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614A - 컵 배출기 - Google Patents

컵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614A
KR20110106614A KR1020100025758A KR20100025758A KR20110106614A KR 20110106614 A KR20110106614 A KR 20110106614A KR 1020100025758 A KR1020100025758 A KR 1020100025758A KR 20100025758 A KR20100025758 A KR 20100025758A KR 20110106614 A KR20110106614 A KR 20110106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up
cups
storag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삼
노진환
박권일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614A/ko
Publication of KR2011010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 A47F1/06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컵이 일측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컵 배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배출기는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200); 상기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되는 보관부재(300); 상기 받침부재(200)에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상기 받침부재(200)와 상기 보관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재(2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및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00)와 연계하여 상기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컵이 일측 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정수기 등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 배출기{CUP DISPENSER}
본 발명은 컵이 일측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컵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컵 배출기는 보관된 컵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컵 배출기는 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예컨대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하기 위해서 컵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는 컵 배출기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된 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컵 배출기는 일반적으로 컵의 하중을 이용하여 보관된 컵이 아래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컵의 하중 이외에 다른 힘이 컵에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컵 배출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컵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래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컵 배출기의 경우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정수기 등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등의 상부에 여러 가지 장치가 많이 구비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인해서 정수기 등의 하부에 컵 배출기를 구비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보관된 컵이 아래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컵 배출기는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배출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컵이 일측 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정수기 등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컵 배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탄성부재와, 컵의 테두리부에 번갈아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부재 및 제2 걸림부재를 사용하여 컵이 일측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컵 배출기는 복수개의 컵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 받침부재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보관부재; 받침부재에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받침부재와 보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받침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에 구비되며 탄성부재와 연계되어 보관부재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 중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일정개수 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은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재와 제1 걸림부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탄성부재에 의한 힘에 의해서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컵에 각각 형성된 테두리부 중 일부 테두리부에 제1 걸림부재의 일측과 제2 걸림부재의 일측이 번갈아 걸리도록 하여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은 복수개의 컵의 보관시에는 제1 걸림부재에 포함되는 걸림부가 컵의 테두리부에 걸리는 걸림위치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컵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복수개의 컵 중 일정 개수의 컵의 배출시에는 제1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컵에 걸리지 않는 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제2 걸림부재에 포함되는 걸림부가 걸림위치로 이동된 후, 제1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걸림위치로 복귀되면서 제2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해제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은 일측이 제1 걸림부재에 포함되며 걸림부에 연결된 연결부와 제2 걸림부재에 포함되며 걸림부에 연결된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일측이 연결부재에 연계되며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가 걸림위치와 해제위치에 각각 번갈아 위치되게 연결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제1 걸림부재의 연결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돌기와 제2 걸림부재의 연결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돌기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며, 제2연결돌기는 제1 연결돌기 보다 버튼부재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은 일측에 별도의 제1 걸림부재의 걸림부와 제2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연결부재의 타측과 연결부재의 타측은 탄성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탄성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에는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결부재 이동부가 구비되며, 연결부재 이동부의 일측에는 연결부재 이동부와 연결되며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걸림부재 위치부가 구비되고, 연결부재 이동부의 타측에는 연결부재 이동부와 연결되며 버튼부재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버튼부재 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컵이 일측 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 등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컵 보관시의 작동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컵 배출시의 작동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컵 배출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탄성부재와, 컵의 테두리부에 번갈아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부재 및 제2 걸림부재를 사용하여 컵이 일측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는 받침부재(200)와, 보관부재(300), 탄성부재(400) 및,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에는 도4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부(E)가 아래를 향하도록, 즉 컵(C)이 거꾸로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컵(C)이 받침부재(200)에 거꾸로 놓여지면, 컵(C)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올 수 없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지는 컵(C)의 방향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는 방향이라면 어떠한 방향이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에는 전술한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300)에는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인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될 수 있다. 즉,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컵(C)이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면,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부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53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연결부재 이동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일측에는 이에 연결되며 후술할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가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는 걸림부재 위치부(5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타측에는 이에 연결되며 버튼부재(54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버튼부재 이동부(5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 이동부(550)와, 걸림부재 위치부(560) 및, 버튼부재 이동부(570)는 보관부재(300)와 별도로 또는 보관부재(300)와 일체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덮개(V)가 구비되어 컵(C)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받침부재(200)와 보관부재(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400)에 의해서 받침부재(200)가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00)에 의해서 받침부재(200)가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받침부재(200)에는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힘, 즉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작용되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탄성부재(400)와 연계되어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C)이 컵 배출기(100)의 일측 방향으로 순차로 일정 개수씩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컵 배출기(100)의 컵(C) 배출측을 상부로 하면, 컵(C)이 컵 배출기(100)의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한 개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순차로 배출되는 컵(C)의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한 개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이상의 개수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5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걸림부재(520)는 제1 걸림부재(510)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에 의한 힘, 즉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 있는 복수개의 컵(C) 또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이와 같이 탄성부재(400)에 의한 힘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컵(C)에 각각 형성된 테두리부(E) 중 일부 테두리부(E)에 제1 걸림부재(510)의 일측과 제2 걸림부재(520)의 일측이 번갈아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개수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순차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에 포함되는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부(511,521)와 걸림부(511,521)에 연결된 연결부(512,5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와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는 컵(C)의 테두리부(E)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는 후술할 바와 같이 연결부재(5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의 보관시에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가 컵(C)의 테두리부(E)에 걸리는 걸림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인 복수개의 컵(C)은 받침부재(200)에 탄성부재(400)에 의해서 컵(C) 배출측으로 힘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에 의해서 구속되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정 개수의 컵(C)의 배출시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가 컵(C)의 테두리부(E)에 걸리지 않는 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가 걸림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에 의해서 구속되었던 복수개의 컵(C)은, 받침부재(200)에 작용되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위치로 이동된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의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와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 까지의 거리는 한 개의 컵(C)의 테두리부(E)의 높이 정도이다. 따라서,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진 복수개의 컵(C)은 받침부재(200)와 함께 한 개의 컵(C)의 테두리부(E)의 높이만큼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와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 까지의 거리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한 개의 컵(C)의 테두리부(E)의 높이 정도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이상의 컵(C)의 테두리부(E)의 높이 정도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와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면, 한 번에 배출되는 컵(C)의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가 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가 걸림위치로 이동되게 하면,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와 함께 한 개의 컵(C)의 테두리부(E)의 높이만큼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가 걸림위치로 복귀되면서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가 해제위치로 복귀되도록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200)에 놓여진 복수개의 컵(C) 중 한 개의 컵(C)이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에 의해서 구속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컵(C)들은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에 의해서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컵(C) 중 한 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530)와 버튼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530)의 일측은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530)의 일측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가 연결되는 제1 연결돌기(5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가 연결되는 제2 연결돌기(532)가 제1 연결돌기(531)에 인접하게,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연결돌기(532)가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에는 각각 연결부재(530)의 제1 연결돌기(531)와 제2 연결돌기(532)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512a,5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가 연결부재(53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가 연결부재(53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가 연결되는 제2 연결돌기(532)는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가 연결되는 제1 연결돌기(531) 보다 버튼부재(54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가 걸림위치와 해제위치에 각각 번갈아 위치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30)가 컵(C) 보관위치에 위치되면, 제1 연결돌기(531)에 연결된 제1 걸림부재(510)는 걸림위치에 있게 된다. 즉,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 이동부(550)와 걸림부재 위치부(560)의 연결부분에 의해서 휘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는 걸림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버튼부재(540)에 가깝게 형성된 제2 연결돌기(532)에 연결된 제2 걸림부재(520)는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즉,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 이동부(550)와 걸림부재 위치부(560)의 연결부분에 의해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는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는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53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 배출위치로 이동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530)가 컵(C) 보관위치에서 전진하게 되면, 제1 연결돌기(531)에 연결된 제1 걸림부재(510)는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즉, 연결부재(530)의 이동에 의해서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는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버튼부재(540)에 가깝게 형성된 제2 연결돌기(532)에 연결된 제2 걸림부재(5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위치에 있게 된다. 즉, 연결부재(530)의 이동에 의해서,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는 걸림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가 걸림위치와 해제위치에 각각 번갈아 위치될 수 있다.
버튼부재(54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연결부재(530)에 연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버튼부재(540)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연결부재(530)의 타측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부재(540)의 경사면과 연결부재(530)의 경사면이 서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재(540)가 이동되면, 연결부재(530)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30)의 일측은 연결부재(530)의 이동전 위치로 연결부재(530)가 복귀되도록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530)가 컵(C) 보관위치와 컵(C) 배출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일측에 별도의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부(511',521')와 걸림부(511',521')에 연결된 연결부(512',5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30')의 일측에는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가 연결되는 제1 연결돌기(531')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가 연결되는 제2 연결돌기(5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에도 각각 제1 연결돌기(531')와 제2 연결돌기(532')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512a',52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30')의 제2 연결돌기(532')도 제1 연결돌기(531')보다 버튼부재(54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5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530)와 대칭되게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는 연결부재(53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연결부재 이동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가 위치되는 걸림부재 위치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530)와 연결부재(5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버튼부재(540)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타측에는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타측이 연결된 버튼부재 이동부(57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530)의 타측과 연결부재(530')의 타측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연결부재(53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재(540)에 의해서 연결부재(530)와 연결부재(530')가 컵(C) 보관위치에서 컵(C) 배출위치로 이동된 후 컵(C) 보관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컵(C)이 컵 배출기(100)의 위로 배출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컵 배출기(100)에 복수개의 컵(C)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버튼부재(540)가 컵(C) 보관위치와 컵(C) 배출위치 사이의 중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530,530')도 중립위치로 이동되며, 연결부재(530)의 일측에 연결된 제1 걸림부재(510) 및 제2 걸림부재(520)와, 연결부재(530')의 일측에 연결된 제1 걸림부재(510')와 제2 걸림부재(520')도 걸림위치와 해제위치의 사이인 중립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컵(C)을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하여도, 제1 걸림부재(510,510') 또는 제2 걸림부재(520,520')가 복수개의 컵(C)의 테두리부(E) 중 어느 테두리부(E)에도 걸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되면, 복수개의 컵(C)은 받침부재(200)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받침부재(200)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이에 놓인 복수개의 컵(C)과 함께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인 받침부재(200)는 보관부재(300) 내에서 하강된다.
이후, 버튼부재(540)에 작용되는 힘이 제거되면, 연결부재(530,530')의 타측을 서로 탄성연결하는 탄성연결부재(533)에 의해서 연결부재(530,530')가 컵(C) 보관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버튼부재(540)도 컵(C) 보관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1 걸림부재(510,510')와 제2 걸림부재(520,520')도 복수개의 컵(C) 보관위치로 되돌아간다. 즉,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510')는 걸림위치로 이동되고, 제2 걸림부재(520,520')는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된 복수개의 컵(C) 중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즉 복수개의 컵(C) 중 최상단에 위치된 컵(C)의 테두리부(E)가 제1 걸림부재(510,510')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보관부재(300)에 삽입된 복수개의 컵(C)이 제1걸림부재(510,510')에 의해서 구속된다. 따라서,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받침부재(200)에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힘이 작용된다고 하더라도, 보관부재(300)에 삽입된 복수개의 컵(C)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진 상태에서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보관부재(300)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복수개의 컵(C) 중 일정 개수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540)에 힘을 가하여 버튼부재(540)가 컵(C) 배출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530,530')도 컵(C) 배출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재(530,530')의 이동에 의해서 제1 걸림부재(510,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제2 걸림부재(520,520')는 걸림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받침부재(200)에 놓여져서 보관부재(300)에 삽입되어 보관된 복수개의 컵(C)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된다. 즉, 복수개의 컵(C)은 탄성부재(400)에 의해서 받침부재(200)에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받침부재(200)와 함께 상승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개의 컵(C)의 테두리부(E)의 높이만큼 받침부재(200)와 함께 복수개의 컵(C)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승된 복수개의 컵(C)은 걸림위치로 이동된 제2 걸림부재(520,520')에 의해서 그 상승이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재(540)에 작용된 힘이 제거되면, 탄성연결부재(533)에 의해서 연결부재(530,530')가 컵(C) 보관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버튼부재(540)도 컵(C) 보관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510,510')는 걸림위치로 복귀하며 제2 걸림부재(520,520')는 해제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받침부재(200)와 함께 이동된 복수개의 컵(C) 중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컵(C), 즉 복수개의 컵(C) 중 최상단에 위치된 컵(C)은 제1 걸림부재(510,510')에 의해서 구속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컵(C)들은 제1 걸림부재(510,510')에 의해서 구속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컵(C) 중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컵(C), 즉 최상단에 위치된 컵(C)은 배출될 수 있고 나머지 컵(C)들은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된다.
전술한 버튼부재(540)와, 이에 따른 연결부재(530,530') 및, 제1 걸림부재(510,510')와 제2 걸림부재(520,520')의 컵(C) 보관위치에서 컵(C) 배출위치로의 이동과, 컵(C) 배출위치에서 컵(C) 보관위치로의 이동이 반복되게 하면, 컵(C)이 일정 개수씩,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컵(C)이 위로 순차로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개수의 컵(C)이 컵 배출기(10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를 사용하면, 컵(C)이 일측 방향으로, 특히 위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정수기 등의 하부에 컵 배출기(100)가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컵 배출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컵 배출기 200 : 받침부재
300 : 보관부재 400 : 탄성부재
500 : 일정개수 배출수단 510,510' : 제1 걸림부재
511,511',521,521' : 걸림부 512,512',522,522' : 연결부
512a,512a',522a,522a' : 연결구 520,520' : 제2 걸림부재
530,530' : 연결부재 531,531' : 제1 연결돌기
532,532' : 제2 연결돌기 533 : 탄성연결부재
540 : 버튼부재 550,550' : 연결부재 이동부
560,560' : 걸림부재 위치부 570 : 버튼부재 이동부
C : 컵 E : 테두리부
V : 덮개

Claims (7)

  1.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200);
    상기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되는 보관부재(300);
    상기 받침부재(200)에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상기 받침부재(200)와 상기 보관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재(2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및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00)와 연계되어 상기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컵 배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재(510)와 상기 제1 걸림부재(510)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 걸림부재(52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한 힘에 의해서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컵(C)에 각각 형성된 테두리부(E) 중 일부 테두리부(E)에 상기 제1 걸림부재(510)의 일측과 상기 제2 걸림부재(520)의 일측이 번갈아 걸리도록 하여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복수개의 컵(C)의 보관시에는 상기 제1 걸림부재(510)에 포함되는 걸림부(511)가 컵(C)의 테두리부(E)에 걸리는 걸림위치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컵(C)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복수개의 컵(C) 중 일정 개수의 컵(C)의 배출시에는 상기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가 컵(C)에 걸리지 않는 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걸림부재(520)에 포함되는 걸림부(521)가 걸림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가 걸림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가 해제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일측이 상기 제1 걸림부재(510)에 포함되며 상기 걸림부(511)에 연결된 연결부(512)와 제2 걸림부재(520)에 포함되며 상기 걸림부(521)에 연결된 연결부(522)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530); 및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530)에 연계되며 상기 제1 걸림부재(510)와 상기 제2 걸림부재(520)가 걸림위치와 해제위치에 각각 번갈아 위치되게 상기 연결부재(530)가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5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3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걸림부재(510)의 연결부(512)가 연결되는 제1 연결돌기(531)와 상기 제2 걸림부재(520)의 연결부(522)가 연결되는 제2 연결돌기(532)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기(532)는 상기 제1 연결돌기(531) 보다 상기 버튼부재(540)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일측에 별도의 제1 걸림부재(510')의 걸림부(511')와 제2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5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530)의 타측과 상기 연결부재(530')의 타측은 탄성연결부재(533)에 의해서 서로 탄성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는 상기 연결부재(53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결부재 이동부(55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 이동부(55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걸림부재(510)와 상기 제2 걸림부재(520)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걸림부재 위치부(56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 이동부(550)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 이동부(550)와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재(54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버튼부재 이동부(5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KR1020100025758A 2010-03-23 2010-03-23 컵 배출기 KR20110106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58A KR20110106614A (ko) 2010-03-23 2010-03-23 컵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58A KR20110106614A (ko) 2010-03-23 2010-03-23 컵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614A true KR20110106614A (ko) 2011-09-29

Family

ID=4495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758A KR20110106614A (ko) 2010-03-23 2010-03-23 컵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6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8B1 (ko) * 2012-11-30 2014-02-24 이관영 배드민턴 셔틀콕 보관용 케이스
CN107014458A (zh) * 2017-03-31 2017-08-04 陕钢集团汉中钢铁有限责任公司 体积可调式定量量杯
JP2020129179A (ja) * 2019-02-07 2020-08-27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用カップ供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8B1 (ko) * 2012-11-30 2014-02-24 이관영 배드민턴 셔틀콕 보관용 케이스
CN107014458A (zh) * 2017-03-31 2017-08-04 陕钢集团汉中钢铁有限责任公司 体积可调式定量量杯
JP2020129179A (ja) * 2019-02-07 2020-08-27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用カップ供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4015B1 (en) Assembly comprising stacked pipette cone refills
US20100117502A1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1508293A1 (en) Dishwasher with device for changing the height of a rack
US20080182163A1 (en) Battery loading and unloading structure
US20100035450A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product
KR20110106614A (ko) 컵 배출기
CN105208904A (zh) 分配器和再填充分配器的方法
US20140353330A1 (en) Cup storage system
KR200456995Y1 (ko) 식기 운반대
KR101098503B1 (ko) 시트 형상물 수납 용기
KR101885499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JP2016158843A (ja) 収納ケース
US20070051286A1 (en) Locking device in shelf stands
US20070023447A1 (en) Discharger for tablets
US1564529A (en) Dish dispenser
KR20110132168A (ko) 컵 배출기
US20220292908A1 (en) Battery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JP2003165591A (ja) ポンプ付き容器
JP4899126B2 (ja) リッドディスペンサー
KR20090006139U (ko) 컵배출장치
JP3159722U (ja) 下駄箱
US836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ejection mechanism
JP433664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US10765935B2 (en) Tile dispensers and methods of dispensing tiles
KR101376649B1 (ko) 캐비넷형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