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50Y1 -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50Y1
KR890005350Y1 KR2019830004859U KR830004859U KR890005350Y1 KR 890005350 Y1 KR890005350 Y1 KR 890005350Y1 KR 2019830004859 U KR2019830004859 U KR 2019830004859U KR 830004859 U KR830004859 U KR 830004859U KR 890005350 Y1 KR890005350 Y1 KR 890005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lid
opening
protrusion
upwar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158U (ko
Inventor
엠 · 그루진 제랄드
Original Assignee
다아트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캐니스 스티븐 커스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아트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캐니스 스티븐 커스너 filed Critical 다아트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50000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제1도는 접시 및 뚜껑의 상부 사시도.
제2도는 뚜껑을 접시 상부에 도시한 제1도의 접시 및 뚜껑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뚜껑이 덮여 있는 상태로 도시한 제1도의 접시의 상부 평면도.
제4도는 뚜껑을 벗겨낸 상태의 접시의 상부 평면도.
제5도는 뚜껑을 벗겨내어 저면을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위쪽으로 제친상태의 접시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6-6에 따른 뚜껑의 저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7-7에 따른 부분 절취도.
제8도는 개구부가 접시 내부로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뚜껑이 정위치에 덮여진 접시의 상부 평면도.
제9도는 제3도의 선9-9에 따른, 뚜껑이 덮여진 접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시 11 : 뚜껑
13 : 측벽 14 : 바닥면
15 : 개구된 입구 17 : 코너부
18 : 주연부 19 : 돌출부
22 : 테두리 23 : 플랜지 외측 표면
24 : 돌출턱 28 : 바깥테두리의 외측 연부
29 : 제1돌출 테두리 30 : 바깥 테두리
31 : 제2 돌출 테두리 32 : 러그
35 : 플랜지 36 : 손잡이
37 : 함몰부 39 : 함몰부 연변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조리, 접대 및 저장하는 접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뚜껑을 접시 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가변적인 개방 및 폐쇄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뚜껑을 포함하는 접시에 관한 것이다.
굽거나 또는 기타 조리시에 사용하는 접시의 통상적으로 뚜껑이 마련되어 있어, 접시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조리할대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뚜껑을 덮고 조리함으러써 접시내의 열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거나 조리과정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조리중에 뚜껑을 덮을 필요가 없을 경우에도, 음식물을 접대할때 접시내의 내용물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접시라는 용어는 초음파 오븐 또는 통상적인 오븐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남비 접시와 같은 오븐 그릇을 말한다. 접시라는 용어는 또한 가스레인지(raneg) 상부의 노즐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는 조리 도구도 또한 포함한다.
특정 조리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덮힌 접시에 개구부를 마련하여, 증기 또는 다른 증발되는 기체를 조심스럽게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다. 또한, 조리를 하는 동안에 접시에 뚜껑을 씌워 놓는 것이 적합하나, 조리중에 접시 내부로 자주 접근할 필요성도 있게 된다. 일예로, 뚜껑을 완전히 벗겨내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용 온도계를 접시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필요도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분해 스푼을 접시내에 놓아 접대할 수 있는 편리한 점도 있게 된다. 선행 기술의 조리용 접시는 전체 뚜껑을 벗겨내야만 접시 내부로 접근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상태는 요리사가 벗겨낸 뚜껑을 들고 있거나 또는 뚜껑을 잠시 놓아둘 깨끗하고 열에 안전한 장소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거북스러웠다. 또한, 고온의 접시에서 뚜껑을 벗겨내는 것을 요리사가 접시로부터 갑자기 발생되는 조절되지 않은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을 염려도 있게 된다.
선행 기술에서는 접시로부터 증기를 방출시키거나 또는 조리용 온도계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을 접시 위에서 약간 들어 개구부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법은 작동이 거북스럽고 정확한 조절이 어려운 점등의 이유로 해서 매우 불편하였다.
보통 스튜남비등의 금속제 뚜껑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나, 선행기술에 있어서 증기를 방출시키는 방법으로서, 별도의 나비 밸브 장치를 뚜껑에 가동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밸브는 조절을 할수 없고, 구멍이 쉽게 막히며, 비교적 값이 비싸고 사발과 같은 세라믹 또는 유리로된 조리기구에는 사용할수 없었다. 증기를 방출시키시 위한 선행기술의 다른 방법은 접시의 손잡이에 방출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나, 이러한 실시예는 접시를 취급하는 사람에게 상해를 입힐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방출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손잡이에 증기가 응축되어 손잡이를 뜨겁게 하거나 또는 미끄럽게 한다.
본 고안은 개구된 입구가 있는 접시와 이 접시위에 덮어 개구된 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뚜껑을 마련하여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을 극복한다.
뚜껑과 접시는 합져져서 뚜껑이 덮혀진 접시 내부로 접근할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절가능한 크기의 개구부(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는 조절된 양의 스킴 또는 증기를 접시로 부터 방출시킬 수 있는 조절가능한 방출구 역할을 한다. 이 개구부는 또한 조리용 온도계 또는 스푼의 자루도 통과시킬 수 있을 만큼 그 크기가 충분히 크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뚜껑은 개구부가 형성된 바깥테두리(rim)를 포함한다. 접시는 접시의 입구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돌출턱 및 플랜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돌출턱 부분은 손잡이 역할을 한다. 뚜껑을 접시 위에 덮을 경우에는 접시의 테두리에 의해 뚜껑의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뚜껑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돌출턱으로 마련되는 손잡이로부터 뚜껑의 개구부가 이탈되는 다른 위치로 뚜껑을 회전키게 되면 개구부가 관통되게 된다.
따라서, 뚜껑을 접시로부터 벗겨내지 않고서도 접기의 내부를 접근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개선된 조리용 접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을 벗겨내지 않고서도 접시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조리용 접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증기의 방출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접시 내부로 연통되는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접시 및 뚜껑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시 내부로 개구된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접시 및 뚜껑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다른 목적및 장점을 상술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접시(10)및 이에 덮혀지는 뚜껑(11)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나 접시 및 뚜껑은 예컨대 남비 접시 또는 다른 조리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접시(10) 및 뚜껑(11)은 오븐 또는 레인지 상부에서 조리를 할때의 높은 온도와 냉장고 또는 냉동실에서 저장할때의 낮은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적절한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2도, 제4도 및 제9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10)은 바닥(14)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13)으로 형성된 사발형태의 내부(12)를 갖고 있으며, 바닥면(14)는 접시의 중앙에서 약간 볼록하게 되어 있다. 바닥면(14)의 외측은 바닥 평면에서 볼때 하향으로 연장된 원형인 돌출부(19)를 포함한다. 돌출부(19)는 연속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다수의 돌출부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돌출부(19)는 접시를 평면에 놓을때 그 위에 접시를 위치시키게 되는 기부 역할을 한다. 접시(10)에 마련되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된 입구(15) (제2도 및 제4도)는 원형으로된 코너부(17)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외측으로 만곡된 호형 측면(16)에 의해 형성된다. 호형 측면(16)및 코너부(17)은 상호 연결되어 접시(10)의 개구된 입구(15)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부드러운 주연부(18) (제9도)을 형성한다.
연속되는 부드러운 주연부(18)은 타원형과 같은 비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시(10)의 개구된 입구(15)는 테두리(22)로 감싸여진다. 테두리(22)의 상부면에는 개구된 입구(15)의 주연부(18)과 플랜지(35)사이에서 연장되어 상향으로 면하고 있는 돌출턱(24)가 포함된다. 제9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턱(24)는 플랜지(35)로부터 접시(10)의 개구된 입구를 향하여 하향으로 각을 이룬다.
플랜지(35)은 외측으로 약간 각을 이루어 경사지며 그 외측연부는 외측 표면(23)으로 되어 진다. 따라서, 대체로 4각형인 개구된 입구(15)는 테두리(22)의 플랜지(35)로 감싸여진다. 이러한 결과로써 돌출턱(24)의 폭은 개구된 입구(15)의 코너(17)에 인접한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에서 부터 개구된 입구의 호형 측면(16)에 인접한 비교적 넓은 돌출부분(24b)사이에서 그 폭이 변화된다.
제4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접시(10)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제1도 및 제9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1)은 함몰부(37)내의 중앙에 위치한 손잡이(36)을 포함하여, 남비잡이 또는 다른 보호성 기구를 사용하여 손잡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함몰부(37)의 주변은 상부 평면도에서 원형으로 나타나는 주연부(39)에 의해 성형된다. 부분(38)은 주연부(39)로부터 외측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깥테두리(30)에 연결된다.
바깥 테두리(30)은 대체로 원형인 외측 주연부(28)로 마루리된다. 제3도 및 제9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주연부(28)의 외경은 접시 플랜지(35)의 내경에 비해 약간 작다. 따라서, 뚜껑(11)을 접시(10)위에 덮을때 플랜지(35)는 뚜껑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접시(10)의 개구된 입구(15)를 개방시키기 위해 뚜껑(11)을 제칠 경우에 외측 주연부(28)은 플랜지(35)와 접하게 된다.
뚜껑(11)의 바깥 테두리(30)의 일부분을 절췌하여 뚜껑의 외측 주연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개구부(34)를 형성한다. 제6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4)는 돌출테두리(29) 내측으로 짧은 거리로 연장된다. 개구부는 스푼 또는 조리용 온도계와 같은 도구(도시안됨)의 자루를 통과 시킬 수 있을 만큼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외측 주연부(28)과 동심인 제1돌추테두리(29)를 바깥 테두리(30)의 저면에서 부터 하방으로 연장시킨다.
뚜껑(11)을 접시(10)위에 위치시킬 때에 돌출테두리(29)는 접시의 개구된 입구(15)의 주연부(18)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바깥테두리(30)의 외측 주연부(28)로부터 제2돌출테두리(31)을 하방으로 연장시킨다. 뚜껑(11)을 접시(10)위에 덮을 때에, 제2돌출테두리(31)은 접시 테두리(22)의 주연부(24)와 접촉되어 뚜껑을 접시위에서 지지하게 된다.
1조의 격설된 러그(lug) (32)를 돌출테두리(29)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킨다. 제2 돌출 테두리(31)은 개구부(34)의 주변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31a) (제6도)도 역시 포함한다. 돌출테두리(31a)는 러그(32)와 함께 뚜껑(11)을 위치시키는 어떠한 평면 위에서도 바깥테두리(30)을 약간 상승시키는 기부를 형성한다. 제3도 및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둘출테두리(31a)는 개구부가 돌출부(24b)위에 위하할때 접시(10)의 내부로의 접근을 완전히 방지하는 차단부 역할도 한다. 돌출테두리(31a)는 돌출턱(24)와 대략 동일한 각으로 하방으로 각을 이루어 주연부(28)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1)의 바깥 테두리(30)에 마련된 개구부(34)는 뚜껑을 접시에 덮을때 개구된 입구(15)의 하나의 코너부(17)과 정렬되어 접시(10)내로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34)를 통하여 조리용 온도계와 같은 도구를 접시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는 접시 내부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 역할도 한다. 접시(10)의 개구된 입구(15)의 형태는, 뚜껑(11)을 접시(10)위에서 일정각으로 위치시킬때 개구부(34)가 차단되지 않는 위치를 하나이상 마련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코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을 어느 방향으로나 45。 이하로 회전시키면 접시(10)의 내부로 접근할 수가 있게된다.
뚜껑(11)을 접시(1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뚜껑의 개구부(34)를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에서부터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까지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3도에 도시한 위치에서는 개구부가 완전히 차단되어 접시내부로 접근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는 차단 수단 역할을 하여 접시(10)의 내부로의 접근을 방지하게 된다. 접시(10)은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뚜껑(11)을 접시(10)위에서 하나 이상의 일정각으로 위치시킬때 개구부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가 있기 때문에, 뚜껑을 어느 방향으로나 45。이하로 회전시키면 개구부(34)를 차단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계는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해 준다.
일례로, 개구부(34)의 개구 정도는 뚜껑(11)을 접시(10)위에서 적당한 각도를 선택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최대 개구상태에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다. 뚜껑(11)을 접시(10)위에서 어떠한 각도로 위치시키더라도, 바깥 테두리(30)은 돌출턱(24)위에 위치하게 됨을 주목해야 한다. 바깥 테두리(30)의 저면에 응결되는 증기는 돌출턱(24)위로 떨어져 접시(10)의 개구된 입구(15)로 향하게 된다.
전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는 손잡이 역할도 한다. 개구된 위치에서 개구부(34)는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로부터 이탈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접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접시를 파지할때 사용자의 손방향으로 향하지 않게 된다. 또한, 증기가 돌출부(24b)에 웅축되는 경향도 감소된다.
돌출턱(24)가 접시의 개구된 입구(15)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응결된 증기 또는 다른 액체는 접시 내부로 향하게 된다.
이제 까지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 되는 본 고안의 분야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을 수행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음식물을 조리, 접대 및 저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14)및 이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개구된 입구(15)를 형성하는 측벽(13)을 가지는 접시(10), 상향 개구부(34)가 마련된 바깥 테두리(30)을 갖는 뚜껑(11), 및 주연부(18)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시 테두리(22)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된 입구(15)는 주연부(18)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접시테두리(22)는 하나 이상의 비교적 넓은 돌출부(24)및 하나 이상의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가 마련된 상향 돌출턱(24)를 가지며, 상기 상향 돌출턱(24)및 상기 상향 개구부(34)는 상호 협력하여 상기 돌출턱(24)상에서의 상기 뚜껑(11)의 여러 위치에서 차단되지 않은 구역을 형성하며, 상기 뚜껑(11)은 상기 상향 개구부(34)의 차단되지 않는 구역이 최대로 되어 지게 되는 상기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상에 있게 되는 위치와, 상기 상향 개구부(34)가 완전히 차단되어 지게 되는 상기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상에 있게 되는 위치사이에서 상기 상향 돌출턱(24)상에서 회전자재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되지 않은 구역은 상향 개구부가 상기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상의 위치로 부터 상기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상의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점차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 테두리(22)가 상기 상향 돌출턱(24)를 감싸는 상향 연장된 원형 플랜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입구(15)가 4개의 코너부(1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외측으로 만곡된 호형 측면(16)을 가지며, 상기 상향 돌출턱(24)의 상기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는 상기 호형 측면 (16)들에 각각 인접 위치하고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들은 상기 코너부(17)들에 가각 인접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돌출턱(24)는 상기 주연부(18)을 향해 상기 플랜지(35)로 부터 하향으로 경사져 있어 응결물을 상기 접시(10)내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개구부(34)는 비교적 좁은 돌출부(24a)상의 위치와 이에 인접한 비교적 넓은 돌출부(24b)상의 위치 사이에서 대략45o회전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바깥테두리(30)은 상기 뚜껑의 저면으로 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상기 상향 개구부(34)의 주변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31, 31a)를 가지며, 상기 돌출테두리(31, 31a)는 상기 상향 돌출턱(24)와 합쳐져, 상기 상향 개구부(34)가 비교적 좁은 돌출부(24b)상에 위치할때 접시 내부로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2019830004859U 1982-06-08 1983-06-02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KR89000535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638582A 1982-06-08 1982-06-08
US386385 198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158U KR850000158U (ko) 1985-02-27
KR890005350Y1 true KR890005350Y1 (ko) 1989-08-18

Family

ID=2352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859U KR890005350Y1 (ko) 1982-06-08 1983-06-02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JP (1) JPS58216561A (ko)
KR (1) KR890005350Y1 (ko)
AR (1) AR231383A1 (ko)
AT (1) AT392579B (ko)
AU (1) AU540010B2 (ko)
BE (1) BE896162A (ko)
BR (1) BR8302653A (ko)
CA (1) CA1191705A (ko)
CH (1) CH661425A5 (ko)
DE (1) DE3309534C2 (ko)
DK (1) DK159045C (ko)
ES (1) ES272730Y (ko)
FI (1) FI77970C (ko)
FR (1) FR2527918B1 (ko)
GB (1) GB2121672B (ko)
GR (1) GR71595B (ko)
HK (1) HK39486A (ko)
IE (1) IE53998B1 (ko)
IT (1) IT1167558B (ko)
KE (1) KE3620A (ko)
LU (1) LU84706A1 (ko)
MA (1) MA19748A1 (ko)
MX (1) MX155626A (ko)
MY (1) MY8600573A (ko)
NL (1) NL8301866A (ko)
NO (1) NO158046C (ko)
NZ (1) NZ203857A (ko)
PH (1) PH20041A (ko)
PL (1) PL138733B1 (ko)
PT (1) PT76488B (ko)
SE (1) SE459553B (ko)
ZA (1) ZA8323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12Y2 (ja) * 1988-11-08 1994-08-24 三田アルミ工業株式会社
DE3905002A1 (de) * 1989-02-18 1990-08-23 Fissler Gmbh Kochgefaess
DE8911682U1 (ko) * 1989-09-30 1989-11-16 Aveco Gmbh, 7888 Rheinfelden, De
US5065889A (en) * 1990-08-03 1991-11-19 Dart Industries Inc. Covered dish with vent
DE9104828U1 (ko) * 1991-04-17 1991-06-06 Hp Haushaltprodukte Gmbh, 5430 Montabaur, De
US20020069766A1 (en) * 2000-07-25 2002-06-13 Gerry Paul Cookware and method for cooking with same
US6868980B2 (en) * 2003-06-16 2005-03-22 S. C. Johnson Home Storage, Inc. Container with detachable, selectively vented lid
US20050082305A1 (en) * 2003-10-15 2005-04-21 Dais Brian C. Container with selectively vented lid
JP5973376B2 (ja) * 2013-04-23 2016-08-23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容器
JP6263041B2 (ja) * 2014-02-17 2018-01-17 アテナ工業株式会社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792A (en) * 1926-01-11 1926-04-01 Asprey And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jars, pots and the like, for table use
GB310470A (en) * 1928-04-26 1930-07-17 Horace Edward Pearce Bracey Improvements in containers for sugar, jam, honey, and the like
US1978175A (en) * 1932-05-21 1934-10-23 Albert P Stalle Nestable casserole with platter
DE857860C (de) * 1950-08-12 1952-12-01 Robert Schneider K G Behaelter zum Aufbewahren von Waren aller Art
DE1837693U (de) * 1957-03-04 1961-09-14 Schuppener Siegwerk Hohlkoerper, wie koch- oder bratgeschirr.
BE647935A (ko) * 1963-10-15 1964-11-16
DE2001195A1 (de) * 1970-01-13 1971-07-22 Kurt Ziemke Kochtopf mit durch Verdrehen des Deckels bildbaren Deckeloeffnungen
JPS51114258U (ko) * 1975-03-11 1976-09-16
FR2460261A1 (fr) * 1979-07-04 1981-01-23 Tournus Sa Moulage Bouchon verseur de securite
DE3043218A1 (de) * 1980-11-15 1982-06-03 Albert C. 8001 Zürich Schawalder Kochgefaess mit deckel
GB2098854A (en) * 1981-05-13 1982-12-01 Milkon Products Ltd Bottl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55328B2 (ko) 1988-11-02
MY8600573A (en) 1986-12-31
FI830874L (fi) 1983-12-09
NL8301866A (nl) 1984-01-02
SE8303243D0 (sv) 1983-06-08
IT8320869A0 (it) 1983-04-29
AT392579B (de) 1991-04-25
BR8302653A (pt) 1984-01-17
MX155626A (es) 1988-04-08
LU84706A1 (fr) 1983-11-17
HK39486A (en) 1986-06-06
GB2121672B (en) 1985-12-18
IE53998B1 (en) 1989-05-10
MA19748A1 (fr) 1983-10-01
FI830874A0 (fi) 1983-03-16
DK159045C (da) 1991-02-18
KE3620A (en) 1986-05-16
PH20041A (en) 1986-09-04
GR71595B (ko) 1983-06-17
ATA115583A (de) 1990-10-15
AU1259883A (en) 1983-12-15
PT76488B (en) 1985-12-27
DK258383A (da) 1983-12-09
CH661425A5 (de) 1987-07-31
PL242388A1 (en) 1984-01-16
JPS58216561A (ja) 1983-12-16
BE896162A (fr) 1983-07-01
DE3309534C2 (de) 1985-09-05
FI77970C (fi) 1989-06-12
FR2527918A1 (fr) 1983-12-09
GB8313414D0 (en) 1983-06-22
ES272730Y (es) 1984-04-16
AR231383A1 (es) 1984-11-30
PT76488A (en) 1983-04-01
FI77970B (fi) 1989-02-28
GB2121672A (en) 1984-01-04
SE459553B (sv) 1989-07-17
NO158046B (no) 1988-03-28
DK258383D0 (da) 1983-06-07
CA1191705A (en) 1985-08-13
ES272730U (es) 1983-11-01
NO158046C (no) 1988-07-20
AU540010B2 (en) 1984-10-25
DK159045B (da) 1990-08-27
ZA832377B (en) 1983-12-28
SE8303243L (sv) 1983-12-09
NO831310L (no) 1983-12-09
DE3309534A1 (de) 1983-12-08
FR2527918B1 (fr) 1988-10-14
IT1167558B (it) 1987-05-13
PL138733B1 (en) 1986-10-31
NZ203857A (en) 1986-04-11
KR850000158U (ko) 1985-02-27
IE830545L (en) 198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497A (en) Covered dish with adjustable opening
CA2109044C (en) Microwave cooker
KR940002653B1 (ko) 벤트 뚜껑을 가진 식기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US6029843A (en) Cookware lid
US6105810A (en) Cookware lid and handle assemblies
US4574776A (en) Cooking utensil
US20170079472A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31127A (en) Double boiler and steam cooker
US4917262A (en) Cooking vessel with adjustable vent spaces
KR890005350Y1 (ko)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US4165855A (en) Cooking utensil kit
US5992308A (en) Cooking vessel
GB212167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serving, transporting and/or storing food or the like
JP3652463B2 (ja)
JP3046000U (ja)
JPS6321219Y2 (ko)
JP3059391U (ja) 蒸気加熱調理用蒸し皿
JP2004008489A (ja) 加熱調理容器
KR20200092246A (ko) 취사 도구
KR200390009Y1 (ko) 냄비뚜껑
MXPA99010116A (en) Cover and handle assembly for cook for cookware
CA2274214A1 (en) Cookeware lid
CZ9903909A3 (cs) Nádobí s pokličkou a uc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1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