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270Y1 - 분말 정량공급기 - Google Patents

분말 정량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270Y1
KR200275270Y1 KR2020020003510U KR20020003510U KR200275270Y1 KR 200275270 Y1 KR200275270 Y1 KR 200275270Y1 KR 2020020003510 U KR2020020003510 U KR 2020020003510U KR 20020003510 U KR20020003510 U KR 20020003510U KR 200275270 Y1 KR200275270 Y1 KR 200275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upply
main storage
storage container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김종대
Original Assignee
김종운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운, 김종대 filed Critical 김종운
Priority to KR2020020003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270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분말의 정량공급을 간편하게 하는 분말 정량공급기에 대해 개시한다. 상부블럭(30)은 메인저장용기가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부(31)와, 메인저장용기와 연통하는 제1공급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블럭(40)은 상부블럭과 결합되어 일정공간의 내부공간(80)을 형성하며, 제1공급구멍과 연통하는 제2공급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눈금이 새겨진 분배량 측정표시부(41a)가 마련되어 있다. 분배용기(20)는 제2결합부(41)에 나사결합되어 메인저장용기의 분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분배용기의 단부를 분배량 표시부의 원하는 눈금에 맞추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정량을 분배시킬 수 있다. 분배용기에 분말의 정량을 공급시키기 위해 제1,2공급구멍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은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제1,2공급구멍과 연동하는 연통구멍(51a)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50)를 가지는 슬라이드봉(51)과, 연통구멍과 제1,2공급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슬라이드봉(51)을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60)를 구비한다. 이 분말 정량공급기는 사용자의 숙련정도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분말을 분배용기에 간편하게 분배할 수 있게 하므므로 이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

Description

분말 정량공급기{fixed powder quanity supplier}
본 고안은 분말 정량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분유와 같은 분말가루를정량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한 분말 정량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분유통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정에서는 분유를 유아가 필요로 하는 용량만큼을 분유통에서 스푼으로 떠내어 분유병에 채우고 분유병에 물을 부어 용해시켜 식유시킨다.
가정(실내)에서는 분유통을 놓을수 있는 공간이 항상 확보되어 있고, 또한 일정한 장소에 분유통을 고정시켜 놓고 필요할 때 마다 분유를 떠내어 사용한다.
그러나 실외에서는 부피가 큰 분유통을 직접 휴대하기에는 불편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용량의 용기(1)가 다수 결합된 분유 저장용기(2)를 휴대하여 사용하곤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분유를 정량으로 분배하는 근본적인 방법은 스푼을 이용하는 방법이므로, 스푼으로 분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분유가 바닥으로 흐터지는 염려가 있고 또한 스푼의 크기에 따라 분유의 정량 계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숙련자라도 분말을 정확하게 원하는 용량으로 분배되도록 한 분말 정량공급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유 저장용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분말 정량공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정량공급기의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정량공급기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메인저장용기 20...분배용기
30...상부블럭 31...제1결합부
32...제1공급구멍 40...하부블럭
41...제2결합부 42...제2공급구멍
50...작동노브 51...슬라이드봉
60...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분말 정량공급기는 분말이 저장되는 메인저장용기;와
상기 메인저장용기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메인저장용기와 연통하는 제1공급구멍이 형성된 상부블럭;과
상기 상부블럭과 결합되어 일정공간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급구멍과 연통하는 제2공급구멍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분배량 측정표시부가 마련된 제2결합부를 가지는 하부블럭;과
상기 제2결합부에 회전결합되어 상기 메인저장용기의 분말이 공급되는 분배용기;와
상기 제1,2공급구멍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상기 제1,2공급구멍과 연동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를 가지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연통구멍과 제1,2공급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봉을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상기 제1,2공급구멍과 연동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를 구비하여 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배용기를 제2결합부에 결합시킬때 원하는 분배량 표시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면 메인저장용기의 분말이 분배량만큼 공급된다. 이에따라서 사용자의 숙련정도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분말이 분배용기에 공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말 정량공급기를 나타낸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는 분말(100)이 저장되는 메인저장용기(10), 상부블럭(30), 하부블럭(40) 및 분배용기(20)가 미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블럭(30)은 상기 메인저장용기(10)가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부(31)와, 상기 메인저장용기(10)와 연통하는 제1공급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블럭(40)은 상기 상부블럭(30)과 결합되어 일정공간의 내부공간(80)을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급구멍(32)과 연통하는 제2공급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눈금이 새겨진 분배량 측정표시부(4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분배용기(20)는 상기 제2결합부(4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메인저장용기(10)의 분말(100)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분배용기(20)의 단부를 상기 분배량 표시부(41a)의 원하는 눈금에 맞추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정량을 분배시킬 수 있다.
한편, 분배용기(20)에 분말(100)의 정량을 공급시키기 위해 상기 제1,2공급구멍(32)(42)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상기 제1,2공급구멍(32)(42)과 연동하는 연통구멍(51a)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50)를 가지는 슬라이드봉(51)과, 상기 연통구멍(51a)과 제1,2공급구멍(32)(42)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봉(51)을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스프링부재(6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봉(51)이 상기 제1,2공급구멍(32)(42)을 폐쇠시키게 되며, 분말(100)의 공급을 위해서 상기 작동노브(50)를 누르게 되면 슬라이드봉(51)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연통구멍(51a)이 상기 제1,2공급구멍(32)(42)과 일치하게 됨으로써 분말(100)이 분배용기(20)측으로 공급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개폐수단을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내부공간(8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상기 제1,2공급구멍(32)(42)과 연통하는 연통구멍(71a)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70)를 가지는 회전로드(71)를 구비하여 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드(71)의 회전정도에 따라서 상기 연통구멍(71a)이 상기 제1,2공급구멍(32)(42)과 연결 또는 차단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분말 정량공급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메인저장용기(10)에 분유와 같은 분말을 충전시키고,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51)과 회전로드(71)로 제1,2공급구멍(32)(42)를 차단시켜 놓는다. 분배용기(20)에 일정량의 분말(100)을 분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분배용기(20)의 단부를 분배량 표시부(41a)의 원하는 눈금에 맞추도록 제2결합부(41)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작동노브(50)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르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봉(51)의 연통구멍(51a)이 상기 제1,2공급구멍(32)(42)을 연결하여 통하도록 위치되어서, 메인저장용기(10)내의 분말(100)이 분배용기(20)에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분말(100)의 공급량은 상기 분배용기(20)의 결합높이에 의해서 즉, 분배용기(20)와 제2결합부(41)와의 결합높이에 의해서 정하여진다.
메인저장용기(10)로부터 분말(100)의 공급시 제1,2공급구멍(32)(42)을 연통시키는 방법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노브(70)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연통구멍(71a)이 제1,2공급구멍(32)(42)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저장용기(10) 및 분배용기(20)는 투명소재로 형성되어서, 분배되는 분말(100)의 양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상기 본 고안 분말 정량공급기는 상기 분배용기를 제2결합부에 결합시킬때 그 단부를 원하는 분배량 표시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면 메인저장용기의 분말이 분배용기에 원하는 분배량만큼 공급된다. 이에따라서 사용자의 숙련정도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분말을 분배용기에 간편하게 분배할 수 있게 하므므로 이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

Claims (3)

  1. 분말이 저장되는 메인저장용기;와
    상기 메인저장용기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메인저장용기와 연통하는 제1공급구멍이 형성된 상부블럭;
    상기 상부블럭과 결합되어 일정공간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급구멍과 연통하는 제2공급구멍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분배량 측정표시부가 마련된 제2결합부를 가지는 하부블럭;과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저장용기의 분말이 공급되는 분배용기;와
    상기 제1,2공급구멍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상기 제1,2공급구멍과 연동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를 가지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연통구멍과 제1,2공급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봉을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공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몸체에 상기 제1,2공급구멍과 연동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공급기.
KR2020020003510U 2002-02-04 2002-02-04 분말 정량공급기 KR200275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510U KR200275270Y1 (ko) 2002-02-04 2002-02-04 분말 정량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510U KR200275270Y1 (ko) 2002-02-04 2002-02-04 분말 정량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270Y1 true KR200275270Y1 (ko) 2002-05-11

Family

ID=7311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510U KR200275270Y1 (ko) 2002-02-04 2002-02-04 분말 정량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27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7Y1 (ko) 2009-08-05 2010-02-24 (주)레몬옐로우 분유 정량 배출용기
KR101179698B1 (ko) * 2010-02-19 2012-09-04 차종헌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KR101607151B1 (ko) * 2014-03-12 2016-03-29 (주)레몬옐로우 분유디스펜서
KR102026193B1 (ko) 2018-08-22 2019-09-27 주식회사 다운 분말 정량공급장치
KR20220042018A (ko)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7Y1 (ko) 2009-08-05 2010-02-24 (주)레몬옐로우 분유 정량 배출용기
KR101179698B1 (ko) * 2010-02-19 2012-09-04 차종헌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KR101607151B1 (ko) * 2014-03-12 2016-03-29 (주)레몬옐로우 분유디스펜서
KR102026193B1 (ko) 2018-08-22 2019-09-27 주식회사 다운 분말 정량공급장치
KR20220042018A (ko)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5962A (en) Constant quantity discharging device for powdered object
US20130291738A1 (en)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US10480503B2 (en) Portable foodstuff container
KR200275270Y1 (ko) 분말 정량공급기
US20060007781A1 (en) Formula mixing appliance
US20080121651A1 (en) Spreadable food metered dispenser
US8002153B2 (en) Powder food dispenser
US8181830B2 (en) Powder dispenser
US4066186A (en) Instant coffee dispenser
JP2008505667A (ja) 粉末計量装置
KR100900984B1 (ko)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KR20110005547U (ko) 가정용 수제 화장품 제조를 위한 복합 장치
US5280846A (en) Liquid and granular fluid dispenser
US20230011151A1 (en) A handheld dispenser for dispensing a powder
JP2010215250A (ja) 液体計量注出容器
JPS58815Y2 (ja) 定量計量容器
US20060231570A1 (en) Automatic machine for dosing water and dental alginate
US7559442B1 (en) Laundry soap dispensing apparatus
JP2011140325A (ja) 計量繰出し容器
US4158374A (en) Measuring dispenser
US2782966A (en) Dispensers
JP3060933B2 (ja) 計量カップ付き容器
JP7471187B2 (ja) 計量容器
US20060231573A1 (en) Automatic machine for dosing water and dental alginate
JP2005153938A (ja) 計量機能付き粉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