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168A - 컵 배출기 - Google Patents

컵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168A
KR20110132168A KR1020100052028A KR20100052028A KR20110132168A KR 20110132168 A KR20110132168 A KR 20110132168A KR 1020100052028 A KR1020100052028 A KR 1020100052028A KR 20100052028 A KR20100052028 A KR 20100052028A KR 20110132168 A KR20110132168 A KR 2011013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s
storage member
elastic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준
노진환
이응삼
박권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2168A/ko
Publication of KR2011013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 A47F1/06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보관될 수 있으며 보관된 복수개의 컵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일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컵 배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배출기는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200); 상기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탄성지지되고 이동가능하며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되는 보관부재(300); 및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탄성배출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컵 배출기에 보관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복수개 보관된 컵 배출기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일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 배출기{CUP DISPENSER}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보관될 수 있으며 보관된 복수개의 컵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일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컵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컵 배출기는 보관된 컵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컵 배출기는 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예컨대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하기 위해서 컵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는 컵 배출기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된 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컵 배출기는 일반적으로 일정 크기나 일정 모양의 컵만이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기나 모양이 다른 컵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이에 알맞은 컵 배출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크기나 모양의 컵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컵 배출기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배출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컵 배출기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복수개 보관된 컵 배출기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일측으로 순차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컵 배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탄성배출부재를 사용하여 컵의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복수개의 컵이 컵 배출기에 보관되며 보관된 복수개의 컵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일측으로 순차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컵 배출기는 복수개의 컵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 받침부재가 내부에서 탄성지지되고 이동가능하며 복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보관부재; 및 보관부재 내부에 구비되며 보관부재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탄성배출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배출부재는 컵의 테두리부가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배출부재는 일측은 보관부재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걸림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및 일측은 걸림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보관부재 내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나 제2연결부 중 하나는 보관부재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제2연결부나 제1연결부 중 하나는 보관부재 내부에 이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에는 컵의 테두리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배출부재는 보관부재 내부에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컵 배출기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복수개 보관된 컵 배출기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일측으로 순차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컵 배출측을 확대한 도면으로, 받침부재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컵 배출기에 보관될 컵을 삽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컵 배출기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컵 배출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탄성배출부재를 사용하여 컵의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복수개의 컵이 컵 배출기에 보관되며 보관된 복수개의 컵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일측으로 순차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는 받침부재(200)와, 보관부재(300) 및, 탄성배출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에는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다. 도4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부(E)가 아래로 향하도록, 즉 컵(C)이 거꾸로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컵(C)이 받침부재(200)에 거꾸로 포개어져 놓여지면, 컵(C)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올 수 없어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받침부재(2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컵(C)이 거꾸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컵(C)이 거꾸로 놓여진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받침부재(20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지는 컵(C)의 방향도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는 방향이라면 컵(C)이 거꾸로 놓여지지 않고, 바로 놓여지는 등 어떠한 방향이라도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에는 전술한 받침부재(200)가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관부재(300) 내부의 받침부재(200)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측 단부 사이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S)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200)에는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탄성부재(S)의 탄성력이 작용되게 된다. 받침부재(2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S)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받침부재(2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S)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부재(200)를 탄성지지하는 것이라면 판스프링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받침부재(2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S)에 의해서 탄성지지된 상태로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200)가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이기고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200)가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면,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부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탄성배출부재(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배출부재(400)에 의해서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정 크기나 일정 모양만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져서 보관부재(300)에 삽입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져서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져서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된다고 하더라도, 받침부재(200)에 작용하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컵(C)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탄성배출부재(400)가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배출부재(400)에 의해서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된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배출부재(400)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이 제한된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탄성배출부재(400)에 의해서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배출부재(400)는 보관부재(300) 내부에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탄성배출부재(400)는 보관부재(300)에 120°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보관부재(300) 내부에 3개의 탄성배출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보관부재(300)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배출부재(400)의 개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라면 어떠한 갯수라도 가능하다.
탄성배출부재(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배출부재(400)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인접하게 구비되면,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는 컵(C)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또한,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배출부재(400)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탄성배출부재(400) 전체가 탄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져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변형이 필요한 부분만, 예컨대 후술할 바와 같이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만 탄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부분은 탄성이 있는 부재 이외의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며, 탄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걸림부(4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탄성배출부재(400)를 이루는 탄성이 있는 부재는 예컨대, 판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배출부재(400)를 이루는 탄성이 있는 부재는 판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거나 보관부재(300) 내부에 보관된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부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배출부재(400)는 걸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20)는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져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에 작용되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에 보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부(420)는 산(山)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림부(420)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보관부재(300)에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부(4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걸림부(420)는 탄성이 있기 때문에, 후술할 바와 같이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지도록 보관부재(300) 내부에 컵(C)을 삽입할 때나, 보관부재(300)로부터 컵(C)을 배출할 때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크기나 일정 모양의 컵(C)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컵(C)도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된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의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외부로 순차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걸림부(42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턱(4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420)에 걸림턱(421)이 형성되면, 컵(C)의 테두리부(E)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가장 인접한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림턱(421)에 걸려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탄성배출부재(400)는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410)의 일측은 보관부재(300)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410)는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410)의 타측은 걸림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걸림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430)의 타측은 보관부재(300)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410)나 제2연결부(430) 중 하나는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430)나 제1연결부(410) 중 하나는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410)는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는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41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30) 모두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30) 모두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41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연결부(41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연결돌기(411)가 형성되고 보관부재(300) 내부에는 제1연결부(410)의 각 연결돌기(411)가 삽입되는 삽입구멍(311)이 형성된 미이동연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연결부(41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41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연결부(41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2연결부(430)에도 또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연결돌기(431)가 형성되고, 보관부재(300) 내부에는 제2연결부(430)의 각 연결돌기(431)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이동구멍(321)이 형성된 이동연결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게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410) 또는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게 연결되면, 컵(C)이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되거나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서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4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컵(C)을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관될 컵(C')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에 올려놓는다.
한편, 보관부재(300) 내에 이미 삽입되어 보관되는 복수개의 컵(C)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가장 인접한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림부(420)의 걸림턱(421)에 걸리어 있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S)의 탄성력이 받침부재(200)에 작용하여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진 복수개의 컵(C)에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힘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보관부재(300) 내부에 있게 된다.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될 컵(C')을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보관될 컵(C')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민다.
이에 따라, 탄성배출부재(400)의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된다. 이러한 걸림부(420)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보관될 컵(C')이 걸림부(420)의 걸림턱(421)에 걸리지 않고,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져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 포개어질 수 있다.
이후, 보관될 컵(C')에 작용하던 힘을 제거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보관될 컵(C')의 테두리부(E')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20)의 걸림턱(421)에 걸리게 되어서 보관될 컵(C')과 함께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게 된다.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을 외부로 배출되게 하려면, 먼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 컵(C), 즉 배출될 컵(C")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의 방향으로 힘을 작용한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될 컵(C")과 함께 탄성배출부재(400)의 제2연결부(430)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된다. 이에 따라, 배출될 컵(C")의 테두리부(E")를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의 걸림턱(421)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배출될 컵(C")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보관부재(300)에 남은 나머지 복수개의 컵(C)은 탄성배출부재(400)의 걸림부(420)에 의해서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 개수의 컵(C)을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순차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를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컵 배출기에 보관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컵이 복수개 보관된 컵 배출기에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일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컵 배출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컵 배출기 200 : 받침부재
300 : 보관부재 310 : 미이동연결부
311 : 삽입구멍 320 : 이동연결부
321 : 이동구멍 400 : 탄성배출부재
410 : 제1연결부 411, 431 : 연결돌기
420 : 걸림부 421 : 걸림턱
430 : 제2연결부 C : 컵
C' : 보관될 컵 C" : 배출될 컵
E,E',E" : 테두리부 S : 탄성부재

Claims (6)

  1.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200);
    상기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탄성지지되고 이동가능하며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되는 보관부재(300); 및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에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탄성배출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컵 배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배출부재(400)는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배출부재(400)는
    일측은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부(42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410); 및
    일측은 상기 걸림부(4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10)나 상기 제2연결부(430) 중 하나는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430)나 상기 제1연결부(410) 중 하나는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20)에는 컵(C)의 테두리부(E)가 걸리는 걸림턱(4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배출부재(400)는 상기 보관부재(300) 내부에 2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KR1020100052028A 2010-06-01 2010-06-01 컵 배출기 KR20110132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028A KR20110132168A (ko) 2010-06-01 2010-06-01 컵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028A KR20110132168A (ko) 2010-06-01 2010-06-01 컵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68A true KR20110132168A (ko) 2011-12-07

Family

ID=4550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028A KR20110132168A (ko) 2010-06-01 2010-06-01 컵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21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958A (ko) * 2016-09-07 2018-03-15 김영석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CN109674286A (zh) * 2018-12-31 2019-04-26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器具自动出料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958A (ko) * 2016-09-07 2018-03-15 김영석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CN109674286A (zh) * 2018-12-31 2019-04-26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器具自动出料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1901B2 (ja) 積み重ねピペットコーンレフィルを含むアセンブリ
US9181017B2 (en) Tablet cartridge for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US8070500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1217923B1 (en) Device for dispensing disposable ice-cream spoons and the like, with mechanism for extracting the bottommost spoon in each stack by sliding it out
JP3171058U (ja) 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ー
US6461369B1 (en) Hair transplanter
KR101281938B1 (ko) 명함 보관함
ES2350098T3 (es) Aparato para extraer comprimidos de un envase de blísteres.
US9980546B2 (en) Card holder
CN104716501B (zh) 具有固持装置的移动终端
US8460019B2 (en) Card connector with separable card tray
TW201349123A (zh) 晶片卡固持結構
RU2005115494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кассет с разовыми дозами, выполненный с блокирующим кожухом
RU2010135530A (ru) Витри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оваром с механизмом безрельсового толкателя
US20080206112A1 (en) Modular test tube holder
US10406073B2 (en) Transporting device for an automated drug-dosing device
JP2007324032A (ja) 電池収納ケース
KR20110132168A (ko) 컵 배출기
US20110120906A1 (en) Drawer storage with magnetic connectors
KR200480724Y1 (ko) 휴대폰 케이스 구조체
US7464833B2 (en) Holding device for sport stacking cups
CN214493992U (zh) 一种固定易取式钱币收藏活页
US11058231B2 (en) Extensible magazine for a disposable cup dispenser
JP2006213400A (ja) 球状剤の容器
US836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ejec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