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57B1 - 분유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분유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57B1
KR102340357B1 KR1020200109287A KR20200109287A KR102340357B1 KR 102340357 B1 KR102340357 B1 KR 102340357B1 KR 1020200109287 A KR1020200109287 A KR 1020200109287A KR 20200109287 A KR20200109287 A KR 20200109287A KR 102340357 B1 KR102340357 B1 KR 10234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ed milk
main body
metering
piston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진
류성기
우위팅
김남용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유를 계량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로 분유 용기가 결합되며 하부로는 상기 분유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분유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는 분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계량 피스톤의 누름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분량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고, 분유 용기가 본체에 결합된 호퍼부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분유 용기의 개폐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유의 정량 공급을 수행하는 계량 피스톤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미사용중에도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정량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유 공급 장치{Supply apparatus for powdered milk}
본 발명은 분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분유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유 수유를 필요로 하는 아기들에게는 정량의 분유와 물을 혼합하여 수유를 하게 된다.
이때, 분유통에 들어있는 스푼을 이용하여 분유의 혼합량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푼을 이용하여 분유를 계량할 때, 스푼의 삽입 정도에 따라 분유의 계량 정도가 변화되어 물과 혼합되는 분유의 양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분유 계량 시, 분유 용기를 반복해서 열거나 손을 계속 만지거나 등 이유로 인해 분유에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유 수유 시, 분유통에 함께 첨부된 스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이다. 이때, 동일한 스푼의 반복된 사용에 의해 스푼에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3-0004796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분량의 분유를 공급할 수 있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통이 본체 상부에 결합되고, 본체 하부로는 호퍼부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분유 용기의 개폐에 따라 분유 용기에 저장된 분유에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의 정량 공급을 수행하는 계량 피스톤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계량 피스톤의 공급부에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고 이에 따라 계량 피스톤의 오염이 방지되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정량 공급할 수 있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 분유통이 결합되므로, 분유통에 저장된 분유를 본체에 옮겨담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분유통 사이에 결합된 호퍼부를 통해 분유통에 저장된 분유가 남김없이 공급될 수 있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유를 계량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로 분유 용기가 결합되며 하부로는 상기 분유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분유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부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타단으로는 상하로 관통하여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계량 피스톤과, 상부 중앙으로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하부 일단으로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로드 이동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계량 피스톤이 내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박스와, 상기 계량 피스톤의 타단 양측으로 상기 로드 이동홀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가이드 박스의 양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 로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대와,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로드에 대하여 인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계량 피스톤의 하부에 이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계량되어 공급되는 상기 분유가 저장되는 분유 공급대를 포함하는 분유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계량 피스톤의 타단은, 상기 본체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의 체적은, 상기 계량 피스톤 1회 조작 시 계량될 수 있다.
상기 분유 공급대는, 상기 계량 피스톤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유 공급대의 일단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계량 피스톤의 누름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분량의 분유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통이 본체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본체 하부로는 호퍼부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분유 용기의 개폐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의 정량 공급을 수행하는 계량 피스톤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계량 피스톤의 공급부에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고 이에 따라 계량 피스톤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사용자에게 정량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 분유통이 결합되므로, 분유통에 저장된 분유를 본체에 옮겨담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분유통 사이에 결합된 호퍼부를 통해 분유통에 저장된 분유가 남김없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량 피스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이드 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이드 박스에 형성된 유입홀과 유출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100)는 본체(110), 받침대(120), 호퍼부(130), 계량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소정의 직경을 갖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상부에는 분유통(1)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후술하는 받침대(120)가 결합된다. 또한, 본체(110)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호퍼부(130)가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10)의 직경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분유가 담긴 분유통의 직경에 대응한다.
받침대(120)는 본체(110)의 직경에 대응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20)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10)를 지지한다.
호퍼부(130)는 상부로 분유통(1)이 결합되어, 분유통(1)의 분유가 하부로 배출된다.
호퍼부(130)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호퍼부(130)는 본체(1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하부로 진행하며 점차 직경이 감소된다. 호퍼부(130)의 최하단으로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고 분유통(1)에 저장된 분유가 배출되는 배출구(132)가 배치된다.
계량부(140)는 호퍼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분유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량부(140)는 계량 피스톤(142), 가이드 박스(144), 고정로드(1424), 고정대(1446), 스프링(146), 분유 공급대(148)를 포함한다.
계량 피스톤(142)은 본체(110) 내부에서 호퍼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호퍼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분유가 일정량씩 후술하는 분유 공급대(148)로 공급되도록 계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량 피스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계량 피스톤(142)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11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계량 피스톤(142)의 일단은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계량 피스톤(142)의 타단은 본체(110) 내측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계량 피스톤(142)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계량 피스톤(142)의 이동 거리는 본체(110) 외부로 돌출된 계량 피스톤(142) 일단의 돌출 정도에 대응한다.
그리고, 계량 피스톤(142)의 타단으로는 상하로 관통되는 공급구(1422)가 형성된다.
공급구(1422)의 하단은 후술하는 가이드 박스(144)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분유가 임시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공급구(1422)는 계량 피스톤(142)이 이동하여 후술하는 유출홀(1444)와 연통되면 호퍼부(130)에서 후술하는 분유 공급대(148)로 공급되는 분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공급구(1422)의 체적은 계량 피스톤(142) 1회 조작 시 공급되는 분유의 양에 대응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이드 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박스(144)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가이드 박스(144)의 크기는 계량 피스톤(142)의 크기에 대응한다.
가이드 박스(144)의 내측으로는 계량 피스톤(142)이 가이드 박스(14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계량 피스톤(142)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이드 박스에 형성된 유입홀과 유출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박스(144)의 상부 중앙으로는 유입홀(1442)이 형성된다. 유입홀(1442)는 계량 피스톤(142)의 공급구(1422)와 연통하여, 호퍼부(130)에서 배출되는 분유가 공급구(1422)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박스(144)의 일단 하부로는 유출홀(1444)이 형성된다. 계량 피스톤(142)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면, 공급구(1422) 내측의 분유가 유출홀(1444)를 통해 분유 공급대(148)로 공급된다.
또한, 가이드 박스(144)의 양측으로는 소정의 폭을 갖는 로드 이동홀(1448)이 수평으로 형성된다.
고정로드(1424)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계량 피스톤(142)의 일단 양측으로 배치되고, 로드 이동홀(1448)을 통해 소정 길이로 노출된다. 또한, 고정로드(1424)에는 후술하는 스프링(146)의 일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로드(1424)의 배치 위치는 공급구(1422)의 양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대(1446)는 가이드 박스(144)의 양측으로 배치되되, 고정로드(1424)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고정대(1446)에는 후술하는 스프링(146)의 타단이 연결된다.
스프링(146)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단은 고정로드(1424)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대(1446)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계량 피스톤(142)의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일단을 누름 조작한 후, 조작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46)은 고정로드(1424)에 대하여 인장력을 인가하여 계량 피스톤(142)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분유 공급대(148)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부는 개방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분유가 공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분유 공급대(148)는 계량 피스톤(142) 하부에 계량 피스톤(14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공급구(1422)를 통해 공급된 분유가 내측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분유 공급대(148)의 일단으로는 소정의 손잡이(149)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유 공급대(148)는 받침대(120) 내측으로 배치되지만, 계량 피스톤(142)을 통해 분유를 공급받을 수 있다면, 본체(110) 내측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분유통(1)의 마개를 개봉한 후, 호퍼부(130)와 결합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다.
이후 사용자가 분유 수유를 필요로 할 때,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계량 피스톤(142)의 단부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누른다.
여기서, 계량 피스톤(142)의 공급구(1422) 내측으로는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된 분유가 소정량으로 채워진 상태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계량 피스톤(142)은 본체(11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계량 피스톤(142)의 이동에 따라, 공급구(1422) 내측의 분유도 함께 이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급구(1422)의 하단이 유출홀(1444)와 연통되면, 공급구(1422) 내측의 분유가 분유 공급대(148)의 내측으로 쏟아진다.
이후, 사용자가 계량 피스톤(142)에 인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46)의 인장력에 의해 계량 피스톤(142)은 원위치로 복귀하고, 공급구(1422) 내측으로는 배출구(132)와 유입홀(1442)를 통해 분유가 공급된다.
이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계량 피스톤(142)에 대하여 복수의 회수로 힘을 힌가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양의 분유가 분유 공급대(148)로 이동한다.
이후, 사용자는 손잡이(149)를 이용하여 분유 공급대(148)를 꺼내어 분유 수유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계량 피스톤의 누름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분량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고, 분유 용기가 본체에 결합된 호퍼부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분유 용기의 개폐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유의 정량 공급을 수행하는 계량 피스톤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계량 피스폰의 공급부에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고 이에 따라 계량 피스톤의 오염이 방지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정량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분유 공급 장치 110: 본체
120: 받침대 130: 호퍼부
140: 계량부

Claims (6)

  1. 분유통에 담겨있는 분유를 계량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분유통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로는 상기 분유통이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로 분유 용기가 결합되며 하부로는 상기 분유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의 상기 배출구로 진행하며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분유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부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타단으로는 상하로 관통하여 상부의 면적이 상기 배출구의 면적에 대응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계량 피스톤과,
    상부 중앙으로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하부 일단으로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로드 이동홀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계량 피스톤이 내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박스와,
    상기 계량 피스톤의 타단 양측으로 상기 로드 이동홀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가이드 박스의 양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 로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대와,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로드에 대하여 인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계량 피스톤의 하부에 이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계량되어 공급되는 상기 분유가 저장되는 분유 공급대를 포함하는 분유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인 분유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피스톤의 타단은,
    상기 본체 내주면과 이격되는 분유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의 체적은,
    상기 계량 피스톤 1회 조작 시 계량되는 상기 분유의 양에 대응되는 분유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공급대는,
    상기 계량 피스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분유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공급대의 일단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분유 공급 장치.
KR1020200109287A 2020-08-28 2020-08-28 분유 공급 장치 KR10234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87A KR102340357B1 (ko) 2020-08-28 2020-08-28 분유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87A KR102340357B1 (ko) 2020-08-28 2020-08-28 분유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357B1 true KR102340357B1 (ko) 2021-12-15

Family

ID=7886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287A KR102340357B1 (ko) 2020-08-28 2020-08-28 분유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3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00U (ko) * 1998-03-04 1999-10-05 홍명석 분말세제 정량 공급장치
KR200473353Y1 (ko) * 2012-09-05 2014-07-04 이남석 곡물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00U (ko) * 1998-03-04 1999-10-05 홍명석 분말세제 정량 공급장치
KR200473353Y1 (ko) * 2012-09-05 2014-07-04 이남석 곡물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4576B1 (en) Soap dispensing device
NO894351L (no) Doseringsapparat.
GB2427352B (en) Apparatus for wetting a cleaning tool
KR20200018460A (ko) 향수 용기의 개선 또는 향수 용기와 관련된 개선
KR102340357B1 (ko) 분유 공급 장치
EP1817975A1 (en) Service trolley for a hair salon
US5758803A (en) Milk powder dispenser
US2603386A (en) r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ATE525134T1 (de) Haltegestell für dosierungseinheiten mit aktiver benutzeranleitungsvorrichtung
CN1749122A (zh) 可调节的颗粒分配器
US2402707A (en) Dispensing apparatus
CN103542922B (zh) 称量器具
KR200190409Y1 (ko) 분말공급장치
KR20150043957A (ko)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SE0201312D0 (sv) Automatisk doserare
US3830410A (en) Liquid dispenser of the metering type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1788937B1 (ko) 액제 용기용 정량토출장치
JP2632490B2 (ja) 散薬自動分包機
ES476306A2 (es) Un dispositivo para la cesion por impulsos de cantidades de liquidos muy pequenas
JP2000266643A (ja) 粉粒体試料定量分配器
CN212017727U (zh) 一种表面活性剂进料装置
KR100588530B1 (ko) 일정량 배출 가능한 용기
KR200453971Y1 (ko) 화장품 용기용 볼 투입 장치
CN218402739U (zh) 粉末投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