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174Y1 - 김치냉장고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174Y1
KR200350174Y1 KR20-1999-0012556U KR19990012556U KR200350174Y1 KR 200350174 Y1 KR200350174 Y1 KR 200350174Y1 KR 19990012556 U KR19990012556 U KR 19990012556U KR 200350174 Y1 KR200350174 Y1 KR 20035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racket
kimchi refrigerator
cabinet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032U (ko
Inventor
박석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2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174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향 개방된 도어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도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캐비넷에 고정되어 힌지핀을 통해 상기 도어를 회동지지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상기 도어가 폐쇄위치에 근접할 때 상기 도어의 폐쇄력에 탄성적으로 저항하도록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브래킷과 상기 도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도어의 급속한 폐쇄 회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REFRIGERATOR FOR KIMCHI}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급속한폐쇄 회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상향 개구된 도어개구를 갖는 캐비넷과, 캐비넷의 도어개구를 선택적으로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갖는다.
캐비넷 내에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구획판이 설치되어 캐비넷을 저장실과 기기부품실로 구획하게 되며, 구획판의 상부영역에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저장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고 구획판의 하부영역에는 압축기와 온도조절장치등이 마련된 기기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다.
저장실의 외벽면 내에는 저장된 음식물과 외기 온도와의 단열유지를 위해 발포우레탄등과 같은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으며, 저장실의 도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 내에도 역시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가 도어개구를 폐쇄하였을 경우, 단열재등이 충전되어 비교적 무겁게 제작된 도어의 중량에 의해서도 도어와 저장실간은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있어서는, 비교적 무겁게 제작된 도어가 저장실의 도어개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의 부주위로 손가락등이 도어개구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도어의 급속한 폐쇄 회동력에 의해 다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어가 도어개구에 근접되었을 때, 도어의 폐쇄 회동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된다면 사용자는 주위를 요하지 않더라고 인체의 부상위험 없이 도어의 개폐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급속한 폐쇄 회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어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 1의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도어의 폐쇄 회동상태를 도시한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15 : 도어개구
22 : 도어 23 : 힌지핀
25 : 힌지커버 26 : 브래킷수용부
27 : 판스프링 29 : 힌지브래킷
31 : 돌출보스 33 : 함몰부
35 : 힌지핀공 37 : 보스수용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향 개방된 도어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도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 고정되어 힌지핀을 통해 상기 도어를 회동지지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상기 도어가 폐쇄위치에 근접할 때 상기 도어의 폐쇄력에 탄성적으로 저항하도록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브래킷과 상기 도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힌지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게 만곡된 판스프링인 것이 유리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힌지브래킷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힌지브래킷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체결을 위한 스크루공을 가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보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돌출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장공의 보스수용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래킷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수용을 위한 긴 띠상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상향 개방된 도어개구(15)를 갖는캐비넷(10)과, 캐비넷(10)의 도어개구(15)를 개폐하도록 캐비넷(10)의 상면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한 쌍의 도어(22)를 갖는다.
캐비넷(10)은, 외관을 형성하는 거의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12)과, 상향 도어개구(15)를 가지고 외부케이싱(12) 내에 수용설치되며 김치 및 그 밖의 종류의 음식물등의 저장용기를 분리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저장실(14)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16)과, 내부케이싱(16)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다수의 기기부품을 수용하는 기기부품실(미도시)을 갖는다.
캐비넷(10)의 상부 전면에는 저장실(14)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종류 및 음식물의 숙성시간, 온도조건등을 선택하는 다수의 조작버튼(18)을 구비한 조작패널(20)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22)의 내면에는 저장실(14)의 도어개구(15)를 기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저장실(14)의 개구연부에 형상맞춤되는 돌출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어(22)의 후방단부영역에는 후술할 캐비넷(10)의 힌지브래킷(29)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브래킷수용부(26)와, 브래킷수용부(26)의 양측에 배치되어 힌지브래킷(29)의 힌지핀공(35)에 체결되는 힌지핀(23)이 배치된 힌지핀부(미도시)를 가지며, 이 좌우 한 쌍의 힌지핀부의 전면에는 힌지커버(25)가 설치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의 후방 상부영역에는 도어(22)의 후방단부 영역에 마련된 브래킷수용부(2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힌지브래킷(29)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브래킷(29)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도어(22)의 힌지핀(23)이 체결될 수 있도록 힌지핀공(35)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브래킷(29)의 후면에는 힌지브래킷(29)의 외관을 이루는 브래킷커버(4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힌지브래킷(29)의 전면에는 캐비넷(10)의 전면을 향해 만곡된 판스프링(27)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긴 띠상의 함몰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33)의 양측 연부영역에는 판스프링(27)을 향해 돌출된 돌출보스(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27)에는 돌출보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장공의 보스수용공(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루(39)를 이용하여 판스프링(27)의 보스수용공(37)과 돌출보스(31)를 상호 체결하게 되면 판스프링(27)은 힌지브래킷(29)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어(22)가 도어개구(15)를 폐쇄할 때, 힌지브래킷(29)에 마련된 판스프링(27)에 의해 도어(22)의 폐쇄 회동속도는 순간적으로 감속되게 된다.
즉, 이러한 도어(22)의 개폐회동상태를 도시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개구(15)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 즉 도어(22)가 캐비넷(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힌지브래킷(29)의 전면에 설치된 판스프링(27)은 전방을 향해 만곡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22)의 회동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어(22)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도어(22)가 도어개구(15)에 거의근접되었을 경우에는 도어(22) 브래킷수용부(26)의 연부면(42)이 판스프링(27)의 판면에 접촉하게 되어 판스프링(27)을 힌지브래킷(29)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판스프링(27)은 힌지브래킷(29)의 함몰부(33)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판스프링(27)의 탄성저항력은 도어(22)의 폐쇄회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일단 도어(22)는 도어개구(15)의 근접영역에서 급격히 회동속도가 감속되게 된 후, 도어(22)의 하중에 의해 도어개구(15)가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22)가 회동되어 도어개구(15)에 근접되었을 경우에는 도어(22)의 회동속도가 순간적으로 감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브래킷(29)의 전면에 사이에 판스프링(27)등과 같은 스프링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도어(22)가 폐쇄위치에 근접할 때, 도어(22)의 폐쇄 회동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위로 손가락등이 도어개구(15) 연부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부상당할 우려는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의 급속한 폐쇄 회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5)

  1. 상향 개방된 도어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도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 고정되어 힌지핀을 통해 상기 도어를 회동지지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상기 도어가 폐쇄위치에 근접할 때 상기 도어의 폐쇄력에 탄성적으로 저항하도록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브래킷과 상기 도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힌지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게 만곡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힌지브래킷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래킷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체결을 위한 스크루공을 가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보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돌출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장공의 보스수용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래킷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수용을 위한 긴 띠상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KR20-1999-0012556U 1999-06-30 1999-06-30 김치냉장고 KR20035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556U KR200350174Y1 (ko) 1999-06-30 1999-06-30 김치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556U KR200350174Y1 (ko) 1999-06-30 1999-06-30 김치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32U KR20010002032U (ko) 2001-01-26
KR200350174Y1 true KR200350174Y1 (ko) 2004-05-14

Family

ID=4942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556U KR200350174Y1 (ko) 1999-06-30 1999-06-30 김치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1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011B1 (ko) * 2002-01-18 2004-10-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32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789A (en) Cam operated door seal for refrigerator
KR100396126B1 (ko) 냉장고 문 오프너
EP3008268B1 (en) Fixing device
KR20060000340A (ko) 냉장고
KR200350174Y1 (ko) 김치냉장고
CN112119274B (zh) 冰箱
KR100662407B1 (ko) 냉장고의 서랍 구조
JP4881649B2 (ja) 扉の支持構造
KR20040084608A (ko) 냉장고
KR200227549Y1 (ko)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200171165Y1 (ko) 김치냉장고
KR101083694B1 (ko) 슬라이드형 김치냉장고 도어구조
KR20010002033U (ko) 김치냉장고
KR100388742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용 힌지조립체
EP3884227B1 (en) Cooling device
KR200463488Y1 (ko) 냉장고
KR200271181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JP2001133132A (ja) 冷蔵庫
KR200275638Y1 (ko) 쌀통
KR20010028642A (ko) 김치냉장고
KR100374860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용 힌지조립체
KR100424107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개폐 장치
KR100442390B1 (ko)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KR20035864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020066267A (ko) 김치저장고의 도어용 힌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