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309B1 - 컵 살균 소독기 - Google Patents

컵 살균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309B1
KR102488309B1 KR1020210034074A KR20210034074A KR102488309B1 KR 102488309 B1 KR102488309 B1 KR 102488309B1 KR 1020210034074 A KR1020210034074 A KR 1020210034074A KR 20210034074 A KR20210034074 A KR 20210034074A KR 102488309 B1 KR102488309 B1 KR 10248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member
seating member
steriliz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328A (ko
Inventor
원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3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컵 살균 소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컵 살균 소독기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보관되는 컵을 포함한 주방용품을 소독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가 내장된 본체; 및 다수개의 컵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컵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컵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후방 지지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보다 높은 위치의 외측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전방 지지부재와, 상기 전방 지지부재의 하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 양쪽 벽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멈춤돌기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상기 컵 안착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저면에 상기 후방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는 하부 지지단과, 저면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단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지지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컵 안착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레일로 이루어진 컵 안착부재 인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살균 소독기{STERILIZER FOR CUP}
본 발명은 컵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이 안착되는 안착판을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컵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판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컵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식당을 비롯한 단체 급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에는 음수대와 컵 살균 소독기가 배치된다. 사용자는 컵 살균 소독기에 보관된 컵을 이용하여 음수대의 물을 받아 음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컵 살균 소독기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살균 소독을 위한 자외선 램프 등이 설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다층으로 구비되는 컵 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컵 살균 소독기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후 안쪽에 있는 컵을 컵을 꺼내기 위해서 팔을 수용공간을 집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컵 살균 소독기의 문제점을 해소위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570호(공고일 : 2003.04.14)에는 경사식 컵살균기가 개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식 컵살균기는, 출입문(11)을 구비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컵홀더(30)와, 상기 출입문(1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살균등(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컵홀더(30)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1쌍의 지지와이어(31)와, 상기 지지와이어(31)에 적층되어 안착된 컵들 중 최선단의 컵을 지지하는 걸림턱(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컵 살균 소독기에 의하면, 다수개의 컵을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고, 다수개의 컵을 적층하여 컵수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컵 살균 소독기는, 컵을 겹쳐지게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컵과 컵의 겹쳐지는 부위의 살균 소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컵이 겹쳐져 보관된 컵 홀더가 선단 홀더 지지대와 후단 홀더 지지대에 고정됨으로써 컵홀더를 분리하기 곤란한 문제점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570호(공고일 : 2003.04.14)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이 안착되는 컵 안착부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컵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판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컵 살균 소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보관되는 컵을 포함한 주방용품을 소독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가 내장된 본체; 및 다수개의 컵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컵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컵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후방 지지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보다 높은 위치의 외측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전방 지지부재와, 상기 전방 지지부재의 하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 양쪽 벽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멈춤돌기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상기 컵 안착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저면에 상기 후방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는 하부 지지단과, 저면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단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지지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컵 안착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레일로 이루어진 컵 안착부재 인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지지단의 전방 영역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컵 안착부재의 전방 쪽을 하향으로 내릴 경우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통과되기 위한 제1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전방단부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가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멈춤돌기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멈춤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살균 소독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후방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지지단의 후방 영역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었을 때 임의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영역 일부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임의 위치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과공과 어긋나는 위치의 상기 하부 지지단의 전방 영역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를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전방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통과되기 위한 제2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지지부재와 후방 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레일에 구름 지지되는 로울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양쪽 벽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도어 안내레일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도어 안내레일의 전방 쪽에 해당하는 상기 벽에는 고정 로울러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양쪽 끝단 영역에는, 상기 도어 안내레일에 구름 지지되고, 상기 도어의 인출시 상기 고정 로울러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로울러가 "」"형상의 브라켓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컵이 안착되는 컵 안착부재가 수용공간의 벽에 설치되는 전,후방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방으로 인출한 후 전방부를 하향으로 내려 멈춤공을 멈춤돌기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컵 안착부재를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유지시켜 컵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컵 안착부재를 상향으로 들어 수용공간으로부터 꺼내는 동작만으로 컵 안착부재의 탈거가 이루어짐으로써 컵 안착부재를 탈거하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컵 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살균 소독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살균 소독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컵 안착부재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컵 안착부재가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살균 소독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살균 소독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살균 소독기(100)는, 도어(220)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210)을 구비하고, 보관되는 컵을 포함한 주방용품을 소독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 본체(200)와, 다수개의 컵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컵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310)가 설치되어 수용공간(210)에 설치되는 컵 안착부재(300) 및 컵 안착부재 인출장치(400)를 포함한다.
살균기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브이(UV) 램프나 기타 살균 소독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독액이 분사되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으며, 건조를 위한 온풍이 토출되는 구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본체(200)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정수기 및 컵회수기가 수용될 수 있는 하부체가 구비된다. 물론, 본체(200)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수용공간(210)을 개폐하는 도어(220)는, 투명 투시창을 구비한다. 이러한 도어(220)는, 수용공간(210)의 양쪽 벽(212)에 각각 설치되는 "ㄴ" 형상의 도어 안내레일(214)에 안내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작동된다. 이를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수용공간(210)의 양쪽 벽(212)에는, "ㄴ" 형상의 도어 안내레일(214)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도어 안내레일(214)의 전방 쪽에 해당하는 벽(212)에는 고정 로울러(216)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220)의 양쪽 끝단 영역(수용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도어 안내레일(214)에 구름 지지되고 도어(220)의 인출시 벽(212)에 설치된 고정 로울러(216)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로울러(222)가 "」"형상의 브라켓(224)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어(220)는 수용공간(210)을 개방하여 수평으로 눕혀져 수용공간(210)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수납되거나 인출될 때 걸림 로울러(222)가 도어 안내레일(214)에 구름 지지되고, 도어(220)의 저면이 고정 로울러(216)에 구름 지지되므로 수납 및 인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220)로 수용공간(210)의 입구를 닫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로울러(222)가 고정 로울러(216)에 접촉되어 걸릴 때까지 도어(220)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도어(220)의 전단부(손잡이 부분)를 하향으로 내리면, 걸림 로울러(222)가 고정 로울러(216)에 걸려 회전 지지된 상태이므로 도어(220)는 걸림 로울러(222)를 회전점으로 하여 하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으로 도어(220)를 수평으로 인출한 후 하향으로 회전시켜 수용공간(210)을 닫을 수 있다. 이때, 도어(220)와 본체(200)의 전면에 자석 및 자성체를 구비하여 도어(220)가 수용공간(210)을 닫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은, 걸림 로울러(222)가 "」"형상의 브라켓(224)의 하단부에 축 결합되어 고정 로울러(216)에 걸리기 때문에 가능하다.
컵 안착부재(300)는, 컵을 포함한 소품들을 수용하여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에는 다수개의 물 배출공들이 형성되고,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컵이나 기타 소품들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310)들이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탈방지부재(310)들은 본 실시예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얇은 환봉의 양단이 하향으로 절곡되고 각각 절곡단이 컵 안착부재(300)의 상면에 고정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310)는 컵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 역할까지 할 수 있다.
컵 안착부재 인출장치(400)는, 수용공간(210)의 양쪽 벽(212)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410)와, 컵 안착부재(30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레일(420)로 이루어진다.
지지부(410)는, 양쪽의 안내레일(420)의 슬라이딩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공간(210)의 내측 양쪽 벽(212)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후방 지지부재(412)와, 후방 지지부재(412)보다 높은 위치의 외측(수용공간(210)의 바깥쪽 영역) 양쪽 벽(212)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전방 지지부재(414)와, 전방 지지부재(414)의 하부 쪽에 해당하는 수용공간(210)의 외측 양쪽 벽(212)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멈춤돌기(416)로 이루어진다. 전방 지지부재(414)와 후방 지지부재(412)는 통상의 환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을 구비한 로울러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전방 지지부재(414)와 후방 지지부재(412)를 로울러로 구성함으로써 전방 지지부재(414)와 후방 지지부재(412)가 양쪽의 안내레일(420)를 구름 지지하게 되어 컵 안착부재(300)의 인출 및 수납 슬라이딩이 마찰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방 지지부재(414)와 후방 지지부재(412)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2개가 짝을 이루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는 2개의 전방 지지부재(414)와 후방 지지부재(412)가 컵 안착부재(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내레일(420)은, 수용공간(210)의 양쪽 벽(212)에 각각 구비된 후방 지지부재(412) 및 전방 지지부재(414)에 구름 지지되는 것으로, "ㄷ"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컵 안착부재(300)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길이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컵 안착부재(30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결합 된다.
이러한 안내레일(420)은, 컵 안착부재(300)의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부(422)와, 저면에 후방 지지부재(412)가 구름 지지되도록 수직부(42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는 하부 지지단(424)과, 저면에 전방 지지부재(414)가 구름 지지되도록 수직부(422)의 상단에서 하부 지지단(42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지지단(42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방 지지부재(414)에 대응되는 안내레일(420)의 상부 지지단(426) 전방 영역(A)에는, 컵 안착부재(3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 쪽을 하향으로 내릴 경우에 전방 지지부재(414)가 통과되기 위한 제1 통과공(426A)이 형성되고, 수직부(422)의 전방단부에는, 컵 안착부재(300)가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멈춤돌기(416)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멈춤공(422A)이 형성된다. 이때, 전방 지지부재(414)가 2개로 이루어지므로 제1 통과공(426A)도 각 전방 지지부재(41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안내레일(420)은 컵 안착부재(300)의 측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수직부(422)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멈춤공(422A)은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면보다 더 전방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멈춤공(422A)이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면보다 더 전방쪽에 위치함으로써, 컵 안착부재(300)에 안착되는 컵 또는 소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수용공간(210) 또는 수용공간(210)의 입구 쪽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 통과공(426A)과 어긋나는 위치의 하부 지지단(424)의 전방 영역(A-1)에는, 컵 안착부재(300)를 본체(200)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전방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 전방 지지부재(414)가 통과되면서 회피되기 위한 제2 통과공(424A)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통과공(424A)은 2개로 이루어지며, 1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과공(426A)들 사이에 해당하는 하부 지지단(42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하부 지지단(424)의 전방쪽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단(424)에 한 쌍의 전방 지지부재(414)가 통과되면서 회피되는 2개의 제2 통과공(424A)들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컵 안착부재(300)를 탈거하기 위하여 전방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때 전방 지지부재(414)가 하부 지지단(424)에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컵 안착부재(300)의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후방 지지부재(412)와 대응되는 하부 지지단(424)의 후방 영역에는, 컵 안착부재(300)가 수용공간(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었을 때 컵 안착부재(300)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후방 지지부재(414)의 상부영역 일부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임의 위치 고정공(424B)이 후방 지지부재(412)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단(424)의 후방 영역에 임의 위치 고정공(424B)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컵 안착부재(300)를 수용공간(210)으로 밀어 넣어 수납할 때 후방 지지부재(412)의 상단 일부영역이 임의 위치 고정공(424B)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컵 안착부재(300)의 임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컵 안착부재(300)를 인출할 때 손잡이 또는 이탈방지부재(310)를 취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후방 지지부재(412)가 회전하면서 임의 위치 고정공(424B)에서 이탈되어 컵 안착부재(3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살균 소독기(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컵 안착부재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컵 안착부재가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컵 살균 소독기(100)의 컵 안착장치(300)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로울러(216)에 걸림 로울러(222)가 걸린 상태로 수용공간(210)을 닫고 있는 도어(220)의 손잡이를 취부하여 하단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린 후 수용공간(210)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 작동으로 도어(220)는 걸림 로울러(222)가 도어 안내레일(214)에 구름 지지되어 수용공간(210)의 내측 상부로 원활하게 수납된다.
이어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안착부재(30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양쪽의 안내레일(420)이 전방 지지부재(414)들과 후방 지지부재(412)들에 구름 지지되므로 컵 안착부재(30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지지부재(414)가 제1 통과공(426A)에 위치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단(424)의 후방쪽 저면이 후방 지지부재(4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부가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전방 지지부재(414)가 제1 통과공(426A)을 통과함에 따라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부가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양쪽의 멈춤공(422A)을 멈춤돌기(416)에 걸어 고정한다.
양쪽의 멈춤돌기(416)가 멈춤공(422A)에 삽입되어 걸리면, 컵 안착부재(300)는 전방부가 하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컵 안착부재(300)의 기울기는 전방 지지부재(414)와 멈춤돌기(416) 사이의 거리(L)에 의해 결정된다. 즉, 거리(L)가 멀면 기울기는 커지고 거리가 짧으면 기울기는 작아진다. 따라서 멈춤돌기(416)와 전방 지지부재(414) 사이의 거리(L)를 조절함으로써 컵 안착부재(3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면, 수용공간(210)의 벽(212)에, 가장 앞쪽에 위치한 전방 지지부재(414)와의 거리(L)가 서로 다른 체결공들을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후 멈춤돌기(416)를 선택된 체결공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컵 안착부재(300)의 기울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체결공의 위치에 따라 기울기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과정으로 컵 안착부재(3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 수납되어 있던 컵들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탈방지부재(310)에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컵을 쉽게 꺼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컵 살균 소독기(100)는, 컵 안착부재(30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방 지지부재(414)와 제2 통과공(424A)을 일치시킨 후,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면, 각 전방 지지부재(414)가 제2 통과공(424A)을 통과하므로 안내레일(420)은 전방 지지부재(414)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컵 안착부재(300)는 상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후방 지지부재(412)가 하부 지지단(424)의 저면에만 구름 지지된 상태이고, 컵 안착부재(300)의 전방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때 전방 지지부재(414)가 제2 통과공(424A)을 통과하면서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컵 안착부재(300)를 본체(200)로부터 탈거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컵 살균 소독기 200 : 본체
210 : 수용공간 212 : 벽
214 : 도어 안내레일 216 : 고정 로울러
220 : 도어 222 : 걸림 로울러
224 : 브라켓 300 : 컵 안착부재
310 : 이탈방지부재 400 : 컵 안착부재 인출장치
410 : 지지부 412 : 후방 지지부재
414 : 전방 지지부재 416 : 멈춤돌기
420 : 안내레일 422 : 수직부
422A : 멈춤공 424 : 하부 지지단
424A : 제2 통과공 424B : 임의 위치 고정공
426 : 상부 지지단 426A : 제1 통과공

Claims (5)

  1.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보관되는 컵을 포함한 주방용품을 소독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가 내장된 본체; 및
    다수개의 컵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컵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컵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후방 지지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보다 높은 위치의 외측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1개 또는 2개의 전방 지지부재와, 상기 전방 지지부재의 하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 양쪽 벽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구비되는 멈춤돌기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상기 컵 안착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저면에 상기 후방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는 하부 지지단과, 저면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단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지지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컵 안착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레일로 이루어진 컵 안착부재 인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지지단의 전방 영역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컵 안착부재의 전방 쪽을 하향으로 내릴 경우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통과되기 위한 제1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단의 전방단부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가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멈춤돌기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멈춤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살균 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지지단의 후방 영역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었을 때 임의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영역 일부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임의 위치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살균 소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과공과 어긋나는 위치의 상기 하부 지지단의 전방 영역에는,
    상기 컵 안착부재를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전방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 상기 전방 지지부재가 통과되기 위한 제2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살균 소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부재와 후방 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레일에 구름 지지되는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살균 소독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양쪽 벽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도어 안내레일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도어 안내레일의 전방 쪽에 해당하는 상기 벽에는 고정 로울러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양쪽 끝단 영역에는, 상기 도어 안내레일에 구름 지지되고, 상기 도어의 인출시 상기 고정 로울러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로울러가 "」"형상의 브라켓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살균 소독기.
KR1020210034074A 2021-03-16 2021-03-16 컵 살균 소독기 KR10248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074A KR102488309B1 (ko) 2021-03-16 2021-03-16 컵 살균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074A KR102488309B1 (ko) 2021-03-16 2021-03-16 컵 살균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28A KR20220129328A (ko) 2022-09-23
KR102488309B1 true KR102488309B1 (ko) 2023-01-13

Family

ID=8344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074A KR102488309B1 (ko) 2021-03-16 2021-03-16 컵 살균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3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20Y1 (ko) 1999-08-11 2000-02-15 주식회사에넥스 풀다운 선반
KR200310570Y1 (ko) 2003-01-15 2003-04-14 송영찬 경사식 컵살균기
KR200322745Y1 (ko) 2003-03-25 2003-08-14 동화시스템(주) 자외선 칫솔 건조소독기
KR101017596B1 (ko) 2010-12-03 2011-02-28 (주)하인스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20Y1 (ko) 1999-08-11 2000-02-15 주식회사에넥스 풀다운 선반
KR200310570Y1 (ko) 2003-01-15 2003-04-14 송영찬 경사식 컵살균기
KR200322745Y1 (ko) 2003-03-25 2003-08-14 동화시스템(주) 자외선 칫솔 건조소독기
KR101017596B1 (ko) 2010-12-03 2011-02-28 (주)하인스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28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694B2 (en) Dispenser for cutlery utensils
US5667136A (en) Object collector
US8292096B2 (en) Spice rack for mini spice containers
US20210000267A1 (en) Utensil dispenser system
US20070090125A1 (en) Cup lid dispenser
CA2797312A1 (en) Wine presenter
US5893338A (en) Rabbit housing and rabbit housing system
KR20100100225A (ko) 탈부착 가능한 자외선램프 모듈을 구비한 살균 장치
KR102488309B1 (ko) 컵 살균 소독기
US6866166B2 (en) Cup caddy for liquid dispensers
KR101575404B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ES2810898T3 (es) Una disposición para mover un espacio de almacenamiento en un gabinete
KR200443494Y1 (ko) 서랍형 살균장치
KR102308052B1 (ko) 클린 수저보관함
KR20100008478U (ko) 수저 살균소독기
KR101203015B1 (ko) 위생 수저통이 구비된 테이블
EP1030141B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ns or bottles of drinks or beverages in general
KR20120027636A (ko) 생활용품 소독보관장치
KR200310570Y1 (ko) 경사식 컵살균기
KR200256084Y1 (ko) 컵수납장치
KR200410402Y1 (ko) 컵 추출장치
KR101270660B1 (ko) 컵 세척기 및 살균건조기용 컵받이
KR20200066094A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102634928B1 (ko) 위생 수저통
US20240139467A1 (en) Storage apparatus for elongate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