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371Y1 - 수저통 - Google Patents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371Y1
KR200496371Y1 KR2020200003166U KR20200003166U KR200496371Y1 KR 200496371 Y1 KR200496371 Y1 KR 200496371Y1 KR 2020200003166 U KR2020200003166 U KR 2020200003166U KR 20200003166 U KR20200003166 U KR 20200003166U KR 200496371 Y1 KR200496371 Y1 KR 200496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case
insertion hole
handl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561U (ko
Inventor
이선오
Original Assignee
(주)지선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선에코텍 filed Critical (주)지선에코텍
Priority to KR2020200003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7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고정부재 및 안착부재에 의해 수저류가 수저통 내면에 접촉되지 않음은 물론 수저류끼리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수저류의 위생적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분해될 수 있어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이 가능하며, 안착부재가 식사시 수저류의 받침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통은 내부에는 수저류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게 하는 커버와, 일측에는 수평면을, 타측에는 수직면을 갖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수평면은 수저류의 머리부분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의 중앙 및 양측에는 수저류의 손잡이 상측이 삽입되는 제 1 삽입구 및 제 2 삽입구가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 바닥면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앙에는 상기 제 1 삽입구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된 수저류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2 삽입구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된 수저류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수저통{SPOON CASE}
개시된 내용은 숟가락, 포크, 젓가락과 같은 수저류를 보관 및 휴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저통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이 아닌 유원지와 같은 야외 장소에서 음식을 섭취할 때 숟가락, 젓가락과 같은 수저류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저류는 얼마전 까지만 하더라도 보관이나 세척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일회용품이 널리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쓰레기 처리와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인해 일회용품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각자 사용가능한 개인 수저류를 휴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개인 수저류는 개폐가능한 커버를 갖는 케이스 형상의 수저통이나 지퍼를 갖는 주머니 형상의 수저통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저통은 입에 닿는 머리 부분이 수저통 내에서 서로 접촉되거나 수저통 내부면에 접촉되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수저통 내부가 밀폐되어 있어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으며, 위생관념이 명확하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 이로인해 식중독과 같은 질병에 쉽게 노출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수저통을 세척 및 살균소독하거나 적외선 램프와 같은 별도의 살균수단이 설치된 수저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은 힌지나 절곡부, 지퍼와 같이 그 구조에 따라 세척만으로 완벽한 살균이 어려울 수 있고, 살균소독의 경우 야외에서 한번 사용한 수저류를 재사용할 때에는 그 살균력이 유지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별도의 살균수단이 설치된 수저통의 경우 세척방법이 제한적일수 밖에 없으며, 베터리 교체나 충전과 같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저통은 수저류의 보관 및 휴대의 기능 외에는 별도의 기능을 갖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069504호(2020.06.17)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9834호(2004.08.12)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5430호(2011.11.15)
수저류가 수저통 내면에 접촉되지 않음은 물론 수저류끼리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분해될 수 있어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이 가능하며, 식사시 별도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수저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는 수저류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게 하는 커버와, 일측에는 수평면을, 타측에는 수직면을 갖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수평면은 수저류의 머리부분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의 중앙 및 양측에는 수저류의 손잡이 상측이 삽입되는 제 1 삽입구 및 제 2 삽입구가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 바닥면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앙에는 상기 제 1 삽입구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된 수저류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2 삽입구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된 수저류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수저통에 의하면 고정부재 및 안착부재에 의해 수저류가 수저통 내면에 접촉되지 않음은 물론 수저류끼리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수저류의 위생적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분해될 수 있어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이 가능하며, 안착부재가 식사시 수저류의 받침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통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통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통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통(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이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숟가락, 포크, 나이프, 젓가락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저류가 수용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 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수저류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일방향 길이를 갖는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10)의 길이방향 측벽 중에서 일측의 측벽 양측에는 제 1 힌지홈(12)이 형성된다. 이 제 1 힌지홈(12)은 추후에 설명될 커버(20)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편(50) 일측이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0)는 합성플라스틱, 목재 또는 금속 중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수용 가능한 수저류 개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변형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케이스(10)에는 커버(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커버(20)는 회동 여부에 따라 수용공간(11) 내에 수저류가 수용된 전술한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20)는 전술한 제 1 힌지홈(12)이 형성된 케이스(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이를 위해 커버(20)의 일측 측벽 양측에는 제 2 힌지홈(21)이 형성되며, 전술한 제 1 힌지홈(12) 내에 그 일측이 삽입된 힌지편(50)의 타측이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역할을 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커버(20)가 케이스(10) 측에 힌지편(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편(50)은 그 양측이 각각 제 1 힌지홈(12)과 제 2 힌지홈(21)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분해가 가능해 커버(20) 전체에 대해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힌지편(50)은 케이스(10)에 대한 커버(20)의 원활한 양방향 회동을 위해서 자체탄성을 갖는 유연한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케이스(10) 바닥면 일측에는 고정부재(3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고정부재(30)는 수저류의 머리부분이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그 일측에는 수평면(31)을, 타측에는 수직면(32)을 갖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수평면(31)은 수저류의 머리부분의 위생적 보관이 가능하도록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될 수 있는 메쉬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면(32)의 중앙 및 양측에는 수저류의 손잡이 상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는 제 1 삽입구(321) 및 제 2 삽입구(32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삽입구(321)는 두 개의 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머리부분이 상대적으로 큰 숟가락 및 포크가 차례로 적층 삽입되고, 제 2 삽입구(322)에는 숟가락 및 포크에 비해 얇은 한 쌍의 젓가락 한 개씩이 각각 삽입된다. 즉, 숟가락과 포크는 수평면(31)에 그 머리부분이 위치되도록 손잡이 상측을 제 1 삽입구(321) 내에 삽입시켜 위치시키는데 이때 제 1 삽입구(321)에 형성된 두 개의 홈은 숟가락과 포크가 서로 포개어지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 형성된다. 하측에 위치되는 수저류는 그 머리부분이 메쉬구조에 의해 고정부재(30)와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제 1 삽입구(321) 홈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나중에 삽입되는 수저류의 머리부분도 하측에 위치된 수저류 머리부분과 접촉됨 없이 이격 위치될 수 있어 수저류의 위생적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다.
그리고 개시된 내용에서는 제 1 삽입구(321)가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고 여기에 숟가락과 포크의 손잡이 상측이 차례로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한 개의 홈으로만 형성되어 숟가락이나 포크 중 하나만 삽입될 수도 있고 세 개가 형성되어 숟가락과 포크 그리고 나이프까지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삽입구(322)는 수용부재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됨에 따라 머리부분이 상대적으로 작은 젓가락 한 개씩이 각각 삽입 위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30)는 케이스(10) 바닥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 탈부착 방법은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홈-돌기 고정구조, 억지끼움 고정구조, 자성체-금속재 고정구조 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구조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고정부재(30)가 케이스(10)와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전술한 커버(20)와 마찬가지로 구석구석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케이스(10) 바닥면 타측에는 안착부재(4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안착부재(40)는 전술한 고정부재(30)에 머리부분이 고정된 수저류의 반대쪽이 안착 위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착부재(40)는 그 중앙에 제 1 삽입구(321)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 된 숟가락 및 포크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1 안착홈(41)이 내향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안착홈(41)의 양측에는 제 2 삽입구(322)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 된 젓가락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2 안착홈(42)이 내향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착부재(40)는 케이스(10) 바닥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 탈부착 방법은 전술한 고정부재(30)와 마찬가지로 홈-돌기 고정구조, 억지끼움 고정구조, 자성체-금속재 고정구조 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구조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고정부재(30)가 케이스(10)와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전술한 커버(20) 및 고정부재(30)와 마찬가지로 구석구석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안착부재(4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착부재(40)는 상기 수저통(1)으로부터 분리되어 식사시 테이블 상에서 수저류의 받침대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수저통에 의하면 고정부재 및 안착부재에 의해 수저류가 수저통 내면에 접촉되지 않음은 물론 수저류끼리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수저류의 위생적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분해될 수 있어 완성도 높은 세척 및 살균이 가능하며, 안착부재가 식사시 수저류의 받침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수저통
10 : 케이스
11 : 수용공간
12 : 제 1 힌지홈
20 : 커버
21 : 제 2 힌지홈
30 : 고정부재
31 : 수평면
32 : 수직면
321 : 제 1 삽입구
322 : 제 2 삽입구
40 : 안착부재
41 : 제 1 안착홈
42 : 제 2 안착홈
50 : 힌지편

Claims (4)

  1. 내부에는 수저류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게 하는 커버;
    일측에는 수평면을, 타측에는 수직면을 갖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수평면은 수저류의 머리부분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의 중앙 및 양측에는 수저류의 손잡이 상측이 삽입되는 제 1 삽입구 및 제 2 삽입구가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케이스 바닥면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앙에는 상기 제 1 삽입구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된 수저류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2 삽입구에 그 손잡이 상측이 삽입된 수저류의 손잡이 하측이 안착 위치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측벽 양측에는 제 1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측벽 양측에는 제 2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힌지홈 및 제 2 힌지홈 내에는 유연한 고무재질의 힌지편 양측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구는 두 개의 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머리부분이 상대적으로 큰 숟가락 및 포크가 차례로 적층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구에는 한 쌍의 젓가락 한 개씩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수저통으로부터 분리되어 식사시 테이블 상에서 수저류의 받침대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4. 삭제
KR2020200003166U 2020-08-31 2020-08-31 수저통 KR200496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66U KR200496371Y1 (ko) 2020-08-31 2020-08-31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66U KR200496371Y1 (ko) 2020-08-31 2020-08-31 수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61U KR20220000561U (ko) 2022-03-08
KR200496371Y1 true KR200496371Y1 (ko) 2023-01-13

Family

ID=8081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66U KR200496371Y1 (ko) 2020-08-31 2020-08-31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71Y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844U (ko) * 1995-12-22 1997-07-24 휴대용 수저통
KR200359834Y1 (ko) 2004-05-20 2004-08-21 추배호 위생 수저통
KR101085430B1 (ko) 2006-09-30 2011-11-21 오병교 휴대용 멸균 다기능 수저보관통
KR20110004039U (ko) * 2011-03-15 2011-04-22 안창선 다기능 살균 보관통
KR101688044B1 (ko) * 2014-04-24 2016-12-20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102185107B1 (ko) 2018-12-07 2020-12-01 천승환 항균 수저통 및 항균 수저통이 구비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61U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2774S1 (en) Food container with multiple removable storage compartments
USD534422S1 (en) Container with rotating lid
US9771188B2 (en) Personal utensil and container
USD526481S1 (en) Container
USD506608S1 (en) Container
USD493617S1 (en) Hinged lid container
KR200496371Y1 (ko) 수저통
USD525488S1 (en) Condiment kit
KR200458331Y1 (ko) 음식점 반찬 운반구
US20140091508A1 (en) Integrated folding cutlery retaining and cutting board apparatus
KR102308052B1 (ko) 클린 수저보관함
USD449520S1 (en) Cardboard food container
USD488298S1 (en) Flatware storage chest
USD495910S1 (en) Tissue container
KR200415545Y1 (ko) 개인용 배식판
USD521372S1 (en) Container having thumb access door and integrally hinged lid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102634928B1 (ko) 위생 수저통
KR102033308B1 (ko) 수용부가 구비된 경사진 덮개
KR200436971Y1 (ko) 휴대용 수저통
US20230009216A1 (en) Restaurant Highchair Tray Topper Device
KR102232729B1 (ko) 유아용 식기 보관함
JPH0634303Y2 (ja) 岡持ち
USD531804S1 (en) Painter's tool caddy
KR200167903Y1 (ko) 꼬치요리용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