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638Y1 - 쌀통 - Google Patents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638Y1
KR200275638Y1 KR2020020004240U KR20020004240U KR200275638Y1 KR 200275638 Y1 KR200275638 Y1 KR 200275638Y1 KR 2020020004240 U KR2020020004240 U KR 2020020004240U KR 20020004240 U KR20020004240 U KR 20020004240U KR 200275638 Y1 KR200275638 Y1 KR 200275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air
storage chamber
sub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김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종 filed Critical 김기종
Priority to KR2020020004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638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을 보관하기 위한 쌀통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쌀을 저장하기 위한 메인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본체의 메인저장실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쌀이 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통과되도록 한쌍의 배출통로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에 상부가 각각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기 위한 서브저장실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서브저장실과 연통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몸체; 상기 한쌍의 몸체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측에 지지벽을 갖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몸체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벽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몸체에 형성된 각각의 서브저장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저장실을 개방시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저장된 쌀을 배출시키기 위한 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조절부의 작동시 상기 한쌍의 몸체 서브저장실에서 배출되는 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를 갖는 쌀받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쌀통{Rice box}
본 고안은 쌀을 보관하기 위한 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을 섭취하고자 하는 인원수에 맞춰 쌀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쌀을 원활하게 이동시켜 쌀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쌀의 보관시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쌀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쌀은 주로 외부적인 요인 즉, 주변환경의 온도 및 습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인해 별도의 보관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쌀의 보관은 쌀포대에 보관한다든가 별도의 쌀통을 구입하여 쌀을 보관하게 된다.
즉, 상기 쌀을 쌀포대에 보관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쌀포대는 비교적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외부적인 주변환경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해 쉽게 영향을 받으므로 인해 쌀의 변질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쌀을 섭취하고자 하는 인원수에 맞춰 상기 쌀포대에서 쌀을 꺼내고자 할 경우, 별도의 그릇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쌀의 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쌀통은 외부적인 주변환경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성수지재 또는 인체에 무해한 코팅층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하여 쌀을 보관한 후, 보관된 쌀을 섭취하고자 하는 인원수에 맞춰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버튼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쌀통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위치와 더블어, 쌀통내의 저장실이 내부적으로 온도 및 습도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해 쌀의 변질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쌀통내에 보관된 쌀을 섭취하고자 하는 인원수에 맞춰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버튼을 작동시킬 경우, 상기 쌀통내에 개재된 배출통로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막이 개폐되면서 상기 쌀통내에 저장되어 있던 쌀을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이동중이던 쌀은 상기 차단막과 배출통로 사이의 틈새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쌀의 배출량이 불규칙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관된 쌀을 섭취하고자 하는 인원수에 맞춰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쌀을 원활하게 이동시켜 쌀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쌀의 보관시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주변환경에 의한 쌀의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쌀을 보관할 수 있는 쌀통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쌀을 저장하기 위한 메인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본체의 메인저장실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쌀이 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통과되도록 한쌍의 배출통로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에 상부가 각각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기 위한 서브저장실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서브저장실과 연통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몸체; 상기 한쌍의 몸체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측에 지지벽을 갖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몸체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벽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몸체에 형성된 각각의 서브저장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저장실을 개방시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저장된 쌀을 배출시키기 위한 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조절부의 작동시 상기 한쌍의 몸체 서브저장실에서 배출되는 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를 갖는 쌀받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개폐동작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쌀통 10 : 본체
12 : 메인저장실 20 : 안내부재
22 : 배출통로 30 : 몸체
32 : 서브저장실 40 : 지지플레이트
50 : 조절부 60 : 가압편
70 : 복귀스프링 80 : 쌀받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은 쌀통으로써, 상기 쌀통(1)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쌀을 저장할 수 있도록 메인저장실(12)을 갖는 항아리형상의 본체(10) 및 이 본체(10)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14)가 개재되는데, 여기서 상기 본체(10) 및 덮개(14)는 여러가지의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쌀의 변질을 감안하여 온도,습도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황토재를 사용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저장실(12)에 저장된 쌀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면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안내부재(20)가 개재되는데, 상기 안내부재(20)의 상단부는 상기 항아리형상을 갖는 본체(10)의 측벽중 하방향으로 좁아지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저장실(12)에 저장된 쌀을 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안내부재(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쌀을 이분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배출통로(2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안내부재(20)도 쌀의 변질을 감안하여 황토재를 사용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20)를 여러가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의 메인저장실(12)에 저장된 쌀이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22)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도록 하향되게 기울어지는 경사면(24)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부재(20)의 중앙에는 상기 쌀이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22)로 나누어지면서 이동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내돌기(2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저장실(12)에 저장되어 있던 쌀은 상기 경사면(24) 및 안내돌기(26)을 따라 하방향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22)를 통해 배출되는 쌀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서브저장실(32)을 갖는 항아리형상의 몸체(30)가 각각 연결되는데, 상기 몸체(30)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통로(22)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32)로 이동되는 쌀을 개폐하기 위한 이후에 후술할 제 1차단막(54)이 끼워지도록 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몸체(30)와 상기 배출통로(22)는 고정핀(28)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22)에 각각 결합된 몸체(30)는 체결부재(35)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개재되는 지지플레이트(40)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5)는 상기 몸체(10)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각각의 양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0)에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양측에는 지지벽(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벽(42)사이에는 상기 한쌍의 몸체(30)에 형성된 각각의 서브저장실(32)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저장실(32)을 개방시켜 상기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된 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조절부(50)를 갖는다.
즉, 상기 조절부(5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지지벽(42)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 1고정축(51) 및 이 제 1고정축(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힌지축(52)을 갖는 한쌍의 작동바(53)가 개재되는데, 여기서 상기 한쌍의 작동바(53)는 상기 한쌍의 몸체(30)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53)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몸체(30)의 가이드홈(34)에 끼워지도록 제 1차단막(54)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 1차단막(54)은 상기 작동바(53)가 상기 제 1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로 전.후이동하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배출통로(22)를 통해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로 공급되는 쌀의 이동을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30)의 가이드홈(34)에 끼워져 서브저장실(32)을 개폐하는 상기 제 1차단막(54)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몸체(30)의 내측에 상기 제 1차단막(53)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제 1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바(53)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몸체(30)의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 2차단막(55)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 2차단막(55)은 상기 작동바(53)가 상기 제 1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된 쌀의 배출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차단막(55)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된 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0)의 하단부에 제 2걸림턱(3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고정축(5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지지벽(42)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 2고정축(56) 및 이 제 2고정축(5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힌지축(57)을 갖는 한쌍의 작동버튼(58)이 개재되는데, 여기서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58)은 상기 한쌍의 작동바(53)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작동버튼(58)의 일단은 상기 작동바(53)의 제 1힌지축(52)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작동바(53)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작동캠(59)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58)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버튼(58)이 상기 제 2힌지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나머지 작동버튼(58)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압편(60)이 개재되는데, 상기 가압편(60)의 일단은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58)중 어느 하나의 작동버튼(58)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편(60)의 타단은 상기 작동버튼(58)중 나머지 하나의 작동버튼(58) 상부에 근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가압편(60)이 고정된 작동버튼(58)을 누를 경우, 상기 가압편(60)의 타단이 나머지 작동버튼(58)을 동시에 눌러 상기 한쌍의 몸체(30)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된 쌀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축(51)과 상기 작동바(53)의 제 1힌지축(52) 사이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70)이 각각 개재되는데, 이는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58)이 상기 제 2힌지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기 한쌍의 작동바(53)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50)의 작동시 상기 한쌍의 몸체(30) 서브저장실(32)에서 배출되는 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82)를 갖는 쌀받이(80)가 상기본체(10)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쌀을 섭취하기 위한 인원수에 맞춰 작동버튼(58)을 눌러주게 되는데, 예를 들어 인원수가 1인일 경우,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58)중 가압편(6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작동버튼(58)을 하방향으로 누르고, 인원수가 2인일 경우에는 상기 가압편(60)의 일단이 고정되지 않은 작동버튼(58)을 연속적으로 두번 누르거나 또는 상기 가압편(60)의 일단이 고정된 작동버튼(58)을 눌러 상기 작동버튼(58)들을 동시에 작동시켜 2인에 해당되는 쌀을 배출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버튼(58)의 제 2힌지축(57)이 상기 제 2고정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작동버튼(58)의 일단에 형성된 작동캠(59)이 상기 작동바(53)와 면접촉을 이루면서 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바(53)의 상부측, 다시 설명하면 작동바(53)에 형성된 제 1힌지축(52)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작동바(53)를 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53)는 제 1고정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바(53)의 하단에 형성된 제 2차단막(55)이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힌지축(57)을 중심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되어 있던 쌀을 하방향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바(53)의 하부에 형성된 제 2차단막(55)이 쌀을 배출시킬 경우, 상기 작동바(53)의 상부에 설치된 제 1차단막(54)이 동시에 연동되는데,이는 상기 제 1차단막(54)이 상기 몸체(30)의 가이드홈(34)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34)의 내측에 형성된 제 1걸림턱(36)을 따라 이동하므로 인해 상기 안내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통로(22)를 통과하는 쌀의 이동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53)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제 1차단막(54)의 일단은 상기 작동바(53)가 제 1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할시 직선운동을 이루기 위하여 힌지축(54a)이 장방홈(54b)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바(53)의 상부에 형성된 제 1차단막(54)과 하부에 형성된 제 2차단막(55)이 제 1힌지축(52)을 중심으로 반대적인 작동을 이루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로 이동되는 쌀의 량과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에서 상기 쌀받이(80)의 수용공간부(82)로 배출되는 쌀의 량의 비율이 조절되면서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되어 있된 쌀은 쌀받이(80)로 배출되고, 상기 안내부재(20)의 배출통로(22)를 통해 이동중이던 쌀은 차단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쌀받이(80)의 수용공간부(82)에 담긴 쌀은 사용자가 쌀받이(80)의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84)를 잡고 본체(10)의 내부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53)의 복귀는 상기 복귀스프링(70)의 양단중 일단이 상기 제 1고정축(5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바(53)의 제 1힌지축(52)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복귀스프링(70)의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53)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작동바(53)가 복귀할 경우, 상기 제 2차단막(55)이 상기 몸체(30)의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차단막(54)이 상기 몸체(30)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안내부재(20)에 형성된 배출통로(22)를 통해 쌀이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20)의 배출통로(22)를 통해 이동되는 쌀은 상기 본체(10)의 메인저장실(12)에 저장된 쌀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메인저장실(12)에 저장된 쌀은 상기 본체(10)가 항아리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인해 하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안내부재(20)의 측벽에 형성된 경사면(24)과 중앙에 형성된 안내돌기(26)에 의해 배출통로(22)로 모이면서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로 쌀이 이동됨에 따라 쌀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30)의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된 쌀의 하중을 상기 제 2차단막(55)이 지지하는 것을 보면, 상기 작동바(53)의 상부에 설치된 제 1차단막(54)이 상기 몸체(30)의 가이드홈(34)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차단막(55)이 상기 몸체(30)의 하부를 폐쇄시킴에 따라 서브저장실(32)에 저장된 쌀의 하중은 상기 제 1차단막(5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된 안내부재(20) 및 상기 안내부재(20)에 연결된 몸체(30)는 쌀의 변질을 감안하여 온도,습도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황토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본체(10)내에 저장되는 쌀은 황토의 성질의 의해 장기간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관된 쌀을 섭취하고자 하는 인원수에 맞춰 쌀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쌀을 원활하게 이동시켜쌀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쌀의 보관시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주변환경에 의한 쌀의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쌀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쌀을 저장하기 위한 메인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본체의 메인저장실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쌀이 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통과되도록 한쌍의 배출통로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에 상부가 각각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기 위한 서브저장실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서브저장실과 연통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몸체;
    상기 한쌍의 몸체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측에 지지벽을 갖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몸체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벽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몸체에 형성된 각각의 서브저장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저장실을 개방시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저장된 쌀을 배출시키기 위한 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조절부의 작동시 상기 한쌍의 몸체 서브저장실에서 배출되는 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를 갖는 쌀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본체의 메인저장실에 저장된 쌀이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도록 하향되게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안내부재의 중앙에 상기 쌀이 상기 한쌍의 배출통로로 나누어지면서 이동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벽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 1고정축;
    상기 한쌍의 몸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힌지축을 갖는 한쌍의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가 상기 제 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몸체의 서브저장실로 전.후이동하면서 상기 몸체의 서브저장실로 공급되는 쌀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 1차단막;
    상기 작동바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가 상기 제 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몸체의 서브저장실에 저장된 쌀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 2차단막;
    상기 제 1고정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그 양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벽에 각각 고정되는 제 2고정축;
    상기 한쌍의 작동바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힌지축을 가지며, 그 일단이 상기 작동바의 제 1힌지축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작동바에 면접촉되도록 작동캠을 갖는 한쌍의 작동버튼; 및
    상기 제 1고정축과 상기 작동바의 제 1힌지축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이 상기 제 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기 한쌍의 작동바를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작동버튼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버튼이 상기 제 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나머지 작동버튼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KR2020020004240U 2002-02-08 2002-02-08 쌀통 KR200275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40U KR200275638Y1 (ko) 2002-02-08 2002-02-08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40U KR200275638Y1 (ko) 2002-02-08 2002-02-08 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638Y1 true KR200275638Y1 (ko) 2002-05-11

Family

ID=7305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40U KR200275638Y1 (ko) 2002-02-08 2002-02-08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6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85Y1 (ko) * 2010-01-11 2014-06-10 이영철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102281409B1 (ko) * 2020-04-10 2021-07-27 신혜민 인공지능 밥솥의 쌀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85Y1 (ko) * 2010-01-11 2014-06-10 이영철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102281409B1 (ko) * 2020-04-10 2021-07-27 신혜민 인공지능 밥솥의 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9003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US7192105B2 (en) Door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with the device
CN103105039B (zh) 冰箱
USD464886S1 (en) Round container with lid
KR20050058039A (ko) 저장고
US5220747A (en) Refrigerator door biasing mechanism
KR20120084215A (ko) 서랍식 냉장고
KR200275638Y1 (ko) 쌀통
CN103189695A (zh) 一种包括带旋转盖的可滑动的门搁架的冰箱
USD974922S1 (en) Wipe dispenser with cover
KR200457300Y1 (ko) 스프링 힌지 부재 및 냉장장치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스프링 힌지 부재가 사용된 빌트인 주방용 가구
US6745670B2 (en) Bread maker
JP3616445B2 (ja) 固形薬剤振出容器
KR100334646B1 (ko) 김치냉장고
KR200267216Y1 (ko) 홈바용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
KR200350174Y1 (ko) 김치냉장고
WO2003000566A1 (en) Container lid
US11821671B2 (en) Refrigerator with shelf air regulator
KR200199037Y1 (ko) 김치냉장고
KR200342544Y1 (ko) 김치냉장고의 힌지구조
KR101083694B1 (ko) 슬라이드형 김치냉장고 도어구조
US20220364783A1 (en) Refrigerator
JP4471790B2 (ja) 冷蔵庫
KR200171165Y1 (ko) 김치냉장고
KR0130523Y1 (ko) 냉장고의 야채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