)는 새틀라이트(43a, 43b)의 도면중 반대측에 설치된다. 이하, 새틀라이트(43a 및 43b)를 예로 들어 게임기(40)를 설명한다. 이 를테면, 새틀라이트(43c 및 43d)는 새틀라이트(43a 및 43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10을 다시 참조하면, 각 새틀라이트에는 메달 취출구(44a 내지 44d), 메달 공급관(47a, 47b), 룰렛 게임 표시부(48a, 48b)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반송 장치(1)는 새틀라이트마다 설치되고, 메달 공급관(47)의 바로 아래에 메달 수납부(13)가 위치하도록 기체부(41) 내에 부착되어 있다[도11중, 화살표(46a, 46b)로 표시한 위치]. 룰렛 게임 표시부(48a, 48b)는 7 세그멘트식의 LED 표시기를 열십자 형태로 3개씩 나란히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LED 표시기는 독립하여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달 반송 장치(1), 메달 회수구(53), 책커(54), 슈트(45) 등의 각 새틀라이트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은 필요에 따라서 새틀라이트별로 a, b의 부호를 부여하여 구별하여 설명한다.
도11은 게임기(40)의 새틀라이트(43a, 43b)를 추출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50은 새틀라이트(43a, 43b)에 공통으로 설치되는 메달 테이블, 52는 새틀라이트(43a, 43b)를 구획하는 푸셔판, 51은 고정된 플레이 필드, 53a, 53b는 메달 회수구, 54a, 54b는 책커, 45a, 45b는 메달 투입을 위한 슈트이다.
메달 테이블(50)은 평탄한 상면 및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을 갖는 다이 형상의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플레이 필드(51)의 상면을 미끄럼 이동 또는 미소 간격을 유지하면서 플레이어로부터 보아 좌우 방향으로 주기적 인 왕복 운동을 행한다. 메달 테이블(50)의 상면에는 다수의 메달이 깔린 듯이 적재되어 있고, 푸셔판(52)은 메달 테이블(50)이 새틀라이트(43b)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새틀라이트(43a) 내에서는 메달 테이블(50) 상의 메달을 좌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새틀라이트(43b) 내에서는 메달 테이블(50) 상의 메달로부터 멀어진다. 메달 테이블(50)이 새틀라이트(43a)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이 관계가 역전된다. 메달 테이블(50)은 푸셔판(52)의 하부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푸셔판(52)과의 사이에 메달의 두께보다도 작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달 테이블(50) 상의 메달이 푸셔판(52)의 하부를 통과하여 인접한 새틀라이트로 진입하지는 않는다.
슈트(45)는 플레이어가 각자의 새틀라이트 내에 메달을 투입하기 위한 기구이다. 슈트(45)는 메달을 수직 방향에 있어서 수납하는 투입구를 갖고, 투입구에 수납된 메달은 슈트 내의 통로를 굴러 새틀라이트 내로 굴러 떨어진다. 슈트(45)는 플레이어로부터 보아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플레이어는 자신이 메달을 투입하고 싶은 방향으로 슈트(45)를 향하게 할 수 있다. 투입된 메달이 최초로 메달 테이블(50) 상에 떨어지도록 슈트(45)의 선회 각도를 규제해도 좋다.
플레이어가 슈트(45)로부터 소유하고 있는 메달을 자신의 메달 테이블(50) 상에 투입해 가면, 메달 테이블(50)의 왕복 운동에 따라서 메달 테이블(50) 상의 메달이 푸셔(52)에 의해서 차례로 단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멀지 않아, 메달은 메달 테이블(50)의 단부로부터 플레이 필드(51)로 낙하한다.
플레이 필드(51)로 낙하한 메달은 왕복 운동을 행하는 메달 테이블(50)의 측면에 의해서 차례로 밀어 내어져서 플레이 필드(51) 상을 그 단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이 반복되어, 플레이 필드(51)의 단부에 도달한 메달은 메달 회수구(53)로 낙하한다. 메달 회수구(53)로 낙하한 메달은 도시하지 않은 메달 반송 통로를 거쳐서 플레이어마다 설치되는 메달 취출구(44)로 보내진다. 플레이어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메달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메달 회수구(53)에 많은 메달을 떨어뜨리면, 그 만큼 많은 메달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에, 도12를 참조하여 이 게임기의 제어 블록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게임기(40)의 전체 제어는 게임기 제어부(60)에 의해서 행해진다.
4개의 새틀라이트A 내지 새틀라이트D에 각각 설치되는 메달 반송 장치(1a 내지 1d)[모터(8)를 포함함], 메달 테이블(50)(새틀라이트A와 B에 공통, 새틀라이트 C와 D에 공통), 책커(54), 룰렛 게임 표시반(48) 등(도11에는 도시 생략)은 게임기 제어부(60)에 접속되어 있고, 게임기 제어부(60)에 의해 메달 테이블(50)의 왕복 동작, 룰렛 게임 표시부(48)의 표시, 책커(54)에 메달이 들어갔을 때 행해지는 룰렛 게임의 실행이 제어된다. 이 룰렛 게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게임기 제어부(60)는 또한 메달 보급 장치(42)에도 접속되며, 그 동작도 제어한다.
다음에, 도13을 참조하여 책커(54)를 메달이 통과한 경우의 게임기의 동작에 대하여, 새틀라이트A에 설치되는 책커(54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다른 새틀라이트의 책커를 메달이 통과한 경우라도, 게임기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메달 테이블(50)의 양단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책커(54)가 배치된다. 책커(54)는 메달 테이블(50)의 단부 중앙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메달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메달 테이블(50) 상을 이동해 온 메달이 책커(54)의 메달 테이블(50)측 개구부로부터 그 내부로 낙하하면, 책커(54) 내부의 센서(도시 생략)가 그 메달을 검출하여, 메달 검출 신호를 게임기 제어부(60)에 출력한다. 책커(54) 내로 낙하된 메달은 메달 테이블(50)의 측면측에 설치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플레이 필드(51)로 굴러 떨어진다.
책커(54a)로부터 메달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101), 게임기 제어부(60)는 룰렛 게임을 개시한다(S102). 게임기 제어부(60)는 룰렛 게임 표시부(48)의 각 LED 표시기에 일정 시간 임의의 숫자를 변동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게임기 제어부(60)는 각 LED의 숫자 변동 표시를 정지시키고, 정지시의 각 LED의 숫자를 검출한다. 그리고, 종횡의 어떠한 라인에서 3개의 숫자가 갖추어졌을 때(예컨대, 같아졌을 때)「적중」으로 판정하고(S103; 예), 새틀라이트(43a)의 플레이 필드(51)에 이하에 설명하는 메달의 공급을 행한다. 게임의 결과가 「빗나감」인 경우에는(S103; 아니오) 플레이어에게는 전혀 특전은 주어지지 않으며, 다시 책커(54a)에 메달이 들어갈 때까지 대기한다(S107).
게임 결과가 「적중」인 경우, 게임기 제어부(60)는 메달 보급 장치(42)를 제어하여 메달 반송 장치(1a)의 메달 수납부(13)에 소정 매수의 메달을 공급한다(S1O4). 메달의 공급은 메달 보급 장치(42)로부터 메달 공급관(47a)에 메달을 송입하여, 메달 반송 장치(1a)의 메달 수납부(13)에 소정 매수의 메달을 공급 함으로써 행해진다. 단, 메달 수납부(13)에의 메달의 공급은 「적중」 발생후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행해 두어도 좋다.
다음에, 게임기 제어부(60)는 메달 반송 장치(1a)를 제어하여 수평 적재 메달을 플레이 필드(51) 상으로 반송시킨다. 메달 수납부(13)에의 메달 공급 종료후, 게임기 제어부(60)는 메달 테이블(50)을 새틀라이트(43b) 방향으로 후퇴시켜 메달의 통로를 확보한다(S105). 다음에, 메달 반송 장치(1a)의 모터(8)를 회전시킨다.
모터(8)의 회전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아암(4)이 슬라이드하고, 메달 누름 부재(10)가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를 밀어 개방하고 플레이 필드(51) 상에 정렬한 수평 적재 메달을 압출한다(S106). 전술한 바와 같이, 메달 누름 부재(10)는 슬라이드 아암(4)의 메달 누름 홀더 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플레이 필드(51)에 항상 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안정하게 수평 적재 메달을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레이 필드(51) 상의 소정 위치까지 수평 적재 메달을 압출한 메달 누름 부재(10) 및 슬라이드 아암(4)은 제1 게이트(11) 및 제2 게이트(12) 내에 수납된다. 플레이 필드(51) 상으로 압출된 수평 적재 메달은 다른 메달로 밀어 내어져서 플레이 필드(51) 상을 단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메달 누름 부재(10)에 의해서 압출된 수평 적재 메달은 제1 게이트(11)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플레이 필드(51) 상에서 다른 메달로 밀어 내어진 경우라도 무너지기 어려우며, 수평 적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룰렛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플레이 필드(51) 상의 특정 위치에 수평 적재 메달, 이를테면 메달 덩어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플레이어에게는 이후의 게임에 있어서 한번으로 많은 메달을 얻는 기회가 생기고, 이후의 게임에 대한 흥미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 신규 방식으로 플레이 필드 상에 메달이 공급되므로, 게임에 새로운 흥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평 적재 상태로 복수의 메달을 필드 상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메달 게임기에는 없는 메달의 공급 방식을 플레이어에게 보일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메달 획득 의욕을 자아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수직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나서 메달을 필드로 압출하고 있으므로, 필드 상의 다른 메달로 밀어 내어져도 무너지기 어려우며, 필드의 단부까지 수평 적재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동한다.
이상,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 및 메달 푸셔 게임기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달 누름 부재 및 메달 눌림 부재(예컨대, 제1 게이트, 제2 게이트)는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달 수납부는 원통일 필요는 없고, 메달을 그 내부에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며, 일부에 벽이 없는 C자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12)를 생략하고, 메달 누름 부재(10)와 제1 게이트(11)로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메달 누름 부재의 메달에 접촉하는 면은 곡면일 필요는 없고, 수평 적재 된 메달을 수평 방향으로 압출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몇개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메달 반송 장치의 구동 기구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아암을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기구이면 어떠한 형식의 것이라도 좋다.
또, 메달 반송 장치에 의한 필드 상으로의 메달의 공급은 상술한 추첨에 당선된 경우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계기에 의해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투입한 메달의 수를 슈터에 부착한 카운터로 계산하여, 소정수의 메달이 투입될 때마다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예 등도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메달 반송 장치에 따르면, 플레이 필드 상의 특정 위치에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메달을 수직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에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메달 게임기에 따르면, 플레이 필드 상의 특정 위치에 메달 덩어리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게임에 새로운 흥미를 부여할 수 있고, 플레이어의 메달 획득 의욕을 자극할 수 있다.

Claims (12)

  1. 메달 게임기의 메달 필드에 복수개의 메달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메달 반송장치이며,
    메달 홀더를 형성하는 메달 누름 부재와 메달 눌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달 홀더는 복수의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달 누름 부재는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메달 눌림 부재는 이동중인 메달에 접촉하여 수평 적재 상태의 메달을 연직 방향을 따라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메달 눌림 부재와, 상기 메달 누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정지중에 있어서, 상기 메달 수납부가 메달을 수평 적재 상태로 수납하고,
    반송중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가 수평 적재된 메달을 한번 상기 메달 눌림 부재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반송중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가 상기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메달 반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메달 눌림 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메달 눌림 부재이고,
    반송중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동시에, 수평 적재된 메달을 상기 메달 눌림 부재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그 단면이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는 곡면부를 갖고,
    상기 메달 눌림 부재는 각각이 곡면부를 갖고 상기 메달 누름 부재의 곡면부와 조합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는 제1 메달 눌림 부재와 제2 메달 눌림 부재를 포함하며,
    반송중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1ㆍ제2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는 동시에, 수평 적재된 메달을 상기 제1 메달 눌림 부재의 상기 곡면부에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와 상기 메달 눌림 부재가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제3 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가 상기 메달 수납부에 수납된 적재 메달을 상기 메달 눌림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와 상기 메달 눌림 부재가 메달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제3 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가 상기 메달 눌림 부재를 밀어 개방하고,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제4 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가 상기 메달 수납부에 수납된 적재 메달을 상기 메달 눌림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반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누름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는 메달 반송 장치.
  10. 메달 게임기이며,
    메달 필드와,
    상기 메달 필드에 연직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메달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청구항 제1항의 메달 반송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메달 게임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010007653A 2000-02-17 2001-02-16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KR100561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0164 2000-02-17
JP2000-040164 2000-02-17
JP2000-047331 2000-02-24
JP2000047331A JP3258651B2 (ja) 2000-02-17 2000-02-24 メダル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83A KR20010082683A (ko) 2001-08-30
KR100561151B1 true KR100561151B1 (ko) 2006-03-15

Family

ID=2658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53A KR100561151B1 (ko) 2000-02-17 2001-02-16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58651B2 (ko)
KR (1) KR100561151B1 (ko)
CN (1) CN1309378A (ko)
TW (1) TW5289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2541B (en) * 2007-08-21 2011-02-16 Namco Bandai Games Inc Token game machine
CN103559759B (zh) * 2013-11-18 2016-04-27 郁轲 早餐店自动售贩机
WO2015113179A1 (zh) * 2014-01-28 2015-08-06 马卡里 装备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148A (ja) * 1994-08-26 1996-03-05 Sigma Corp 遊戯装置
JPH08215422A (ja) * 1995-02-17 1996-08-27 Sega Enterp Ltd 演出装置
JP2722396B2 (ja) * 1994-11-22 1998-03-04 株式会社マースエンジニアリング 景品払出し機
JPH10137438A (ja) * 1996-11-14 1998-05-26 Sega Enterp Ltd ゲ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148A (ja) * 1994-08-26 1996-03-05 Sigma Corp 遊戯装置
JP2722396B2 (ja) * 1994-11-22 1998-03-04 株式会社マースエンジニアリング 景品払出し機
JPH08215422A (ja) * 1995-02-17 1996-08-27 Sega Enterp Ltd 演出装置
JPH10137438A (ja) * 1996-11-14 1998-05-26 Sega Enterp Ltd ゲー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58651B2 (ja) 2002-02-18
KR20010082683A (ko) 2001-08-30
TW528991B (en) 2003-04-21
CN1309378A (zh) 2001-08-22
JP2001300121A (ja) 2001-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1749B2 (ja) 抽選装置および遊技機
KR100561151B1 (ko)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JPH1153610A (ja) コイン揚送機構
KR100610708B1 (ko) 메달 게임기
KR20020046969A (ko) 코인 분배기의 코인 걸림 검출기
JP3916111B2 (ja)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機
JP3315401B2 (ja) メダルゲーム機
AU759413B2 (en) A coin dispensing apparatus
KR20210046074A (ko) 카드 핸들링 장치와 관련 방법, 어셈블리 및 구성 요소
JP2007179158A (ja) 物品払い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ゲーム機
CN217024005U (zh) 游艺机及其传送机构
JP2005081010A (ja) メダルゲーム機のメダル押出し装置
JP3666360B2 (ja) コイン処理装置
JP2670798B2 (ja) パチンコの遊技方法と装置
JPS6025641Y2 (ja) 釣銭機ユニツト
JPH0752002Y2 (ja) 硬貨包装装置
JP2008206891A (ja) 弾球遊技機
JP2001347050A (ja) メダル等の押上げ搬送装置
JPH08229233A (ja) ゲーム機のメダル選別装置
KR100680435B1 (ko) 동전 거스름기
JP3340098B2 (ja) コイン払出装置
JPS5840441Y2 (ja) 硬貨処理装置
KR20000047518A (ko)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
JPH01164386A (ja) 図柄式遊技機用の遊技球送出装置
JP3072038B2 (ja) 景品獲得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