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435B1 - 동전 거스름기 - Google Patents

동전 거스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435B1
KR100680435B1 KR1020057003517A KR20057003517A KR100680435B1 KR 100680435 B1 KR100680435 B1 KR 100680435B1 KR 1020057003517 A KR1020057003517 A KR 1020057003517A KR 20057003517 A KR20057003517 A KR 20057003517A KR 100680435 B1 KR100680435 B1 KR 10068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belt
sort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745A (ko
Inventor
가즈야 니시무라
히로아키 야마우찌
노부오 다까시마
Original Assignee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4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6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the difference between a sum paid and a sum char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07D3/04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arranged on an inclined rai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투입 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동전(C)을 선별하는 화폐 선별부(50)와, 이 화폐 선별부(50에 의하여 선별된 동전(C)를 금종마다 저장하는 동전 저장부(60)를 구비하는 동전 거스름기로서, 상기 동전 저장부(60)에는 홈폭 치수의 직경보다 약간 넓게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금종마다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조의 동전 저장홈(63)과, 이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집적 벨트(65)와, 상기 동전 저장홈(63)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동전(C)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과 가능 자세와 후속의 동전(C)을 적층되도록 동전(C)의 통과를 저지하는 적층 가능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하는 스톱 부재가 갖춰져 있다.
동전, 거스름기, 거스름돈, 경화

Description

동전 거스름기{Coin changing machine}
본 발명은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인출할 때 이용되는 동전 거스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지불할 때에 사용되는 동전 거스름기가 알려져 있다. 동전 거스름기는 투입 호퍼에 투입된 여러 금종의 동전을 동전 통로 쪽으로 송출하고, 그 하류 위치에 설치된 여러의 선별공에 의하여 동전을 금종마다 선별하여, 선별후에 저장부에서 각 금종마다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공은 각 금종의 동전의 지름 치수에 대응하는 것이 복수 설치되어, 작은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선별공의 위치까지 이송된 동전은 각각 대응하는 선별공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각 금종마다 설치된 저장호퍼에 저장된다. 이 저장호퍼에 저장된 동전은 거스름돈의 요청에 따라 금종마다 소정량이 인출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전 거스름기에 있어서는 선별공으로부터 낙하한 화폐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저장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층 호퍼를 금종마다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적층 호퍼를 이용하면 선별공으로부터 낙하한 동전은 표면 또는 이면이 착지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낙하하는 동전은 순차적으로 표리면이 착지하여, 자연 적층 상태로 겹겹이 쌓여 간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세로길이의 적층 호퍼를 이용하면, 동전 거스름기의 상하장이 길어지고 부피가 커져, 컴팩트화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적층 호퍼를 수평으로 함과 동시에, 적층 호퍼의 상류단에 낙하한 동전을 기립 상태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순차적으로 반송하여 적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동전을 기립 상태에서 반송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실현하기 어렵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면서 선별된 동전을 기립 상태에서 적층하여 저장할 수 있고, 그 결과 컴팩트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동전 거스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금종의 동전이 투입된 투입 호퍼로부터의 동전을 순차적으로 인출하고 금종마다 선별하여, 선별된 각 동전을 금종마다 저장함과 동시에, 요구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금종의 동전을 지불하도록 구성된 동전 거스름기로서, 상기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된 동전을 선별하는 선별수단과, 이 선별수단에 의하여 선별된 동전을 금종마다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수단은 금종마다 평행하게 설치되고, 홈폭 치수가 동전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조의 동전 저장홈과, 이 동전 저장홈의 홈 바닥에 설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송벨트와, 동작 상태에서 동전 저장홈의 하류단에서 동전을 지불하는 한편, 비동작 상태에서 동전을 적층시키도록 자세 변경시키는 인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동전은 저장수단의 동전 저장홈에 도입되어, 그 홈 바닥에 설치된 반송벨트의 주회(周回)에 의하여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인출수단을 비동작 상태에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하여, 처음의 동전은 인출수단에 도달하여 적층될 수 있는 자세로 변환되기 때문에, 다음 동전은 적층 가능 상태가 된 처음의 동전의 표면에 걸리도록 유도되고 세로놓기(종치)로 적층되어, 이 적층 동작이 후속의 동전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동전은 동전 저장홈내에서 세로놓기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간다.
그리고, 동전 저장홈내에 세로놓기로 저장된 동전을 지불할 때에는, 인출수단을 통과 가능 자세로 자세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동전은 통과 가능해진 인출수단을 개재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동전 저장홈의 하류단에 설치된 인출수단을 적층 가능 자세로 설정하는 것으로 동전을 세로놓기로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전 저장홈을 세로놓기 할 필요가 없어지고, 가로놓기(횡치)하는 것으로 동전 거스름기의 상하장을 낮게 할 수 있어, 동전 거스름기의 컴팩트화에 공헌한다.
본 발명의 동전 거스름기에 있어, 상기 반송벨트는 상기 동전 저장홈의 홈 바닥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동전은 동전 저장홈의 홈 바닥에서 그 일측부에 설치된 반송벨트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되지만, 이 때 동전의 벨트 측의 연부는 전진하는 한편 반대측의 연부는 홈 바닥에 접합하여서 동전에는 회전력이 부여되고 그 결과 동전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전후에서 주연부가 서로 접합하고 있는 동전은 서로 경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통로에 막히는 것과 같은 이상이 일어나지 않고 항상 순조롭게 반송된다.
또, 본 발명의 동전 거스름기에 있어, 상기 인출수단은 반송면이 앞오름으로 경사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동전 저장홈의 홈 바닥에 임하는 인출벨트와, 이 인출벨트의 반송면에 대하여 분리접촉하는 스토퍼를 갖는 인출제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벨트의 주회로 동전 저장홈내를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된 처음의 동전은 인출제어부재의 스토퍼가 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주회하고 있는 인출벨트에 유도되어 인상된 후, 스토퍼에서 중지되고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계속해서 반송되어 오는 동전은 그 선단 연부가 처음의 동전의 표면에 걸린 상태가 됨과 동시에, 반송벨트의 주회에 의하여 전진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진력으로 처음의 동전의 대략 상방에 적층되어 간다. 후속의 동전에 대해서도 앞의 동전에 대해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동전 저장홈내에서 반송된 동전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가게 된다.
계속하여, 일단 적층 상태로 동전 저장홈내에 저장된 동전을 지불할 때에는인출제어부재의 스토퍼를 인출벨트의 표면에서 떨어뜨려 놓는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토퍼에 의한 동전의 이동 저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동전은 인출벨트의 주회에 의하여 반송되고 계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벨트 부근에 스토퍼를 구비한 인출제어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반송벨트 및 인출벨트의 쌍방을 항상 구동시킨 상태에서 스토퍼의 인출벨트에 대한 분리접촉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동전의 저장조작및 저장된 동전의 지불 조작을 제어할 수 있고, 동전의 저장및 지불의 제어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동전 거스름기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동전 거스름기에서 전방 상부 화장부재가 개방되고, 커버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동전 거스름기에서, 전방상부 화장부재 및 커버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 1에 나타내는 동전 거스름기에서, 통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1에 나타내는 동전 거스름기에서, 선별부 틀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동전 거스름기에서 개폐프레임이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동전 거스름기의 구성에 관하여 모식적으로 사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반송부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반송부 및 화폐 선별부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도 10은 도9의 제2 반송부 및 화폐 선별부를 내장한 제2 반송부 틀체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4 풀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전 저장부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나타내는 동전 저장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전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본 설명도로서, (A)는 스톱 부재가 스톱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 (B)는 스톱 부재가 스톱 해제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제어부에 의한 동전 거스름기의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동전 거스름기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 X-X 방향을 폭방향, Y-Y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며, 특히 -X 방향을 왼쪽(좌방), +X 방향을 오른쪽 방향(우방), -Y 방향을 앞쪽방향(전방), +Y 방향을 뒤쪽 방향(후방)이라고 한다.
이 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전 거스름기(10)는 깊이가 긴 직방체상의 외관을 가지는 상자형의 프레임(11)에 각종의 기기가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프레임(11)은 동전 거스름기(10)의 구조적인 기초로서의 역할을 하는 기초프레임(11a)과, 이 기초프레임(11a) 상부에 겹쳐져 기초프레임(11a)의 후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축(11c)에서 회동하여 개방 자세와 폐지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할 수 있는 개폐프레임(11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전 거스름기(10)은 기초프레임(11a)의 전방상부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 전방상부 화장부재(12)와, 이 전방 상부 화장부재(12)의 하부에서 기초프레임(11a)의 전방 양측부에 고정된 폭방향 한 쌍의 전방 측부 화장부재(13)과, 기초프레임(11a)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측부 화장부재(13) 사이에 협지된 동전받침대(14)와, 전방상부 화장부재(12)의 후방 위치에서 기초프레임(11a)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 커버체(15)를 구비하여 외관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상부 화장부재(12)의 상면 우측에는 동전을 동전 거스름기(10) 안에 투입하기 위한 원형구멍(12a)를 구비한 깔때기부(12b)가 마련되어 있고, 동좌측에는 조작부(12c)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2c)는 동전 거스름기(10)에 대하여 각종의 조작입력을 행함과 동시에, 동전 거스름기(10)의 조작상황을 필요에 따라 출력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장치로서 복수의 조작버튼(12d) 및 텐키(12f)와, 출력장치로서 발광 다이오드로 된 4 자릿수의 7 세그먼트 LED(12e)를 구비한다.
또, 전방상부 화장부재(12)의 전면 우측에는 전원 스위치(12g)가 마련되어 있고, 동좌측에는 키홀(12h)이 마련되어 있다. 키홀(12h)은 전방상부 화장부재(12) 의 프레임(11)에 대한 장착 상태의 잠금을 풀기 위한 것이고, 도시생략된 키를 삽입하여 여는 조작에 의하여 프레임(11)이 커버체(15)로부터 상대적으로 인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조작버튼(12d)중의 소정의 것을 여러 차례 푸시하면, 각 푸시마다 동전 거스름기(10) 안에 저장되고 있는 금종마다의 잔량이 순번대로 4 자릿수의 7 세그먼트 LED(12e)에 표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금종이 섞인 여러개의 동전(C)을 깔때기부(12b)에 투입하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동전(C)은 동전 거스름기(10) 안에서 소정의 처리가 행해지고 금종마다 소정의 저장영역(후술의 동전 저장홈 63)에 저장됨과 동시에, 조작부(12c)의 조작버튼(12d)의 조작, 또는 도시생략된 금전 등록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금액이 되도록 각 금종의 동전(C)이 선택된 거스름돈이 동전받침대(14) 쪽으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도 2∼도 6은 도1에 나타내는 동전 거스름기(1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전방상부 화장부재(12)가 개방되어, 커버체(15)가 제거된 상태, 도3은 전방상부 화장부재(12) 및 커버체(15)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있어 통로 덮개가 열린 상태, 도5는 도4에서 선별부 틀이 열린 상태, 도6은 개폐프레임(11b)이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에 있어, X-X 방향을 폭방향, Y-Y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특히 -X 방향을 좌방, +X 방향을 우방, -Y 방향을 전방, +Y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먼저, 도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키홀(12h)에 소정의 키를 삽입하고 여는 조작을 행한 후에 도2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체(15)를 후방으로 인발하는 것에 의하여, 전방상부 화장부재(12)의 커버체(15)에 대한 결합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전방상부 화장부재(12)를 전방 측부 화장부재(13)에 설치된 수평축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전방상부 화장부재(12)가 도2에 나타낸 것처럼 전방 측부 화장부재(13)의 상연부에서 기립 상태가 된다.
 그리고, 커버체(15)를 기초프레임(11a)으로부터 완전하게 인발하는 것에 의하여, 도3에 나타낸 것처럼 개폐프레임(11b)의 상면에 설치된 각종의 기구가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도 3∼도6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내는 기립 상태의 전방상부 화장부재(12)를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기초프레임(11a)의 바깥쪽 측면의 하부에는 C형 레일(11d)이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편, 커버체(15)의 안쪽 측면의 하부에는 C형 레일(11d)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조(15a)가 설치되어, 이 가이드 돌조(15a)가 C형 레일(11d)의 홈내에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커버체(15)의 기초프레임(11a)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짐과 동시에, 착탈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지게 된다.
전방상부 화장부재(12) 및 커버체(15)가 제거된 상태에서, 동전 거스름기(10)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개폐프레임(11b)의 천판(天板)(11e) 위에 설치된 각종의 기기(후술하는 동전 투입부 20 및 제1 반송부 30 등에 관계된 기기)가 노출된다.
상기 천판(11e)의 우측부에는 후술하는 통로 덮개(36)가 개폐프레임(11b)의 지지축(36c) 주위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이것의 개폐 조작으로 후술하는 제1 동전 통로(31)을 폐지하거나(도 3), 개방하거나(도(4)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로 덮개(36)는 반송중의 동전(C)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코인클로깅이 생긴 때나 메인터넌스 작업시에 개방된다.
또, 상기 천판(11e)의 후방 위치에는 후술하는 제2 반송부(40)의 각종 기기를 내장하기 위한 제2 반송부 틀체(41)가 구비되어 있다.이 제2 반송부 틀체(41)는 개폐프레임(11b)의 좌측부에 설치된 소정의 축회전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되어, 축회전으로 정역회동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도4에 나타내는 폐지 자세와, 도5에 나타내는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또, 개폐프레임(11b)의 우측부의 전후 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에는 단축(11f) 주위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된 돌출지지 로드(11g)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지지 로드(11g)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향하고 개구한 계지홈(係止溝)(11h)이 요설되고 있고, 기초프레임(11a)의 우측부 하방에서 상기 단축(11f)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계지홈(11h)에 대응하는 계지 돌기(11i)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프레임(11b)을 연결축(11c)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다음, 상기 계지홈(11h)을 계지 돌기(11i)에 끼워넣는 것에 의하여,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동전 투입부(20), 제1 반송부(30), 제2 반송부(40) 및 화폐 선별부(50)가 장비된 개폐프레임(11b)의 기초프레임(11a)에 대한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하, 도 7∼도14 및 필요에 따라 도 1∼도6을 참조하면서 동전 거스름기 (1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상기와 같은 동전 거스름기(10)의 구성에 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7에 나타낸 것처럼, 동전 거스름기(10)는 각종의 동전(C)를 투입하는 동전 투입부(20)와, 이 동전 투입부(20)로부터 반출되는 동전(C)을 개폐프레임(11b)의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제1 반송부(30)와, 이 제1 반송부(30)로부터 이송된 동전(C)을 일단 후방을 향해 반송한 후에, 왼쪽(도7의 지면에서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향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방향 전환시켜 반송하는 제2 반송부(40)와, 이 제2 반송부(40)로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는 동전(C)을 금종마다 선별하는 화폐 선별부(50)와, 이 화폐 선별부(50)로 선별된 화폐를 금종마다 저장하는 동전 저장부(60)와, 이 동전 저장부(60)로 저장된 동전(C)을 동전받침대(14) 쪽으로 인출하는 동전 인출부(70)와, 이 동전 거스름기(10)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전 투입부(20)는 도7 및 도3에 나타낸 것처럼, 개폐프레임(11b)의 천판(11e)의 전방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각종의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21)와, 이 투입 호퍼(21)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회전 받침대(22)와, 이 회전 받침대(22)를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23)와, 이 제1 모터(23)와 상기 회전 받침대(22)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감속기어군(24)으로 되어 있다.
 상기 투입 호퍼(21)에는 그 주면의 우측경사진 후방 위치에 투입 호퍼(21) 안의 동전(C)을 반출하기 위한 둘레 방향으로 가늘고 긴 반출공(21a)(도 8)이 마련되어 있고, 이 반출공(21a)의 왼쪽 위치에는 원형의 일부가 지름 방향으로 각형으 로 팽출한 각형 팽출부(21b)(도 3)가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21b)의 바닥부는 중심 방향을 향하여 앞이 내려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 받침대(22)는 그 중심 위치에서 상하로 관통하는 회전 받침대(22)와 일체의 중심축(22a)를 갖고 있다. 이 중심축(22a)은 제1 감속기어군(24)을 개재하여 제1 모터(23)의 구동 회전이 전달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심축(22a)은 축심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동전투입부(20)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모터(23)의 구동이 제1 감속기어군(24) 및 중심축(22a)을 개재하여 회전 받침대(22)에 전달되고 회전 받침대(22)가 시계 방향으로 중심축(22a)과 일체 회전한 상태에서, 투입 호퍼(21) 안에 여러개의 동전(C)을 투입하는 것에 의하여, 각 동전(C)은 회전 받침대(22) 상에서 회전 받침대(22)와 함께 회전하고, 이것에 의한 원심력으로 투입 호퍼(21)의 환상벽의 내주면에 접합하면서 원운동을 행하고, 반출공(21a)으로부터 제1 반송부(30) 쪽으로 배출된다.
도8은 상기 제1 반송부(30)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제1 반송부(30)는 도8 및 도7에 나타낸 것처럼, 개폐프레임(11b)의 천판(11e)의 우측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방향 설정된 제1 동전 통로(31)와, 이 제1 동전 통로(31) 안의 우측부에서 전후 방향에 늘어선 풀리(33) 사이에 장착 된 제1 반송벨트(32)와, 이 제1 반송벨트(32)를 풀리(33)를 개재하여 주회 구동하는 제2 모터(34)(도 3)와, 이 제2 모터(34)와 상기 풀리(33) 사이에 끼워진 제2 감속기어 군(35)(도 3)과, 상기 제1 동전 통로(31)의 상면을 개폐 자유롭게 폐지하는 통로 덮개(3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풀리(33)는 제1 동전 통로(31)의 하부에서 하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모터(34)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어군(35)를 개재하여 전달되는 구동 풀리(33a)와, 상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반송벨트(32)를 개재하여 구동 풀리(33a)의 회전이 전달되는 종동 풀리(33b)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동전 통로(31)는 통로폭이 최대 지름 치수를 갖는 동전(C)의 직경보다 약간 폭이 넓은 치수로 설정되고, 이에 의해 모든 금종의 동전(C)이 반송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동전 통로(31)의 왼쪽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측둑부(31a)가 마련되어 있고, 동 우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우측둑부(31b)가 설치되어, 동전(C)는 이들 둑부(31a, 31b)에 의하여 제1 동전 통로(31) 상에서 폭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또, 투입 호퍼(21)의 외측의 반출공(21a) 부근에는 반출공(21a)으로부터 배출된 동전(C)이 상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비판(庇板)(25)이 설치되고, 이 비판(25)의 존재로 반출공(21a)으로부터 반출된 동전(C)을 원활하게 제1 동전 통로(31)로 건네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반송벨트(32)는 벨트 폭이 최소형 치수의 동전의 반경보다도 가늘게 치수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반송벨트(32)는 가는 벨트가 제1 동전 통로(31)의 상면 및 우측둑부(31b)에 슬라이드 접촉하도록 구동 풀리(33a) 및 종동 풀리(33b) 사이에 장착되어, 이에 의해 오는 벨트가 제1 동전 통로(31)의 하면에서 아래쪽 위치를 주회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 호퍼(21)의 반출공(21a)으로부터 배출된 동전(C)은 제1 동전 통로(31)에서 편측이 제1 반송벨트(32)에 올라타는 경사 자세가 되면서 제1 반송벨트(32)가 주회하는 것에 의하여 평면적으로 볼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동전 통로(31)를 전진하게 되어 있다. 동전(C)은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막힘이 없이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로 덮개(36)는 제1 동전 통로(31) 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동전(C)이 튀어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고, 폭 치수가 둑부(31a, 31b)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작고, 또한 길이 치수가 제1 동전 통로(31)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치수 설정된 바닥판(36a)(도 4)과, 이 바닥판(36a)의 폭방향 양측부에서 상방을 향해 연설된 한 쌍의 측벽(36b)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 덮개(36)는 둑부(31a, 31b) 사이에 가설된 지지축(36c)이 하류단측의 측벽(36b)에 가려 통과되는 것에 의하여, 해당 지지축(36c) 주위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되어, 이 지지축(36c) 주위의 회동 조작으로 제1 동전 통로(31)가 폐지되는 폐지 자세(도 3)와, 제1 동전 통로(31)가 개방되는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통로 덮개(36)가 폐지 자세에 설정된 상태에서는 바닥판(36a)의 하면과, 제1 동전 통로(31)의 상면과의 사이에 동전(C)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통로 덮개(36)의 설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반송부(30)의 구성에 의하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로 덮개(36)가 폐지 자세에 설정된 상태에서 제1 모터(23)의 구동으로 투입 호퍼(21)의 회전 받침대(2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반출공(21a)(도 8)으로부터 반출된 동전(C)은 그 우측부가 제2 모터(34)의 구동에 의하여 풀리(33a, 33b) 사이에서 주회하고 있는 제1 반송벨트(32)에 실린 상태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전진하여 제2 반송부(40)로 향하게 된다.
도 9는 상기 제2 반송부(40) 및 화폐 선별부(50)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사시도이고, 도 10은 도9의 제2 반송부(40) 및 화폐 선별부(50)를 내장한 제2 반송부 틀체(41)의 바닥판(41a)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반송부 틀체(41)는 평면적으로 볼 때 구형을 나타내는 바닥판(41a)과, 이 바닥판(41a)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자형의 커버체(41b)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41a)의 표면에는 제2 동전 통로(42)가 설정되어 있다. 이 제2 동전 통로(42)는 직진 상태에서 제1 동전 통로(31)에 접속된 상류측 직진 통로(42a)와, 이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하류단에서 왼쪽을 향해 커브하는 커브 통로(42b)와, 이 커브 통로(42b)의 하류단에서 왼쪽을 향해 연장하는 동전 선별통로(42c)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판(41a)의 표면에는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왼쪽 위치에 장착된 제1 위치 결정 돌조(43)와, 바닥판(41a)의 후단 위치에서 커브 통로(42b)의 외연부 및 동전 선별통로(42c)에 걸치도록 장착된 제2 위치 결정 돌조(44)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 돌조(43)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류측의 우측 가장자리면이 제1 반송부(30)의 좌측둑부(31a)의 우측면과 한 면이 되는 제1 직상부(43a)와, 이 제1 직상부(43a)의 하류단에서 연속되고 우측 가장자리면이 약간 오른쪽 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43b)와, 이 경사부(43b)의 하류단에서 또한 후방으로 향하여 연설되는 상기 제1 직상부(43a)와 평행한 제2 직상부(43c)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측 직진 통로(42a)에 도입된 동전(C)은 먼저 제1 직상부(43a)에 접합하면서 전진하고, 계속해서 동전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된 경사부(43b)의 우측 가장자리면에 접합하고 가이드 되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좌측으로 전해져서, 마지막으로 제2 직상부(43c)에 접합하고 기준 코스를 따르면서 위치 결정 상태로 전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 위치 결정 돌조(44)는 제1 위치 결정 돌조(43)의 하류단에서 동전(C)의 약 1개 반∼2개분으로 간격져 바닥판(41a)의 후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위치 결정 돌조(44)는 직상의 돌조 본체(44a)와, 이 돌조 본체(44a)의 우단부에 원호상의 요부를 구비하여 형성된 원호 돌조(44b)로 되어 있다. 상기 원호 돌조(44b)는 커브 통로(42b)의 외측의 커브를 따르며, 그리고 그 곡률 반경과 같은 원호상 연면(44c)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커브 통로(42b)에 도입된 동전(C)은 이 원호상 가장자리면(연면)(44c)에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왼쪽으로 향하여 선회하고 동전 선별통로(42c)에 도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상류측에는 감속 롤러(45)가 마련되어 있고,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하류측, 커브 통로(42b) 및 동전 선별통로(42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반송벨트(4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감속 롤러(45)는 고무나 연질의 합성 수지 재료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롤러 지지축(45a) 주위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롤러 지지축(45a)은 상기 제2 모터(34)의 구동력이 상기 제2 감속기어군(35)과, 제2 반송부(40) 및 화폐 선별부(50) 전용의 제3 감속기어군(47)을 개재하여 전달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감속 롤러(45)는 제1 동전 통로(31)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 위치가 설정되면서, 그 주면과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상면과의 사이의 간극 치수가 동전(C)의 두께 치수보다 얇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반송벨트(32)의 구동으로 제1 동전 통로(31)의 하류단에서 압출된 동전(C)은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상류단에서 회전하고 있는 감속 롤러(45)의 주면과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표면과의 사이에 인입되고, 이 때 감속 롤러(45)가 압축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그 주속도(周速度))로 설정되어, 이 속도로 하류측으로 향하여 송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속 롤러(45)의 주속도는 제1 동전 통로(31)에 있어서 동전(C)의 반송속도보다 늦어지도록 속도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동전 통로(31)로부터 도출된 동전(C)은 감속 롤러(45)에 의하여 일단 저지되는 것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후속의 동전(C)은 제1 동전 통로(31) 상에서 전후로 서로 당접하면서 제1 반송벨트(32)와의 사이에서 슬립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 반송벨트(46)는 고무나 연질의 합성 수지등의 탄성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벨트폭 치수가 동전(C)의 반경 이하로 치수 설정되며(본 실시 형태에 있 어서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환벨트가 채용되고 있다), 중간점으로부터 후방의 상류측 직진 통로(42a), 커브 통로(42b) 및 동전 선별통로(42c)에 대응하도록 제2 반송부 틀체(41)의 바닥판(41a) 위에 구브러져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반송벨트(46)는 바닥판(41a) 위에 설치된 제1 풀리(46a), 제2 풀리(46b), 제3 풀리(46c) 및 제4 풀리(46d)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풀리(46a)는 롤러 지지축(45a)과 평행한 제1 축(46e) 주위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된 상태에서 감속 롤러(45)의 하류측의 약간 우측에 위치하도록 감속 롤러(45)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풀리(46b)는 그 주면이 커브 통로(42b)의 내측의 커브 위치로부터 약간 지름 방향의 바깥쪽측이 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풀리(46b)는 커버체(41b)의 천판으로부터 수직하부에 있는 제2 축(46f) 주위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되고 있다. 또, 상기 제3 풀리(46c)는 동전 선별통로(42c)의 하류단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제3 축(46g)에 일체적으로 축지되어 있다.
상기 제3 축(46g)에는 제2 모터(34)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어군(35) 및 제3 감속기어군(47)을 개재하여 전달되게 되고 있고, 구동축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제3 축(46g)의 구동 회전에 의하여 제2 반송벨트(46)가 제1∼제4 풀리(46a∼46d) 사이에서 주회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반송벨트(46)는 이와 같은 제1∼제4 풀리(46a∼46d)에 놓여 돌아가는 것에 의하여,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동전 통로(42) 상으로 그 형상을 따라 후크형이 되고, 그 가는 벨트의 하면과 바닥판(41a)의 상면과의 사이의 간극 치수는 동전(C)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가는 벨트가 제2 동전 통로(42)를 하류측을 향하도록 제2 반송벨트(46)을 주회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2 반송벨트(46)의 탄성 변형으로 압박된 제2 동전 통로(42) 위의 동전(C)은 제2 반송벨트(46)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2 동전 통로(42) 위를 미끄러지면서 전진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4 풀리(46d)는 제2 풀리(46b)의 직상부 적소의 천판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내려진 제4 축(46h)(도 9)주위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되어 있다. 도 11은 제4 풀리(46d)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제4 풀리(46d)는 전체적으로 역 원추 전체가 약간 높고 평평한 모양을 나타내고, 두께 치수(d)가 제2 반송벨트(46)의 직경(D)보다 크게 치수 설정되어 있다. 제4 축(46h)은 제2 반송벨트(46)의 꺾어진 위치에서 상부가 바깥쪽(도 11의 (B)의 오른쪽 방향)으로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제2 반송벨트(46)는 도 11의 (A)에 나타나듯이 상기 제4 풀리(46d)의 경사면에 접합한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나타나듯이 그 하면이 동전(C)의 표면에 접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4 풀리(46d)의 구성에 의하면, 제4 풀리(46d)의 환상 경사면이 제2 반송벨트(46)과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4 풀리(46d)에 의한 제2 반송벨트(46)의 지지 상태를 확실하게 하면서 동전(C)이 제2 반송벨트(46)에 당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반송벨트(46)의 주회에 의하여 반송 되는 동전(C)의 반송속도는 상기 감속 롤러(45)의 주속도보다 약간 빨리, 또한 상기 제1 동전 통로(31)을 이동하는 동전(C)의 반송속도보다는 늦어지도록 속도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감속 롤러(45)를 통과하는 동전(C)은 전후의 동전(C)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화폐 선별부(50)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바닥판(41a)의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하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위치 결정 돌조(43)의 제2 직상부(43c)의 오른쪽 방향 위치에 천공 설치된 제1 선별공(51)과, 바닥판(41a)의 동전 선별통로(42c)에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 설치된 선별용 장공(5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선별공(5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1엔 동전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고, 공폭 치수가 1엔 동전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50엔 동전의 직경보다 작게 치수 설정되고 있으면서, 길이 치수가 1엔 동전의 직경보다 약간 길게 치수 설정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 돌조(43)의 제2 직상부(43c)와 제1 선별공(51)의 좌단과의 사이에는 1엔 동전 이외의 동전(C)의 연부가 걸리고, 폭 치수가 약 0.5mm인 제1 당김스크래칭 연부(51a)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류측 직진 통로(42a)를 통과하는 1엔 동전 이외의 동전(C)은 좌연부가 제1 당김스크래칭 연부(51a)에 걸린 상태에서 우연부는 제1 선별공(51)의 우측의 연부에 걸리기 때문에, 제1 선별공(51)에 끼워넣지 않고 상류측 직진 통로(42a)를 통과하는 한편, 1엔 동전은 상류측 직진 통로(42a)를 통과할 때 그 좌단연부가 제1 당김스크래칭 연부(51a)에 걸린 상태에서, 우단연부는 제1 선별공(51) 의 우연부에는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1 선별공 (51)에 끼인다. 이와 같이, 동전(C)은 그것을 상류측 직진 통로(42a)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1엔 동전과, 그렇지 않은 동전으로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선별용 장공(52)은 본 실시 형태에서 1엔 동전 이외의 동전(C)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고, 공폭(구멍폭) 치수가 50엔 동전의 직경보다 크게, 또한 5엔 동전의 직경보다 작게 치수 설정된 제2 선별공(53)과, 공폭 치수가 5엔 동전의 직경보다 크게 또한 100엔 동전의 직경보다 작게 치수 설정된 제3 선별공(54)과, 공폭 치수가 100엔 동전의 직경보다 크게 또한 10엔 동전의 직경보다 작게 치수 설정된 제4 선별공(55)과, 공폭 치수가 10엔 동전의 직경보다 크게 또한 500엔 동전의 직경보다 작게 치수 설정된 제5 선별공(56)과, 공폭 치수가 500엔 동전의 직경보다 크게 치수 설정된 제6 선별공(57)으로 되고 있다. 제2∼제6 선별공(53∼57)은 폭방향으로 연통하여 선별용 장공(52)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별용 장공(52)의 후방(도 10의 지면의 상방) 연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돌조(44)의 돌조 본체(44a)와의 사이에는 동전(C)의 연부가 걸리는 치수가 0.5mm 이하인 제2 당김스크래칭 연부(52a)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화폐 선별부(50)에 의하면, 제1 동전 통로(31)로부터 송출된 동전(C)은 감속 롤러(45)에 의하여 소정의 속도로 감속된 후, 제1 위치 결정 돌조(43)에 의하여 좌연부가 제1 위치 결정 돌조(43)를 따라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류측 직진 통로(42a)의 거의 중간 위치에서 제2 반송벨트(46)로 건네질 수 있다.
제2 반송벨트(46)에 건네질 수 있는 동전(C)은 제2 반송벨트(46)에 압박되면 서 그 주회에 의하여 제2 동전 통로(42) 위를 미끄지면서 전진하여, 처음에 제1 선별공(51)에 도달한다. 동전(C)은 제1 선별공(51)에 도달할 때 좌연부가 제2 직상부(43c)에 접합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제1 당김스크래칭 연부(51a)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동전(C)이 1엔 동전인 때는, 그 우연부가 제1 선별공(51)의 우연부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동전(C)은 제1 선별공(51)을 통과하고 아래쪽으로 낙하한다. 이것에 대하여, 1엔 동전 이외의 동전(C)의 경우는 그 우연부가 제1 선별공(51)의 우연부에 걸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 선별공(51)을 통과하여 전진하게 된다.
계속하여, 제1 선별공(51)을 통과한 1엔 동전 이외의 동전(C)은 제2 반송벨트(46)의 주회에 의하여 커브 통로(42b)로 돌입한다. 여기에서 제2 반송벨트(46)는 왼쪽으로 향하여 절곡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C)은 관성력으로 직진하여 원호 돌조(44b)의 원호상 연면(44c)에 충돌한 후, 이 원호상 연면(44c)에 안내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다. 따라서, 이후 동전(C)은 그 진행 방향에 대한 우연부[(-Y)-(+Y)방향의 기준으로는 후연부]가 제2 당김스크래칭 연부(52a)에 걸린 위치 결정 상태에서 동전 선별통로(42c)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동전(C)이 50엔 동전인 때는 제2 선별공(53)에서 낙하하고, 동전(C)이 5엔 동전인 때는 제3 선별공(54)에서 낙하하고, 동전(C)이 100엔 동전인 때는 제4 선별공(55)에서 낙하하고, 동전(C)이 10엔 동전인 때는 제5 선별공(56)에서 낙하하고, 동전(C)이 500엔 동전인 때는 제6 선별공(57)에서 낙하하게 된다.
계속하여, 동전 저장부(60)에 관하여 도12 및 앞의 도5 및 도6을 기초로 설 명한다. 도12는 도6에 나타내는 동전 저장부(6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13은 도12의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5 및 도6에 나타나듯이, 동전 저장부(60)는 화폐 선별부(50)의 제1 선별공(51) 및 제2∼제6 선별공(53∼57)에 대응하여 각각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장)의 미끄럼판(61)과, 이러한 미끄럼판(61)에 대응하여 설치된 동전 저장판(62)과, 이 동전저장판(62)에 저장된 동전(C)를 강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하류측으로 향하여 압박하는 집적 벨트(6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판(61)은 도 6,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각 선별공(51, 53∼57)을 통과하여 낙하한 동전(C)을 받아 동전 저장판(62)에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측면에서 볼때 위가 볼록한 원호상을 나타내고 있고, 미끄럼판(61)의 폭방향 양측부에는 동전(C)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높은 가장자리둑(61a)이 설치되어, 받은 동전(C)을 원활하게 동전 저장판(62)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동전저장판(62)은 도 5,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기초프레임(11a) 안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동전저장판(62)은 상기 각 미끄럼판(61)에 대응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함몰된 파형판상으로 되어, 함몰된 부분에 동전 저장홈(63)이 형성되고, 동전 저장홈(63)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분 돌조(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전 저장홈(63)은 상기 화폐 선별부(50)의 제1∼제6 선별공(51, 53∼57)에 대응하여 6조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6조의 동전 저장홈(63)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계된 저장호퍼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의 동전은 제1∼제6 선별공 (51, 53∼57)에 대응하는 홈에 각각 저장되게 된다.
상기 집적 벨트(65)는 가장 작은 동전(C)의 반경보다 좁게 설정된 벨트폭 치수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의 우측부에 슬라이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집적 벨트(65)는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전방 풀리(65a) 및 후방 풀리(65b)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후방 풀리(65b)는 제2 모터(34)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어군(35)(도 3, 도 10), 제3 감속기어군(47)(도 10) 및 후방 풀리(65b)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후방 구동축(65c)을 개재하여 전달되게 되어 있다. 전방 풀리(65a)는 전방 종동 축(65d) 주위에 일체 회전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모터(34)의 구동에 의하여 집적 벨트(65)가 전방 풀리(65a) 및 후방 풀리(65b) 사이에서 주회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전 저장홈(63)에 도입된 동전(C)은 좌연부가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에 접합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전 저장홈(63) 내를 전진하게 된다.
상기 동전 인출부(70)은 도6 및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동전저장판(62)에 대응하여 그 하류단에 경사져 대향 배치된 인출벨트(71)와, 개폐프레임 (11b)의 전방 하면에 상기 인출벨트(71)에 경사져 대향하도록 설치된 동전 누름부재(72)와, 동전(C)의 반출을 스톱시키는 스톱 부재(인출제어부재)(73)와, 이 스톱 부재(73)를 조작하는 솔레노이드 부재(74)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인출벨트(71)의 구동으로 인출된 동전(C)은 기초프레임(11a)의 전단벽에 설치된 동전받침대(14)로 향하여 배출되게 되어 있다.
도 14는 동전 인출부(70)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본 설명도로서, (A)는 스톱 부재(73)가 스톱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 (B)는 스톱 부재(73)가 스톱 해제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인출벨트(71)는 상기 전방 종동축(65d)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인출풀리(71a)와, 이 하부 인출풀리(71a)의 전방상부에서 동전받침대(14)의 뒷 부분에 임한 위치에 설치된 상부 인출풀리(71b)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이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앞쪽이 올라가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사각도는 본 실시 형태에서 기초프레임(11a)의 바닥판에 대하여 약 40°로 설정되고 있다.
또, 동전 저장홈(63)의 바닥판(63g)은 그 전단부가 하부 인출풀리(71a)에 감겨진 위치의 인출벨트(71)의 표면에 대하여 약간의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상기 동전 누름부재(72)는 인출벨트(71)의 주회로 동전 저장홈(63)으로부터 반출된 동전(C)을 눌러서 반출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방체상의 상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전 누름부재(72)는 인출벨트(71)의 가는 벨트의 중간 위치로부터 약간 상방에서 소정의 간극(가장 두꺼운 동전(C)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큼직한 간극)를 구비하고 인출벨트(71)에 대향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으며, 바닥판(72a)에 관통공(72b)이 천공 설치되고, 이 관통공(72b)으로부터 주면이 돌출하도록 강구(鋼球)(72c)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강구(72c)는 동전(C)이 인출벨트(71에 의하여 반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4의 (B)에 나타나듯이, 동전(C)의 표면을 눌러서 동전(C)의 이면과 인출 벨트(71)의 표면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주고 양자간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추로서의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동전(C)의 반출 상태가 안정된다.
상기 스톱 부재(73)는 제1 조작편(73b) 및 제2 조작편(73c)으로 된 L자 형상을 나타내는 조작간(73a)과, 상기 제2 조작편(73c)의 선단에 상기 제1 조작편(73b)과 대향하도록 장착된 스토퍼 핀(73d)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스톱 부재(73)는 제1 조작편(73b)과 스토퍼 핀(73d)으로 동전 누름부재(72를 협지한 상태에서, 제1 조작편(73b)과 제2 조작편(73c)과의 접합점이 지지축(73e) 주위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되어,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핀(73d)의 선단이 인출벨트(71) 위의 동전(C)의 전연부를 저지한 상태에서 동전(C)의 인출을 저지하는 스톱 자세와,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지가 해제된 상태의 스톱 해제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또, 스토퍼 핀(73d)은 그 중량으로 스톱 부재(73)에 대하여 지지축(73e)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중량 설정되어, 이것에 따라 평상시 스톱 부재(73)는 스톱 자세로 설정되게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부재(74)는 전류 공급의 온·오프 조작으로 자력 발생의 온·오프가 행해지는 솔레노이드 본체(74a)와, 이 솔레노이드 본체(74a)에 출몰 가능하게 내장된 봉상의 철심(74b)으로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본체(74a)는 철심(74b)이 몰입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그 선단이 스톱 자세로 자세 설정되고, 제1 조작편(73b)의 하단부에 접합하고 철심(74b)이 돌출한 상태에서 그 선단이 제1 조작편(73b)을 압박하고 스톱 부재(73)를 스톱 해제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도록 설치 위치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전 인출부(70)에 의하면, 집적 벨트(65)의 주회로 동전 저장홈(63)의 바닥판(63g) 위를 회전운동하면서 이동해온 동전(C)은 선두의 것이 인출벨트(71)에 도달하면, 인출벨트(71)의 주회에 의하여 선단이 상방을 향하여 인상되어 인출벨트(71)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단이 스톱 부재(73)의 스토퍼 핀(73d)에 저지되는 것에 의하여 동전(C)은 상대적으로 인출벨트(71)의 표면과 습동하면서 현재 상태의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처음의 동전(C)이 인출벨트(71)상에서 정지한 후, 이것에 계속된 동전(C)은 그 선단부가 앞의 동전(C)의 표면에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경쟁적으로 일으켜지기 때문에, 동전 저장홈(63)에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동전(C)이 비스듬하게 적층된 상태로 저장되게 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 본체(74a)를 온 하면, 이것에 의한 철심(74b)의 솔레노이드 본체(74a)로부터의 돌출로 제1 조작편(73b)이 압박되고 스톱 부재(73)가 지지축(73e) 주위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이 회동으로 스토퍼 핀(73d)의 선단이 인출벨트(71)의 표면에서 떨어진다.
그러면, 동전 저장홈(63)에 최선단에 위치한 동전(C)이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벨트(71)의 주회로 전방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이동하고, 인출벨트(71)와 동전 누름부재(72)와의 간극을 통과하여 동전받침대(14) 쪽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철심(74b)의 솔레노이드 본체(74a)로부터의 출몰 시간은 상당히 짧 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전(C)이 스토퍼 핀(73d)의 선단 바로 아래로 들어간 직후에 스톱 부재(73)는 원래의 스톱 자세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동전(C)은 그 표면에 스토퍼 핀(73d)의 선단이 당접한 상태에서 인출벨트(71)에 의하여 반출되고, 스토퍼 핀(73d)은 동전(C)이 그 선단에서 벗어난 직후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기 때문에, 다음 동전(C)은 한번 더 철심(74b)이 출몰할 때까지 스토퍼 핀(73d)에 의하여 반출이 저지된다.
도 15는 제어부(80)에 의한 동전 거스름기(10)의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제어부(80)는 동전 거스름기(10)의 각종 동작을 종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이른바 마이크로컴퓨터가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부(80)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인 CPU(81)와, 제어용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 읽기 전용의 외부 기억 장치인 ROM(82)과, 각종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 읽기 쓰기 자유 자재의 외부 기억 장치인 RAM(8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80)에는 입력장치(84 및 출력장치(85)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84)로서는 상기 조작버튼(12d) 및 텐 키(12f)외에, 동전 거스름기(10)의 본체로서의, 예를 들면 금전 등록기로부터의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841)가 채용되고 있다. 또, 출력장치(85)로서는 상기 7 세그먼트 LED(12e)외에 각종의 표시 램프(851)가 채용되고 있다.
또, 동전 거스름기(10) 안의 각 곳에는 동전(C)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어부(80)에 입력하는 복수의 동전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동전 센서로서는 도7에 나타낸 것처럼, 투입 호퍼(21) 안의 동전(C)의 유무를 검출하는 호퍼 센서(861), 제1 동전 통로(31)에 있어서 동전(C)의 막힘을 검출하는 막힘센서(862), 제1∼제6 선별공(51, 53, 54, 55, 56, 57)에 의하여 선별된 동전(C)을 검출하는 제1 선별센서(863), 제2 선별센서(864), 제3 선별센서(865), 제4 선별센서(866), 제5 선별센서(867) 및 제6 선별센서(868), 제1∼제6 선별공(51, 53∼57)에 대응한 동전 저장홈(63)의 저장상황을 검출하는 제1 저장센서(869), 제2 저장센서(870), 제3 저장센서(871, 제4 저장센서(872, 제5 저장센서(873 및 제6 저장센서(874)가 동전 인출부(70)의 각 인출벨트(71)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제1∼제6 저장센서(869∼874)에 대응하는 제1 인출센서(875), 제2 인출센서(876), 제3 인출센서(877), 제4 인출센서(878), 제5 인출센서(879) 및 제6 인출센서(880) 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동전받침대(14)의 내부의 알맞은 곳에는 손이 넣어진 것을 검출하는 안전 센서(88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안전 센서(881)은 주회하고 있는 인출벨트(71)에 손대지 못하게 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장치(84)로부터의 입력신호 및 각종의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고 CPU(81)으로부터 제1 모터(23), 제2 모터(34) 또는 솔레노이드 본체(74a) 쪽으로 적절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이것에 의한 제1 모터(23), 제2 모터(34) 및 솔레노이드 본체(74a)의 구동에 의하여 동전 거스름기(10)가 적절하게 운전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거스름기(10)는 각 금종이 섞인 다수개의 동전(C)을 투입 호퍼(21) 안에 투입하고, 이러한 동전(C)을 금종마다 동전 저장부(60)에 저장하기 위해 운전하는 동전투입동작과, 일단 동전 저장부(60)에 저장된 동전(C)를 거스름돈으 로서 지불하는 거스름돈 인출동작이 제어부(80)에 의하여 제어되고 운전된다.
동전투입동작을 행하게 하는 모드로 운전할 때에는, 먼저 전원 스위치 (12g)(도 1)를 온으로 하고 나서 동전 투입 모드를 나타내는 소정의 조작버튼(12d)을 눌러 조작하고, 계속해서 투입 호퍼(21에 복수개의 동전(C)를 투입한다. 그러면, 호퍼 센서(861)가 투입 호퍼(21 안에 동전(C)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부(80)에 입력되는 것에 의하여 제어부(80)로부터 제1 모터(23) 및 제2 모터(34)를 향해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이것에 의한 제1 모터(23) 및 제2 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 받침대(22)가 중심축(22a) 주위에 회전함과 동시에, 제1 반송벨트(32), 제2 반송벨트(46) 및 집적 벨트(65)가 주회한다.
그리고, 회전 받침대(22)의 회전으로 투입 호퍼(21)의 반출공(21a)으로부터 제1 동전 통로(31)에 반출되는 동전(C)은 제1 반송벨트(32)의 주회에 유도되면서 제2 반송부(40)쪽으로 반송된다. 또한, 이 때 막힘 센서(862)로부터 막힘 검출신호의 출력이 있으면, 제어부(80)로부터 제1 모터(23) 및 제2 모터(34) 쪽으로 정지 신호가 출력되어, 이것에 의한 기기의 정지로 운전이 일시 중단되다. 이러한 중단이 발생하면, 통로 덮개(36)를 열고 제1 동전 통로(31)의 점검이 행해지고, 막힘이 해소된 상태에서 운전이 재개된다.
계속하여, 제2 동전 통로(42)에 도달한 동전(C)은 제2 반송벨트(46)의 구동으로 제2 동전 통로(42)로 반송되면서 임의의 선별공(51, 53∼57)으로부터 낙하한다. 어느 선별공(51, 53∼57)으로부터 낙하하였는지가 제1∼제6 선별센서(863∼868)의 어느 한쪽에서 검출되어,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CPU(81)는 각 금종의 동 전의 개수를 일일이 상세하게 카운트한다. 투입 호퍼(21) 안의 모든 동전(C)의 선별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각 금종마다의 동전(C)의 개수가 RAM(83)에 기억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어떤 선별공(51, 53∼57)으로부터 낙하하여 동전 저장부(60)에 공급된 동전(C)은 집적 벨트(65)의 주회에 안내되면서 동전 저장홈(63) 안을 동전 인출부(70) 쪽으로 반송되도록 순차적으로 비스듬하게 적층된다. 이 반송시에 어떠한 동전 저장홈(63)에 있어 미리 설정된 저장허용량을 넘으면, 그 것이 제1∼제6 저장센서(869∼874)의 어느 한쪽을 따라서 검출되어, 이것에 의한 CPU(81)로부터의 정지 신호에 의하여 제1 모터(23) 및 제2 모터(34)가 정지한다. 이것은 출력장치(85)에 출력되기 때문에, 이 출력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치가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동전(C)의 투입량이 동전 저장홈(63)의 저장허용량을 넘지 않을 때는, 투입 호퍼(21) 안이 비워진 것을 호퍼 센서(861)가 검출할 때까지 운전이 계속된다. 그리고, 투입 호퍼(21) 안이 비워진 것이 호퍼 센서(861)에 의하여 검출되면, 도시생략된 타이머가 작동되어, 이 타이머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 모터(23) 및 제2 모터(34)가 정지되고 동전 투입 모드의 운전이 종료된다.
다음에, 거스름돈 인출모드(mode)시에는 입력장치(84)로부터 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동전 거스름기(10)는 도시생략된 금전 등록기로부터의 신호를 중계기(841)를 개재하여 받아들이는 태세로 설정된다. 그리고, 금전 등록기로부터 소정의 거스름돈을 지불하기 위한 신호가 제어부(80에 입력되면 CPU(81)는 그 돈액수에 대응하도록 금종마다의 동전(C)의 개수를 연산하고, 그러한 금종을 저장하고 있는 동전 저장홈(63)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본체(74a)에 개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부재(74)는 솔레노이드 본체(74a)가 여자되고 스토퍼 핀(73d)의 선단이 집적 벨트(71)로부터 이간한 상태를 지지하고, 소정 개수의 동전(C)이 인출되면, 솔레노이드 본체(74a)는 소자하고 스토퍼 핀(73d)이 원래의 위치에 복귀되어, 이것에 따라 동전 저장홈(63)에 저장되고 있던 동전(C)은 인출벨트(71)의 주회에 의하여 설정된 개수가 동전받침대(14)로 향하고 인출되게 된다.
이 지불 개수는 제1∼제6 인출센서(89∼880)에 의하여 일일이 상세하게 검출되고 RAM(83)에 기억된다. 따라서, 이 RAM(83)의 기억 결과와 동전 투입 모드시에 집계된 동전 저장부(60)의 초기의 개수에 의하여, 항상 동전(C)의 수불 및 동전(C)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잔량의 값은 7 세그먼트 LED(12e)에 표시된다. 또한, 각 금종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된 잔량 표시용 LED를 설치하는 한편, 각 잔량을 LED의 점등에 의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 상술한 것처럼, 여러 금종의 동전(C)이 투입된 투입 호퍼(21)로부터의 동전(C)를 순차적으로 인출하고 금종마다 선별하여, 선별된 각 동전(C)를 금종마다 동전 저장부(60)에 저장함과 동시에, 요망에 따라 동전 저장부(60)로부터 필요한 금종마다의 동전(C)를 지불하도록 구성되는 동전 거스름기(10)를 전제로 한 것이고, 투입 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동전(C)을 선별하는 화폐 선별부(50)와, 이 화폐 선별부(50)에 의하여 선별된 동전(C)을 금종마다 저장하는 동전 저장부(60)를 설치하고, 또한, 동전 저장부(60)를 금종마다 평행하게 설치하여, 홈폭 치수가 동전(C)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조의 동전 저장홈(63)과 이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집적 벨트(65)와, 상기 동전 저장홈(63)의 하류단에 설치된 동전(C)를 통과시킬 수 있는 동작 상태와 후속의 동전(C)를 적층되고 얻도록 동전(C)가 인출을 저지하는 비동작 상태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하는 스톱 부재(73)을 구비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화폐 선별부(50)로 선별된 동전(C)은 동전 저장부(60)의 동전 저장홈(63)에 도입되어, 그 홈 바닥에 설치된 집적 벨트(65)의 주회에 의하여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처음의 동전(C)은 동전 저장홈(63)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또한 적층 가능 자세에 자세 설정된 스톱 부재(73)에 도달하는 것에 의하여, 이 스톱 부재(73)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고 적층될 수 있는 자세로 변환되기 때문에, 다음 동전(C)은 적층 가능 상태가 된 처음의 동전(C)의 표면에 올라서도록 유도되고 상단부가 기대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적층되고, 이 적층 동작이 후속의 동전(C)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동전(C)은 동전 저장홈(63) 안에서 대략 세로놓기로 순차 적층되어 간다.
동전 저장홈(63) 안에 세로놓기로 저장된 동전(C)을 지불할 때에는, 스톱 부재(73)를 통과 가능 자세로 자세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동전(C)은 통과 가능해진 스톱 부재(73)를 개재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동전 저장홈(63)의 하류단에 설치된 스톱 부재(73)를 적층 가능 자세로 설정하는 것으로 동전(C)을 세로놓기로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전 저장용의 호퍼를 세로놓기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불편함이 해소되어, 동전 거스름기(10)의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적 벨트(65)를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의 일측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동전(C)은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에서 그 일측부에 설치된 집적 벨트(65)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시키지만, 이 때 동전(C)의 벨트 측의 연부가 전진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측의 연부는 홈 바닥에 접합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동전(C)에는 회전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동전(C)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전후에서 주연부가 서로 접합하고 있는 동전(C)은 서로 경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통로에 막히는 이상이 일어나지 않고 항상 순조롭게 동전(C)을 반송할 수 있다.
또, 동전 인출부(70)를 반송면이 앞이 올라간 경사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에 임하는 인출벨트(71)와, 이 인출벨트(71)의 반송면에 대하여 분리접촉하는 스토퍼 핀(73d)을 갖는 스톱 부재(73)을 구비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집적 벨트(65)의 주회로 동전 저장홈(63) 안을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된 처음의 동전(C)은 스톱 부재(73)의 스토퍼 핀(73d)이 주회하고 있는 인출벨트(71)의 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인출벨트(71)로 유도되어 인상된 후, 스토퍼 핀(73d)에 저지되어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계속해서 반송되어 오는 동전(C)은 그 선단 연부가 처음의 동전(C)의 표면에 걸린 상태가 됨과 동시에, 집적 벨트(65)의 주회에 의하여 전진력이 부여되고, 게다가 후속의 동전(C)은 회전하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후속의 동전(C)의 전연부가 처음의 동전(C)의 표면의 볼록한 부 분에 접합해 이 볼록한 부분에 걸리도록 전진하고 처음의 동전(C)에 적층되어 간다. 그 후에 계속된 동전(C)에 대해서도 앞의 동전(C)에 대해서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동전 저장홈(63) 안에서 반송된 동전(C)을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계속하여, 일단 적층 상태로 동전 저장홈(63) 안에 저장된 동전(C)을 지불할 때에는, 스톱 부재(73)의 스토퍼 핀(73d)을 인출벨트(71)의 표면에서 떼어놓는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스토퍼 핀(73d)에 의한 동전(C)의 이동 저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동전(C)을 인출벨트(71)의 주회에 의하여 반송하여 계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벨트(71)의 부근에 스토퍼 핀(73d)을 구비한 스톱 부재(7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집적 벨트(65) 및 인출벨트(71)의 쌍방을 항상 구동시킨 상태에서, 스토퍼 핀(73d)의 인출벨트(71)에 대한 분리접촉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동전(C)의 저장조작및 저장된 동전(C)의 지불 조작을 제어할 수 있고, 동전(C)의 저장 및 지불의 제어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동전 거스름기(10)는 여러 금종의 동전(C)이 투입된 투입 호퍼로부터의 동전(C)을 순차적으로 인출하고 금종마다 선별하여, 선별된 각 동전(C)를 금종마다 동전 저장부(60)에 저장함과 동시에, 요망에 따라 동전 저장부(60)로부터 필요한 금종마다의 동전(C)를 지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고, 투입된 동전(C)을 상기 투입 호퍼(21)로부터 수평 자세로 1 열에 나열하고 송출하는 제1 반송부(30)와, 이 제1 반송부(30)의 하류단에서 받아들이는 동전(C) 을 재차 반송하는 제2 반송부(40)와, 이 제2 반송부(40)에 의한 반송도중의 동전(C)을 선별하고 금종마다 상기 동전 저장부(60)에 보내는 화폐 선별부(50)를 설치하고, 제2 반송부(40)의 동전 반송속도를 제1 반송부(30)의 동전 반송속도보다 늦어지도록 속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투입 호퍼(21)로부터 방출되어 제1 반송부(30)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전(C)은 제2 반송부(40)로 속도 규제되는 것에 의하여, 나중에 왔던 것이 앞의 것에 있어, 이것에 의하여 제1 반송부(30)에는 1 열에 나란히 한 동전(C)이 서로 당접하면서 슬립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반송부(40)에서 동전(C)은 제1 반송부(30)에 있어서 보다 느린 속도로 반송되기 때문에, 반송되면서 화폐 선별부(50)에 의한 선별처리가 정밀하게 행해지고, 이에 의해 동전(C)의 선별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 반송부(40) 쪽이 제1 반송부(30) 보다 반송속도가 느린 것으로, 제1 반송부(30)로부터 제2 반송부(40)로 향해서는, 항상 동일 타이밍에 동전(C)을 받을 수 있으며, 제2 반송부(40)에서 동전(C)이 전후에서 접합하면서 나란히 한 상태가 되어도, 제2 반송부(40)의 반송속도가 느린 것에 의하여 상기 접합으로 그릇된 선별이 행해지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송부(30)와 상기 제2 반송부(40)와의 사이에 주속이 적어도 제2 반송부(40)의 동전 반송속도와 같아지도록 회전 속도가 설정된 감속 롤러(45)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제1 반송부(30)의 하류단에서 배출된 동전(C)은 일단 감속 롤러(45)에 의하여 제2 반송부(40)의 반송속도로 까지 감속된 후, 제2 반송부(40)에 공급되기 때문에, 동전(C)을 제1 반송부(30)로부터 제2 반송부(40)로 직접 보 낼 경우에 비하여 제2 반송롤러에의 동전(C)의 공급 상태가 안정되고, 제2 반송롤러상에서 동전(C)이 중첩되어, 이에 의해 동전(C)의 선별에 지장을 초래하는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제2 반송부(40)의 동전 반송속도를 감속 롤러(45)의 주 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설정해 두면, 감속 롤러(45)에 의하여 일단 감속된 동전(C)이 제2 반송부(40)에 의하여 약간 증속되기 때문에, 제2 동전 통로(42)에 있어 나란히 한 동전(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제2 반송부(40)로 반송중의 동전(C)은 전후의 것 사이의 간섭이 회피되고 보다 확실하게 선별된다.
 또, 제1 반송부(30)를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동전(C)를 미끄러뜨려 이동시키는 홈상의 제1 동전 통로(31)와 이 제1 동전 통로(31)의 통로면의 일측부에 동전 반송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반송벨트(32)와, 동전(C)에 대하여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동전 통로(31)에 뚜껑이 되는 통로 덮개(36)를 구비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제1 반송벨트(32)는 동전(C)의 중심 위치가 재치되지 않도록 폭 치수를 좁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동전(C)은 제1 동전 통로(31)의 반송면상에서 그 일측부에 설치된 제1 반송벨트(32)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되지만, 이 때 동전(C)의 벨트 측의 연부가 전진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측의 연부는 반송면에 접합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동전(C)에는 회전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동전(C)은 회전하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통로에 막히는 것 같은 이상이 일어나지 않고, 동전(C)을 항상 순조롭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반송부(40)를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동전(C)을 미끄러뜨려 이동시키는 제2 동전 통로(42)와, 동전(C)의 상면 중앙부에 접합하면서 동전 반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한 주회로 제2 동전 통로(42)에 따라 동전(C)을 상방에서 압박하면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반송하는 제2 반송벨트(46)를 구비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동전 통로(42)를 동전(C)의 반송방향을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키는 커브 통로(42b와, 이 커브 통로(42b)로부터 연설되고 통로면에 여러의 선별공을 갖는 동전 선별통로(42c)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커브 통로(42b)의 외연측에 동전(C)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원호상 연면(44c)을 설치함과 동시에, 동전 선별통로(42c)에는 원호상 연면(44c)에 계속된 직상둑부[제2 위치 결정 돌조(44)의 돌조 본체(44a)]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면이 제2 반송벨트(46)에 의하여 압박되면서 제2 반송벨트(46)의 주회에 의하여 반송되는 제2 반송통로상의 동전(C)은 커브 통로(42b)에 도달하면, 관성에 의하여 원호상 연면(44c)에 먼저 맞고 나서 이 원호상 연면(44c)에 안내되면서 반송방향이 거의 직각으로 변경된다. 이 때의 원심력으로 동전(C)은 원호상 연면(44c)에 접합한 상태가 계속되고 동전 선별통로(42c)로 이전되기 때문에, 동전(C)은 주연부가 원호상 연면(44c)에 계속된 돌조 본체(44a)의 전연부에 접합한 위치 결정 상태로 반송되어, 이에 의해 동전(C)을 선별용 장공(52)에서 적정하게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내용도 포함하는 것이다.
(1)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출벨트(71) 및 집적 벨트(65)는 전방 풀리(65a)를 개재하여 동시에 주회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이렇게 하는 대신 에 양자를 각각 별개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얻고 서로 상대측과 독립한 상태에서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동전 저장홈(63) 안에 동전(C)을 적층할 때는 인출벨트(71)을 정지시키는 한편, 동전(C)를 지불할 때는 인출벨트(71)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응할 수 있고, 스톱 부재(73) 및 솔레노이드 부재(74)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면, 동전 거스름기(10)의 비좁은 동전 인출위치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2)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전받침대(14)가 기초프레임(11a)의 전면 하부 위치에 고정되고 있지만, 이렇게 하는 대신에 동전받침대(14)를 기초프레임(11a)의 전면 하부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할 수 있다. 동전받침대(14)의 기초프레임(11a)에 대한 착탈 구조에 관해서는, 동전받침대(14)의 배면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기초프레임(11a)의 대향면에 계지 돌조를 설치하는 한편, 동전받침대 (14)의 배면에 이 계지 돌조에 대응하는 계지구멍을 설치한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전받침대(14)를 기초프레임(11a)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구성하게 되면, 동전받침대(14)에 거스름돈의 지불이 있을 때에, 이 동전받침대(14)를 기초프레임(11a)으로부터 분리하고 그것을 그대로 고객에게 전하는 접시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3)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동전 통로(31)에 있어 그 일측부에 반송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반송벨트(32)가 마련되어 있지만, 청구항 1의 발명은 제1 반송벨트(32)가 제1 동전 통로(31)의 일측부에만 설치한 것으로 한정되 는 것이 아니고, 제1 반송벨트(32)를 제1 동전 통로(31)의 양측부에 설치하도록 하여, 제1 동전 통로(31)의 전면을 덮는 폭이 넓은 벨트를 채용해도 좋다.
(4)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의 폭방향 일측부에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친 집적 벨트(65)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렇게 하는 대신에 동전 저장홈(63)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집적 벨트(65)를 설치해도 좋고, 동전 저장홈(63)의 홈 바닥의 양측부에 집적 벨트(65)를 설치하거나, 홈 바닥 전면을 덮는 폭이 넓은 벨트를 채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동전 거스름기는 특히 여러 금종의 동전을 취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3)

  1. 여러 금종의 동전이 투입된 투입 호퍼로부터의 동전을 순차적으로 인출하고 금종마다 선별하여, 선별된 각 동전을 금종마다 저장함과 동시에, 요망에 따라 필요한 금종마다의 동전을 지불하도록 구성된 동전 거스름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된 동전을 선별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선별수단에 의하여 선별된 동전을 금종마다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수단은, 금종마다 평행하게 설치되고, 홈폭 치수가 동전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조의 동전 저장홈과, 상기 동전 저장홈의 홈 바닥의 일측부에 설치되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송벨트와, 동작 상태에서 동전 저장홈의 하류단에서 동전을 지불하며 비동작 상태에서 동전을 적층시키도록 자세를 변경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동전 거스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반송면이 앞이 오르게 경사진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동전 저장홈의 홈 바닥에 임하는 인출벨트와, 상기 인출벨트의 반송면에 대하여 분리접촉하는 스토퍼를 갖는 인출제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거스름기.
KR1020057003517A 2005-02-28 2002-09-04 동전 거스름기 KR10068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517A KR100680435B1 (ko) 2005-02-28 2002-09-04 동전 거스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517A KR100680435B1 (ko) 2005-02-28 2002-09-04 동전 거스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745A KR20050046745A (ko) 2005-05-18
KR100680435B1 true KR100680435B1 (ko) 2007-02-08

Family

ID=3724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517A KR100680435B1 (ko) 2005-02-28 2002-09-04 동전 거스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4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745A (ko)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988A (en) Coin supply device for coin-operated gaming machine
EP2249316B1 (en) Coin transporting device
JP5373007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2008506172A (ja) 貨幣品払出装置
JP5109071B2 (ja) メダル選別手段を有するメダル処理装置
EP1542174B1 (en) Coin changing machine
JP4413803B2 (ja) 遊技機用台間機
JP3679017B2 (ja) 硬貨釣銭機
JP4478617B2 (ja) メダル送り装置
KR100680435B1 (ko) 동전 거스름기
JP2006294072A (ja) 硬貨入出金装置
JP3550370B2 (ja) 硬貨釣銭機
US20040069591A1 (en) Token dispensing and banknote changing device
JPH0586587B2 (ko)
JP3242273B2 (ja) 硬貨入出金機
JPH03225586A (ja) 硬貨選別装置の硬貨リフター駆動装置
JPH03218596A (ja) 自動販売機の硬貨返却装置
JPH0530211Y2 (ko)
JP2005174072A (ja) 硬貨処理装置
JP2024005097A (ja) 紙幣識別装置
JP2005062995A (ja) 硬貨入出金装置
JP4293014B2 (ja) 硬貨出金機
JPH0751653Y2 (ja) 硬貨処理機のカルトン挿入検知装置
JPH10289346A (ja) 釣り銭自動払出装置
JP2021082140A (ja) 硬貨処理装置及び現金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