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51B1 - 분유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분유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51B1
KR101607151B1 KR1020140029099A KR20140029099A KR101607151B1 KR 101607151 B1 KR101607151 B1 KR 101607151B1 KR 1020140029099 A KR1020140029099 A KR 1020140029099A KR 20140029099 A KR20140029099 A KR 20140029099A KR 101607151 B1 KR101607151 B1 KR 101607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member
cover
discharge hol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704A (ko
Inventor
선섭희
김성록
Original Assignee
(주)레몬옐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몬옐로우 filed Critical (주)레몬옐로우
Priority to KR102014002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유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계량용기에 담기는 분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분유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용기입구(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공(121)이 형성된 마개(120)와; 상기 용기입구(111)에 상기 마개(120)가 결합된 상기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1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배출공(12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배출공(221) 및 상기 제1배출공(121)이 연통될 때 미리 설정된 수용량의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용기(300)와; 상기 커버부재(200) 및 상기 계량용기(300)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200)에 대한 상기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상기 수용량을 변화시키는 계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유디스펜서 {Milk Powder Dispenser}
본 발명은 분유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계량용기에 담기는 분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분유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분유는 모유를 대신해 유아에게 제공하는 식품으로서, 분말인 분유는 물에 섞어 젖병을 통하여 유아가 섭취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유는 일반적으로 물과 잘 섞이게 하기 위해 흡수성이 높게 제조되고, 이러한 이유로 분유를 상온에서 대기와 순환접촉되게 보관하면 대기 중의 습기를 흡수해 부패하는 성질이 있어 밀폐된 용기에 보관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분유는 개봉 후 빠른 기간 내에 섭취하기를 권장하고 있고, 보관시에는 밀폐된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유아는 소화기가 성숙하지 않아 분유와 물이 정해진 비율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섭취하게 되면 배탈이 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유는 개량스푼으로 일정량씩 떠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분유를 개량스푼으로 떠서 사용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분유가 대기에 접촉되게 하는 것이므로 분유에 습기로 인한 수분이 증가하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개량스푼을 분유통에 함께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개량스푼은 손잡이에 사용자의 손에서 전이된 각종 병균 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개량스푼을 사용하는 것은 유아의 건강상 지양해야만 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외출 시에는 분유통을 휴대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별도의 휴대용 용기에 분유를 담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분유를 내부에 담아 보관하는 한편 일정량씩 배출되게 하는 용기가 다수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배출용기들 역시 배출수단에 스프링과 같은 금속부품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배출용기를 사용하는 도중 내부에서 발생된 금속분말이 분유에 섞일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이에 금속부품을 사용하지 않은 배출용기가 고안되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배출용기들은 모두 배출되는 분유의 양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배출용기는 분유를 많이 섭취하는 유아에게 분유를 공급할 경우에는 배출용기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분유를 배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배출용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주 사용자인 여성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현실이며, 생산비용 또한 비싼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57000호로 등록한 바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7000호에 개시된 "분유 정량 배출용기", 즉 분유디스펜서는, 미들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계량부 내부의 용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20-0457000호의 분유디스펜서는, 계량부 내부의 용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케이스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데 미리 설정된 용적을 위한 슬라이드 이동거리가 짧아 수회 반복하여 미들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케이스를 밀었다 당기는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야 하는 조작 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하고,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기구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유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분유디스펜서로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용기입구(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공(121)이 형성된 마개(120)와; 상기 용기입구(111)에 상기 마개(120)가 결합된 상기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1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배출공(12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배출공(221) 및 상기 제1배출공(121)이 연통될 때 미리 설정된 수용량의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용기(300)와; 상기 커버부재(200) 및 상기 계량용기(300)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200)에 대한 상기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상기 수용량을 변화시키는 계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를 개시한다.
상기 마개(120)는, 상기 제1배출공(121)이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디스크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제1디스크부(122)와 면접촉되며, 상기 제2배출공(221)이 상기 제1디스크부(12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디스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부(210)와, 상기 제1커버부(210)의 하부에 커버연결부(2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제1커버부(210) 보다 작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는 제2커버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용기(300)는, 상기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부(210)와 함께 상기 계량수단이 구비되고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부용기부(310)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2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수용공간형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부(210)와, 상기 제1커버부(210)의 하부에 커버연결부(2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제1커버부(210) 보다 작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는 제2커버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용기(300)는, 상기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부(210)와 함께 상기 계량수단이 구비되고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부용기부(310)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2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수용공간형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결부(215)는, 상기 수용공간형성부(320)의 상단이 상기 제1커버부(2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나사부(400)와, 상기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나사부(400)의 나사형성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00)는, 2개 이상의 나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430)는, 상기 나사부(400)의 나선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0)의 나사골에서 사이에 상기 돌출부(500)가 걸림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돌출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부(430)는, 상기 계량용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400)의 나선방향으로 90°, 180° 및 360°의 각위상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 또는 상기 계량용기(30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1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00)는 상기 절개부(51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분유가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용기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각도에 따라서 분유의 수용량이 조절되는 계량용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부재에 대한 간편한 회전조작으로 분유의 수용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기구의 사용에 미숙한 사용자도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배출공과 제2배출공의 개폐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유디스펜서의 최대 수용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커버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유디스펜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용기입구(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공(121)이 형성된 마개(120)와; 용기입구(111)에 마개(120)가 결합된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고 제1배출공(121)의 회전에 의하여 제1배출공(12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200)와; 커버부재(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배출공(221) 및 제1배출공(121)이 연통될 때 미리 설정된 수용량의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용기(300)와;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에 구비되어 커버부재(200)에 대한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수용량을 변화시키는 계량수단을 포함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100), 마개(120),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는, 하나 이상의 부재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100), 마개(120),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는 적어도 하나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많은 양의 분유가 담기는 용기로서,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용기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마개(120)는,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공(121)이 형성된 구성으로 용기본체(100)와의 결합방식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120)는, 용기본체(100)와의 결합과 관련하여 관련하여, 나사결합되거나, 끼움결합되거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11)의 상단 외주면에 환형의 돌출부(105)가 형성되어 마개(12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과 함께 끼움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120)는, 제1배출공(121)에 대한 후술하는 커버부재(200)의 제2배출공(221)의 상대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는바 용기본체(1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결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개(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115)에 끼움되는 요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공(121)은, 제2배출공(221)과 함께 용기본체(100) 내에 담긴 분유를 배출하기 위하여 용기입구(111)에 결합된 마개(12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배출공(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커버부재(200)의 제2배출공(221)과의 조합을 위하여 마개(12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120)는, 용기입구(111)를 복개하는 제1디스크부(112)를 구비하며, 제1배출공(121)은, 제1디스크부(11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공(121)은, 부채꼴, 원, 타원,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공(121)이 형성된 제1디스크부(112)는 제1배출공(12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후술하는 커버부재(200)의 제2디스크부(222)와 면접촉되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커버부재(200)의 제2디스크부(222)와 면접촉됨으로써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221)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된 경우 용기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를 포함한 마개(120)는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큰 수지에 의하여 사출성형되는바 돌출부는, 커버부재(200)의 제2디스크부(222)와 면접촉됨으로써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221)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된 경우 용기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공(121)과 상기 제2배출공(22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디스크부(112) 또는 상기 제2디스크부(222)의 중심에는 회전결합부재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용기본체(100)와 결합하여 분유디스펜서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부(210)와, 제1커버부(210)의 하부에 커버연결부(2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경(D2)이 제1커버부(210)의 외경(D1)보다 작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는 제2커버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한 커버부재(200)의 결합방법으로는,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위치한 절개링(130)의 절개부분에 커버연결부(215)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걸이부(230)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절개링(130)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과 커버연결부(215)의 상부에 위치한 요철부(231)가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210)는,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00)와의 결합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커버부(210)는, 후술하는 계량용기(300)와 함께 계량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2커버부(220)는, 제1커버부(210)의 하부에 커버연결부(2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경(D2)이 제1커버부(210)의 외경(D1)보다 작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2커버부(220)는, 마개(120)에 형성된 제1배출공(121)을 개폐하도록 제2배출공(221)이 형성된 제2디스크(222)를 포함하며 마개(120)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끼워지는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디스크(222)는, 마개(120)의 제1디스크부(112)와 서로 접촉되며, 제1디스크부(112)에 형성된 제1배출공(121)은 제2디스크(222)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공(221)은 제1배출공(121)과의 조합에 의하여 분유를 배출하므로 제1배출공(121)과 유사한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하여 제1배출공(121)과 중첩되거나 서로 엇갈리도록 제1디스크부(12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커버부(220)는, 용기본체(100)로부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221)을 통하여 분유가 배출될 때 후술하는 수용공간형성부(32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디스크부(122)의 하단으로부터 더 돌출된 돌출부(22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4)는, 후술하는 계량용기(300)의 결합시 적어도 일부가 수용공간형성부(32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용기본체(100)로부터 제1배출공(121) 및 제2배출공(221)을 통하여 분유가 배출될 때 수용공간형성부(32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연결부(215)는, 제1커버부(210) 및 제2커버부(22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커버연결부(215)는, 수용공간형성부(320)의 상단이 제1커버부(2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부(2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부(216)는,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결합될 때 그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커버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는바 계량용기(300)의 상하이동이 원활하도록 수용공간형성부(320)의 상단이 제1커버부(2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되는 오목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계량용기(300)는, 커버부재(200)와 결합하여 배출되는 분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커버부(210)와 함께 계량수단이 구비되고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부용기부(310)와, 외부용기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커버부(220)의 외경(D2)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수용공간형성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용기부(310)는,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커버부(210)와 함께 계량수단이 구비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부(310)는,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으로 결합되는바 제1커버부(210)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경우 내주면에 이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500)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부(310)는, 용기본체(100), 마개(120) 및 커버부재(200)와의 결합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저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부(310)는, 후술하는 계량수단과의 조합에 의하여 수용공간형성부(320)에 담기는 수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9)는, 후술하는 계량수단에 의하여 수용공간형성부(320)에 담기는 수용량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외부용기부(310)의 외주면에 눈금, 숫자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형성부(320)는, 외부용기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커버부(220)의 외경(D2)보다 큰 내경을 가진다.
상기 계량수단은,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에 구비되어 커버부재(200)에 대한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수용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계량수단은, 커버부재(200)에 대한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수용량을 변화시키는바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수단은,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나사부(400)와,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나사부(40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400)의 나사형성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400) 및 돌출부(500)는 각각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그 작동원리는 상호 유사한바, 나사부(400)는 계량용기(300)에 형성되고 돌출부(500)는 커버부재(200)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나사부(400)는, 돌출부(500)와의 나사결합에 위하여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수용공간형성부(320)를 커버부재(30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용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나사부(400)는, 돌출부(500)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나사부(400)의 형성 위치에 따라, 각각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사부(400)는, 2개 이상의 나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00)는, 나사부(400)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수용공간형성부(320)를 커버부재(30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용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500)는, 나사부(400)와 대응되어 커버부재(200)의 외주면에 수사나부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400)의 나사골에 삽입되도록 나사부(400)의 나선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사부(400)는, 커버부재(200)와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른 단계별 수용량(80, 120, 160, 200, 240)에 대응되게 설정된 복수의 위치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430)는,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될 때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힘을 가하여만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고정부(430)는,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될 때 특정 위치에서 돌출부(500)가 걸림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턱, 특히 돌출부(500)의 전단 및 후단에 위치된 한 쌍의 돌출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턱은, 돌출부(500)가 삽입되는 걸림공간(410)을 형성하여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될 때 특정 위치에서 걸림공간(410)에 걸림됨으로써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될 때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힘을 가하여만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가 회전이 가능하여 표시부(319)와 함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위치임을 인식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공간(410)은 후술되는 하나이상의 절개부(510)에 형성된 돌출부(500)의 다양한 형태 변화에 맞추어 2개 이상의 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부(430)는, 나사부(400)의 나선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계량용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나사부(400)의 나선방향으로 90°, 180° 및 360°의 각위상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량용기(300)의 외주면에 표시되는 표시부(319)는 80ml~240ml까지 80ml의 차이를 가지면서 각위상차에 맞게 일정 단위간격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미리 위치를 설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430)의 작동시 돌출부(500)가 위치고정부(430)에 대하여 적절한 힘에 의하여 넘어갈 수 있도록 커버부재(200) 또는 계량용기(30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10)가 형성되며, 돌출부(500)는 절개부(5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510)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외측으로, 또는 상기 계량용기(3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절개부(510)를 통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510)의 형성에 의하여 위치고정부(430)의 작동시 탄성변형에 의하여 돌출부(500)가 위치고정부(430)에 대하여 넘어갈 때 탄성변형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드럽게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절개부(510)은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계량용기(300)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절개부(510)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500)는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개의 구성으로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사용을 첨부된 도면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부재(200)로부터 마개(120)와 결합된 용기본체(100)을 분리시키고,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가 상부를 향하게 한 뒤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로부터 마개(120)를 분리시켜야 한다. 이후 상기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로 분유를 넣으면 된다.
상기 용기본체(100)에 분유를 담은 후, 분리해 두었던 마개(120)로 막고, 마개(120)가 위로 간 상태에서 커버부재(200) 및 용기본체(100)를 결합시킨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가 커버부재(200)에 결합되면, 용기입구(111)를 막고 있는 마개(120)의 제1디스크부(112)와 커버본체(200)의 제2커버부(220)내부에 형성되는 제2디스크(222)가 서로 접촉되고, 제1디스크부(112)에 형성된 제1배출공(121)은 제2디스크(222)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분유는 용기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은 물론, 외부의 공기 역시 용기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으므로, 용기본체(100) 내부의 분유는 최대한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용기본체(100)에 담긴 분유를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로부터 일정량의 분유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용기본체(100)에 대하여 커버부재(200)를 회전시켜 마개(120)에 형성된 제1배출공(121)과 커버본체(200)에 형성된 제2배출공(221)이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배출공(121)과 제2배출공(221)이 일치되면, 용기본체(100)의 내부와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에 의해 구비되는 계량공간(S)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계량공간(S)이 용기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분유디스펜서를 세우면, 용기본체(100)의 내부의 분유는 계량공간(S)에 가득 채워진다.
상기 계량공간(S)에 분유가 가득 채워지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및 커버부재(200)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제1배출공(121)과 제2배출공(221)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제1배출공(121)을 폐쇄하고, 계량용기(300)와 커버부재(200)를 회전하여 분리하여 계량공간(S)에 담긴 분유를 젖병으로 옮겨 담는다.
한편 사용자는 계량용기(300)에 담기는 분유량, 즉 계량공간(S)의 크기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계량용기(300)를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특히 상기 계량용기(300)는,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회전될 때 커버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됨으로써 커버부재(200)의 제2커버부(220) 및 계량용기(200)의 수용공간형성부(3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공간(S)의 체적, 즉 수용량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공간(S)의 체적은 커버부재(200)가 계량용기(300)의 내부로 깊이 삽입되어 결합할수록, 계량공간(S)의 체적은 감소한다.
한편 사용자는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를 회전시킬 때 표시부(319)의 지시에 따라서 계량용기(300)에 담기는 분유량, 즉 계량공간(S)의 크기를 보다 편리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319)는 각 표시된 각 분유량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고정부(430)가 설정됨으로써 사용자는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계량용기(300)를 회전시킬 때 표시부(319)의 지시에 따라서 계량용기(300)에 담기는 분유량, 즉 계량공간(S)의 크기를 보다 편리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용기본체(100)는 일정기간 사용하면 주기적으로 분해하여 세척하는 것과 고온의 증기나 끓는 물로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의 증기나 끓는 물에 삶아도 변형되지 않도록 내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원 고안에 따른 상기 용기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방과 같은 곳에 담을 수도 있고 분유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가정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외부가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식탁의 위에 올려놓을 때 굴러 바닥으로 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제1커버부(210) 외부에 구비된 구름방지돌기(28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구름방지돌기(280)에 구비될 스트랩홀(290)에 휴대시 사용할 수 있는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 편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입구(111)가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마개(120)의 제1배출공(121)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기 용기입구(111)가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분유가 상기 용기입구(111)를 막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유디스펜서를 세워 보관하는 경우 상기 분유디스펜서가 안정적으로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계량용기(300)의 저면에는 원형으로 구성된 테두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용기본체 111:용기입구 121:제1배출공
120:마개 200:커버부재 221:제2배출공
300:계량용기

Claims (10)

  1.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용기입구(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11)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공(121)이 형성된 마개(120)와;
    상기 용기입구(111)에 상기 마개(120)가 결합된 상기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1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배출공(12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배출공(221) 및 상기 제1배출공(121)이 연통될 때 미리 설정된 수용량의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용기(300)와;
    상기 커버부재(200) 및 상기 계량용기(300)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200)에 대한 상기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라서 상기 수용량을 변화시키는 계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나사부(400)와, 상기 커버부재(200) 및 계량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나사부(400)의 나사형성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400)는, 상기 커버부재(200)와 상기 계량용기(300)의 회전결합각도에 따른 단계별 수용량에 대응되게 설정된 복수의 위치고정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부(430)는, 상기 나사부(400)의 나선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0)의 나사골에서 사이에 상기 돌출부(500)가 걸림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돌출턱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20)는, 상기 제1배출공(121)이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디스크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제1디스크부(122)와 면접촉되며, 상기 제2배출공(221)이 상기 제1디스크부(12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디스크부(222)를 포함하는 분유디스펜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부(210)와,
    상기 제1커버부(210)의 하부에 커버연결부(2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제1커버부(210) 보다 작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는 제2커버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용기(300)는,
    상기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부(210)와 함께 상기 계량수단이 구비되고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부용기부(310)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2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수용공간형성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연결부(215)는, 상기 수용공간형성부(320)의 상단이 상기 제1커버부(2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부(2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400)는, 2개 이상의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부(430)는,
    상기 계량용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400)의 나선방향으로 90°, 180° 및 360°의 각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 또는 상기 계량용기(30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1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00)는 상기 절개부(51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KR1020140029099A 2014-03-12 2014-03-12 분유디스펜서 KR101607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99A KR101607151B1 (ko) 2014-03-12 2014-03-12 분유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99A KR101607151B1 (ko) 2014-03-12 2014-03-12 분유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04A KR20150106704A (ko) 2015-09-22
KR101607151B1 true KR101607151B1 (ko) 2016-03-29

Family

ID=5424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99A KR101607151B1 (ko) 2014-03-12 2014-03-12 분유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018A (ko)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70Y1 (ko) * 2002-02-04 2002-05-11 김종운 분말 정량공급기
KR200447857Y1 (ko) * 2009-08-05 2010-02-24 (주)레몬옐로우 분유 정량 배출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70Y1 (ko) * 2002-02-04 2002-05-11 김종운 분말 정량공급기
KR200447857Y1 (ko) * 2009-08-05 2010-02-24 (주)레몬옐로우 분유 정량 배출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018A (ko)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04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9463A (en) Controlled dispensing apparatus
US20170129665A1 (en) Pod shaker bottle with lid
US8534502B2 (en) Dispenser for powdered foodstuffs
US8348084B2 (en) Container having surrounding handle and gimbal
US8113364B1 (en) Nursing bottle ensemble
US20130233446A1 (en) Powder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WO2005086918A2 (e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infant feeding
US8887904B2 (en) Feeding nipple container
US20140163463A1 (en) Medicup a Medicine dispenser with soft Handles interchangeable with Strawcup
US20210085566A1 (en) Formula and powder mixing assembly
CN103619307A (zh) 存储和混合奶瓶
US8851338B2 (en) Controlled dispenser
WO2016027052A1 (en) A shaker bottle
CN209922033U (zh) 一种药瓶
WO2012008942A1 (en) Container having single piece suppor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A2841521C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CN202761733U (zh) 配方奶配给装置及配方奶配给机构
KR101607151B1 (ko) 분유디스펜서
US20090057346A1 (en) Powder or milk powder dispenser
KR101168802B1 (ko) 분유 디스펜서
KR200447857Y1 (ko) 분유 정량 배출용기
GB2450105A (en) Dispensing distinct portions of a powdered foodstuff
US8522840B2 (en) Power scoop
CN202875836U (zh) 多功能奶瓶
US9909915B2 (en)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