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95Y1 - 위생 수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위생 수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495Y1
KR200458495Y1 KR2020100003769U KR20100003769U KR200458495Y1 KR 200458495 Y1 KR200458495 Y1 KR 200458495Y1 KR 2020100003769 U KR2020100003769 U KR 2020100003769U KR 20100003769 U KR20100003769 U KR 20100003769U KR 200458495 Y1 KR200458495 Y1 KR 200458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main body
outlet
space
chopst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843U (ko
Inventor
주계원
Original Assignee
주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계원 filed Critical 주계원
Priority to KR2020100003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9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1/00Polishing of table-ware, e.g. knives, forks, spoons
    • A47L21/02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수저 디스펜서 내부 영역에 접촉하지 않고 보관된 수저를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저통에서 수저를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수저까지도 만지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숟가락이 적층보관되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분되며 젓가락이 적층보관되는 제2공간, 숟가락 배출구 및 젓가락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숟가락을 상기 숟가락 배출구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2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젓가락을 상기 젓가락 배출구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돌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누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돌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생 수저 디스펜서{SANITARY DISPENSER FOR SPOONS AND CHOPSTICKS}
본 발명은 위생 수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 내부 영역에 접촉하지 않고 보관된 수저를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저통에서 수저를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수저까지도 만지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사용되는 수저통에는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채워 놓고, 여러 사람이 수시로 수저를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식기인 숟가락과 젓가락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로서 불특정 다수인이 접촉하게 되는 수저통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사용자의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종래 수저통은 수저를 꺼내는 과정에서 수저통 내부에 손을 넣어 필요한 수량만큼을 집어내도록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다른 것들까지 불필요하게 만지게 되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세균이 유입되어 숟가락과 젓가락이 한 번 오염되어 버리면 수저를 장기간 보관하는 동안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다른 수저에 접촉하지 않고 필요한 수저만을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저를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위생 수저 디스펜서는 숟가락이 적층보관되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분되며 젓가락이 적층보관되는 제2공간, 숟가락 배출구 및 젓가락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숟가락을 상기 숟가락 배출구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2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젓가락을 상기 젓가락 배출구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돌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누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돌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저통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수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덮개부와, 상기 숟가락 배출구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돌기부재가 숟가락을 밀어내는 경우 상기 숟가락 배출구를 개방하는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와, 상기 젓가락 배출구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돌기부재가 젓가락을 밀어내는 경우 상기 젓가락 배출구를 개방하는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저를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덮개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UV LED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덮개부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덮개부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본체덮개부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UV LED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저통 내부 영역에 접촉하지 않고 수저를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저통으로부터 수저를 꺼내는 과정에서 보관 중인 수저가 오염될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한다.
또한, 숟가락과 젓가락의 보관공간을 분리하고 개별적으로 하나씩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식기를 필요한 수량만큼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아울러, 본체덮개부와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 및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에 의하여 외부 오염물질이 수저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덮개부에 장착된 UV LED를 이용하여 보관 중인 수저를 살균함으로써 오염의 확산을 막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저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덮개부가 닫힌 경우에만 UV LED가 작동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에너지를 가진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배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는 본체부(200), 제1누름부(300), 제2누름부(400), 상기 본체부(200)와 제1누름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500), 상기 본체부(200)와 제2누름부(40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숟가락(10)이 적층보관되는 제1공간(210), 제1공간(220)과 구분되며 젓가락(20)이 적층보관되는 제2공간(220), 숟가락 배출구(230), 젓가락 배출구(240)를 포함한다.
제1공간(210)과 제2공간(220)은 각각 숟가락(10), 젓가락(20)이 적층될 수 있도록 숟가락(10), 젓가락(20) 형상을 한 틀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1공간(210)의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바닥면에 위치한 숟가락(10)은 길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어야 하므로 제1공간(210)을 이루는 숟가락(10) 형상의 틀은 바닥면에 위치한 숟가락(10) 위쪽 영역에 한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바닥면에 위치한 숟가락(10)은 음식물을 퍼올릴 수 있는 주걱 부분의 너비와 제1공간의 너비를 갖게 함으로써 제1공간(21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수저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상부로부터 제1공간(210) 및 제2공간(220)에 채워진다. 숟가락(10)은 주걱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나타내므로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 바닥면에 여유공간을 최소화하며 적층되도록 주걱 부분의 바닥면이 위로 가도록 뒤집어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젓가락(20)은 일반적인 쓰임새에 맞게 한 층에 한 쌍씩을 적층한다.
숟가락(10)과 젓가락(20)을 채워넣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묻은 수저를 발견하거나 수저의 종류를 교체하고 싶은 경우 바로 수저를 꺼내어 교환할 수 있도록 숟가락(10), 젓가락(20)의 손잡이 부분에 손을 넣을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숟가락 배출구(230)와 젓가락 배출구(240)는 본체부(200)의 후면에 형성된다. 숟가락 배출구(230)는 숟가락(10)이 길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 및 주걱 부분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고 숟가락(1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젓가락 배출구(240)은 젓가락(20) 한 쌍이 빠져나올 수 있을만큼의 높이와 폭을 갖는다.
상기 제1누름부(300)는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된다. 제1누름부(300)는 본체부(200)의 외벽을 관통하여 제1공간(210)으로 인입됨으로써 숟가락(10)을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돌기부재(310)를 포함한다. 제1돌기부재(310)는 숟가락(10) 1개 높이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제1돌기부재(310)가 인입되면서 하나의 숟가락(10)만을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누름부(400)는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제2공간(220)으로 인입됨으로써 젓가락(20)을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돌기부재(410)를 포함한다. 또한 제2돌기부재(410)는 젓가락(20) 1개 높이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인입에 의해 한 쌍의 젓가락(20)만을 밀어내도록 한다.
제1누름부(300)와 본체부(200) 사이에는 제1돌기부재(3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500)가 설치된다. 제1탄성부(500)로는 스프링, 유압피스톤 등 제1누름부(300)를 누름으로써 제1돌기부재(310)가 인입되고 난 후, 다시 제1누름부(30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제2탄성부(600)는 제2누름부(400)와 본체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제2누름부(400)가 눌려지고 난 뒤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1탄성부(500)와 유사하게 스프링, 유압피스톤 등 제2누름부(40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제1공간(210), 제2공간(220)에는 각각 복수개의 숟가락(10)과 젓가락(20)이 채워져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식기의 종류에 따라 숟가락(10)이 필요한 경우 제1누름부(300)를, 젓가락(20)이 필요한 경우 제2누름부(400)를 눌러준다.
제1누름부(300)가 눌러지는 경우 제1돌기부재(310)가 제1공간(210)에 인입되면서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바닥면에 위치한 숟가락(10)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낸다. 제1누름부(30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할 경우 제1누름부(300)는 제1탄성부(500)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숟가락(10)의 손잡이 부분이 숟가락 배출구(230)를 통과하여 외부 영역에 노출되면 사용자는 노출된 손잡이 부분을 잡고 숟가락(10)을 꺼낼 수 있다.
숟가락(10)을 꺼내고 나면 꺼내어진 숟가락(10) 위에 적층되어져 있던 숟가락(10)들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다. 인출된 숟가락(10) 바로 위에 적층되어져 있던 숟가락(10)이 바닥면에 위치하게 될 것이고, 이후 제1누름부(300)가 눌러지면 다시 바닥면에 위치한 숟가락(10)이 인출되게 된다.
제2누름부(400)가 눌러지는 경우 제2돌기부재(410)가 제2공간(220)에 인입되면서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바닥면에 위치한 젓가락(20) 한 쌍을 길이 방향으로 밀어낸다. 누르는 힘을 제거할 경우 제2누름부(400)는 제2탄성부(600)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하고, 사용자는 손잡이 부분이 젓가락 배출구(240)를 통과하여 외부 영역에 노출된 젓가락(20)을 꺼낼 수 있다.
젓가락(20)을 꺼내고 나면 적층되어 있던 젓가락(20) 쌍들이 아래로 내려오고 다시 바닥면에 위치한 젓가락(20)이 꺼내어질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한 식기에 맞게 제1누름부(300) 또는 제2누름부(400)를 선택적으로 반복하여 누르면서 필요한 수량만큼의 식기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 내부 영역에 접촉하지 않는다. 인출되는 수저 이외에 보관되고 있는 다른 수저들을 불필요하게 만짐으로써 오염이 일어날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하므로 보관되는 수저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투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에는 개폐가능하도록 본체덮개부(7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덮개부(700)를 본체부(200)의 상단 일측에 힌지로 결합하였으나, 본체부(200)의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형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본체부(200)의 숟가락 배출구(230)와 젓가락 배출구(240)를 각각 덮는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미도시)와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250)가 설치된다.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250)는 젓가락 배출구(24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한다. 제2누름부(400)가 눌러져서 제2돌기부재(410)가 힘을 가해 젓가락(20)을 밀어내고,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의 내부로부터 젓가락 배출구(240)를 통해 젓가락(20)이 배출되는 경우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250)는 회동하여 젓가락 배출구(240)를 개방한다. 젓가락 배출구(240)를 통해 젓가락(20)을 꺼내고 나면 다시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250)는 중력에 의해 회동하여 젓가락 배출구(240)를 닫는다.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여 숟가락 배출구(23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덮개부(700),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250)에 의하여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는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본체부(200)의 상부나 숟가락 배출구(230) 또는 젓가락 배출구(2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보관되는 수저의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생 수저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덮개부(700)의 하면에는 다수의 UV LED(71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살균력이 우수한 UV LED가 장착되었으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유사한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부(200)와 본체덮개부(700)의 접촉면에는 본체덮개부(70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00)가 설치된다. 본체덮개부(700)가 닫힌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미도시)는 이 신호에 전달받아 UV LED(710)를 작동시킴으로써 살균 기능을 활성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00)의 상단에 설치한 감지센서(800)와 본체덮개부(700)에 설치된 감지센서(800)가 맞물리도록 접촉하는 경우 폐회로를 구성하여 UV LED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체덮개부(700)가 닫힌 경우에만 UV LED(71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UV LED(71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사용자가 세포 손상 등의 위험에 노출될 여지를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UV LED(710)가 작동하는 경우에 위생 수저 디스펜서(100)는 본체덮개부(700)와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 및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250)에 의해 외부 영역과 내부 영역이 완전히 분리되므로 UV LED(7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사용자가 노출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다.
10 : 숟가락 20 : 젓가락
100 : 위생 수저 디스펜서 200 : 본체부
210 : 제1공간 220 : 제2공간
230 : 숟가락 배출구 240 : 젓가락 배출구
250 :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 300 : 제1누름부
310 : 제1돌기부재 400 : 제2누름부
410 : 제2돌기부재 500 : 제1탄성부
600 : 제2탄성부 700 : 본체덮개부
710 : UV LED 800 : 감지센서

Claims (3)

  1. 숟가락이 적층보관되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분되며 젓가락이 적층보관되는 제2공간, 숟가락 배출구 및 젓가락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숟가락을 상기 숟가락 배출구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2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젓가락을 상기 젓가락 배출구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돌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누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돌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덮개부와;
    상기 숟가락 배출구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돌기부재가 숟가락을 밀어내는 경우 상기 숟가락 배출구를 개방하는 숟가락 배출구덮개부재와;
    상기 젓가락 배출구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돌기부재가 젓가락을 밀어내는 경우 상기 젓가락 배출구를 개방하는 젓가락 배출구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덮개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UV LED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덮개부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덮개부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본체덮개부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UV LED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 디스펜서.
KR2020100003769U 2010-04-12 2010-04-12 위생 수저 디스펜서 KR200458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69U KR200458495Y1 (ko) 2010-04-12 2010-04-12 위생 수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69U KR200458495Y1 (ko) 2010-04-12 2010-04-12 위생 수저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43U KR20110009843U (ko) 2011-10-19
KR200458495Y1 true KR200458495Y1 (ko) 2012-02-22

Family

ID=4593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69U KR200458495Y1 (ko) 2010-04-12 2010-04-12 위생 수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408A (zh) * 2016-12-14 2017-02-22 重庆天嘉日用品实业有限公司 智能筷子存放器
KR20200014984A (ko) 2018-08-02 2020-02-12 송주호 위생 숟가락
KR200493897Y1 (ko) 2020-06-30 2021-06-23 김종욱 위생 수저통
KR20240019645A (ko) 2022-08-04 2024-02-14 안호현 살균 및 위생성을 구비한 수저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11B1 (ko) * 2020-09-11 2021-10-25 김종석 비접촉식 자동 수저배출기
KR102458869B1 (ko) * 2020-09-16 2022-10-25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102634928B1 (ko) * 2020-11-02 2024-02-07 이학재 위생 수저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59U (ko) * 1998-02-16 1999-09-15 윤석훈 위생 수저통
KR20080013062A (ko) * 2006-08-07 2008-02-13 임두만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59U (ko) * 1998-02-16 1999-09-15 윤석훈 위생 수저통
KR20080013062A (ko) * 2006-08-07 2008-02-13 임두만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408A (zh) * 2016-12-14 2017-02-22 重庆天嘉日用品实业有限公司 智能筷子存放器
KR20200014984A (ko) 2018-08-02 2020-02-12 송주호 위생 숟가락
KR200493897Y1 (ko) 2020-06-30 2021-06-23 김종욱 위생 수저통
KR20240019645A (ko) 2022-08-04 2024-02-14 안호현 살균 및 위생성을 구비한 수저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43U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495Y1 (ko) 위생 수저 디스펜서
KR101871185B1 (ko) 원터치 살균 수저통
US9138090B2 (en) Electronic article dispenser
JP4167271B2 (ja) 携帯用歯ブラシ殺菌器
US2014024586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nitizing writing implements
KR20130004183U (ko) 자외선 살균기능이 있는 마우스 키보드 수납구
KR20150123043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101139037B1 (ko) 업소용 위생 수저통
KR200453674Y1 (ko) 수저 살균소독기
KR100875726B1 (ko) 위생적으로 인출 가능한 수저통
KR101198480B1 (ko) 식기 자동공급장치
KR102308052B1 (ko) 클린 수저보관함
KR20110004039U (ko) 다기능 살균 보관통
KR101203015B1 (ko) 위생 수저통이 구비된 테이블
KR200443494Y1 (ko) 서랍형 살균장치
CN201631725U (zh) 一种组合式餐具消毒柜
KR20100011337U (ko) 위생수저통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CN201308351Y (zh) 具有杀菌功能的自动筷子盒
CN109398888B (zh) 一种奶嘴放置盒
KR200459868Y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102336364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숟가락 보관함
KR20240095377A (ko) 탈착살균수저통
CN215687291U (zh) 一种厨具消毒装置
KR101383803B1 (ko) 엘리베이터 위생용 종이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