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904B1 - 곡물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904B1
KR101443904B1 KR1020140058758A KR20140058758A KR101443904B1 KR 101443904 B1 KR101443904 B1 KR 101443904B1 KR 1020140058758 A KR1020140058758 A KR 1020140058758A KR 20140058758 A KR20140058758 A KR 20140058758A KR 101443904 B1 KR101443904 B1 KR 10144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using
opening
discharge port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길
Original Assignee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5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rot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547Gates or closures in multipl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는 수용 공간과,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배출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방 시에 상기 곡물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물 저장 용기{CONTAINER FOR STORING GRAIN}
본 발명은 곡물을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은 포대에 담겨서 대량으로 거래되거나, 소량으로 작은 봉지에 담겨서 판매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10Kg, 5Kg 등 정량으로 포대에 담겨서 판매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곡물을 임의의 양으로 봉지에 담아서 판매하게 된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 곡물을 임의의 양으로 담아야 하기에, 판매자는 곡물이 든 통에서 그릇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곡물을 퍼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판매자를 퍼낼 때마다 도구를 찾아서 이용해야 하는 점에서 판매자를 번거롭게 하는 요인이 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1540호(2014.03.13.)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곡물을 토출하며, 그 토출량의 조절이 편리한, 곡물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판매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곡물을 퍼내지 않고 간단히 조작으로 곡물이 토출되게 할 수 있는, 곡물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곡물 저장 용기는,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는 수용 공간과,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설치 대상물의 돌기 또는 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설치홈 또는 설치돌기를 갖는 설치판과, 일 부분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레일 부재와, 상기 레일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배출 공간 중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게 하는 조작 부재를 가져서, 상기 배출구의 개방 시에 상기 곡물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걸리는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 그루브를 구비하는 샤프트; 및 상기 결합 그루브에 삽입 결합되는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개구홀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조작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홀에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2 개구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곡물 저장 용기는, 곡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보다 작은 폭을 갖는 배출 공간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설치 대상물의 돌기 또는 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설치홈 또는 설치돌기를 갖는 설치판과, 일 부분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중에서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거나 상기 배출구와 어긋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배출 공간 중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회전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곡물을 밀어 상기 곡물을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배출구로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배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결합 그루브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결합 그루브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곡물 저장 용기에 의하면,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곡물을 토출하며, 그 토출량의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곡물을 퍼내지 않고 간단히 조작으로 곡물이 토출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 용기(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곡물 저장 용기(100)의 배출 공간(115) 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동 유닛(15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폐 플레이트(131)가 일부 이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폐 플레이트(131)가 최대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 용기(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곡물 저장 용기(100)는, 하우징(110)과, 개폐 유닛(130)과, 유도 유닛(150)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곡물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체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아크릴 재질의 플레이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은 수용 공간(111)과, 배출 공간(115)으로 나뉠 수 있다.
수용 공간(111)은 곡물이 투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이다. 수용 공간(111)의 상부에는 투입구(112)와, 그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113)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 공간(115)은 수용 공간(111)의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거치는 부분이다. 배출 공간(115)은 수용 공간(111)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용 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 공간(115)의 폭은 수용 공간(11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배출 공간(115)의 하부에는 배출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수용 공간(111)을 한정하는 경사판(121)을 가질 수 있다. 경사판(121)은 배출 공간(115)의 저면을 형성한다. 경사판(121)은 또한 배출 공간(115)을 향해 기울어져서, 곡물이 수용 공간(111)에서 배출 공간(115)으로 향하는 힘(중력)을 받게 한다.
하우징(110)은 또한 설치판(123)을 더 가질 수 있다. 설치판(123)은 경사판(121)의 하측에 연결되며, 대체로 수평한 판일 수 있다. 설치판(123)에는 설치돌기, 또는 예시된 바와 같은 설치홈(1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설치홈(124)은 곡물 저장 용기(100)가 놓이는 선반(S)에 형성될 돌기(P)를 수용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곡물 저장 용기(100)를 선반(S)에 대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개폐 유닛(130)은 배출구(116)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개폐 유닛(130)은 하우징(110) 중에서 배출 공간(115) 측에 배치된다. 또한, 개폐 유닛(130)은 하우징(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상태에서 배출구(116)를 막고 타 상태에서 배출구(116)를 막지 않도록 작동될 수 있다.
유도 유닛(150)은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곡물이 배출구(116)를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유도 유닛(150)은 배출 공간(11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10)에는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저장된다.
저장된 곡물은 개폐 유닛(130)의 조작에 따라 배출구(116)가 개방됨에 의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곡물이 배출구(116)를 통해 한 번에 쏟아져 나오지 않고 조금씩 나오도록 유도하는 것은 유도 유닛(150)의 조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개폐 유닛(130)과 유도 유닛(15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도 1의 곡물 저장 용기(100)의 배출 공간(115) 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개폐 유닛(130)은, 개폐 플레이트(131)와, 제한 부재(133)와, 레일 부재(135)를 가질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131)는 배출 공간(115)의 하측에 위치하는 판재일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131)는 배출구(116)에 대응하는 토출구(132)를 갖게 된다. 토출구(132)는 배출구(116)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배출구(116) 보다는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제한 부재(133)는 개폐 플레이트(131)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막대일 수 있다. 제한 부재(133)는, 예를 들어 개폐 플레이트(131)에 결합된 나사일 수 있다. 제한 부재(133)는 토출구(132) 옆에 위치하며, 개폐 플레이트(131)의 주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한 부재(133)는 또한 배출구(116) 내에 위치하게 된다.
레일 부재(135)는 개폐 플레이트(131)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레일 부재(135)는 하우징(110)의 양 측며에 설치되고, 개폐 플레이트(131)의 양 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게 된다.
유도 유닛(150)은 회전체(151)와, 조작 부재(156)를 가질 수 있다. 유도 유닛(150)의 설치를 위해, 하우징(110)에는 제1 개구홀(118)과 제2 개구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유닛(150)에 대해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유동 유닛(15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체(151)는 배출 공간(11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체(151)는 샤프트(152)와, 날개(155)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152)는 배출 공간(115)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축 부재이다. 샤프트(152)의 양단면에는 각각 결합홈(152a)와, 수용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152a)은 암나사산이 형성된 것이고, 수용홈(152b)은 나사산이 없는 것일 수 있다. 샤프트(152)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 그루브(15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그루브(15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날개(155)는 결합 그루브(153)에 끼워져서 샤프트(152)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날개(155)는 샤프트(15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날개(155) 역시 결합 그루브(153)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부재(156)는 회전체(151)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작 부재(156)는 샤프트(152)에 대해 결합 된다. 구체적으로, 조작 부재(156)는 조작 핀의 형태로서, 숫나사산을 가진다. 조작 부재(156)의 숫 나사산은 샤프트(152)의 결합홈(152a)의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 된다.
회전체(151)에 대한 지지를 위해, 유도 유닛(150)은 지지 핀(158)을 더 가질 수 있다. 지지 핀(158)은 샤프트(152)의 수용홈(152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지지 핀(158)은 하우징(110)의 제2 개구홀(119)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곡물의 토출을 위한 조작법에 대해 도 4,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개폐 플레이트(131)가 일부 이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폐 플레이트(131)가 최대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개폐 플레이트(131)는 하우징(110)의 뒤쪽으로 최대로 후퇴된 상태이다. 그에 의해, 제한 부재(133)는 배출구(116)의 뒤쪽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배출구(116)는 개폐 플레이트(131)에 의해 막혀서, 곡물은 상기 내부 공간에 갇혀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 플레이트(131)가 앞으로 조금 당겨짐에 의해, 제한 부재(133)는 배출구(116)의 내면에서 떨어져서 배출구(116)의 중앙 쪽에 접근한 위치가 된다. 이때, 토출구(132)는 배출구(116)와 다소 겹치게 되어, 배출구(116) 중 일 부분이 외부와 연통된다. 그에 의해, 배출 공간(115) 내의 곡물이 외부로 조금씩 배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 플레이트(131)가 앞으로 최대로 당겨짐에 의해, 제한 부재(133)는 배출구(116)의 내면 중 앞쪽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의해, 토출구(132)는 배출구(116)와 동심원 관계를 형성하여, 배출구(116) 중 토출구(132) 만큼의 영역이 외부에 대해 연통된다. 그 결과, 배출 공간(115) 내의 곡물은 본격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의 상태가 되더라도, 곡물 중 유도 유닛(150)의 하측에 있는 부분과 달리, 유도 유닛(150)의 상측에 위치한 곡물은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이는 유도 유닛(150)이 막고 있기 때문이다.
곡물을 추가로 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조작 부재(156)를 돌릴 수 있다. 이 경우, 날개(155)가 주변의 곡물을 배출구(116)를 향해 밀어 내리게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곡물이 추가로 배출구(11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곡물 저장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곡물 저장 용기 110: 하우징
111: 수용 공간 115: 배출 공간
130: 개폐 유닛 131: 개폐 플레이트
133: 제한 부재 135: 레일 부재
150: 유도 유닛 151: 회전체
156: 조작 부재

Claims (12)

  1.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는 수용 공간과,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설치 대상물의 돌기 또는 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설치홈 또는 설치돌기를 갖는 설치판과, 일 부분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레일 부재와, 상기 레일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배출 공간 중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게 하는 조작 부재를 가져서, 상기 배출구의 개방 시에 상기 곡물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걸리는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 그루브를 구비하는 샤프트; 및
    상기 결합 그루브에 삽입 결합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개구홀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조작 핀을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홀에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2 개구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핀을 더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11. 곡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상기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보다 작은 폭을 갖는 배출 공간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설치 대상물의 돌기 또는 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설치홈 또는 설치돌기를 갖는 설치판과, 일 부분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중에서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거나 상기 배출구와 어긋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배출 공간 중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회전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곡물을 밀어 상기 곡물을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배출구로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배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결합 그루브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결합 그루브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곡물 저장 용기.
KR1020140058758A 2014-05-16 2014-05-16 곡물 저장 용기 KR10144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58A KR101443904B1 (ko) 2014-05-16 2014-05-16 곡물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58A KR101443904B1 (ko) 2014-05-16 2014-05-16 곡물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904B1 true KR101443904B1 (ko) 2014-09-25

Family

ID=5176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758A KR101443904B1 (ko) 2014-05-16 2014-05-16 곡물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9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014A (ko) * 2001-01-12 2002-07-20 허원숙 곡물자판기
KR20100133279A (ko) * 2009-06-11 2010-12-21 양충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사각형 골판지 쌀통
KR20110007152U (ko) * 2010-01-11 2011-07-19 이영철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20140001540U (ko) * 2012-09-05 2014-03-13 김종안 곡물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014A (ko) * 2001-01-12 2002-07-20 허원숙 곡물자판기
KR20100133279A (ko) * 2009-06-11 2010-12-21 양충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사각형 골판지 쌀통
KR20110007152U (ko) * 2010-01-11 2011-07-19 이영철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20140001540U (ko) * 2012-09-05 2014-03-13 김종안 곡물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7572B2 (en) Appliance with an articulating handle
US8955350B2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and shav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60159555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US20110297763A1 (en) Portable spreader for particulate matter
US10390600B2 (en) Automatic hair powder dispenser
JP2015504703A5 (ko)
CN106136978B (zh) 定量分配装置及具有其的冰箱
US8959943B2 (en) Ice agitator
KR101443904B1 (ko) 곡물 저장 용기
US9126742B2 (en) Novelty dispenser
KR200390589Y1 (ko) 정량배출쌀통
KR102428585B1 (ko) 얼음저장고
TWI583908B (zh) 冰箱
KR100968595B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100631563B1 (ko) 얼음 적층방지 분쇄부를 구비한 아이스빈
KR20150046465A (ko) 회전식 토출구조를 갖춘 곡물수납장치
WO2006068177A1 (ja) 自動販売機
KR20150089489A (ko) 화장품 용기
KR200473085Y1 (ko)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US9398831B2 (en) Food pusher for food processor
US2024037A (en) Abrasive cleaner dispenser
WO2021051686A1 (zh) 一种流道开关自复位的食品重力盒
JP2005152283A (ja) 粒体貯蔵供給装置
KR20160141568A (ko) 가축용 사료탱크의 사료배출장치
CN219742081U (zh) 一种粉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