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152U -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152U
KR20110007152U KR2020100000249U KR20100000249U KR20110007152U KR 20110007152 U KR20110007152 U KR 20110007152U KR 2020100000249 U KR2020100000249 U KR 2020100000249U KR 20100000249 U KR20100000249 U KR 20100000249U KR 20110007152 U KR20110007152 U KR 20110007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up
rice
groov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085Y1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100000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량배출쌀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쌀이 배출된 후에는 상기 레바와 컵이 자동으로 정위치에 재대로 복귀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정량의 쌀을 배출할 수 있는 정량배출쌀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적량이 작고 휴대나 보관이 편리한 정량배출쌀통은, 쌀을 수용하고 있는 함체와 배출수단을 가진 본체가 상하로 직립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레바의 상하동작에 의하여 컵이 반회전하면서 정량의 쌀을 배출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량배출쌀통은 레바의 상하 동작에 의해 컵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레바를 하부로 내려준 후에는 반드시 상부로 레바를 올려 줘야만 컵에 쌀을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불편하였고, 특히 상기 레바는 수동으로 동작함에 따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정확하게 상부 끝까지 올려주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컵이 정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되어 컵 상단에 일부의 쌀을 적재한 체로 회동하거나 혹은 빈공간을 남긴 체로 쌀을 적재하게 되기 때문에 종종 정량의 쌀을 배출하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레바의 회전동작에 의해 본체의 컵이 회전되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본체와 레바사이에는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레바가 회동할 때 팽창된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레바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어 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레바 후단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대응하는 본체의 격벽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레바가 회동할 때 고정돌기가 고정홈을 따라 반원을 그리면서 정해진 위치에 컵과 레버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정량의 쌀을 배출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A fixed quantity is rice box with auto return means}
본 고안은 정량배출쌀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쌀이 배출된 후에는 상기 레바와 컵이 자동으로 정위치에 재대로 복귀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정량의 쌀을 배출할 수 있는 정량배출쌀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적량이 작고 휴대나 보관이 편리한 정량배출쌀통(20-2005-0012126)은, 쌀을 수용하고 있는 함체와 배출수단을 가진 본체가 상하로 직립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레바의 상하동작에 의하여 컵이 반회전하면서 정량의 쌀을 배출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량배출쌀통은 레바의 상하 동작에 의해 컵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레바를 하부로 내려준 후에는 반드시 상부로 레바를 올려 줘야만 컵에 쌀을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불편하였고, 특히 상기 레바는 수동으로 동작함에 따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정확하게 상부 끝까지 올려주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컵이 정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되어 컵위에 일부의 쌀을 적재한 체 그리고 빈공간을 남긴 체로 쌀을 적재하게 되기 때문에 종종 정량의 쌀을 배출하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정량배출쌀통은 1인 또는 2인을 위한 소규모의 쌀통이기 때문에 정량에 미달하게 되면 식사할 때 그 만큼의 양이 줄어 들게 되어 문제가 되기도하여 정확하게 정량의 쌀을 적재하고 배출할 수 있는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쌀이 배출된 후에는 상기 레바와 컵이 자동으로 정위치로 복귀되어 지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정량의 쌀을 배출토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레바의 회전동작에 의해 본체의 컵(33)이 회전되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본체와 레바사이에는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레바가 회동할 때 팽창된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레바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어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바 후단에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대응하는 본체의 격벽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레바가 회동할 때 고정돌기가 고정홈을 따라 반원을 그리면서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레바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에는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걸려 컵이 정위치에 위치되어지도록 하여 정랴의 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레바와 컵이 회동하여 쌀을 배출한 후에는 탄성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컵과 레바가 원위치에 복귀되어 수동으로 레바를 복귀할 필요가 없는 만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기 레바와 컵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고정홈과 고정돌기에 의해 어긋남없이 정확하게 컵이 정위치에 복귀되어 정량의 쌀을 컵 안쪽에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정량배출쌀통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정량배출쌀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정량배출쌀통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정량배출쌀통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쌀통의 전체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내부구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면에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와 결합되어 있으며 컵(33) 안쪽에 적재된 쌀을 하부에 위치한 서랍함체(50)로 배출되어지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강구되어져 있는 본체(20)가 상하로 직립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함체(10)와 본체(20)에는 다양한 결합수단이 강구되어질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함체(10)의 하단에 끼움날개(14,14a)를 형성하고 본체(20)에는 상단에는 끼움단턱을 형성하여 서로 밀착되어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20)의 체결수단(21)이 함체(10)의 체결부(11)에 결려 고정되어 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20)에는 레바(30)의 회전에 의해 컵(33)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으며, 이때 하단으로는 쌀의 배출을 위한 절개홈(22)을 갖는 개구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홈(23)의 일측으로는 컵(33)의 보조축(34)이 수용되는 안내홈(2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컵(33)의 축(32)이 수용되는 축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개구홈(23) 위에 컵(33)이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질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개구홈(23)의 외측으로는 단턱(26)을 구비하고, 이 단턱(26)위로는 함체(10)의 배출구(13) 하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날개(15)가 끼워지는 가이드밴(40)이 위치되어 지도록 하여, 상기 개구홈(23)과 가이드밴(40)이 결합된 공간을 형성한 후 이 안쪽에 일측으로 보조축(34)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타측으로는 회전판(31)과 축(32)이 형성되어 있는 컵(33)이 회동되게 수용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20)의 배출수단은 상기 컵(33)과 레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면에 위치한 레바(30)가 상기 컵(33)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바(30)의 후단으로는 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홈(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불어 상기 컵(33)에는 회전판(31) 또는 축(3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30b)가 격벽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레바(30)의 결합홈(30a) 안쪽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바(30)와 일체로 움직이는 컵(33) 또는 축(32) 또는 회전판(31)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20)에는 고정편(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36)과 돌기 사이에는 탄성수단(37)으로 연결되어 레바(3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37)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레바(30)가 회전하여 컵(33) 안쪽에 적재되어 있는 쌀이 절개홈(22)을 통해 배출하여 주게 되면, 상기 레바(30)와 컵(33) 사이에 위치한 탄성수단(37)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어 탄성력에너지에 의해 자동으로 레바(30)와 컵(33)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37)은 탄지되어 있는 상태로 돌기5)와 고정편(36) 사에에 설치되어져 있고, 또한 상기 레바(30)의 후단 일측에는 고정돌기(38)를 형성한 후, 대응되는 위치인 본체(20)의 격벽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레바(30)와 컵(33)이 결합되어질 때 고정홈 안쪽으로 상기 고정돌기(38)가 내입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컵(33)과 일체로 움직이는 레바(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38)는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때 고정돌기(38)가 고정홈의 타측단에 위치하게 되면 정량의 쌀이 배출되어진 것이다, 반대로 상기 레바(30)와 컵(33)이 탄성수단(37)에 위해 복귀되게 되면 고정돌기(38)가 고정홈의 일측단에 위치되어지게 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않토록 하면서 상기 컵(33)과 레바(30)가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어 정량의 쌀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편(36)과 돌기5)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수단(37)은, 실시예에 따라 돌기 회전판(31)이 컵(33)에 형성하는 대신에, 레바(30)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돌기(38)와 고정편(36) 사이를 탄성수단(37)으로 연결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절개홈(22)으로 배출되는 쌀은 본체(20)의 하부에서 슬라이드 되는 서랍함체(50)가 수용되어있고, 상기 서랍함체(50)의 정확한 슬라이드 작동을 위하여 테두리에 후렌지(51)를 형성하여 서랍함체(50)가 내측으로 오그라드는 것을 방지토록 하면서 동시에 상기 후렌지(51)가 걸려지도록 본체(20)에는 받침턱을 갖는 받침살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서랍함체(50)의 후렌지(51)가 받쳐지면서 정확하게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후방으로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쌀통에 쌀이 채원진 상태에서 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0:함체 11:체결부
12:경사면 13:배출구
14,14a:끼움날개 15:돌출날개
20:본체 21:체결수단
22:절개홈 23:개구홈
24:안내홈 25:축홈
26:단턱
30:레바 30a:결합홈
30b:결합돌기
31:회전판
32:축 33:컵
34:보조축 35:돌기
36:고정편 37:탄성수단
38:고정돌기 39:고정홈
40:가이드밴 50:서랍함체
51:후렌지

Claims (5)

  1. 바닥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컵 안쪽에 적재된 쌀을 하부에 위치한 서랍함체로 배출되어지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강구되어져 있는 본체가 상하로 직립되게 결합되어 있는 정량배출쌀통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쌀통의 배출수단은 본체에 쌀의 배출을 위한 절개홈을 갖는 개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홈의 일측으로는 컵의 보조축이 수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으로는 컵의 축이 수용되는 축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컵이 개구홈 안쪽으로 회동되게 수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바(30)와 컵이 일체로 움직이며 회전판 또는 컵에 형성된 돌기와 본체의 고정편이 탄성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바(30)의 후단으로는 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불어 상기 컵에는 회전판 또는 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격벽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레바(30)의 결합홈 안쪽에 끼워져 일체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바의 후단 일측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후, 대응되는 위치인 본체의 격벽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홈 안쪽에 상기 고정돌기가 내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4. 바닥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컵 안쪽에 적재된 쌀을 하부에 위치한 서랍함체로 배출되어지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강구되어져 있는 본체가 상하로 직립되게 결합되어 있는 정량배출쌀통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쌀통의 배출수단은 본체에 쌀의 배출을 위한 절개홈을 갖는 개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홈의 일측으로는 컵의 보조축이 수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으로는 컵의 축이 수용되는 축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컵이 개구홈 안쪽으로 회동되게 수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바의 후단 일측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후, 대응되는 위치인 본체의 격벽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홈 안쪽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편이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바(30)의 후단으로는 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불어 상기 컵에는 회전판 또는 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격벽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레바(30)의 결합홈 안쪽에 끼워져 일체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2020100000249U 2010-01-11 2010-01-11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200473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49U KR200473085Y1 (ko) 2010-01-11 2010-01-11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49U KR200473085Y1 (ko) 2010-01-11 2010-01-11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52U true KR20110007152U (ko) 2011-07-19
KR200473085Y1 KR200473085Y1 (ko) 2014-06-10

Family

ID=4559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249U KR200473085Y1 (ko) 2010-01-11 2010-01-11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04B1 (ko) * 2014-05-16 2014-09-25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곡물 저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633B1 (ko) 2019-06-28 2021-01-06 권기택 쌀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38Y1 (ko) * 2002-02-08 2002-05-11 김기종 쌀통
KR200390589Y1 (ko) * 2005-04-29 2005-07-21 이영철 정량배출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04B1 (ko) * 2014-05-16 2014-09-25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곡물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85Y1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427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US8887960B2 (en) Dispensing station
US9745101B2 (en) Container with insert
US20100319724A1 (en) Cosmetics container with plural pivoting trays
RU2016127581A (ru) Контейнер типа кофров, чемоданов, сумок на колесах и подобного
US20110266311A1 (en) Container with means for metering a dose of a predetermined size
US9968227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CN106716031A (zh) 应用于冰箱门或诸如此类的伸缩式型架
US20230303290A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200473353Y1 (ko) 곡물 저장용기
KR20110007152U (ko)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US9914564B2 (en) Dispenser
CN106679309B (zh) 定量分配装置及具有其的冰箱
US8172105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small solid materials
ATE336444T1 (de) Tablettenspender
EP2331893B1 (en) Cooling device with rotatable shelf
US20070023447A1 (en) Discharger for tablets
CN110279380B (zh) 分配装置和洗涤电器
EP3580143A1 (en) Dispenser
KR101274156B1 (ko) 원터치형 정량 인출케이스
JP4899126B2 (ja) リッドディスペンサー
KR200415358Y1 (ko) 컵 추출장치
CN208828310U (zh) 可堆叠箱
KR101755619B1 (ko) 휴대용 비누케이스
KR101443904B1 (ko) 곡물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