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402A - 분유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분유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402A
KR20110115402A KR1020100034890A KR20100034890A KR20110115402A KR 20110115402 A KR20110115402 A KR 20110115402A KR 1020100034890 A KR1020100034890 A KR 1020100034890A KR 20100034890 A KR20100034890 A KR 20100034890A KR 20110115402 A KR20110115402 A KR 2011011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ed milk
milk
milk powder
powdered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802B1 (ko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현 filed Critical 김광현
Priority to KR102010003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8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개폐 가능한 상부를 통해 분유를 투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에 삽입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공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하고, 일측에 형성된 레버를 이용한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따라 임시 저장된 분유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분유 공급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분유 공급부를 지지하고, 상기 분유 공급부의 동작에 의해 이송된 분유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Description

분유 디스펜서 {powered milk dispenser}
본 발명은 분유 분말을 정량 배출할 수 있는 분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젖을 먹으면서 성장하는데, 젖은 모유와 축산 우유(특히 정제 가공된 분유)가 알려져 있다. 모유 수유는 공지된 많은 이점이 있어 근자에 다시 권장 실행되고 있기는 하나, 아기의 성장을 위해서 분유 수유기는 필연적으로 포함되고 있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처음부터 분유로 기르는 경우도 있다.
유아기 때 분유를 먹이고자 할 경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여러 제품의 분유 중에서 유아기에 맞는 분유를 골라서 구입하게 된다. 이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분유제품은 분유통에 들어있는 계량 스푼을 이용하여 분유를 퍼서 젖병에 옮겨 담은 후 더운물과 혼합하여 먹이게 된다.
시중 분유 제품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분유통 속에 분유와 함께 보관되어 있는 계량 스푼은 분유 수유가 있을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사용한 후 다시 분유통 속에 넣어 분유와 함께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집었던 계량 스푼의 손잡이 부분이 분유와 접촉되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각종 병균을 옮길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분유통 속에 분유가 가득 들어 있으면 분유 속에 계량 스푼이 파묻히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분유 속에 손가락을 넣어서 스푼을 찾게 된다. 이때, 각종 병균에 노출되어 있는 손이 아기가 먹는 분유에 직접 닿기 때문에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병균을 분유를 통해 옮길 수 있다. 즉, 계량 스푼이 분유통 속에 분유와 함께 보관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고 각종 병균을 옮길 수 있다.
둘째, 유아기에 분유를 먹일 때에는 정확한 양의 분유를 타서 먹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유아가 설사 및 변비를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분유제품의 계량 스푼은 분유 제조회사마다 그 용량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용량을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분유를 타서 먹이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계량 스푼의 용량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않고 계량 스푼의 횟수에만 맞춰서 분유를 타기 때문에 정확한 분유의 용량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계량 스푼을 이용하여 분유를 탈 때에는 계량 스푼의 용량이 분유제조회사마다 각각 다르고 약간의 오차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분유의 양을 계량하여 타기가 매우 어렵고 번거롭다.
셋째, 계량 스푼을 이용하여 분유를 탈 경우 부주의로 분유를 바닥에 쏟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보호자가 유아를 동반하고 외출할 시에는 실용신안등록 제13814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각 수납통 내부에 분유를 소정량만큼 넣어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분유를 뜨거운 물에 타서 유아에게 먹이도록 이루어진 다단으로 이루어진 분유 케이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분유 케이스의 각 단의 수납통에 미리 소정량의 분유를 미리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미리 준비한 분유 케이스의 각 단에 담은 분유가 모자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유통 속의 계량 스푼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비위생적인 처리로 인해 유아가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단으로 이루어진 분유 케이스에 미리 분유를 담을 필요가 없는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량의 분유를 공급할 수 있는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량 스푼을 사용하지 않고 젖병에 정량의 분유를 안전하게 넣을 수 있는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이나 청소 등을 위한 분해가 용이한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는 개폐 가능한 상부를 통해 분유를 투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에 삽입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공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하고, 일측에 형성된 레버를 이용한 사용자의 회전동작에 따라 임시 저장된 분유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분유 공급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분유 공급부를 지지하고, 상기 분유 공급부의 동작에 의해 이송된 분유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몸체 내부에 수용된 분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을 구비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가 내부에 수용된 분유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분유 공급부가 상부에 형성된 정량홈을 통해 상기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회전통;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회전통이 삽입될 수 있고, 상부에는 분유가 인입되는 분유 인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통에 임시 저장된 분유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분유 인출구가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회전통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통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레버의 일측에 상기 레버를 쉽게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계량 스푼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일반 분유통에서 발생하는 잦은 개폐로 인한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젖병에 정량의 분유를 공급할 수 있다.
셋째, 젖병에 정량의 분유를 안전하게 넣을 수 있다.
넷째, 휴대가 용이하다.
다섯째, 세척이나 청소 등을 위한 분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사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분유 공급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사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100)는 일반적인 젖병(200)의 젖병꼭지(210)를 젖병 몸체(2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젖병 몸체(220)의 내부로 정량의 분유를 투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110), 상부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110) 내의 분유를 하부 하우징(120) 부분으로 이송시키는 레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100)는 크게 상부 하우징(110), 하부 하우징(120), 상기 상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는 받침부(140), 상기 받침부(140)의 하부에 구성된 분유 공급부(150) 및 상기 분유 공급부(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130)가 상기 분유 공급부(150)와 직접 연결되어 레버(130)를 회전시킬 때, 분유 공급부(150)가 회전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푸쉬 스타일(push style)의 레버 또는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분유 공급부(150)를 회전시켜 상기 분유 공급부(150)에 임시 저장되는 분유를 하부 하우징(120)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121)를 통해 젖병 몸체로 투입할 수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은 개폐 가능한 상부를 통해 분유를 투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113)와, 상기 몸체(113)의 상부를 덮기 위한 커버(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3)는 본 예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용된 분유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투명창(112)을 구비하거나 내부가 모두 보이는 투명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단에 삽입되는 받침부(140)는 하부에 개방된 집속구(141)가 형성된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몸체(113)에 저장된 분유를 중앙 하부로 집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유 공급부(150)는 상기 받침부(14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40)의 집속구(141)를 통해 제공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레버(130)를 위에 설명된 조작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동작)을 수행하면 임시 저장된 분유를 하부 하우징(12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구성은 상부에 형성된 정량홈(152a)을 통해 상기 받침부(140)의 하부에 형성된 집속구(141)로부터 유입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회전통(152)과,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회전통(15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상부에는 분유가 인입되는 분유 인입구(15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통(152)에 임시 저장된 분유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분유 인출구(151b)가 형성된 고정틀(151)과, 상기 회전통(15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152)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130)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130)를 쉽게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131)가 구비되어 있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회전통(152)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다. 즉, 손잡이(131)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면, 회전통(152)의 정량홈(152a)이 상기 받침부(140)로부터 분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손잡이(131)를 회전하여 하부로 내려갈 때 상기 정량홈(152a)이 하부 하우징(120)의 배출구(121)를 통해 분유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0)의 상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10)의 외경 크기에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분유 공급부(15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의 몸체(113)는 하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삽입되고, 깔때기 형상의 받침부(140)는 몸체(113)의 하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틀(151)에 회전통(152)이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회전통(152)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계량 스푼을 이용하는 분유의 정량에 해당하며, 레버(130)의 회전 동작은 회전축(152b)을 통해 회전통(152)에 전달되어 회전통(152)이 회전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의 몸체(113) 및 받침부(140)에는 분유(300)가 수용되며, 이때, 상기 회전통(152)의 내부 공간에도 받침부(140)의 집속구(141) 및 고정틀(151)의 분유 인입구(151a) 및 회전통(152)의 정량홈(152a)을 거쳐 인입된 분유가 채워진다. 이때, 레버(130)의 손잡이(131)는 정량홈(152a)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분유를 젖병 몸체(220)에 넣고자 할 때, 젖병 몸체(220)를 하부 하우징(120)의 배출구(121)에 위치시킨 후, 레버(130)의 손잡이(131)를 회전시키면, 회전축(152b)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통(152)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통(152)의 정량홈(152a)이 고정틀(151)의 분유 인출구(151b)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통(152)의 내부 공간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분유가 하부 하우징(120)의 배출구(121)를 통해 젖병 몸체(220)으로 자중에 의해 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분유 공급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같이 회전통(152)의 내부에 임시 저장되는 분유(300)가 사용자의 레버(도 1의 130) 조작을 통해 회전축(152b)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통(152)이 회전함에 따라 (b) 및 (c) 상태를 거쳐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정량홈(152a)를 통해 고정틀(151)의 분유 인출구(151b)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디스펜서 200: 젖병
210: 젖꼭지 220: 젖병 몸체
300: 분유 110: 상부 하우징
111: 커버 112: 투명창
113: 몸체 120: 하부 하우징
121: 배출구 130: 레버
131: 손잡이 140: 받침부
141: 집속구 150: 분유 공급부
151: 고정틀 151a: 분유 인입구
151b: 분유 인출구 152: 회전통
152a: 정량홈 152b: 회전축

Claims (7)

  1. 개폐 가능한 상부를 통해 분유를 투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에 삽입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공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하고, 일측에 형성된 레버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임시 저장된 분유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분유 공급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분유 공급부를 지지하고, 상기 분유 공급부의 동작에 의해 이송된 분유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내부에 분유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수용된 분유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투명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수용된 분유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공급부는,
    상부에 형성된 정량홈을 통해 상기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분유를 소정 계량 수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회전통;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회전통이 삽입될 수 있고, 상부에는 분유가 인입되는 분유 인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통에 임시 저장된 분유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분유 인출구가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회전통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통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에 상기 레버를 쉽게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 디스펜서.
KR1020100034890A 2010-04-15 2010-04-15 분유 디스펜서 KR10116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890A KR101168802B1 (ko) 2010-04-15 2010-04-15 분유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890A KR101168802B1 (ko) 2010-04-15 2010-04-15 분유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02A true KR20110115402A (ko) 2011-10-21
KR101168802B1 KR101168802B1 (ko) 2012-07-31

Family

ID=4503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890A KR101168802B1 (ko) 2010-04-15 2010-04-15 분유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3139A1 (en) * 2012-05-14 2013-11-21 Gold & Levy, Inc. D/B/A Rosett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granular product
CN106618218A (zh) * 2016-12-27 2017-05-10 上海贝儿康婴童用品有限公司 奶粉速配器
CN108216882A (zh) * 2018-03-09 2018-06-29 史进 一种便利取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70B1 (ko) 2012-12-27 2014-08-13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자동 분유 혼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980U (ko) * 1985-02-11 1986-08-2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3139A1 (en) * 2012-05-14 2013-11-21 Gold & Levy, Inc. D/B/A Rosett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granular product
CN106618218A (zh) * 2016-12-27 2017-05-10 上海贝儿康婴童用品有限公司 奶粉速配器
CN108216882A (zh) * 2018-03-09 2018-06-29 史进 一种便利取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802B1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6135B (zh) 包括称量设备的食品处理器
KR101168802B1 (ko) 분유 디스펜서
US20060150821A1 (en) Food preparation
US201300326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 Baby Bottle
AU2017368214B2 (en) Dosing device and system
JP2010527721A (ja) 洗剤投与装置
JP2018537115A (ja) 動物用の飼料を調合するための装置
KR100900984B1 (ko)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CN108635232A (zh) 一种智能自动配药器
US20220034016A1 (en) Apparatus for dosing detergent, container for receiving and dosing powder detergent and/or liquid detergent, and corresponding system
KR101067072B1 (ko) 분유 디스펜서
KR20130021763A (ko)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 시스템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US20160235241A1 (en)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CN109018726A (zh) 一种自动吐药器
CN109996481A (zh) 配量设备和系统
KR100900983B1 (ko) 분유분말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유 디스펜서
JP2011140325A (ja) 計量繰出し容器
WO2021064435A2 (en) Baby formula making device, baby formula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baby formula
KR101607151B1 (ko) 분유디스펜서
CN217049098U (zh) 一种定量配置药茶的茶盒
KR20120123953A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CN209500299U (zh) 一种便携式加热搅拌奶瓶
EP4362755A1 (en) Bottle cleaning device with a fluid dispenser
KR100229097B1 (ko) 분유의 보관과 계량을 이루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