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275Y1 - 다용도 조리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275Y1
KR200283275Y1 KR2020020010895U KR20020010895U KR200283275Y1 KR 200283275 Y1 KR200283275 Y1 KR 200283275Y1 KR 2020020010895 U KR2020020010895 U KR 2020020010895U KR 20020010895 U KR20020010895 U KR 20020010895U KR 200283275 Y1 KR200283275 Y1 KR 200283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bottle
main body
lid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
Original Assignee
허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 filed Critical 허용
Priority to KR2020020010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275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통상적인 취사용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젖병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용도 조리기는,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본체의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되고 젖병의 입구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에 젖병을 결합하면 젖병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뚜껑의 내측과 통하도록 이루어지고, 그 상부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부와 대응되는 다른 나사부가 가공된 마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리기{MULTIPURPOSE COOKER}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취사용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젖병 등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주방기구로서, 사용용도에 따라 크기와 구조 등을 다르게 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음식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따라서 그에 맞는 조리기구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찌개를 끓이거나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조리기와, 육류요리를 할 경우에 사용되는 조리기, 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고구마나 감자 등을 찔 때 사용되는 조리기는 각각 그 용도에 맞도록 형상과 모양 및 크기가 각각 다르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는 별개로 유아들이 사용하는 젖병은, 젖병소독용 용기에 물과 젖병을 넣고서 물을 가열하는 방법으로 젖병을 소독 및 살균하고 있다.
이러한 조리기 및 젖병소독용 용기는 대부분의 경우,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뚜껑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는 음식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따라서 그에 해당되는 음식을 조리할 때에만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그 용도에 맞도록 제한적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취사 및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조리기를 사용해야하고, 젖병을 소독하기 위해서는 젖병소독용기를 사용하여야 되므로, 조리기 및 젖병소독용기를 각각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과 이들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고, 뚜껑에 젖병을 착탈 할 수 있도록 하여 젖병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본체의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되고 젖병의 입구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에 젖병을 결합하면 젖병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뚜껑의 내측과 통하도록 이루어지고, 그 상부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부와 대응되는 다른 나사부가 가공된 마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리기는 평상시에는 체결부에 마개를 결합하여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고, 체결부에서 마개를 분리하고 여기에 젖병을 결합하면 젖병의 살균 및 소독을 행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는,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4)을 갖는다.
상기 본체(2)는 상부 외측면에 손잡이(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4)의 중앙부 외측에도 이 뚜껑(4)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뚜껑 손잡이(8)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4)에는 본체(2)의 내부 공간과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의 내측과 통하도록 이루어진 관통 홀(12)을 감싼 상태로 뚜껑(4)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상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본체(2)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0)에는 암나사부(14)와 대응되는 숫나사부(16)가 가공된 마개(18)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14)는 도 3에서와 같이 젖병(100)의 개구부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0)와 마개(18)의 접촉면 일측에는 패킹(20)(22)이 각각 제공되어 체결부(10)와 마개(18)가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리기는,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체결부(10)에 마개(18)를 나사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조리기를 젖병 살균 및 소독용으로 사용하려면, 먼저 체결부(10)에서 마개(18)를 분리한 후, 체결부(10)의 암나사부(14)에 도 3에서와 같이 젖병의 입구 쪽을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본체(2)에 물을 넣고서 가열하면 본체(2) 내부에서 수증기가 발생되고, 이 수증기는 소정의 압력으로 관통홀(12)을 통하여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젖병(100)내부로 유입되어 순환하게 되며, 이때 뜨거운 수증기에 의하여 젖병(100)의 내부는 살균 및 소독 처리되고, 젖병(100) 내부에 수증기가 계속 유입되면 먼저 유입된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구(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소정시간 진행하여 젖병(100)의 살균 및 소독이 완료되면, 체결부(100)에서 젖병(100)을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체결부(10)에 마개(18)를 다시 결합하면 일반적인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는, 체결부에 마개를 결합하여 평상시에는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고, 체결부에서 마개를 제거하고 여기에 젖병을 결합하면 젖병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본체의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되고 젖병의 입구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취사용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에 젖병을 결합하면 젖병의 살균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뚜껑의 내측과 통하도록 이루어지고, 그 상부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부와 대응되는 다른 나사부가 가공된 마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
KR2020020010895U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조리기 KR200283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95U KR200283275Y1 (ko)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95U KR200283275Y1 (ko)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275Y1 true KR200283275Y1 (ko) 2002-07-26

Family

ID=7307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895U KR200283275Y1 (ko)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2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9998A (ko)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US6739465B1 (en) Oral feeding bottle
CN206006982U (zh) 蒸汽消毒盖和蒸汽消毒锅
JP4020895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滅菌用システム容器
KR200283275Y1 (ko) 다용도 조리기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KR200447857Y1 (ko) 분유 정량 배출용기
KR20050094159A (ko) 다기능 젖병소독기
KR200447943Y1 (ko) 젖병 소독기능을 가지는 찜통
KR101388807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WO2006048878A1 (en) Vented drinking container and cap therefor
CN105770931B (zh) 具有烘干功能的奶瓶消毒器
KR100399610B1 (ko) 증기 배출 장치
CN102813947B (zh) 一种杀菌消毒器
CN217039756U (zh) 蒸汽消毒调奶一体机
KR200437901Y1 (ko) 가열용기용 스팀샤워장치
CN202844168U (zh) 一种杀菌消毒器
KR200313580Y1 (ko) 필터장치가 구비된 홍삼액 제조기
CN108187083A (zh) 母婴消毒器及蒸汽消毒柜
CN212521485U (zh)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便携锅
TWM550113U (zh) 多功能廚具收納架
KR200378460Y1 (ko) 조리용 팬 뚜껑
KR20180056331A (ko)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