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53Y1 -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5853Y1 KR950005853Y1 KR2019930003934U KR930003934U KR950005853Y1 KR 950005853 Y1 KR950005853 Y1 KR 950005853Y1 KR 2019930003934 U KR2019930003934 U KR 2019930003934U KR 930003934 U KR930003934 U KR 930003934U KR 950005853 Y1 KR950005853 Y1 KR 9500058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support frame
- cups
- guide pipe
- cup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14—Supports for empty beverage containers while not in use, e.g. for storing extra jug or c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일반적인 음료 써비스기의 부분파단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부 상세도.
제 3a, b 도는 종래 컵지지용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및 (a)의 평면도.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4 도는 본 고안 컵지지용 프레임에 컵이 지지된 상태의 반단면 사시도이다.
제 5a, b 도는 본 고안 컵지지용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a)의 B-B선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제 5b 도의 C부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컵안내 파이프 5 : 컵
21 : 컵지지 부재 22, 22', 22" : 컵지지 탄성부재
22-1, 22-2, 22-3 : 컵 멈춤 절곡부
본 고안은 커피나, 국산차등과 같은 음료를 동전투입 없이 컵을 이용하여 받아 마시는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회의 컵 취출동작에 2개이상의 컵이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써비스기는 주화의 투입없이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컵을 이용하여 받아 마시는 기기로서, 통상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1)의 하방에 컵지지판(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컵지지판(2) 상부에는 음료송출구(3)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1)의 일측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컵안내 파이프(4)가 구비되어 이에는 다수개의 컵(5)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안내 파이프(4)의 하단부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재된 컵(5)이 자유상태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1회의 컵 취출 동작에 하나의 컵(5)만이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컵지지용 프레임(D)이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컵지지용 프레임(D)은 제 3a, 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컵안내 파이프(4)의 하단부에 결합된 소정크기의 원통형 컵지지부재(11)와, 상기 컵 지지부재(11)의 내주벽에 120°등간격으로 각각 부착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컵 멈춤 절곡부(12a)가 형성된 3개의 컵지지 탄성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음료써비스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컵안내 파이프(4)에 적재된 컵(5)중 맨 하단에 위치한 하나의 컵을 빼내어 컵지지판(2)의 음료송출구(3) 직하방에 놓고, 케이스(1)에 구비된 커피버튼(6)이나 국산차버튼(7)을 누르면, 음료송출구(3)로부터 원하는 음료(커피나 국산차등)가 송출되어 컵(5)에 채워지게 되며, 동작완료후 컵(5)을 들고 마시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컵취출시에는 1회의 취출동작에 하나의 컵만이 취출되는데, 이를 간단히 살펴본다.
컵안내 파이프(4)에 적재된 컵(5)은 컵지지용 프레임(D)의 컵지지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는 낙하되지 않고 취출동작시에만 맨하단의 컵(5)이 취출되도록 되어 있는 바, 사용자가 맨 하단의 컵을 손으로 잡고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컵(5)을 지지하고 있던 컵지지 탄성부재(12)가 상기 힘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최하단의 컵(5)이 취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2)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바로 상단의 컵(5')을 잡게되어 1회의 컵 취출동작에 하나의 컵(5)만이 취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은 컵지지 탄성부재(12)의 하단부에만 하나의 컵멈춤 절곡부(12a)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컵(5)이 여러개 겹쳐 있을때, 즉 컵(5)과 컵(5')이 꽉끼어 있거나, 컵지지 탄성부재(12)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1회의 컵 취출동작에 여러개의 컵이 동시 다발적으로 취출 됨으로써 컵 낭비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컵지지 탄성부재의 구조를 컵이 단계적으로 취출되도록 개선하여 1회의 컵취출 동작에 하나의 컵만이 정확하게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컵이 적재되는 컵안내 파이프의 하단에 원판형 컵지지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컵지지부재의 하단에 120°등간격으로 3개의 컵지지 탄성부재가 연장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컵지지 탄성 부재에 수개의 컵멈춤 절곡부를 비례적인 크기로 형성하여 컵이 단계적응으로 취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에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컵지지용 프레임에 의하면, 3단계의 컵멈춤 절곡부가 각각의 컵을 지지하게 되므로, 컵취출시 컵이 단계적으로 낙하하게 되어 1회의 취출동작에 여러개의 컵이 취출되는 형상없이 정확하게 하나의 컵만이 취출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고안 컵지지용 프레임에 컵이 지지된 상태의 반단면 사시도이고, 제 5a, b 도는 본 고안 컵지지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a)의 B-B선 단면도이며, 제 6 도는 제 5b 도의 C부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은 다수개의 컵이 적재되는 컵안내파이프(4)의 하단부에 원판형 컵지지부재(21)가 고정되고, 상기 컵지지부재(21)의 하단에 연장하여 3개의 컵지지 탄성부재(22)(22')(22")가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컵지지 탄성부재(22)(22')(22")에 수개의 컵멈춤 절곡부(22-1)(22-2)(22-3)를 비례적인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컵(5)이 단계적으로 취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컵지지 탄성부재(22)(22')(22")는 사출성형하여 형성하게 되고, 컵멈춤 절곡부(22-1)(22-2)(22-3)의 관련치수를 살펴보면, 컵(5)의 상단부 직경을 "G"라 할때 최상단의 컵멈춤 절곡부(22-1) 치수(L1)는 "G"보다 0.5㎜ 작게하고, 중간의 컵멈춤 절곡부(22-2) 치수 (L2)는 "G"보다 1㎜ 작게 하며, 최하단의 컵멈춤 절곡부(22-3) 치수 (L3)는 "G"보다 1.5㎜ 작게 한다. 그리고, 도면의 I는 컵(5)과 컵(5')사이에 간격인바, 이 "I"치수를 1로 할 때, 컵지지부재(21)로부터 최하단의 컵멈춤 절곡부(21-3)까지의 치수(H1)는 "I"의 3배로 하고, 중간 컵멈춤 절곡부(22-2)까지의 치수(H2)는 2배로 하며 상단 컵멈춤 절곡부(22-1)까지의 치수(H3)는 1배로 한다.
이하, 본 고안 컵지지용 프레임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컵안내 파이프(4)에 컵(5)을 상부에서 넣은후 하방에서 컵(5)을 꺼내게 되면, 컵지지 탄성부재(22)(22')(22")가 R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컵(5)이 단계적으로 낙하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컵만이 취출되는 것이다. 즉, 컵(5)을 뺄 때 각각의 컵지지 탄성부재(22)(22')(22")가 R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적재된 컵(5)이 내려오게 되는바, 이때, H1이 5일 경우 H3는 3이고 H1은 1이 되므로 컵지지 탄성부재(22)(22')(22")가 R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H1은 6이 되게 되어 컵(5)은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컵지지 탄성부재(22)(22')(22")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를 이루게 되므로 컵(5)은 안전하게 안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컵지지용 프레임에 의하면, 3단계의 컵멈춤 절곡부가 각각의 컵을 지지하게 되므로, 컵취출시 컵이 단계적으로 낙하하게 되어 1회의 컵취출 동작에 여러개의 컵이 취출되는 현상없이 최하단의 컵만이 정확하게 취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1회의 취출동작에 여러개의 컵이 동시 다발적으로 취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불편함 및 컵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다수개의 컵(5)이 적재되는 컵안내 파이프(4)의 하단에 원판형 컵지지 부재(21)가 고정되고, 그 컵지지부재(21)의 하단에 연장하여 수개의 컵지지 탄성부재(22)(22')(22")가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컵지지 탄성부재(22)(22')(22")에 수개의 컵멈춤 절곡부(22-1)(22-2)(22-3)를 비례적인 크기로 형성하여 컵이 단계적으로 취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3934U KR950005853Y1 (ko) | 1993-03-17 | 1993-03-17 |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3934U KR950005853Y1 (ko) | 1993-03-17 | 1993-03-17 |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1919U KR940021919U (ko) | 1994-10-19 |
KR950005853Y1 true KR950005853Y1 (ko) | 1995-07-21 |
Family
ID=1935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3934U KR950005853Y1 (ko) | 1993-03-17 | 1993-03-17 |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5853Y1 (ko) |
-
1993
- 1993-03-17 KR KR2019930003934U patent/KR9500058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1919U (ko) | 1994-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31562A (en) | Dispenser for soft drink lids and the like | |
US7669732B2 (en) | Cup lid dispenser | |
US5685461A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a uniform volume of granular material | |
US4986615A (en) | Vending apparatus | |
AU2001291029B2 (en) | An article dispenser | |
US20110089125A1 (en) | Jar Dispenser | |
US20020179660A1 (en) | Holder for a drink container | |
US4594838A (en) | C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beverage vendor | |
AU2001291029A1 (en) | An article dispenser | |
US4750640A (en) | Sanitary napkin home dispenser | |
KR950005853Y1 (ko) | 음료 써비스기의 컵지지용 프레임 | |
US6149031A (en) |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6422132B1 (en) | Multi-use brew bowl | |
US5409094A (en) | Vending machine for bottled water | |
ATE327708T1 (de) | Zuckerspendersystem in einem verkaufsautomat für heissgetränke | |
EP1030141B1 (en) |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ns or bottles of drinks or beverages in general | |
JP4899126B2 (ja) | リッドディスペンサー | |
ITVI980223A1 (it) | Macchina distributrice di caffe', the ed altri prodotti simili ottenuti per infusione. | |
US20040084472A1 (en) | Pin for an article dispenser | |
US6164347A (en) | Condiment receptacle holder | |
KR200151833Y1 (ko) | 자동판매기의 컵 재치장치 | |
KR200410402Y1 (ko) | 컵 추출장치 | |
KR200415013Y1 (ko) | 컵 인출장치 | |
KR200423252Y1 (ko) | 스틱손잡이형 티백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 |
KR20100006426A (ko) | 캡 장착이 가능한 자동판매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