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460Y1 - 조리용 팬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 팬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460Y1
KR200378460Y1 KR20-2004-0031683U KR20040031683U KR200378460Y1 KR 200378460 Y1 KR200378460 Y1 KR 200378460Y1 KR 20040031683 U KR20040031683 U KR 20040031683U KR 200378460 Y1 KR200378460 Y1 KR 200378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stle
steam
button
steam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휘슬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슬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휘슬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1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기 배출 알림 기능을 휘슬로 구현하고, 배출구를 통하여 증기의 배출을 개폐하며, 투명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조리를 손쉽게 하고 끓어넘침을 방지하도록 개선시킨 조리용 팬 뚜껑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조리용 팬 뚜껑은 제 1 증기 배출구를 가지며, 투명 재질로 제작된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베이스와 버턴을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파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측면으로 개방된 제 2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패킹과 내부 제 1 관통공을 통하여 증기를 제공받는 휘슬이 상기 제 2 증기 배출구 내에 구성되고, 하부에 상기 패킹이 연결된 상기 휘슬이 상부의 상기 버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버턴의 시이소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휘슬과 패킹이 상승 및 하강하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제 1 증기 배출구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을 통한 증기 제공으로 상기 휘슬이 소리를 발생한다.

Description

조리용 팬 뚜껑{Cover of a Cooking pan or Cooking pot}
본 고안은 조리용 팬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 배출 알림 기능을 휘슬로 구현하고, 배출구를 통하여 증기의 배출을 개폐하며, 투명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조리를 손쉽게 하고 끓어넘침을 방지하도록 개선시킨 조리용 팬 뚜껑에 관한 것이다.
조리용 팬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고 있으며, 조리 팬은 견고성 및 열보존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병행하여 조리용 팬은 끓어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용기 또는 뚜껑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예로 뚜껑에 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제시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는 개폐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리사는 조리를 시작한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뚜껑 전체를 열지 않고 증기배출구만 열어보고, 배출되는 증기의 양으로 내부 내용물의 조리 상태를 가늠할 수 있다. 그리고, 증기 배출구를 통하여 많은 양의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조리사는 자체 판단에 따라 뚜껑을 개방하여 끓어 넘침을 방지한다.
상술한 경우와 같은 종래의 증기 배출구를 갖는 종래의 뚜껑은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된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불투명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의 뚜껑을 이용하는 조리용 팬으로는 내부의 조리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없고, 조리사는 경험에 의존하여 내부 내용물의 조리 상태를 판단해야만 했다.
또한 단순히 증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의 양으로 끓어넘치는 상태가 판단되므로, 조리사는 정확한 시점에 조리용 팬의 끓어넘침을 방지하기 어렵다. 더욱이 조리사가 일시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경우 끓어넘치는 상태가 방치되는 결과가 종종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용 팬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볼수 있도록 뚜껑을 투명한 재질로 하고, 적절한 시점에 증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끓어넘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 팬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이면 휘슬 소리가 발생됨으로써 조리사가 청각적으로 조리 정도를 알아서 끓어넘침을 방지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 뚜껑은 제 1 증기 배출구를 가지며, 투명 재질로 제작된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베이스와 버턴을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파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측면으로 개방된 제 2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패킹과 내부 제 1 관통공을 통하여 증기를 제공받는 휘슬이 상기 제 2 증기 배출구 내에 구성되고, 하부에 상기 패킹이 연결된 상기 휘슬이 상부의 상기 버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버턴의 시이소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휘슬과 패킹이 상승 및 하강하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제 1 증기 배출구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을 통한 증기 제공으로 상기 휘슬이 소리를 발생한다.
상기 휘슬은 상부에 상기 버턴 저면에 결합된 주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버턴과 연결을 이루고, 하부에 양단에 결합 단부를 갖는 보조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과 연결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로드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2 관통공이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뚜껑 하부의 증기를 상부의 휘슬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증기 배출구 상부의 파지부는 내부에 제 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로드가 상기 제 3 관통공에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의 일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오목한 요부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3 관통공의 측벽에 철부를 갖는 금속편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상기 요부와 상기 철부의 결합으로 상기 버턴의 상승 및 하강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 뚜껑은 증기 배출구를 가지며, 투명 재질로 제작된 몸체; 및 증기배출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공과 연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버턴과 휘슬이 왕복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휘슬이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공의 연통 상태가 개폐되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휘슬은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구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는 닫힘,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구의 연통상태를 보장하는 열림 및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휘슬 위치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 뚜껑은 도 1과 같이 용기의 상부에 놓여진다.
도 1에서 용기(10)는 측벽에 손잡이(12)가 결합되고, 손잡이(12)는 조리 전이나 조리 후에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용기(10)를 들때 사용되며, 열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많이 제조된다.
그리고, 용기(10)의 상부에는 뚜껑(14)이 놓여지며, 본 고안에서는 뚜껑(14)이 분리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힌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뚜껑(14)은 투명한 유리 재질의 몸체를 가지며, 대개의 경우 몸체의 전체 형상이 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뚜껑(14)의 몸체 상부에는 손잡이(16)가 구성된다. 뚜껑(14)은 조리 중이나 후에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손잡이(16)는 필요에 따라서 용기(10)를 개방하고자 뚜껑(14)을 들때 이용된다.
여기에서, 뚜껑(14)은 조리사가 조리 중에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구성되므로, 조리사는 조리 중에 내부 상태를 확인하여 적절한 양으로 소스를 조절하거나 향신료를 투입할 시점을 쉽게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내부 조리물이 넘칠 상태인지 판단하기 용이하다.
손잡이(16)는 열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손잡이(16)는 베이스(18)와 그 상부에 형성된 파지부(20)로 구성된다. 그리고, 파지부(20)의 상부에는 버턴(22)이 구성되며, 베이스(18)와 파지부(20)의 일측면에는 연통된 공간이 형성되어 증기 배기구(24)를 이룬다.
증기 배기구(24)는 뚜껑(14)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여기에, 후술되는 휘슬(46)과 패킹(58)이 구성되고, 휘슬(46)과 패킹(58)은 버턴(22)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된다. 참조로, 패킹(58)은 뚜껑(14)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를 막기 위해서는 하강된 위치를 유지하고, 반대로 증기 배출구를 열기 위해서는 상승된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휘슬(46)은 패킹(58)이 막힌 위치에서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증기를 배출구(47)로 배출하면서,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증기가 배출될 때 휘슬 소리를 발생하는 것으로, 내부 구조는 공지의 휘슬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한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손잡이(16)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18)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소정 높이를 갖는 파지부(20)가 상부에 일체로 구성된다. 파지부(20)는 베이스(18)의 서로 대칭되는 주연부에 다리가 형성되고 이들 다리가 수평보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18)와 파지부(20)가 이어지는 부분은 측면으로 개방되는 스팀 배출구(24)가 형성되며, 스팀 배출구(24)는 패킹(58)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휘슬(46)이 배치되는 영역이 좁게 형성된다.
파지부(20)의 수평보는 상부로 개방되어 버턴(22)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버턴(22)은 하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파지부(20)의 수평보 내부에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결합을 위하여 파지부(20)의 수평보 내부 중앙에 원형 힌지축(30)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버턴(22)의 내부 저면 중앙에는 힌지축(30)이 끼움 가능한 삽입부(2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힌지축(30)은 파지부(20)의 수평보 저면에서 소정 높이 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서 버턴(22)의 시이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버턴(22)의 내부 저면 일단부에는 돌출된 삽입부(28)가 더 형성되며, 여기에 주로드(40)의 결합 단부(42)가 결합된다.
주로드(40)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양단에 원형 머리 형상의 결합 단부(42, 44)가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이어진 두 개의 요(凹)부(40a)가 형성된다. 각 요부(40a)는 수평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주로드(40)의 일측 결합 단부(42)와 결합되기 위하여 버턴(22)의 삽입부(28)는 원형 머리 형상이 삽입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삽입 구조를 갖는다.
파지부(20)는 수평보와 이어지는 일측 다리의 내부에 관통공(34)이 형성되며, 관통공(34)의 저부는 주로드(40)가 관통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막으로 구성되고, 관통공(34)에 형성된 가로막의 하부는 증기 배출구(24)이다. 이에 따라서 버턴(22)의 일단 저면의 삽입부(28)에 결합된 주로드(40)는 파지부(20)의 일측 다리 내부의 관통공을 통하여 증기배출구(24)에 반대쪽 결합 단부(44)가 연장되게 구성된다.
한편, 파지부(20)의 다리에 형성된 관통공(34)의 일 측벽에는 수평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철(凸)부(38a)가 형성된 금속편(38)이 구성된다. 금속편(38)의 철부(38a)는 주로드(40)에 형성된 요부(40a)와 선택적 결합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버턴(22)의 주로드(40)가 결합된 하강된 상태에서 철부(38a)와 주로드(40) 하부의 요부(40a)가 결합되고, 버턴(22)의 주로드(40)가 결합된 단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철부(38a)와 주로드(40) 상부의 요부(40a)가 결합된다.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하여 버턴(22)의 일 단부가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가 지지된다.
한편, 증기 배출구(24)로 연장된 주로드(40)의 결합 단부(44)에는 휘슬(46)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 단부(50)가 결합된다.
휘슬(46)은 측면으로 배출구(47)가 형성되면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 단부(50)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부와 하부의 결합단부(50)는 원형 머리 형상이 삽입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삽입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휘슬(46)의 하부에는 보조로드(52)가 결합된다. 보조로드(52)는 양단에 원형 머리 형상으로 결합 단부(54)와 납작 머리 형상의 결합단부(56)가 각각 구성된다. 보조로드(52)의 원형 머리 형상의 결합 단부(54)는 상부의 휘슬(46)의 결합 단부(50)와 삽입 결합되며, 보조로드(52)의 납작 머리 형상의 결합 단부(56)에는 패킹(58)이 끼워진다. 이때 패킹(58)은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제작되고, 뚜껑(14)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중앙에 보조로드(56)와 억지끼움 가능한 크기의 관통구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베이스(18)의 저면 중앙에는 뚜껑(14)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홈(6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에서, 휘슬(46)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단부(50)와 보조로드(52)는 도 4와 같이 서로 연통 가능한 관통공(64, 62)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뚜껑(14) 하부의 증기가 보조로드(52)를 통하여 휘슬(46)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휘슬(46)은 일정압력 이상 증기가 공급될 때 증기를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47)를 통하여 배출하면서 소리를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 뚜껑이 구성됨으로써 조리 중에 끓음 상태를 청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조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조리사가 용기(10) 내부에 조리물을 넣고 가스렌지 또는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을 시작하면 조리물은 요리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조리사가 투명한 뚜껑 내부를 확인하면서 소스의 양을 조절하거나 향신료 등을 추가 투입할 시간을 가늠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내부 끓는 상태도 관찰할 수 있다.
버턴(22)을 눌러서 패킹(58)을 상승시킴으로써 뚜껑(14)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로 조리를 하면, 뚜껑(14)의 증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의 양으로써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뚜껑(14)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 시간 요리가 지속되면, 내부 조리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면서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일정치 이상 증기압이 상승되면 휘슬(46)이 동작하여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휘슬(46)에서 소리가 발생되면, 조리사는 버턴(22)을 눌러서 패킹(58)을 상승시켜서 내부 증기압과 끓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물이 끓어넘치기 전에 미리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뚜껑(14)의 저면 주연부와 용기(10)의 상부 입구가 서로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과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조리 중에 서로 맞닿은 뚜껑(14)의 저면과 용기(10)의 입구 사이에 증기막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된 증기막은 팬 내부를 밀폐시키는 효과 즉 워터-실(Water-seal) 효과를 유발시켜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워터-실(Water-seal) 효과는 조리 시 뚜껑과 몸체가 완전히 밀착되어 진공에 가까운 상태에서 조리를 가능케 하므로,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 파괴를 막아 주고 음식 고유 맛을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증기배출구를 가지며, 유리 재질의 뚜껑(14)에 손잡이(100)를 구현할 수 있다.
손잡이(100)는 파지부(102)와 증기배출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되 하나의 베이스(104)에서 상부로 분기된 구조를 이루며, 파지부(102)에는 버턴(110)이 구성되고, 증기배출부(106)에는 증기배출공(106a)이 형성된다.
증기배출공(106a)은 베이스(104)에 형성된 증기배출공(104a)과 연통되고, 증기배출공(104a)와 증기배출공(106a)은 서로 연통되는 부분이 후술되는 휘슬(114)에 형성된 관통구(114b, 114c)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104)의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이로써 베이스(104)는 뚜껑(14)의 하부에서 너트부(108)의 관통공(108a)에 형성된 암나사와 조립된다.
그리고, 파지부(102)에도 증기배출공(104a, 106a)과 연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이 장공은 상부에 슬릿이 형성된다. 이 슬릿에 버턴(110)이 삽입되고, 버턴(110)의 하부에 고정 링(112)이 결합되며, 고정 링(112)은 장공 내에 왕복되며 일 단부에 휘슬(114)과 결합된다. 고정 링(112)과 휘슬(114)은 고리(114A)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휘슬(114)은 철편이 이단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에 각각 관통구(114b, 114c)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휘슬(114)은 버턴(110)의 조작에 따라 파지부(102)의 장공 내부를 왕복하는 고정 링(112)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즉, 버턴(110)의 위치는 세 단계 위치로 구분된다. 즉 증기배출부(106) 쪽으로 완전히 밀려진 위치가 닫힘 위치이고, 중간에 위치하면 휘슬 위치이며, 증기배출부(106)의 반대쪽으로 완전히 밀려진 위치가 열림 위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여 버턴이 닫힘 위치로 조작되면, 증기배출공(104a, 106a)이 휘슬(114)에 의하여 닫혀진다. 그리고 버턴이 열림 위치로 조작되면, 증기배출공(104a, 106a)이 연통된다. 그리고, 버턴이 휘슬 위치로 조작되면, 증기배출공(104a)과 증기배출공(106a)은 휘슬(114)에 형성된 관통공(114b, 114c)에 의하여 연결된다.
버턴이 휘슬 위치로 조작되고서 용기(10)에 내용물을 끓이면, 증기가 증기배출공(104a, 106a) 및 관통공(114b, 114c)을 통하여 배출되며, 일정압 이상에 도달하면 배출되는 압력과 속도의 차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된다.
휘슬(114)에서 소리가 발생되면, 조리사는 버턴(110)을 열림 위치로 조작하거나, 뚜껑(14)을 열어서 내부 증기압과 끓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물이 끓어넘치기 전에 미리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14)이 유리 재질로써 조리되는 내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 5 내지 도 7의 뚜껑(14)의 저면 주연부와 용기(10)의 상부 입구가 서로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과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상술한 워터-실(Water-seal) 효과를 유발시켜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개시된 휘슬(114)의 구조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변형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투명한 뚜껑을 통하여 조리용 팬 내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어서 조리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뚜껑에 부착된 증기 배출구를 열어 배출되는 증기의 양으로 내부 내용물의 조리 상태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조리시에 증기 배출기를 열어 증기를 배출하므로써 뚜껑을 열지 않고 끓어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용 팬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이면 휘슬 소리가 발생됨으로써 조리사가 청각적으로 조리 정도를 알아서 끓어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뚜껑과 용기가 서로 맞닿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에 따라 워터-실 효과에 의하여 영양소 파괴를 막아주고 음식 고유 맛을 유지시켜 주는 즉, 조리 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구성되는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구성되는 손잡이의 종 방향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구성되는 휘슬, 보조로드, 및 패킹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부분 절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손잡이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손잡이의 종 방향 단면도.

Claims (5)

  1. 제 1 증기 배출구를 가지며, 투명 재질로 제작된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베이스와 내부 공간에 수용된 버턴을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파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측면으로 개방된 제 2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패킹과 내부 제 1 관통공을 통하여 증기를 제공받는 휘슬이 상기 제 2 증기 배출구 내에 구성되고, 하부에 상기 패킹이 연결된 상기 휘슬이 상부의 상기 버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버턴의 시이소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휘슬과 패킹이 상승 및 하강하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제 1 증기 배출구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을 통한 증기 제공으로 상기 휘슬이 소리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슬은 상부에 상기 버턴 저면에 결합된 주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버턴과 연결을 이루고, 하부에 양단에 결합 단부를 갖는 보조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과 연결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드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2 관통공이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뚜껑 하부의 증기를 상부의 휘슬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 뚜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기 배출구 상부의 파지부는 내부에 제 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로드가 상기 제 3 관통공에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의 일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오목한 요부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3 관통공의 측벽에 철부를 갖는 금속편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요부와 철부의 결합으로 상기 버턴의 상승 및 하강 상태가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 뚜껑.
  5. 증기 배출구를 가지며, 투명 재질로 제작된 몸체; 및
    증기배출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공과 연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버턴과 휘슬이 왕복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휘슬이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공의 연통 상태가 개폐되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휘슬은 상기 버턴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구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는 닫힘,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구의 연통상태를 보장하는 열림 및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제 1 및 제 2 증기배출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휘슬 위치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 뚜껑.
KR20-2004-0031683U 2004-11-09 2004-11-09 조리용 팬 뚜껑 KR200378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83U KR200378460Y1 (ko) 2004-11-09 2004-11-09 조리용 팬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83U KR200378460Y1 (ko) 2004-11-09 2004-11-09 조리용 팬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460Y1 true KR200378460Y1 (ko) 2005-03-11

Family

ID=4368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683U KR200378460Y1 (ko) 2004-11-09 2004-11-09 조리용 팬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283B1 (ko) 2013-04-05 2014-05-20 진우 이 용기 뚜껑
CN111207513A (zh) * 2020-03-05 2020-05-29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提手的液体加热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283B1 (ko) 2013-04-05 2014-05-20 진우 이 용기 뚜껑
CN111207513A (zh) * 2020-03-05 2020-05-29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提手的液体加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46550B (en) Cookware handle assembly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JP7469315B2 (ja) ポータブルランチボックス
KR100845585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378460Y1 (ko) 조리용 팬 뚜껑
KR890005350Y1 (ko)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US20050005778A1 (en) Combined food cooker and steamer
JP3163168U (ja) 調理器具
US4586455A (en) Lid knob of pressure cooker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JP3046000U (ja)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20030038363A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312275Y1 (ko) 패킹이 장착된 조리구
KR100433315B1 (ko) 조리기
JPS6321219Y2 (ko)
KR200305087Y1 (ko) 조리용기
JPS623048Y2 (ko)
KR200453883Y1 (ko) 결합이 용이한 조리기구
JP3079610U (ja) 蒸し鍋
KR200223060Y1 (ko) 조리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