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28B1 - 위생 수저통 - Google Patents

위생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28B1
KR102634928B1 KR1020200144573A KR20200144573A KR102634928B1 KR 102634928 B1 KR102634928 B1 KR 102634928B1 KR 1020200144573 A KR1020200144573 A KR 1020200144573A KR 20200144573 A KR20200144573 A KR 20200144573A KR 102634928 B1 KR102634928 B1 KR 10263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storage
chopsticks
main body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230A (ko
Inventor
이학재
Original Assignee
이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재 filed Critical 이학재
Priority to KR102020014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받침판(11) 상부에 숟가락과 젓가락(또는 포크와 나이프)를 구분하여 상하로 수납하도록 좌우 수납실(16)(16')이 구분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15)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덮개(20)로 구성하여 상기 수납케이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후방으로 인출하면서 사용하되 상기 숟가락의 수납실(16)의 내,외부에 좌우로 설치되어 있는 탄성편(31)(32)이 숟가락의 이탈 방지를 위해 지지하도록 하므로 숟가락과 젓가락(또는 포크와 나이프)를 뚜껑 개폐없이 손잡이 부분을 잡고 후방으로 하나씩 인출 사용할 수 있어 위생성과 함께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위생 수저통{Hygiene spoon stand}
본 발명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숟가락이나 젓가락(또는 포크나 나이프)를 본체 내부의 수납실에 분리하여 보관하되 손잡이 부분을 외부로 돌출시켜 뚜껑 개폐없이 후방으로 하나씩 인출 사용할 수 있어 위생성과 함께 편리성이 우수한 위생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수저통의 경우에 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로 사용한다.
즉, 상기 본체의 수납실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하여 담고 상부로 두껑을 덮어 보관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수저통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을 열고 본체의 수납실에 담겨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인출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르는 과정에서 손이 숫가락과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 이외에 음식이나 입에 닿는 부위로 접촉하게 되고, 특히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오염은 물론 세균 번식 등에 의해 비 위생적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수저통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저통 내부에 살균기를 장착하여 수저통 내부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살균 사용할 수 있는 수저통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살균기 적용 수저통의 경우에 살균기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위생성이 보장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수저통의 경우에 본체에 담겨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뚜껑을 개폐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뚜껑의 개폐 과정에서 먼지나 그 밖의 오염원이 유입되는 문제와 함게 뚜껑에 의해 사용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085113호(2020년02월28일) 등록실용 제20-0324160호(2003년08월11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숟가락이나 젓가락(또는 포크나 나이프)를 본체 내부의 수납실에 분리하여 보관하되 손잡이 부분을 외부로 돌출시켜 뚜껑 개폐없이 후방으로 하나씩 인출 사용할 수 있어 위생성과 함께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기에 의해 소독은 물론 본체 내부로 살균제를 투입하여 소독 가능하게 하므로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의 수납 케이스 상부로 연결 케이스를 조립하거나 수저통을 병렬 연결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숟가락이나 젓가락(또는 포크나 나이프)의 수납 양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받침판의 전방 상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하여 상하로 수납하도록 좌우 수납실을 구분 형성되는 수납 케이스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납 케이스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하는 고정 덮개로 구성하여 상기 수납케이스의 좌우 수납실 후방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후방으로 인출 사용하도록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숟가락이 수납되는 수납실에는 숟가락의 술목 위치와 인출구의 좌우로 탄성력을 갖는 내,외부 탄성편을 설치하여 숟가락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외부 탄성편은 수납실의 내외측 좌우로 수직 형성된 조립 홈에 탄성편 외측의 조립 부를 수직 삽입하여 조립 설치하되, 상기 내,외부 탄성편은 상하로 다수를 절개한 절개 부에 의해 인출되는 숟가락에 접촉되는 부분만 벌어지면서 나머지 숟가락을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덮개의 하부에는 수납실의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소독하기 위한 살균기를 부설하고, 상기 본체의 수납 케이스 전방에는 수납실 내부로 살균제 투입을 위한 투입공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수납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의 연결 케이스를 별도 마련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 상부에 연결 케이스를 안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 조립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양 측면에는 수직의 핀 홈을 형성하여 양 측방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연결핀을 수직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저통을 병렬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받침판 상부에 숟가락과 젓가락(또는 포크와 나이프)를 구분하여 상하로 수납하도록 좌우 수납실이 구분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덮개로 구성하여 상기 수납케이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후방으로 인출하면서 사용하되 상기 숟가락의 수납실의 내,외부에 좌우로 설치되어 있는 탄성편이 숟가락의 이탈 방지를 위해 지지하도록 하므로 숟가락과 젓가락(또는 포크와 나이프)를 뚜껑 개폐없이 손잡이 부분을 잡고 후방으로 하나씩 인출 사용할 수 있어 위생성과 함께 편리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 하부로 살균기를 설치하여 좌우 수납실에 수납되는 숟가락과 젓가락(또는 포크와 나이프)를 소독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본체의 전방에 투입공을 형성하여 내부로 살균제 투입에 의해 숟가락과 젓가락(또는 포크와 나이프)를 소독할 수 있도록 하면서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수납 케이스 상부로 연결 케이스를 조립하거나 수저통을 연결핀에 의해 병렬 연결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숟가락이나 젓가락(또는 포크나 나이)의 수납 양을 조절하며 간편하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수저통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반 단면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저통의 고정 덮개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수저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수저통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저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위생 수저통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고정 덮개(20)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받침판(11)의 전방 상부에 숟가락(2)과 젓가락(3)을 구분하여 상하로 수납하도록 좌우 수납실(16)(16')이 구분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1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 덮개(20)는 본체의 수납 케이스(15)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하되, 수납 케이스 상부 테두리의 단턱(15a)에 고정 덮개의 하부를 삽입 안착시켜 고정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납케이스(15)의 좌우 수납실(16)(16') 후방에 인출구(14)(14')를 형성하고, 상기 인출구를 통해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2a)(3a)을 후방으로 돌출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 부분을 붙잡고 후방으로 인출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숟가락이 수납되는 수납실(16)에는 숟가락의 술잎 아래에 있는 술목(2b) 위치와 인출구(14)(14')의 좌우로 탄성력을 갖는 내,외부 탄성편(31)(32)을 설치하여 숟가락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외부 탄성편(31)(32)은 탄성력을 갖는 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외부 탄성편(31)(32)은 수납실(16)의 내,외측에서 좌우로 수직 형성된 조립 홈(16a)(16b)에 탄성편(31)(32) 외측의 조립 부(31a)(32a)를 수직 삽입하여 조립 설치한다.
이때, 상기 내,외부 탄성편(31)(32)은 상하로 다수를 절개한 절개 부(31b)(32b)에 의해 인출되는 숟가락에 접촉되는 부분만 벌어지면서 나머지 숟가락을 계속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덮개(20)의 하부에는 수납실의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소독하기 위한 살균기(40)를 부설하고, 상기 본체(10)의 수납 케이스(15) 전방에는 수납실(16)(16') 내부로 살균제 투입을 위한 투입공(18)을 관통 형성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 밖에 상기 본체(1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수납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의 연결 케이스(15')를 별도 마련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 상부에 연결 케이스를 안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15a)에 의해 연결 케이스(15') 하부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 케이스(15)의 양 측면에는 수직의 핀 홈(17)을 형성하여 양 측방에 형성된 걸림턱(52)에 걸려 지지되도록 연결핀(50)을 수직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저통을 병렬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숟가락과 젓가락의 보관 수효를 증감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실(16)(16')에 숟가락(2)과 젓가락(3)이 아닌 포크(4)와 나이프(5)를 보관하도록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수납실과 폭 또는 길이 사이즈를 달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수저통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본체(10)의 수납 케이스(15)에서 숟가락(2) 또는 포크(4)가 수납되는 수납실(16)의 내,외측에 좌우로 형성된 조립 홈(16a)(16b)에 내,외부 탄성편(31)(32) 외측의 조립부(31a)(32a)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15)의 좌우 수납실(16)(16')에 숟가락(2)과 젓가락(3) 또는 포크(4)와 나이프(5)를 적층되게 삽입 보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좌우 수납실(16)(16') 후방의 인출구(14)(14')를 통해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2a)(3a)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판(11) 상부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실(16)에 수납 보관되는 숟가락(2)의 경우, 숟가락의 술잎 아래에 있는 술목(2b) 위치와 인출구(14)(14') 위치에서 내,외부 탄성편(31)(32)이 좌우에서 숟가락에 탄발 밀착 지지하므로 숟가락이 움직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의 좌우 수납실(16)(16')에 숟가락(2)과 젓가락(3) 또는 포크(4)와 나이프(5)를 수납 보관한 후에는 수납 케이스(15) 상부로 고정 덮개(20)를 결합하여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저통은 숟가락(2)과 젓가락(3)에서 손으로 잡는 부분 이외에 음식이나 입에 접촉되는 모든 부위가 수저통 내부로 보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 덮개(20)의 개방 없이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좌우 수납실(16)(16') 후방의 인출구(14)(14')를 통해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본체의 수납 케이스(15)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숟가락(2)과 젓가락(3)의 손잡이 부분(2a)(3a)을 잡고 인출구(14)(14')를 통해 후방으로 당겨 인출하므로 숟가락과 젓가락에서 음식이나 입체 접촉되는 부위를 터치하지 않으면서 인출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숟가락(2)은 수납실(16)의 내외측 좌우에서 내,외부 탄성편(31)(32)이 숟가락의 술잎 아래에 있는 술목(2b) 위치와 손잡이 중간 부분을 탄성력에 의해 탄발 지지하고 있어 숟가락을 당겨 인출시에 한하여 좌우로 벌어지면서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내,외부 탄성편(31)(32)은 상하로 다수를 절개한 절개 부(31b)(32b)에 의해 인출되는 숟가락(2)에 접촉되는 부분만 벌어지고 나머지 절개부(31b)(32b)는 수납되어 있는 숟가락(2)을 계속적으로 고정 지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인출하는 숟가락(2)과 젓가락(3)만 인출되고 나머지는 수납실에 수납 보관 상태를 잘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수저통에 숟가락(2)과 젓가락(3)을 더 많은 양으로 수납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본체의 수납 케이스(15) 상부에 연결 케이스(15')를 안착되게 결합 설치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15)와 연결 케이스(15')의 높낮이에 의해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할 때 2배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납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저통은 수납 케이스(15)의 양 측면에 형성된 수직의 핀 홈(17)에 연결핀(50)을 연결 조립하면서 다수의 수저통을 병렬 연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연결핀(50) 양측의 걸림턱(52)이 병렬 설치되는 수저통의 수납 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수직의 핀홈(17)에 삽입하되 이탈 방지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저통을 병렬 연결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의 수납 보관 수효를 증대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저통은 상기 고정 덮개(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살균기(40)에 의해 수납실(16)(16')에 수납되어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살균 처리함은 물론 수납 케이스(15) 전방에 관통 형성된 투입공(18)을 통해 수납실(16)(16') 내부로 살균제를 투입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살균 처리하므로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저통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납 보관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도 8에서와 같이 숟가락과 젓가락 대신에 포크(4)와 나이프(5)를 보관하여도 숟가락과 젓가락과 동일하게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본체 11: 받침판
15: 수납 케이스 15': 연결 케이스
15a: 단턱 16,16': 좌우 수납실
16a,16b: 조립 홈 16a: 인출구
17: 핀 홈 18: 투입공
20: 고정 덮개 31,32: 내,외부 탄성편
31a,32a: 조립 부 31b,32b: 절개 부
40: 살균기 50: 연결핀
52: 걸림턱

Claims (4)

  1. 받침판(11)의 전방 상부에 숟가락(2)과 젓가락(3)을 구분하여 상하로 수납하도록 좌우 수납실(16)(16')이 구분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15)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수납 케이스(15)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하는 고정 덮개(20)로 구성하여 상기 수납케이스의 좌우 수납실(16)(16') 후방에 형성된 인출구(14)(14')를 통해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후방으로 인출 사용하도록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숟가락이 수납되는 수납실(16)에는 숟가락의 술목(2b) 위치와 인출구(14)(14')의 좌우로 탄성력을 갖는 내,외부 탄성편(31)(32)을 설치하여 숟가락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탄성편(31)(32)은 수납실(16)의 내외측 좌우로 수직 형성된 조립 홈(16a)(16b)에 탄성편(31)(32) 외측의 조립 부(31a)(32a)를 수직 삽입하여 조립 설치하되, 상기 내,외부 탄성편(31)(32)은 상하로 다수를 절개한 절개 부(31b)(32b)에 의해 인출되는 숟가락에 접촉되는 부분만 벌어지면서 나머지 숟가락을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덮개(20)의 하부에는 수납실의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소독하기 위한 살균기(40)를 부설하고, 상기 본체(10)의 수납 케이스(15) 전방에는 수납실(16)(16') 내부로 살균제 투입을 위한 투입공(18)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수납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의 연결 케이스(15')를 별도 마련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 상부에 연결 케이스를 안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 조립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15)의 양 측면에는 수직의 핀 홈(17)을 형성하여 양 측방에 형성된 걸림턱(52)에 걸려 지지되도록 연결핀(50)을 수직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저통을 병렬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KR1020200144573A 2020-11-02 2020-11-02 위생 수저통 KR10263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73A KR102634928B1 (ko) 2020-11-02 2020-11-02 위생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73A KR102634928B1 (ko) 2020-11-02 2020-11-02 위생 수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30A KR20220059230A (ko) 2022-05-10
KR102634928B1 true KR102634928B1 (ko) 2024-02-07

Family

ID=8159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573A KR102634928B1 (ko) 2020-11-02 2020-11-02 위생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17801U (zh) 2015-04-02 2015-09-09 谢文龙 自动餐具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160Y1 (ko) 2003-05-16 2003-08-21 주식회사 매직케어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0458495Y1 (ko) * 2010-04-12 2012-02-22 주계원 위생 수저 디스펜서
KR102085113B1 (ko) 2018-05-15 2020-04-23 주식회사 이지테크 살균 수저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17801U (zh) 2015-04-02 2015-09-09 谢文龙 自动餐具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30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762A (en) Door and drawer front having a recessed grasping surface
KR101139037B1 (ko) 업소용 위생 수저통
KR101871185B1 (ko) 원터치 살균 수저통
JP3217854U (ja) ケース付きまな板
KR200458495Y1 (ko) 위생 수저 디스펜서
KR102634928B1 (ko) 위생 수저통
KR102308052B1 (ko) 클린 수저보관함
KR101658647B1 (ko) 주방용 칼 가위 소독기
US4972955A (e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box for cutlery
WO2013044576A1 (zh) 一种瓶体结构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200039492A (ko) 수저 디스펜서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20210002325U (ko) 위생 수저통
KR200496371Y1 (ko) 수저통
KR20160078300A (ko) 주방용 칼 가위 소독기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KR200490583Y1 (ko) 일회용 위생장갑이 수납 보관되어 있는 일회용 티슈 상자
KR20060119178A (ko) 수저통
KR102033308B1 (ko) 수용부가 구비된 경사진 덮개
KR20230148008A (ko) 수저함용 위생수저커버
CN213911447U (zh) 嵌入式消毒柜
KR20040054462A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USD981002S1 (en) Sterilizing cabinet
KR200437313Y1 (ko) 개인 위생용품 구분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