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540U - 곡물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540U
KR20140001540U KR2020120007898U KR20120007898U KR20140001540U KR 20140001540 U KR20140001540 U KR 20140001540U KR 2020120007898 U KR2020120007898 U KR 2020120007898U KR 20120007898 U KR20120007898 U KR 20120007898U KR 20140001540 U KR20140001540 U KR 201400015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pedestal
hopper
diaphragm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353Y1 (ko
Inventor
김종안
이남석
Original Assignee
김종안
이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안, 이남석 filed Critical 김종안
Priority to KR2020120007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53Y1/ko
Priority to PCT/KR2013/003651 priority patent/WO2014038770A1/ko
Publication of KR20140001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의 저장 및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곡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용적량을 갖되,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곡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내부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와 연결된 전방 개구부를 갖는 받침대; 상방 개방된 내부 곡물 저장공간부를 갖고, 상기 받침대 상부에 안착되는 저장통; 하단부에 배출구를 갖고, 상기 저장통 하부에 형성된 호퍼; 하단부에 상기 호퍼의 배출구와 마주하게 되는 배출공을 갖고, 상기 호퍼와 상응하도록 상기 받침대 상부에서 하방 요입 형성된 안착부; 상기 받침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공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통; 상기 배출공과 상응하는 대응배출공을 갖고, 상기 호퍼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개재되어, 전진 시 상기 대응배출공이 상기 배출공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후퇴 시 상기 대응배출공이 상기 배출공에서 어긋나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게 되는 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을 받침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내부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 저장용기{GRAIN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곡물의 저장 및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곡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용적량을 갖되,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곡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형 곡물 저장용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0589호(2005년 07월 21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정량배출쌀통"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쌀을 수용하는 함체와; 함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면서 레바의 상하동작에 의하여 반회전되어지는 컵과; 컵의 정확한 회전을 안내토록 하기 위하여 컵의 상측에 위치되어지는 가이드밴과; 상기 컵의 반회전에 의하여 투하되어지는 쌀을 수용토록 하면서 본체를 출입토록 하는 서랍함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레바의 작동에 의해 정량의 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체결수단에 의해 함체와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이들을 분리함으로써 내부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불편하며, 특히 각 구성요소가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져 이들을 구석구석 세척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은 크기를 갖되 더욱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내부 세척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곡물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곡물 저장용기는,
내부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와 연결된 전방 개구부를 갖는 받침대;
상방 개방된 내부 곡물 저장공간부를 갖고, 상기 받침대 상부에 안착되는 저장통;
하단부에 배출구를 갖고, 상기 저장통 하부에 형성된 호퍼;
하단부에 상기 호퍼의 배출구와 마주하게 되는 배출공을 갖고, 상기 호퍼와 상응하도록 상기 받침대 상부에서 하방 요입 형성된 안착부;
상기 받침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공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통;
상기 배출공과 상응하는 대응배출공을 갖고, 상기 호퍼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개재되어, 전진 시 상기 대응배출공이 상기 배출공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후퇴 시 상기 대응배출공이 상기 배출공에서 어긋나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게 되는 격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곡물 저장용기는,
저장통을 받침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내부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곡물 저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격판이 전진된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곡물 저장용기는 크게 받침대(100), 저장통(200), 수납통(300) 및 격판(4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받침대(100)는
사각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방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부(110)와, 상기 수용공간부(110)와 연결된 전방 개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통(200)은
상방 개방된 내부 곡물 저장공간부(210)를 갖고,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저장공간부(210)에는 각종 곡물뿐만 아니라 밀가루, 분말조미료 등 입자상의 다양한 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200) 상단부(上端部)에는 상기 저장공간부(210)의 개폐를 위한 도어(230)가 힌지(hinge)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저장통(200) 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부(210)에 저장된 곡물의 배출을 위하여 하단부(下端部)에 개방된 배출구(221)를 갖는 호퍼(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200)에 호퍼(2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호퍼(220)와 상응하도록 받침대(100) 상부에서 하방 요입 형성된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호퍼(220)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130)의 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저장통(200)이 상기 받침대(1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0)의 하단부에는 상기 호퍼(220)의 배출구(221)와 마주하게 되는 배출공(131)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131)은 상기 배출구(221)의 전부(前部) 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100)에 상기 저장통(2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고정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0)에는 상하 관통된 둘 이상의 결합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220)에는 상기 받침대(100)에 상기 저장통(200)의 안착 시 상기 각 결합부(134)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둘 이상의 후크형 대응결합부(2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100)에 상기 저장통(200)의 안착 시 상기 대응결합부(222)가 상기 결합부(134)를 통해 상기 받침대(100) 내측으로 진입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저장통(200)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납통(300)은
상기 배출공(131)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221) 및 배출공(131)을 통해 배출되는 곡물을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수납통(300)은 상기 받침대(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부(110)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0)의 하면에는 하방 돌출된 걸림돌기(135)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135)는 상기 수납통(300)의 삽입 시 수납통(300) 후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수납통(300)의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개구부(120)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납통(300)의 삽입 구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수납통(300)의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된 수납통(300)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상면에서 하방 요입된 리세스(3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된 수납통(3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안착부(130) 상부에서 하방 요입된 평탄부(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150) 중앙에는 상기 수납통(300)에 담긴 곡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60)이 설치된다.
이상에서 상기 받침대(100), 저장통(200) 및 수납통(300)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렴하고 작은 크기의 곡물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받침대(100), 저장통(200) 및 수납통(300)은 간단한 결합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상호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저장통(200) 및 수납통(300)이 받침대(1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는바, 이들을 각각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상기 격판(400)은
상기 배출공(131)과 상응하는 대응배출공(410)을 갖고, 상기 호퍼(220)와 상기 안착부(130) 사이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개재(介在)되는 것으로서,
전진 시 상기 대응배출공(410)이 상기 배출공(131)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221)를 개방하게 되고, 후퇴 시 상기 대응배출공(410)이 상기 배출공(131)에서 어긋나 상기 배출구(221)를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격판(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상기 대응배출공(410)과 상기 배출공(131)이 어긋나도록 후퇴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221)를 폐쇄하게 되고, 곡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배출공(410)과 상기 배출공(131)이 상호 일치하도록 전진하여 상기 배출구(221)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격판(400)을 상기 호퍼(220)와 상기 안착부(130) 사이에 개재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130)의 하단부 전방에는 격판(400)의 후단부(後端部)가 진입하게 되는 진입슬롯(132)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400)을 진퇴 동작을 위하여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개구부(120) 상측에 배치되는 인출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홈(140)에는 상기 격판(400)의 전단부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인출홈(140)을 통해 상기 격판(400)의 전단부를 잡고 격판(400)을 전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격판(400)의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격판(400)을 잡을 수 있도록 파지부(460)가 상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460) 전방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파지공(470)이 상하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격판(400)의 중앙부에는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스토퍼(42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20)는 상기 인출홈(140)과 상기 진입슬롯(140)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 및 후단부의 길이가 각각 상기 인출홈(140) 및 상기 진입슬롯(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격판(400)의 진퇴 구간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20)의 전단부 양측에는 상방 또는 하방 돌출된 제1서브스토퍼(44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420)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방 또는 하방 돌출된 제2서브스토퍼(4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브스토퍼(440)는 상기 격판(400)의 전진 동작 시 상기 인출홈(140)과 인접한 받침대(100)의 내벽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서브스토퍼(450)는 상기 격판(400)의 후진 동작 시 상기 진입슬롯(132)과 인접한 받침대(100)의 내벽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토퍼(420)에 의한 격판(400)의 진퇴 구간 제한 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420)의 양단부에는 하방 돌출된 가이드(4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430)는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된 상기 수납통(300)의 상단부 양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납통(300)의 출입 동작을 안내하여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된 수납통(300)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전진된 상기 격판(400)을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안착부(130)의 하단부 후방에는 상기 진입슬롯(132)을 통해 상기 호퍼(220)와 상기 안착부(130) 사이로 진입한 격판(400)의 후단부가 상기 수용공간부(110) 후방으로 출거(出去)하기 위한 출거슬롯(133)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400)의 후방에는 일단(一端)이 격판(400)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받침대(100)의 후단부 내벽에 고정되는 탄성부재(500)가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100)의 후단부에는 이의 내벽 상면에서 하방 돌출된 고정대(17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0)는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격판(400)의 후단부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고정대(170) 하단부에 체결되는 볼트(180)에 의해 고정대(170)와 볼트(180)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결국, 사용자에 의하여 전진된 상기 격판(400)은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되어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도시된 코일스프링뿐만 아니라, 고무줄과 같이 신축성 및 탄성력이 우수한 다양한 물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곡물 저장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받침대
110 ; 수용공간부 120 ; 개구부
130 ; 안착부
131 ; 배출공 132 ; 진입슬롯
133 ; 출거슬롯 134 ; 결합부
135 ; 걸림돌기
140 ; 인출홈 150 ; 평탄부
160 ; 투시창 170 ; 고정대
180 ; 볼트
200 ; 저장통
210 ; 저장공간부
220 ; 호퍼
221 ; 배출구 222 ; 대응결합부
230 ; 도어
300 ; 수납통
310 ; 리세스
400 ; 격판
410 ; 대응배출공 420 ; 스토퍼
430 ; 가이드 440 ; 제1서브스토퍼
450 ; 제2서브스토퍼 460 ; 파지부
470 ; 파지공
500 ; 탄성부재

Claims (6)

  1. 내부 수용공간부(110)와, 상기 수용공간부(110)와 연결된 전방 개구부(120)를 갖는 받침대(100);
    상방 개방된 내부 곡물 저장공간부(210)를 갖고,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안착되는 저장통(200);
    하단부에 배출구(221)를 갖고, 상기 저장통(200) 하부에 형성된 호퍼(220);
    하단부에 상기 호퍼(220)의 배출구(221)와 마주하게 되는 배출공(131)을 갖고, 상기 호퍼(220)와 상응하도록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서 하방 요입 형성된 안착부(130);
    상기 받침대(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부(110)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공(131)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통(300);
    상기 배출공(131)과 상응하는 대응배출공(410)을 갖고, 상기 호퍼(220)와 상기 안착부(130) 사이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개재되어, 전진 시 상기 대응배출공(410)이 상기 배출공(131)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221)를 개방하게 되고, 후퇴 시 상기 대응배출공(410)이 상기 배출공(131)에서 어긋나 상기 배출구(221)를 폐쇄하게 되는 격판(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30)의 하단부 전방에는 상기 격판(400)의 후단부를 상기 호퍼(220)와 상기 안착부(130)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한 진입슬롯(132)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개구부(120)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격판(400)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인출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400)의 중앙부에는 양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격판(400)의 진퇴 구간을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30)의 하단부 후방에는 상기 진입슬롯(132)을 통해 상기 호퍼(220)와 상기 안착부(130) 사이로 진입한 격판(400)의 후단부가 상기 수용공간부(110) 후방으로 출거하기 위한 출거슬롯(133)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400)의 후방에는 일단이 격판(400)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100)의 후단부 내벽에 고정되어, 전진 동작한 상기 격판(400)을 복귀시키게 되는 탄성부재(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20)의 양단부에는 하방 돌출되어 상기 수납통(300)의 출입 동작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4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20)의 전단부 양측에는 상방 또는 하방 돌출되어 상기 격판(400)의 전진 동작 시 상기 인출홈(140)과 인접한 받침대(100)의 내벽에 접하게 되는 제1서브스토퍼(44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420)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방 또는 하방 돌출되어 상기 격판(400)의 후퇴 동작 시 상기 진입슬롯(132)과 인접한 받침대(100)의 내벽에 접하게 되는 제2서브스토퍼(4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30)에는 상하 관통된 둘 이상의 결합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220)에는 상기 받침대(100)에 상기 저장통(200)의 안착 시 상기 각 결합부(134)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둘 이상의 후크형 대응결합부(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기.

KR2020120007898U 2012-09-05 2012-09-05 곡물 저장용기 KR200473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98U KR200473353Y1 (ko) 2012-09-05 2012-09-05 곡물 저장용기
PCT/KR2013/003651 WO2014038770A1 (ko) 2012-09-05 2013-04-26 곡물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98U KR200473353Y1 (ko) 2012-09-05 2012-09-05 곡물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40U true KR20140001540U (ko) 2014-03-13
KR200473353Y1 KR200473353Y1 (ko) 2014-07-04

Family

ID=5023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898U KR200473353Y1 (ko) 2012-09-05 2012-09-05 곡물 저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3353Y1 (ko)
WO (1) WO20140387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04B1 (ko) * 2014-05-16 2014-09-25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곡물 저장 용기
KR20160018028A (ko) *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포커스 가정용 정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2728A (zh) * 2017-12-22 2018-06-29 枞阳县田园面业有限责任公司 一种家用自带筛选功能的大米加工存放装置
KR102340357B1 (ko) * 2020-08-28 2021-12-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분유 공급 장치
CN113800085B (zh) * 2021-09-21 2023-12-22 郑红燕 层叠粮食存放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9042B2 (ja) * 1997-03-05 1999-06-23 ジーエーシー株式会社 穀物収納庫
JP2000014238A (ja) * 1998-07-07 2000-01-18 Sawafuji Electric Co Ltd 穀物貯蔵庫
KR200390589Y1 (ko) * 2005-04-29 2005-07-21 이영철 정량배출쌀통
KR20100003117U (ko) * 2008-09-10 2010-03-18 김두환 정량 인출장치
KR200453365Y1 (ko) * 2008-09-24 2011-04-27 하정길 쌀통
KR20120029531A (ko) * 2010-09-17 2012-03-27 박재균 쌀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04B1 (ko) * 2014-05-16 2014-09-25 (주)고성디자인엔지니어링 곡물 저장 용기
KR20160018028A (ko) *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포커스 가정용 정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353Y1 (ko) 2014-07-04
WO2014038770A1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353Y1 (ko) 곡물 저장용기
US9915470B2 (en) Refrigerator
US8677778B2 (en) Refrigerator
CN110279379B (zh) 分配器和洗涤电器
AU2004245587A1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US9914564B2 (en) Dispenser
KR101336894B1 (ko) 냉장고의 곡물저장통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334608Y1 (ko) 수납통
AU2019210609A1 (en) Refrigerator
CN206120174U (zh) 一种收纳盒
CN210673266U (zh) 分配器和洗涤电器
CN110279380B (zh) 分配装置和洗涤电器
US11089939B2 (en) Dishwasher with detergent storage
PL1606193T3 (pl) Dozownik tabletek
CN106108740B (zh) 一种收纳盒
KR101120822B1 (ko) 거품비누 디스펜서
KR100852672B1 (ko)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274156B1 (ko) 원터치형 정량 인출케이스
KR101237701B1 (ko) 가변적 수납공간이 구비된 욕실수납장
KR20110007152U (ko) 자동으로 정위치에 복귀되는 수단을 가진 정량배출쌀통.
KR200477427Y1 (ko)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수납용기
KR101567826B1 (ko) 욕실용 선반
CN215305303U (zh) 一种厨房用收纳盒
KR101278389B1 (ko)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CN210673265U (zh) 分配装置和洗涤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