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39U - 컵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컵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39U
KR20090006139U KR2020070020255U KR20070020255U KR20090006139U KR 20090006139 U KR20090006139 U KR 20090006139U KR 2020070020255 U KR2020070020255 U KR 2020070020255U KR 20070020255 U KR20070020255 U KR 20070020255U KR 20090006139 U KR20090006139 U KR 200900061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rame
magazine
support piece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항노
김동근
최기훈
Original Assignee
윤항노
김동근
최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항노, 김동근, 최기훈 filed Critical 윤항노
Priority to KR2020070020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139U/ko
Priority to JP2008008689U priority patent/JP3148722U/ja
Publication of KR20090006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08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47F7/28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for vertically-stacked containers; Stabilis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47F7/285Show stands having fixation means, e.g. hanging means, slidable fixations, frictional retaining means, theft prevention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컵배출장치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프레임커버(26)가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0)과 프레임커버(26)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컵배출레버(32)의 양단부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컵배출레버(32)는 그 양단부가 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컵(c)의 지지를 위한 하지지편(38)과 상지지편(40) 그리고 컵(c)사이의 분리를 위한 분리경사면(42)이 각각 일체로 가진다. 상기 컵배출레버(32)에는 또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버튼부(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커버(26)의 매거진링부(28)에는 매거진(50)이 장착된다. 상기 메거진(5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컵(c)이 적층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하였다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컵배출장치의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이 원활해지고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컵, 공급, 위생, 미관

Description

컵배출장치{A cup discharging apparatus}
본 고안은 컵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다수개 적층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자가 하나씩 꺼내어 쓸 수 있도록 공급하는 컵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 음료 등을 덜어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을 사용하는데, 다수개의 컵을 보관하였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하나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수기 등 물이 있는 근처에 컵을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여러 개의 컵을 외기에 노출된 상태로 두는 것은 위생상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상기 종이컵을 따로 수납하여 보관할 만한 장치가 없어 컵을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두었다가 사용하게 되면, 컵의 보관과정에서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접근하거나 먼지가 종이컵에 묻게 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수 개의 컵을 적층해서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컵배출장치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345911호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컵배출장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 제조원가가 높고 많은 부 품들이 조립되므로 조립공차와 제조공차가 누적되어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수가 최소화된 컵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빈공간이 최소화된 컵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중앙을 관통하여 컵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양단에 이동단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에 적층되어 위치된 컵의 양단을 교대로 지지하는 하지지편과 상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는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컵배출레버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단을 차폐하고 상기 컵배출레버의 몸체부 일부만을 차폐하여 상기 버튼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프레임커버와;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프레임커버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컵이 적층되어 보관되는 매거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컵배출레버는, 몸체부의 양단이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는 양단의 몸체부를 연결하게 상기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지지편과 상지지편은 상기 몸체부 양단의 것이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하지지편과 상지지편의 중력방향 높이차는 적층된 컵사이의 간격과 같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지지편의 하면에는 컵 사이를 분리시키는 분리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슈트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 내면 가장자리에는 컵의 가장자리를 걸어주는 걸이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는 장착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에는 마그네트패드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프레임을 금속재질에 부착한다.
상기 프레임커버는, 상기 매거진이 장착되도록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매거진링부와, 상기 매거진링부와 일체로 되고 상기 이동단을 차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된다.
상기 매거진에는 매거진커버가 구비되어 매거진의 내부로 이물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불필요한 공간이 없어 컵을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컵배출레버의 선단에 있는 버튼부가 프레임과 프레임커버 내부의 공간에 위치되지 않고 프레임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 프레임과 프레임커버 내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이 공간에 해충이 서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컵을 지지하고 분리하여 배출하며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구성이 컵배출레버 하나로 구성되고 장착판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전체적으로 컵배출장치의 부품수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컵배출장치의 제조원가가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의 제작공차와 조립공차의 누적이 최소화되어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특히 컵배출레버의 양단이 각각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컵배출레버가 동작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할 수 있어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컵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0)은 본고안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그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2)는 본 고안의 컵배출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컵, 일반적으로는 종이컵의 직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후단에는 장착판(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판(14)은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판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럴할 필요는 없다. 상기 장착판(14)에는 마그네트패드(16)가 장착되어 금속으로 된 외관을 가지는 정수기나 냉장고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0)에 장착판(14)을 두지 않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3459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컵배출장치를 설 치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양측에는 이동단(18)이 소정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단(18)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양측에 프레임(10)의 선단쪽에서 후단쪽을 향해 양단의 것이 나란히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단(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컵배출레버(32)의 몸체부(32')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이동단(18)의 상면에는 이동단(18)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채널(19)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19)은 아래에서 설명될 컵배출레버(32)의 이동행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내채널(19)에 컵배출레버(32)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컵배출레버(32)가 이동되는 행정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단(18)의 후단에는 안내리브(2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리브(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프링(33)의 위치와 컵배출레버(3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해당되는 이동단(18) 등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커버(26)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는 배출슈트(2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슈트(22)는 컵(c)이 프레임(10)의 하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슈트(22)의 선단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리브(2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24)는 컵(c)이 배출슈트(2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걸려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슈트(22)는 그 일부분이 절결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컵(c)을 배출슈트(22)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프레임커버(26)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장착되어 프레임(10)의 상단을 차폐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커버(26)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매거진링부(28)와 상기 이동단(18)을 차폐하는 덮개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매거진링부(28)에는 관통부(28')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부(28')의 내경은 상기 프레임(10)의 관통부(12)의 내경과 거의 같다. 상기 프레임커버(26)는 상기 프레임(10)에 별도의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그 구조적 특성에 의해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26)의 덮개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이동단(18)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컵배출레버(32)가 설치된다. 상기 컵배출레버(32)는 평면도로 볼 때 몸체부(32')가 'U'자 형상으로 된다. 즉 몸체부(32')의 양단이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몸체부(32')는 양단이 상기 프레임(10)과 프레임커버(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서 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3)은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32)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10)의 후단, 예를 들면 상기 장착판(14)에 지지된다.
상기 몸체부(32')의 선단에는 버튼부(34)가 형성되는데, 상기 버튼부(34)는 상기 프레임커버(26)와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외부, 즉 상기 프레임(10)의 외면 전방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34)는 사용자가 컵(c)을 배출할 때,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32)의 양단에는 스프링보스(36)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보스(36)는 상기 스프링(33)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컵배출레버(32)의 몸체부(32') 양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되게 하지지편(38)과 상지지편(40)이 형성된다. 상기 하지지편(38)은 상기 몸체부(32')의 양측 후단쪽에 형성된다. 상기 하지지편(38)은 상기 프레임(10)의 관통부(28) 내부에 적층되어 위치된 컵(c)중에서 최하단의 것의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지지편(40)은 상기 하지지편(38)보다는 상기 몸체부(32')의 선단쪽, 즉 누름부(34)쪽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지지편(40)은 상기 컵배출레버(32)가 눌러져 이동됨에 의해 상기 하지지편(38)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최하단의 컵(c)이 상기 배출슈트(22)로 내려가는 순간에 그 바로 위에 있던 컵(c)의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지지편(40) 역시 상기 양단의 몸체부(32')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지지편(40)은 상기 하지지편(38)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데, 그 높이차는 서로 적층되는 컵(c)의 상단 사이의 거리와 같다.
상기 상지지편(40)의 하면중 상기 하지지편(38)쪽에는 분리경사면(42)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경사면(42)은 서로 적층되어 있는 컵(c) 사이를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분리경사면(42)은 컵(c)들이 서로 지나치게 세게 끼워져 있는 경우에 이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경사면(42)은 상기 상지지편(40)의 단부를 상대적으로 얇게 만든다.
참고로, 상기 컵배출레버(32)의 상지지편(40)과 하지지편(38)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면 다른 크기를 가지는 컵(c)을 컵배출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컵배출레버(32)만 다른 것을 사용하면 상기 프레임(10), 프레임커버(26) 및 매거진(50)은 상대적으로 큰 컵(c)의 치수에 맞춰 제작하면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커버(26)의 매거진링부(28)에는 매거진(50)이 끼워진다. 상기 매거진(50)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내부에 적층된 컵(c)들이 보관된다. 상기 매거진(50)의 내부는 상기 프레임커버(26)의 관통부(28) 및 프레임(10)의 관통부(12)와 연통된다. 상기 매거진(50)의 상단에는 매거진커버(52)가 설치되어 매거진(50)의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컵배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컵배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 장착판(14)의 마그네트패드(16)가 정수기나 냉장고 등의 금속재로 된 외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매거진(5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컵(c)이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컵(c)중에서 최하단의 것이 상기 컵배출레버(32)의 하지지편(38)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전체 컵(c)이 상기 컵배출레버(32)의 하지지편(3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지지편(38)에 의해 전체 컵(c)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는 상기 컵배출레버(32)가 상기 프레임(10)과 프레임커버(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외부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태이고, 상기 스프링(33)은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컵배출레버(32)의 버튼부(34)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컵배출레버(32)는 상기 스프링(3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한다. 상기 컵배출레버(32)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컵(c)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던 하 지지편(38)은 이동하여 더 이상 컵(c)을 지지하지 않게 되고, 상기 하지지편(38)과 함께 이동하던 상지지편(40)은 최하부에 있던 컵(c)의 바로 위의 컵(c)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지지편(38)이 지지하던 최하부의 컵(c)은 더 이상 지지되지 않으므로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슈트(22) 방향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최하부의 컵(c)이 바로 위의 컵(c)과 꽉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지지편(40)에 형성된 분리경사면(42)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리경사면(42)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양단 사이로 들어가면서 컵(c)사이를 분리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상지지편(40)은 최하부의 컵(c)이 분리된 상태에서 새롭게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 컵(c)을 지지하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상기 상지지편(40)이 전체 컵(c)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컵배출레버(32)를 완전히 눌렀다가 사용자가 힘을 더 이상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컵배출레버(32)는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컵배출레버(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지지편(40)이 지지하고 있던 전체 컵(c)은 상지지편(40)의 이동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아 중력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지지편(40)과 함께 이동하던 하지지편(38)에 의해 새롭게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 컵(c)이 지지된다. 즉, 전체 컵(c)이 상기 하지지편(38)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컵(c)의 이동은 상기 상지지편(40)과 하지지편(38) 사이의 중력방향 높이차이만큼 이루어진다.
상기 하지지편(3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배출슈트(22)로 낙하되는 컵(c)은 상기 배출슈트(22)의 걸이리브(24)에 걸어져 있게 된다. 즉, 컵(c)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이리브(24)에 걸어져 배출슈트(22)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컵(c)을 배출슈트(22)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관통부(12)와 이동단(18)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외에 다른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컵(c)이 통과할 수 있는 상기 관통부(12)의 구성외에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외면은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버(26)는 상기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컵배출레버(32)의 설치를 위해 상기 프레임커버(26)의 형상이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는 약간 달리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컵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컵배출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하지지편에 의해 컵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지지편에 의해 컵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분리경사면에 의해 컵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관통부
14: 장착판 16: 마그네트패드
18: 이동단 20: 안내리브
22: 배출슈트 24: 걸이리브
26: 프레임커버 28: 매거진링부
30: 덮개부 32: 컵배출레버
32': 몸체부 33: 스프링
34: 버튼부 36: 스프링보스
38: 하지지편 40: 상지지편
42: 분리경사면 50: 매거진
52: 매거진커버

Claims (7)

  1. 중앙을 관통하여 컵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양단에 이동단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에 적층되어 위치된 컵의 양단을 교대로 지지하는 하지지편과 상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는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컵배출레버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단을 차폐하고 상기 컵배출레버의 몸체부 일부만을 차폐하여 상기 버튼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프레임커버와;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프레임커버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컵이 적층되어 보관되는 매거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컵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배출레버는, 몸체부의 양단이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는 양단의 몸체부를 연결하게 상기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배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지편과 상지지편은 상기 몸체부 양단의 것이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하지지편과 상지지편의 중력방향 높이차는 적층된 컵사이의 간격과 같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지지편의 하면에는 컵 사이를 분리시키는 분리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배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슈트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 내면 가장자리에는 컵의 가장자리를 걸어주는 걸이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배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는 장착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에는 마그네트패드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프레임을 금속재질에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배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커버는, 상기 매거진이 장착되도록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매거진링부와, 상기 매거진링부와 일체로 되고 상기 이동단을 차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배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에는 매거진커버가 구비되어 매거진의 내부로 이물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배출장치.
KR2020070020255U 2007-12-17 2007-12-17 컵배출장치 KR20090006139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5U KR20090006139U (ko) 2007-12-17 2007-12-17 컵배출장치
JP2008008689U JP3148722U (ja) 2007-12-17 2008-12-11 コップ取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5U KR20090006139U (ko) 2007-12-17 2007-12-17 컵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39U true KR20090006139U (ko) 2009-06-22

Family

ID=4129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55U KR20090006139U (ko) 2007-12-17 2007-12-17 컵배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48722U (ko)
KR (1) KR200900061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93B1 (ko) * 2011-03-17 2013-04-09 장도영 알약치약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42A (zh) * 2011-04-12 2011-10-12 苏州工业园区优诺塑业有限公司 杯子收纳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93B1 (ko) * 2011-03-17 2013-04-09 장도영 알약치약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8722U (ja)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9478B1 (en) Beverage lid dispenser
USD522809S1 (en) Container
US6305580B1 (en) Press-type perfume sprayer
JP2511156B2 (ja) 液体容器を入れる壁取付具
US20100117502A1 (en) Basket for refrigerator
KR101281938B1 (ko) 명함 보관함
USD518259S1 (en) Vacuum attachment
US20060169712A1 (en) Rimmed cup dispenser
KR20090006139U (ko) 컵배출장치
USD495458S1 (en) Filter cup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200391644Y1 (ko) 일회용 컵 배출장치
US20150136801A1 (en) Rubber Band Dispenser
US720132A (en) Flower-holder.
WO2002056925A1 (en) De-odourising device for refuse bins
KR20110106614A (ko) 컵 배출기
US20070023447A1 (en) Discharger for tablets
JP2007516025A (ja) 使い捨てコップ用半自動ディスペンサー
US20130160481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s
US5360138A (en) Dispensing system suitable for use in dispensing food for human consumption and method of use
CN210185348U (zh) 一种饮料制备机器
JP2018026081A (ja) カップ分離供給装置
KR200407867Y1 (ko) 일회용 컵 배출장치
USD480592S1 (en) Espresso coffee maker
US20060006191A1 (en) System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per clips
CN217185449U (zh) 一种餐具取用器的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