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246A - 취사 도구 - Google Patents

취사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246A
KR20200092246A KR1020190114376A KR20190114376A KR20200092246A KR 20200092246 A KR20200092246 A KR 20200092246A KR 1020190114376 A KR1020190114376 A KR 1020190114376A KR 20190114376 A KR20190114376 A KR 20190114376A KR 20200092246 A KR20200092246 A KR 2020009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ot
side wall
han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967B1 (ko
Inventor
쩬 짜오
?b 짜오
Original Assignee
용캉 더 린 메이 알루미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캉 더 린 메이 알루미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용캉 더 린 메이 알루미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형 취사 도구를 공개하며, 이는 서로 연결되는 냄비 몸체와 손잡이를 포함하고, 냄비 몸체에 비점착성 코팅층, 에너지절약 복합 냄비바닥 및 냄비바닥 나선형 무늬 구조가 설치되며; 냄비 몸체의 냄비 몸체 측벽은 내부 경사형 구조이면서 호형 측벽, 평면 측벽 및 경사면 측벽으로 구성되고, 평면 측벽은 삼각형 평면이면서 냄비 몸체의 냄비바닥과 수직이며; 냄비 몸체와 손잡이에 모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크리스탈 절단면이 설치되고; 손잡이의 냄비 몸체에서 먼 일단에 평면 바닥시트가 설치되며, 상기 평면 바닥시트는 냄비 몸체의 평면 측벽과 동일한 수평면 내에 위치한다.
상기 기술의 적용으로, 본 발명은 구조가 더욱 합리적인 냄비 몸체, 손잡이 및 냄비 뚜껑을 통해 사용자가 요리하기 전후에 쉽게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고, 운송과 보관 공간이 절약되며, 세척 후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는 등의 유익한 효과를 구현하였다. 이와 동시에, 냄비 뚜껑을 회전시켜 냄비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설계를 통해 조리 조작을 단순화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사용 원가의 최적화와 사용 조작의 단순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Description

취사 도구{COOKING UTENSIL}
본 발명은 주방 취사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관과 조리 조작이 간편한 신형 취사 도구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음식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 역시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주방의 요리에 응용되는 조리 기구를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다.
그 중, 냄비는 기본적인 취사도구로서, 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삶거나, 끓이거나, 지지거나, 튀기거나, 볶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익힐 수 있어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냄비는 오랜 사용 역사를 지닌 취사 도구로서, 요리에 없어서는 안 될 도구 중의 하나이다.
종래의 취사용 냄비는 냄비 몸체 내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주로 냄비 바닥과 냄비 바닥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위를 향하는 냄비 측변을 포함함과 동시에, 손잡이, 냄비 뚜껑 등 부속 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냄비 측변은 주로 완전한 원호변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므로, 보관과 방치 시 수평 상태로만 유지되어 꺼내거나 보관하기가 불편한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운송 및 보관 과정에서도 보관 공간이 비교적 낭비된다.
이와 동시에, 수평으로만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후 냄비 내에 잔류하는 액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없어 냄비 몸체를 신속히 건조하기에 불리하다.
또한, 종래의 냄비 뚜껑 역시 유사한 문제가 존재한다. 종래의 냄비 뚜껑의 윤곽은 냄비 몸체의 가장자리와 마찬가지로 원형이므로, 냄비 뚜껑을 테이블 면에 수평으로만 놓을 수 있으며, 또한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냄비 뚜껑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냄비 뚜껑에 구멍을 개설하는 방식을 통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제어하기에 불리하다.
게다가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덕션 레인지와 가스 레인지에 사용되는 범용성 및 조리 시 냄비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 등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일본 특허등록공보 제3872070호 (2006. 10. 27.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공간을 낭비하고, 신속한 건조와 수증기 배출에 불리하며, 범용성과 눌러 붙음 방지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형 취사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신형 취사도구는 서로 연결되는 냄비 몸체와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냄비 몸체의 내부면에 비점착성 코팅층이 설치되고, 상기 냄비 몸체의 바닥부에 에너지절약 복합 냄비바닥 및 냄비바닥 나선형 무늬 구조가 설치되며; 그 중
상기 냄비 몸체의 냄비 몸체 측벽은 내부 경사형 구조이면서 호형 측벽, 평면 측벽 및 경사면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 측벽은 삼각형 평면이면서 상기 냄비 몸체의 냄비바닥과 수직이고, 상기 손잡이는 경사면 측벽을 통해 상기 냄비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냄비 몸체와 상기 손잡이에 모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크리스탈 절단면이 설치되고, 상기 상기 크리스탈 절단면은 상기 냄비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외부면에 분포되며;
상기 손잡이의 냄비 몸체와 먼 일단에 평면 바닥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평면 바닥시트는 상기 냄비 몸체의 평면 측벽과 동일한 수평면 내에 위치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몸체의 냄비바닥 나선형 무늬 구조는 원형 구조이며, 또한 상기 에너지절약 복합 냄비바닥의 주위를 둘러싼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몸체의 경사면 측벽은 제1 경사면 측벽과 제2 경사면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손잡이는 제1 경사면 측벽을 통해 상기 냄비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경사면 측벽은 상기 평면 측벽과 상기 제1 경사면 측벽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비점착성 코팅층의 표면은 러프 타입구조이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몸체의 냄비 몸체 측벽에 양손으로 받쳐 들 수 있는 약간의 부채꼴형 손잡이가 더 설치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몸체의 상방에 냄비 뚜껑이 덮어진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뚜껑의 가장자리는 상기 냄비 몸체의 호형 측벽과 대응되는 호형변, 및 상기 냄비 몸체의 평면 측벽과 대응되는 직선변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뚜껑에 냄비 뚜껑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냄비 뚜껑 손잡이의 끝단부에 평면 상단이 설치되며;
상기 평면 상단과 상기 손잡이의 평면 바닥시트 및 상기 냄비 몸체의 평면 측벽은 모두 동일한 수평면 내에 위치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냄비 뚜껑 손잡이의 표면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크리스탈 절단면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신형 취사도구를 제공하며, 구조가 더욱 합리적인 냄비 몸체, 손잡이 및 냄비 뚜껑의 적용을 통해 사용자가 요리하기 전후에 쉽게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고, 운송과 보관 공간이 절약되며, 세척 후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는 등의 유익한 효과를 구현하였다. 이와 동시에, 냄비 뚜껑을 회전시켜 냄비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설계를 통해 조리 조작을 단순화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사용 원가의 최적화와 사용 조작의 단순화 등 목적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중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묘사에서 사용될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묘사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실시예일뿐이며, 본 분야의 보통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더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냄비 뚜껑이 설치되지 않은 취사 도구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냄비 뚜껑이 설치된 취사 도구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취사 도구가 수직 상태에 놓였을 때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의 측방향 자립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에서 뚜껑을 제거한 측방향 자립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의 뚜껑 자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의 뚜껑을 일부 회전시켜 내부 공간을 일부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의 뚜껑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들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더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형 취사도구를 공개하며, 이는 주로 서로 연결되는 냄비 몸체(1)와 손잡이(2)로 구성된다.
비점착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냄비 몸체(1)의 내부면에 비점착성 코팅층(3)이 설치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본 실시예의 비점착성 코팅층(3)은 고기를 삶거나 또는 지질 때 음식물이 냄비 몸체(1) 바닥부에 눌러 붙어 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러프 타입(rough type) 구조의 테프론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을 적용한다. 이와 동시에 냄비 몸체(1)의 바닥부에 에너지절약 복합 냄비바닥과 냄비바닥 나선형 무늬 구조가 설치된다. 에너지절약 복합 냄비바닥은 균일한 열전도 및 자기유도 등의 특성을 구비하여, 취사도구를 가스 레인지와 인덕션 레인지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에너지절약 복합 냄비바닥의 주위에 원형 구조의 냄비바닥 나선형 무늬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취사도구를 가스 레인지 또는 인덕션 레인지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취사도구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의 냄비 몸체(1)의 냄비 몸체 측벽은 내부 경사형 구조이면서 주로 호형 측벽(11), 평면 측벽(12) 및 경사면 측벽(13)으로 구성된다. 평면 측벽(12)은 냄비 몸체 측벽의 내부 경사형 구조와 매칭되도록 삼각형 평면으로 설치되고; 또한 평면 측벽(12)은 냄비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수직으로 세워두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손잡이(2)는 경사면 측벽(13)을 통해 냄비 몸체(1)와 연결되며, 이와 같이 하면 테이블 면에 수직으로 세워둘 수 있고, 또한 내부 경사형 구조의 측벽을 이용하여 냄비 내부의 액체 유출을 가속화할 수 있어 신속하게 건조되어 녹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본 실시예의 냄비 몸체(1)의 경사면 측벽(13)은 제1 경사면 측벽(131)과 제2 경사면 측벽(132)을 포함하며; 그 중, 손잡이(2)는 제1 경사면 측벽(131)을 통해 냄비 몸체(1)와 연결되고, 제2 경사면 측벽(132)은 즉 평면 측벽(12)과 제1 경사면 측벽(131)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품 구조를 최적화하는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취사도구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냄비 몸체(1)와 손잡이(2)의 외부면에 모두 크리스탈 절단면(미도시)이 분포되며, 상기 크리스탈 절단면은 인체공학적 설계를 적용하여 취사도구의 미관성을 증가시키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쥐거나, 받쳐 드는 등의 조작 시의 손의 촉감을 향상시켜 취사도구의 전체적인 사용 가치와 상업적 가치가 향상된다.
취사도구를 방치할 경우의 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손잡이(2)의 냄비 몸체(1)에서 먼 일단에 평면 바닥시트(21)가 설치되며, 상기 평면 바닥시트(21)와 냄비 몸체(1)의 평면 측벽(12)이 동일한 수평면 내에 위치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치 상태를 구현하여, 취사도구를 수직으로 방치할 경우의 전체적인 안정성이 강화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냄비 몸체(1)의 상방에 냄비 뚜껑(4)이 더 덮어진다. 냄비 몸체(1)의 특수한 구조로 인하여, 냄비 뚜껑(4)의 가장자리는 냄비 몸체(1)의 호형 측벽(11)과 대응되는 호형변, 및 평면 측벽(12)과 대응되는 직선변이 적용된다. 이와 동시에 냄비 뚜껑(4) 상부면에 냄비 뚜껑 손잡이(41)가 설치되고, 상기 냄비 뚜껑 손잡이(41)의 끝단부에 평면 상단(411)이 설치되며, 상기 평면 상단(411)과 냄비 몸체(1)의 평면 측벽(12) 및 손잡이(2)의 평면 바닥시트(21)가 모두 동일한 수평면 내에 위치함으로써, 취사도구를 수직으로 방치 시의 안정성이 더욱 강화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냄비 뚜껑(4)의 냄비 뚜껑 손잡이(41) 역시 인체공학에 부합하는 크리스탈 절단면이 적용된다.
상기 구조의 냄비 몸체(1)와 냄비 뚜껑(4)을 적용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수증기를 배출해야 할 경우, 냄비 뚜껑(4)을 회전시켜 냄비 몸체(1)와 냄비 뚜껑(4) 사이에 소정의 위치가 어긋나는 공간이 발생하도록 하기만 하면, 즉시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공기배출량은 냄비 뚜껑(4)의 회전 각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이 완료된 후, 냄비 뚜껑(4)을 회전시켜 복귀시키기만 하면, 즉시 냄비 몸체(1)의 폐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 조리의 조작 방식이 단순해지고 사용자의 사용 시의 편리성이 증가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레시피가 다름으로 인해 상이한 조작방식을 취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양손으로 드는 등과 같은 기타 조작을 충족시키도록 냄비 몸체(1)의 냄비 몸체 측벽에 2개의 부채꼴형 손잡이가 더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상향 개방된 내부 공간(112)을 갖는 본체(110)와 그에 결합된 본체 손잡이(120)를 구비하는 취사 도구로서, 본체(110), 바닥부(114), 측벽부(116), 지지부(118), 본체 손잡이(120), 뚜껑(130), 및 뚜껑 손잡이(150)를 포함하는 취사 도구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10)가 측방향으로(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자립 가능하게 되므로 취사 도구의 본체(110)를 세워서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본체(110)를 측방향으로 세움에 따라 설거지 후 본체(110)의 내부 공간(112) 안에 잔류하는 물기 등도 본체(110) 내부 공간(112)의 경사를 따라 흘러보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체(110)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상향 개방된 내부 공간(112)을 갖는 용기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4), 측벽부(116) 및 지지부(118)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바닥부(114)는 측벽부(116)의 호형 구조에 대응되도록 원판에서 일측부가 제거되어 직선변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측벽부(116)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호형 구조(구체적으로는 원호형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112)의 외주면 중 일부(예를 들어 약 270도 내지 290도 정도의 범위)를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부(116)는 상측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테이퍼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거지후 본체(110)를 세워두면 내부 공간(112)의 잔여 물기가 경사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지지부(118)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6)의 일측에 평판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112) 외주면의 나머지(예를 들어 약 70도 내지 90도 정도의 범위)를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부(116)의 일측에 평판 구조의 지지부(118)를 마련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측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자립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에 있어 측벽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체(110)의 측벽 구조는 호형 구조를 갖는 측벽부(116)와 이러한 호형 구조의 단부를 평판 구조로 연결하는 지지부(118)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측벽부(116)와 지지부(118)에 의해 둘러싸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내에는 소위 D컷 형상의 내부 공간(112)이 구획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8)의 외측면에는 삼각 형상의 평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삼각형 평면의 각 변에는 라인 구조로 돌출된 받침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18) 외측면에 받침대가 구비됨으로써, 본체(110)를 세워서 보관시 지지부(118)의 표면 전체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세척후 남아있는 물기가 지지부(118)와 바닥면 사이에 잔존하여 건조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판 형상의 지지부(118)의 두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18)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지지부(118)의 두께를 일부 변화시킴으로써 본체(110)의 지지부(118) 측 내측면에 의도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체(110) 내부의 물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체 손잡이(120)는 음식물의 조리시 본체(110)를 지지하거나 본체(110)를 운반하기 위하여 본체(110)의 측벽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손잡이(120)는 지지부(118)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어 지지부(118)의 외측 평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 손잡이(120)는 본체(110)가 자립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단부가 지지부(118)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본체(110)의 자립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지지부(118)의 평면이 평평한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본체(110)가 세워진 경우 본체 손잡이(120)의 단부 또한 평평한 바닥면에 접하면서 본체(110)의 자립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 손잡이(120)의 단부는 본체(110)의 자립 상태에서 지지부(118)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바닥 평면) 상에 위치되는 평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체(110)의 자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뚜껑(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공간(112)을 개폐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와는 분리된 구조이나 본체(110)와 함께 취사 도구의 한 세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130)에는 뚜껑 손잡이(150)가 마련될 수 있다.
뚜껑(13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130)의 가장자리에는 본체(110) 내부 공간(112)의 밀폐를 위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링 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뚜껑(130) 또한 자립이 가능하다. 즉 뚜껑(130)은 그 자체의 형상과 그에 결합된 뚜껑 손잡이(150)에 의해 자립할 수 있으므로,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세척후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보관의 효율성 역시 높일 수 있다.
뚜껑(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6)와 지지부(11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호형 구조와 직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뚜껑(130)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측벽부(11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호형 구조(원호형 구조)를 갖고, 뚜껑(130)의 가장자리 중 나머지는 지지부(11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뚜껑 손잡이(15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 가장자리의 직선 구조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뚜껑(130)은 가장자리의 직선 구조 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뚜껑 손잡이(150)에 의해 지지되어 자립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뚜껑 손잡이(150)의 단부는 뚜껑(130)의 자립 상태에서 뚜껑(130) 가장자리의 직선 구조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 손잡이(120)와 유사하게 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뚜껑(130)의 자립시 평평한 바닥면에 접하면서 뚜껑(130)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뚜껑 손잡이(150)의 단부는 본체(110)의 자립 상태에서 지지부(118)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자립시 지지부(118), 본체 손잡이(120)와 마찬가지로 뚜껑 손잡이(150)의 단부 역시 동일한 바닥 평면 상에 접할 수 있으므로 뚜껑(130)을 덮은 상태에서 본체(110)를 세워서 보관할 때 본체(110)의 자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 가장자리의 호형 구조 하면에는 돌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2)는 뚜껑(130)의 하면에 측벽부(116)의 호형 구조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0) 내부 공간(112)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내부 공간(112)의 개구와 맞물리면서 삽입될 수 있다.
뚜껑(130)의 가장자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뚜껑(130)의 하면에는 측벽부(116)에 대응되도록 돌출부(14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는 뚜껑(130)에 의해 최대한 밀봉이 가능하게 되므로 음식물의 조리시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리 시간을 줄이고 요리의 풍미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42)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6)의 호형 구조 전체가 아니라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돌출부(142)는 뚜껑(130)의 호형 구조 중 양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 가장자리의 호형 구조 양단부에는 돌출부(142)가 형성되지 않은 여유 공간(144)이 마련되어, 뚜껑(130)의 회전시 내부 공간(112) 중 지지부(118)에 인접한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여유 공간(144)의 크기/길이에 따라 뚜껑(130)이 회전될 수 있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은 측벽부(116)의 호형 구조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42)가 없이 비어있는 여유 공간(144)은 약 20도 내외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뚜껑(130)의 회전 가능 각도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약 20도 내외의 범위일 수 있다. 여유 공간(144)은 뚜껑(130)의 호형 구조 양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므로, 뚜껑(130)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의 회전을 통해 내부 공간(112)의 일부를 개방하게 되면, 지지부(118)와 측벽부(116) 간 경계의 모서리 부분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10) 내의 액체 음식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따라낼 수 있다.
한편 뚜껑 손잡이(150)는 고정 돌기(152)와 고정홀(135)을 통해 방향성을 유지하며 뚜껑(13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뚜껑(130)의 자립을 위한 뚜껑 손잡이(150) 고유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손잡이(150)의 일단은 뚜껑(130)의 중앙 영역에 볼트 등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뚜껑 손잡이(150)의 일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고정 돌기(152)가 형성되고, 뚜껑(130)에는 이러한 고정 돌기(152)가 삽입되는 고정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된 체결 부재 및 고정 돌기(152)/고정홀(135)을 이용한 2점 고정 방식을 통해 뚜껑 손잡이(15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뚜껑(130)의 자립을 위한 뚜껑 손잡이(150)의 고유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 도구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와 일부 상이한 구조의 2가지 타입의 취사 도구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따르면, 취사 도구는 측벽부(116)의 양측에 본체 손잡이(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손잡이(120)의 길이는 전술한 실시예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손잡이(120)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18)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따르면, 취사 도구는 바닥부(114)의 사이즈가 크고 측벽부(116)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손잡이(120)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길게 연장될 수 있으나 이 역시 도 10의 (a)와 같이 측벽부(116)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공개된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전문 기술자가 본 출원을 구현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은 본 분야의 전문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며, 본문에 정의된 일반 원리는 본 출원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기타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본문에 게시된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될 수 없고, 본문에 공개된 원리 및 참신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실시되는 임의의 수정, 동등한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 냄비 몸체
2: 손잡이
3: 비점착성 코팅층
4: 냄비 뚜껑
11: 호형 측벽
12: 평면 측벽
13: 경사면 측벽
21: 평면 바닥시트
41: 냄비 뚜껑 손잡이
131: 제1 경사면 측벽
132: 제2 경사면 측벽
411: 평면 상단
110: 본체
112: 내부 공간
114: 바닥부
116: 측벽부
118: 지지부
120: 본체 손잡이
130: 뚜껑
135: 고정홀
140: 실링 부재
142: 돌출부
144: 여유 공간
150: 뚜껑 손잡이
152: 고정 돌기

Claims (10)

  1.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상향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취사 도구로서,
    상기 본체는,
    판 형상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호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일부를 구획하는 측벽부; 및
    상기 본체가 측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자립 가능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 평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나머지를 구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취사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본체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자립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지지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자립을 보조하는, 취사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손잡이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자립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취사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 및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취사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상기 측벽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호형 구조를 갖고,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중 나머지는 상기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선 구조를 갖는, 취사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는 상기 뚜껑 가장자리의 직선 구조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뚜껑은 가장자리의 직선 구조 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어 자립 가능한, 취사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의 단부는 상기 뚜껑의 자립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장자리의 직선 구조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취사 도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자립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취사 도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가장자리의 호형 구조 하면에는 상기 측벽부의 호형 구조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개구와 맞물려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취사 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측벽부의 호형 구조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 가장자리의 호형 구조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여유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뚜껑의 회전시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지지부에 인접한 영역이 개방되는, 취사 도구.
KR1020190114376A 2019-01-23 2019-09-17 취사 도구 KR102230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110809.8 2019-01-23
CN201920110809.8U CN209863322U (zh) 2019-01-23 2019-01-23 一种新型炊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246A true KR20200092246A (ko) 2020-08-03
KR102230967B1 KR102230967B1 (ko) 2021-03-23

Family

ID=6895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76A KR102230967B1 (ko) 2019-01-23 2019-09-17 취사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0967B1 (ko)
CN (1) CN209863322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086A (ja) * 2000-06-13 2001-12-25 Masamitsu Kikuchi なべの蓋立て
KR200336995Y1 (ko) * 2003-10-07 2003-12-31 전상보 냄비의 국자 및 주걱수용장치
JP3872070B2 (ja) 2004-04-30 2007-01-24 オークス株式会社 加熱調理鍋
KR200460014Y1 (ko) * 2009-12-24 2012-04-27 (주) 씨제이오쇼핑 냄비
JP2012200298A (ja) * 2011-03-24 2012-10-22 Orient:Kk フライパン型調理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086A (ja) * 2000-06-13 2001-12-25 Masamitsu Kikuchi なべの蓋立て
KR200336995Y1 (ko) * 2003-10-07 2003-12-31 전상보 냄비의 국자 및 주걱수용장치
JP3872070B2 (ja) 2004-04-30 2007-01-24 オークス株式会社 加熱調理鍋
KR200460014Y1 (ko) * 2009-12-24 2012-04-27 (주) 씨제이오쇼핑 냄비
JP2012200298A (ja) * 2011-03-24 2012-10-22 Orient:Kk フライパン型調理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967B1 (ko) 2021-03-23
CN209863322U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US8109201B2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KR100453536B1 (ko) 음식 서빙 및 팬 시스템
TWM596028U (zh) 氣炸鍋之雙層內鍋結構改良
US20100230398A1 (en) Slow cooker
JP3200334U (ja) 多用途鍋
US20120223067A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201404048Y (zh) 用于加热食物的厨具
KR20230001672U (ko) 조리기구 어셈블리
US5992308A (en) Cooking vessel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890005350Y1 (ko)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
KR20200092246A (ko) 취사 도구
JPH07275128A (ja) 鍋及び杓子付き鍋
JP3046000U (ja)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CN214230874U (zh) 烹煮器具
JP6999881B2 (ja) 蓋、調理器具セット、及びつまみ
CN217118146U (zh) 煮蛋器
CN220898451U (zh) 电煮锅
CN210611778U (zh) 便于放置的防滴流勺子
JPH0975212A (ja) 卓上用蒸籠
JP3120891U (ja) 土鍋セット
KR960004895B1 (ko) 다용도 조리용기
JP3162270U (ja) 蓋付き調理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