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57Y1 - 분유 정량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분유 정량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57Y1
KR200447857Y1 KR2020090010237U KR20090010237U KR200447857Y1 KR 200447857 Y1 KR200447857 Y1 KR 200447857Y1 KR 2020090010237 U KR2020090010237 U KR 2020090010237U KR 20090010237 U KR20090010237 U KR 20090010237U KR 200447857 Y1 KR200447857 Y1 KR 200447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il
milk powder
circular tube
powdered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섭희
이희만
유광민
Original Assignee
(주)레몬옐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몬옐로우 filed Critical (주)레몬옐로우
Priority to KR2020090010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분유의 계량되는 양이 가변되도록 하여 유아의 개월 수 및 연령대에 맞는 양의 분유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분유 정량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며, 분유를 담거나 내부의 분유를 배출하기 위한 입구가 구비되며, 입구에는 부채꼴 형상의 제 1 배출공이 형성된 마개가 설치되는 분유통; 마개에 형성된 제 1 배출공과 일치되는 제 2 배출공이 형성된 격판이 구비되며 격판의 하부에는 상부용기가 형성된 미들케이스; 및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계량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가 형성되며,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고, 분유가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분유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출생 개월 수에 맞는 적정량의 분유를 1회에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와 구조가 간단하여 기구의 사용에 익숙하기 않은 사용자도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을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분유통, 마개, 배출공, 계량부, 덮개, 걸림돌기, 레일, 배출구

Description

분유 정량 배출용기{FIXED QUANTITY DISCHARGE COURAGE OF POWDERED MILK}
본원 고안은 분유를 휴대하기 용이하게 보관하는 한편, 유아가 섭취하는 분유를 보관 및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유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한편, 분유의 계량되는 양이 가변되도록 하여 유아의 개월 수 및 연령대에 맞는 양의 분유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분유 정량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모유를 대신해 유아에게 제공되는 분유는 물에 타서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된 것으로서, 보관 시에는 물이나 습기로부터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유는 가급적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기에 노출된 때에는 신속하게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유는 유아의 생후 개월 수에 맞는 권장섭취량이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은 권장섭취량은 과학적으로 산출된 것으로서, 소화기가 성인에 비해 약한 유아들은 해당 제품에 표시된 권장량에 맞게 분유를 섭취하여야만 소화기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따라서 시중에 유통 중인 분유는 포장용기 내부에 개량스푼이 삽입되어 있 고, 각 가정에서는 포장용기에 동봉된 개량스푼으로 분유를 개량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분유용기에 동봉된 개량스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유를 탈 때마다 매번 분유용기를 개봉해야 하므로 분유가 대기 중의 습기에 주기적으로 노출되는 문제와 개량스푼을 손으로 만지기 때문에 개량스푼의 위생상태도 사용자의 손의 청결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청결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유아와 함께 외출할 때에는 유아의 분유 섭취주기를 고려한 양의 분유와 젖병을 지참하고 외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외출할 때 필요한 분유를 보관하는 분유용기는 이미 다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분유용기의 예로는 다단으로 연속되게 결합되는 용기로 구성된 것과 일정량씩의 분유를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로 구성된 것이 있다.
먼저, 다단으로 연속되게 결합되는 용기로 구성된 경우에는 각 단에 1회에 섭취할 수 있는 분유를 미리 담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 신속하게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각 단에는 분유를 담는 공간 이외의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담기는 분유의 양보다 부피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일정량씩 분유가 배출되는 분유용기로 구성된 것을 살펴보면, 분유용기를 조작함에 따라 분유가 정해진 양만큼 배출되어 2회에서 3회 정도 분유를 배출시켜 사용하는 것과 분유의 배출량이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1회에 유아가 섭취할 수 있는 분량의 분유가 배출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분유용기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기구의 사용에 익숙 하지 않은 여성들의 경우에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이는 분유용기가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주 소독하여야만 하는 유아용품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한 경우 기구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들의 경우 분유용기를 분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설령 분유용기를 분해하여 소독하였다 하여도 기구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들의 경우 분유용기의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품이 많은 경우에는 분해 후 소독한 뒤 다시 조립하는 과정에서 일부 작은 부품들을 분실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유용기를 분해 후 소독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일부 부품을 분실하는 경우에는 제조사에서도 소비자의 과실에 의한 파손으로 간주하여 실비로 부품을 구입하도록 하고 있어,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유용기의 구조가 가급적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단 사용자의 편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제조하는 입장에서도 부품의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한 경우에는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생산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더욱 저렴하게 물건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유가 외기와 접촉되지 않게 담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이 간편하도록 배출되는 분유의 양이 가변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내부에 보관된 분유의 양과 배출되는 분유가 정량씩 정확히 배출될 수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기구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는 내부에 분유를 담거나 내부의 분유를 배출하기 위한 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구에는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된 제 1 배출공이 형성된 마개가 설치되는 분유통; 상기 분유통이 상부에 결합되고, 원통 형상의 제 1 원형관과 상기 제 1 원형관의 내부에 중첩되게 제 1 원형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원형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원형관의 외주면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걸림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원형관의 내부에는 상기 마개와 접하며 상기 마개에 형성된 제 1 배출공과 일치되는 제 2 배출공이 형성된 격판이 구비되며 상기 격판의 하부에는 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가 형성된 미들케이스; 및 상기 미들케이스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제 1 원형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내주면이 형성된 제 3 원형관과 상기 제 3 원형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2 원형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 4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원형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원형관에 구비된 걸림돌기들이 삽입되는 레일들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원형관에는 상기 제 2 원형관의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계량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기의 하부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원형관의 외부 저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미들케이스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가 이동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로 구성된 상기 계량부의 용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뒤 쉽게 빠지지 않도록 제 3 원형관의 단부에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형성된 제 1 레일과 일측이 상기 제 1 레일의 단부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레일 및 상기 제 2 레일의 타측 단부에서부터 제 3 원형관의 내부로 형성된 제 3 레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내부에 절개홈이 있어 내부로 좁혀지면서 상기 레일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걸림돌기가 단계적으로 걸려 멈춰지도록 레일의 폭보다 큰 직경의 멈춤홈이 균일한 간격으로 제 3 레일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들케이스의 제 1 외형관의 상부에는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으로 구분된 상부 외주면에는 구름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는 덮개는 저면에 원형의 테두리가 구비되고, 상기 저면의 내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만곡부가 형성되어 스탠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는 분유가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분유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유의 배출량이 가변됨으로 인해 출생 개월 수에 맞는 적정량의 분유를 1회에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기구의 사용에 미숙한 사용자도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을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분유통과 마개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미들케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에 덮개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 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덮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케이스의 걸림돌기와 하부케이스의 레일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 상세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의 계량부가 확장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의 분유통과 계량부 사이에 배출공이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는 분유가 담기는 분유통(100)과 분유통(100)의 분유를 일정량씩 개량한 뒤 배출시키는 계량부(10)가 구비되는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로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유통(100)은 내부에 분유를 담거나 내부에 담긴 분유가 계량부(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10)에는 마개(120)가 체결된다.
상기에서 입구(110)와 마개(120)는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고, 입구(110)와 마개(120) 중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링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절개부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돌기가 삽입되게 한 뒤 상기 돌기를 상기 링의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켜 체결시킬 수도 있다.
즉, 입구(110)와 마개(120)의 견고한 결합을 원할 때에는 입구(110)와 마개(120)의 양측에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시켜 나사결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구(110)와 마개(120)의 신속한 체결과 분리를 원할 때에는 일측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링을 구비시키고 타측에는 상기 링에 삽입 및 회전에 의해 체결되는 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마개(120)는 분유통(10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분유통(100)의 입구(110)에 체결된 뒤 분유통(100)의 위치에 따라 분유통(100)의 입구(11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마개(120)에는 마개(12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개된 부채꼴 형상의 제 1 배출공(121)이 구비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들케이스(200)는 상기 분유통(100)이 체결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제 1 원형관(201)과 제 2 원형관(20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원형관(202)은 상기 제 1 원형관(201)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원형관(201)의 내부에 중첩되게 하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미들케이스(200)의 제 1 원형관(201)의 외주면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걸림돌기(210)들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걸림돌기(210)는 최소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후에 설명될 하부케이스(300)와 미들케이스(200)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가 걸림돌기(210)와 하부케이스(300)의 레일(310: 도 9 참조)의 결합에 의해 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걸림돌기(210)는 상기 제 1 원형관(2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개공(250)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절개홈(211)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분활되고, 상기 양측으로 분활된 각각의 걸림돌기(210)는 연결편(251)에 의해 상기 절개공(250)의 일측에 연결편(251)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걸림돌기(210)는 상기 절개공(25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편(251)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절개홈(211)의 절개된 거리 이내에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원형관(202)의 내부에는 상기 분유통(100)의 마개(120)와 접하는 격판(220)이 구비되며, 상기 격판(220)에는 상기 마개(120)에 구비된 부채꼴 형상의 제 1 배출공(121)과 일치하는 제 2 배출공(221)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원형관(202)의 격판(220) 저면에는 일정 공간을 갖으며 하부의 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230)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미들케이스(200)는 제 1 원형관(201)의 상부에 단턱(203)으로 구분된 외주면이 구성되며, 상기 단턱(203)으로 구분된 외주면에는 미들케이스(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름방지돌기(240)가 다수 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름방지돌기(240)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1)를 휴대할 때 손잡이로 사용되는 끈 형상인 스트랩(미 도시됨)이 체결되는 스트랩홀(24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홀(241)을 구름방지돌기(240)에 형성시키는 것은 미들케이스(200)를 사출성형법으로 제작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구름방지돌기(24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스트랩홀(241)을 형성시키기 용이 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상기 미들케이스(20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제 3 원형관(301)과 제 4 원형관(302)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4 원형관(302)은 상기 제 3 원형관(301)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3 원형관(301)의 내부에서 상부로 제 3 원형관(301)의 중간 정도의 높이로 상승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스(300)의 제 3 원형관(301)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원형관(201)의 외주면에 구비된 걸림돌기(210)들이 삽입되는 레일(310)들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310)은 제 1 레일(311), 제 2 레일(312) 및 제 3 레일(313)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레일(311)은 상기 제 3 원형관(301)의 상부 단면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까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레일(312)은 일측이 상기 제 1 레일(311)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레일(313)은 상기 제 2 레일(312)의 타측 단부에서 연결되고 제 3 원형관(301)의 내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레일(313)에는 상기 미들케이스(200)의 제 1 원형관(201)에 구비된 걸림돌기(210)가 걸려 멈추게 되는 멈춤홈(314)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홈(314)은 상기 제 3 레일(3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다수가 구비되되 상기 제 3 레일(313)의 폭보다는 큰 지름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제 4 원형관(302)은 제 3 원형관(301)의 내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제 4 원형관(302)의 내주면은 상기 미들케이스(200)의 제 2 원형관(202)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4 원형관(302)은 상기 제 2 원형관(202)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용기(230)와 대응되는 하부용 기(320)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원형관(202)의 하부용기(320)와 제 4 원형관(302)의 하부용기(320)는 서로 결합되어 계량부(10)를 구성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4 원형관(302)의 하부 저면에는 계량부(10)에 공급된 분유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3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21)는 제 3 원형관(301)의 외부 저면에 구비되는 덮개(35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덮개(350)는 상기 배출구(321)에 개폐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은 물론,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스탠드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원형의 테두리(351)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의 내부에는 오목하게 만곡부(352)가 형성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의 사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를 결합시킨다. 이들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를 결합시키는 것은 미들케이스(200)의 제 1 원형관(201) 외주면에 구비된 걸림돌기(210)를 제 3 원형관(301)의 레일(310)에 일치되게 한 뒤 삽입시키면 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레일(310)에 걸림돌기(210)가 삽입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걸림돌기(210)는 먼저 제 1 레일(311)에 삽입된 뒤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레일(31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다. 이때, 미들케이 스(200)는 하부케이스(300)의 내부에서 제 2 레일(312)의 길이만큼 회전된다.
상기에서 걸림돌기(210)가 제 2 레일(312)의 타측 단부에 접하면 다시금 제 3 레일(313)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미들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300)의 내부로 레일(310)의 길이만큼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가 결합되면서 미들케이스(200)의 제 2 원형관(202)과 하부케이스(300)의 제 4 원형관(302)이 겹치면서 결합되고, 제 2 원형관(202)의 상부용기(230)와 제 4 원형관(302)의 하부용기(320)가 일체가 되면서 계량부(10)가 형성된다.
상기의 과정이 끝난 뒤에는 하부케이스(300)의 저면에 덮개(350)를 체결하여 덮개(350)가 배출구(321)를 덮도록 하고, 미들케이스(200)의 상부에 분유통(100)을 체결하는 것으로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1)에 분유를 넣기 위해서는 미들케이스(200)로부터 분유통(100)을 분리시키고 분유통(100)의 입구(110)가 상부를 향하게 한 뒤 분유통(100)의 입구(110)로부터 마개(120)를 분리시켜야 한다. 이후 분유통(100)의 입구(110)로 분유를 넣으면 된다.
분유통(100)에 분유가 담기면 다시금 분유통(100)의 입구(110)는 분리해 두었던 마개(120)로 막는다. 다음으로 분유통(100)에 분유가 담긴 상태에서 분유통(100)과 미들케이스(20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미들케이스(200)가 분유통(100)의 입구(110)를 덮을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서로 체결한다.
분유통(100)이 상기 미들케이스(200)에 체결되면 상기 분유통(100)의 입 구(110)를 막고 있는 마개(120)와 미들케이스(200)의 제 2 원형관(202) 내부에 형성되는 격판(220)이 서로 접촉되고, 마개(120)에 형성된 제 1 배출공(121)은 상기 격판(220)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분유는 분유통(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은 물론, 외부의 공기 역시 분유통(100) 내부로 유입될 수 없으므로 분유통(100) 내부의 분유는 최대한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도 1과 12를 참조하면, 이러한 분유통(100)으로부터 일정량의 분유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분유통(100)을 미들케이스(200)로부터 일측으로 회전시켜 분유통(100)의 입구(110)를 막고 있는 마개(120)에 형성된 제 1 배출공(121)와 미들케이스(200)의 내부에 구비된 격판(220)의 제 2 배출공(221)이 일치되도록 한다.
마개(120)의 제 1 배출공(121)와 격판(220)의 제 2 배출공(221)이 일치되면 분유통(100)의 내부와 미들케이스(200) 및 하부케이스(300)에 의해 구비되는 계량부(10)는 서로 연통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량부(10)가 분유통(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분유 정량 배출용기(1)를 세우면 분유통(100) 내부의 분유는 계량부(10)에 가득 채워질 때까지 계량부(10)로 이동된다.
계량부(10)에 분유가 가득 채워지면 다시금 분유통(100)을 회전시켜 제 1 배출공(121)과 제 2 배출공(221)이 서로 엇갈리게 하며 분유통(100)이 폐쇄되고, 하부케이스(300)의 배출구(321)로부터 덮개(350)를 열어 계량부(10) 내부의 분유를 상기 배출구(321)를 통해 젖병으로 옮겨 담는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분유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의 결합된 위치를 조절함으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의 결합된 위치를 바꾸는 것은 미들케이스(200)의 제 1 원형관(201) 외부에 구비된 걸림돌기(210)를 하부케이스(300)의 제 3 원형관(301)의 내부에 구비된 제 3 레일(313)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며, 제 3 레일(313)에 구비된 멈춤홈(314)에 상기 걸림돌기(210)가 걸려 멈추는 것으로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계량부(10)의 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미들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300)의 내부로 깊이 삽입되어 체결되면 계량부(10)의 용적은 줄어들게 되므로 1회에 배출되는 분유의 양은 적어지고, 미들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300)의 내부로 깊이 삽입되지 않으면 계량부(10)의 용적이 커지게 되므로 1회에 배출되는 분유의 양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는 일정기간 사용하면 주기적으로 분해하여 세척하는 것과 고온의 증기나 끓는 물로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척 및 소독을 위해 분유 정량 배출용기(1)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분유통(100)을 미들케이스(200)로부터 분리시키고 분유통(100)으로부터 마개(120)를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를 분리시킨다. 이를 위해 미들케이스(200)의 걸림돌기(210)를 하부케이스(300)의 레일(310)로부터 분리시키면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가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가 분리된 뒤에는 하부케이스(300)로부터 덮개(350)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분해가 완료된다. 이후 각 구성품을 세척하고 소독한 뒤 분해의 역순으로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에서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중 내부의 분유 잔류량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것은 물론, 배출되는 분유가 계량부(10)에 의해 정확하게 계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온의 증기나 끓는 물에 삶아도 변형되지 않도록 내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원 고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방과 같은 곳에 담을 수도 있고 분유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가정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외부가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식탁의 위에 올려놓을 때 굴러 바닥으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이때에는 제 1 원형관(201)의 외부에 구비된 구름방지돌기(240)에 의해 굴러가는 것이 방지됨으로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더불어 구름방지돌기(240)에 구비될 스트랩홀(241)에 휴대시 사용할 수 있는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 편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1)의 배출구(321)가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구(321)와 분유통(100)의 입구(110)가 모두 하부를 향하게 비치되어 있기 때문이며, 특히, 분유통(100)의 입구(110)가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경우 분유통(100)의 내부에 구비된 분유가 분유통(100)의 입구(110)를 막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분유통(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분유 정량 배출용기(1)를 세워 보관하는 경우 배출구(321)를 막는 덮개(350)는 저면의 테두리(351)가 원형으로 구성되고 테두리(351)의 내부에 만곡부(3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닥에 이물질이 있더라도 상기 만곡부(352)가 이물질과 덮개(350)의 저면이 면접촉되지 않게 하므로 분유 정량 배출용기(1)가 안정적으로 직립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분유통과 마개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미들케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에 덮개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덮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케이스의 걸림돌기와 하부케이스의 레일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 상세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의 계량부가 확장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의 분유통과 계량부 사이에 배출공이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유 정량 배출용기 10: 계량부
100: 분유통 110: 입구
120: 마개 121: 제 1 배출공
200: 미들케이스 201: 제 1 원형관
202: 제 2 원형관 203: 단턱
210: 걸림돌기 211: 절개홈
220: 격판 221: 제 2 배출공
230: 상부용기 240: 구름방지돌기
241: 스트랩홀 250: 절개공
251: 연결편 300: 하부케이스
301: 제 3 원형관 302: 제 4 원형관
310: 레일 311: 제 1 레일
312: 제 2 레일 313: 제 3 레일
314: 멈춤홈 320: 하부용기
321: 배출구 350: 덮개
351: 테두리 352: 만곡부

Claims (5)

  1. 내부에 분유를 담거나 내부의 분유를 배출하기 위한 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구에는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된 제 1 배출공이 형성된 마개가 설치되는 분유통;
    상기 분유통이 상부에 결합되고, 원통 형상의 제 1 원형관과 상기 제 1 원형관의 내부에 중첩되게 제 1 원형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원형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원형관의 외주면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걸림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원형관의 내부에는 상기 마개와 접하며 상기 마개에 형성된 제 1 배출공과 일치되는 제 2 배출공이 형성된 격판이 구비되며 상기 격판의 하부에는 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가 형성된 미들케이스; 및
    상기 미들케이스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제 1 원형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내주면이 형성된 제 3 원형관과 상기 제 3 원형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2 원형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 4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원형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원형관에 구비된 걸림돌기들이 삽입되는 레일들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원형관에는 상기 제 2 원형관의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계량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기의 하부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원형관의 외부 저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미들케이스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가 이동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 기로 구성된 상기 계량부의 용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뒤 쉽게 빠지지 않도록 제 3 원형관의 단부에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형성된 제 1 레일과 일측이 상기 제 1 레일의 단부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레일 및 상기 제 2 레일의 타측 단부에서부터 제 3 원형관의 내부로 형성된 제 3 레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내부에 절개홈이 있어 내부로 좁혀지면서 상기 레일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걸림돌기가 단계적으로 걸려 멈춰지도록 레일의 폭보다 큰 직경의 멈춤홈이 균일한 간격으로 제 3 레일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케이스의 제 1 외형관의 상부에는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으로 구분된 상부 외주면에는 구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구름방지돌기에는 스트랩이 체결되는 스트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는 덮개는 저면에 원형의 테두리가 구비되고, 상기 저면의 내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만곡부가 형성되어 스탠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정량 배출용기.
KR2020090010237U 2009-08-05 2009-08-05 분유 정량 배출용기 KR200447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7U KR200447857Y1 (ko) 2009-08-05 2009-08-05 분유 정량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7U KR200447857Y1 (ko) 2009-08-05 2009-08-05 분유 정량 배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857Y1 true KR200447857Y1 (ko) 2010-02-24

Family

ID=4421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37U KR200447857Y1 (ko) 2009-08-05 2009-08-05 분유 정량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32B1 (ko) * 2010-09-09 2013-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607151B1 (ko) * 2014-03-12 2016-03-29 (주)레몬옐로우 분유디스펜서
CN110406796A (zh) * 2019-07-18 2019-11-05 赵曼利 一种可定量取药液的瓶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54A (ja) * 1989-06-07 1991-01-18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構造
KR200235884Y1 (ko) 2001-03-30 2001-10-10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275270Y1 (ko) 2002-02-04 2002-05-11 김종운 분말 정량공급기
KR100602474B1 (ko) 2003-11-11 2006-08-02 김상근 분말 제품의 정량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54A (ja) * 1989-06-07 1991-01-18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構造
KR200235884Y1 (ko) 2001-03-30 2001-10-10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275270Y1 (ko) 2002-02-04 2002-05-11 김종운 분말 정량공급기
KR100602474B1 (ko) 2003-11-11 2006-08-02 김상근 분말 제품의 정량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32B1 (ko) * 2010-09-09 2013-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607151B1 (ko) * 2014-03-12 2016-03-29 (주)레몬옐로우 분유디스펜서
CN110406796A (zh) * 2019-07-18 2019-11-05 赵曼利 一种可定量取药液的瓶盖
CN110406796B (zh) * 2019-07-18 2021-04-06 陕西国防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定量取药液的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7309B1 (en) Plastic-free device for fluid storage and delivery
US9301904B2 (en) Feeding kit
US8113364B1 (en) Nursing bottle ensemble
US9289356B2 (en) Storage and mixing container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KR101356390B1 (ko) 안정된 결합력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실리콘 병
US8534502B2 (en) Dispenser for powdered foodstuffs
US20140305970A1 (en) Assembly for dispensing bulk products
PL222083B1 (pl) Przyrząd do karmienia niemowląt
KR200447857Y1 (ko) 분유 정량 배출용기
WO2012034246A1 (es) Maquina licuadora compacta para jugos de frutas
CA2841521C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KR20180072375A (ko) 젖병
KR101695717B1 (ko) 1회용 분유내장형 젖병 키트
US20090057346A1 (en) Powder or milk powder dispenser
KR101077141B1 (ko) 아기용품 휴대용 보관 가방
KR20140090827A (ko)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KR101607151B1 (ko) 분유디스펜서
WO2013192371A2 (en) Variable size washable baby bottle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20180126032A (ko) 급식 보조기 및 사용 방법
WO2011095971A1 (en) Collar for baby bottle
KR200283275Y1 (ko) 다용도 조리기
CN219332563U (zh) 一种新型饮水杯
CN217125597U (zh) 一种家庭用颗粒剂药品分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