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884Y1 -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 Google Patents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884Y1
KR200235884Y1 KR2020010008928U KR20010008928U KR200235884Y1 KR 200235884 Y1 KR200235884 Y1 KR 200235884Y1 KR 2020010008928 U KR2020010008928 U KR 2020010008928U KR 20010008928 U KR20010008928 U KR 20010008928U KR 200235884 Y1 KR200235884 Y1 KR 200235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milk powder
storage unit
capacity
powdered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덕
Original Assignee
황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덕 filed Critical 황현덕
Priority to KR2020010008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884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유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출시나 여행시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유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분유저장부와; 상기 분유저장부에 내장되어 분유를 일정량씩 나누어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납부를 갖는 원통형의 구조체이고, 상기 수납부는 구조체의 절반에만 형성되는 용량조절부와; 절반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유저장부내에 먼저 고정된 후 그 위에 장착되는 용량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단칸막이와; 상기 상단칸막이와 동일하게 절반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용량조절부가 장착된 후 그 하부에 상기 상단칸막이와 180°의 위상차로 고정되어 상기 용량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하단 칸막이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와 연결핀으로 연결된 후 용량조절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용량조절커버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에서 토출된 분유를 목적하는 곳에 가이드 하는 깔때기 형태의 토출구를 갖는 분유출구통과; 상기 분유출구통의 토출구에 원터치로 결합/해제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Portable milk powder can}
본 고안은 유아용 분유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유통내의 분유를 원하는 용량 만큼 용이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용량 분배 구조를 갖는 휴대용 분유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분유통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정에서는 분유를 유아가 필요로 하는 용량만큼을 분유통에서 스푼으로 떠내어 분유병에 채우고 분유병에 물을 부어 용해시켜 먹인다.
가정(실내)에서는 분유통을 놓을수 있는 공간이 항상 확보되어 있고, 또한일정한 장소에 분유통을 고정시켜 놓고 필요할 때 마다 분유를 떠내어 사용한다. 그렇지만 움직이는 자동차나 실외에서는 부피가 큰 분유통을 직접 휴대하기에는 불편하기 때문에 큰 분유통에서 필요한 용량만 담아서 휴대하기 용이한 휴대용 분유통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용 분유통은 자동차와 같은 이동중인 차량에서 사용해야 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분유통의 뚜껑을 열고 그 내부에 있는 분유를 스푼으로 떠내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분유통의 일측에 배출구를 만들고 이 배출구를 통하여 분유를 안전하게 토출시키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또한 필요한 용량만큼만 토출시키기 위해서 분유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 토출식 분배구조를 갖춘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상기한 정량 토출식 분배구조를 갖는 휴대용 분유통은 그 내부구조가 여러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거나 토출부에 회전식 토출구를 설치하여 단위회전당 일정량만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식 토출구는 분유통의 일단을 병목과 같이 형성하고 이 부분에 설치되므로 1회의 회전으로 분유가 토출되고 난 후에는 토출된 빈 공간에 다시 분유가 채워져야 하는데, 입자가 매우 미세한 분유의 특성상 입자간의 결합력으로 인하여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필요량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여러번을 토출시켜야 하는데 토출되고 난 후 마다 빈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분유통을 흔들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분유통의 내부에 다수의 분배구조를 갖는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각 분배구마다 각각의 토출구를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분유투입시 매번 분해, 조립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유아들은 섭취하는 양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므로 유아의 연령이나 발육상태에 따라 적당한 양을 섭취시켜야 한다.
적당한 양을 섭취시키기 위해서 휴대용 분유통에서 토출되는 용량을 정확히 카운트하나 전술한 종래의 휴대용 분유통으로는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신뢰성 있게 적당량을 토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휴대가 간편하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필요한 용량만큼 토출시킬 수 있으며 분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성 있게 필요한 용량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의 용량조절부로서 용량조절부의 수납부가 단계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의 분유저장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에 있어서, 하부덮개만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에 있어서, 용량조절커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분유저장부 12a,돌출부
12b : 고정홈 12c : 돌출턱
12d : 상향방지턱 14 : 용량조절부
14a : 수납부 14b : 회전축 구멍
16 : 상단칸막이 16a : 고정홈
16b : 회전축 18 : 하단칸막이
18a : 돌출부 20 : 용량조절커버
20a : 연결구멍 20b : 돌출라인
20c : 조절돌기 20d : 탄성라인
22 : 연결핀 22a : 연결핀 잠금장치
24 : 분유출구통 24a : 토출구
26 : 상부덮개 28a : 걸림구
28 : 하부덮개 30 : 조절기어
30a : 걸림턱 32 : 가이드홈
34 : 수납함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유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분유저장부와; 상기 분유저장부에 내장되어 분유를 일정량씩 나누어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납부를 갖는 원통형의 구조체이고, 상기 수납부는 구조체의 절반에만 형성되는 용량조절부와; 절반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유저장부내에 먼저 고정된 후 그 위에 장착되는 용량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단칸막이와; 상기 상단칸막이와 동일하게 절반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용량조절부가 장착된 후 그 하부에 상기 상단칸막이와 180°의 위상차로 고정되어 상기 용량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하단 칸막이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와 연결핀으로 연결된 후 용량조절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용량조절커버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에서 토출된 분유를 목적하는 곳에 가이드 하는 깔때기 형태의 토출구를 갖는 분유출구통과; 상기 분유출구통의 토출구에 원터치로 결합/해제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상단에 상기 분유저장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유저장부에는 상기 용량조절커버가 일정범위만 회전될 수 있도록 분유저장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용량조절커버가 일정한 회전량에 따라 마찰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정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용량조절커버가 회전시 상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분유저장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된 상향방지턱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유저장부의 상단에는 작은 수유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유통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은 휴대용 분유통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분유저장부(12), 용량조절부(14), 상단칸막이(16), 하단칸막이(18), 용량조절커버(20), 연결핀(22), 분유출구통(24), 상부덮개(26), 하부덮개(28)로 이루어진다.
분유저장부(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분유를 저장하는 곳으로, 상단에는 상부덮개(26)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분유출구통(24)이 결합된다. 분유저장부(12)와 상부덮개(26)의 결합방식은 분유저장부(12)의 상단 외주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 나사산과 대응되는 탭을 상부덮개(26)의 내주에 형성하여 상부덮개(26)를 분유저장부(12)의 상단과 볼트/너트 결합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상부덮개의 상단에는 다시 수납함(34)을 형성하여 수유시에 필요한 작은 물품 등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분유저장부에는 용량표시눈금과 조절기어 및 가이드홈이 형성되는데 조절기어와 가이드홈의 형성위치는 용량표시눈금을 기준으로 설계되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된다.
용량조절부(14)는 분유저장부(12)의 하부에 분유저장부(12)의 내경과 접하고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분유를 일정용량씩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구조체에 원주를 따라 상하부가 개방된 다수의 수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는(14a) 원통형 구조체의 절반에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공간은 폐쇄되어 있다. 용량조절부(14)의 중앙에는 용량조절부(14)의 중심축을 향햐여 회전축 구멍(14b)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용량조절부(14)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결핀 구멍(14c)이 형성되어 있다.
상단칸막이(16)와 하단칸막이(18)는 용량조절부(14)의 상하단에 밀착 설치되어 용량조절부(14)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용량조절부(14)의 회전시 분유의 유입과 유출이 결정된다. 즉 상단칸막이(16)는 원판형의 플레이트에 절반만 반월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공간은 폐쇄된 구조체로서 외주에 몇 개의 고정홈(16a)를 형성한후 상기 고정홈(16a)에 대응되는 돌출부(12a)을 분유저장부(12)의 내경에 형성하여 고정홈(16a)이 돌출부(12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단칸막이(16)의 고정위치는 용량조절부(14)의 높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상단칸막이(16)의 중심에는 회전축(1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축(16b)은 상기한 용량조절부(14)에 형성된 회전축 구멍(14b)의 깊이 보다 약간 길게하여 하기에 설명되는 하단칸막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하단칸막이(18)도 상기의 상단칸막이(16)와 마찬가지로 원판형의 플레이트에 절반만 반월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공간은 폐쇄되어 있으며 외주에 몇 개의 돌출부(18a)가 형성되고, 분유저장부(12)에는 상기 돌출부(18a)에 대응하는 고정홈(12b)이 형성되어 있어 하단칸막이(18)가 분유저장부(12)에 고정된다.
용량조절커버(20)는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14)와 연동하여 분유저장부(12)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용량조절부(14)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용량조절커버(20)와 용량조절부(14)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분유저장부(12)에는 슬롯 형태의 가이드홈(32)을 형성한 후 용량조절커버(20)의 일측에는 연결구멍(20a)을 형성하고, 이 연결구멍(20a)과 연결핀 구멍(14c)을 관통하는 연결핀(22)을 삽입시켜 용량조절커버(20)와 용량조절부(14)를 연결한다. 상기에서 가이드홈(32)의 길이는 용량조절커버(20)의 회전량을 결정하고, 또한 가이드홈(32)의 길이는 용량조절부(14)가 180°회전한 거리와 대략 일치된다. 따라서 가이드홈(32)의 일단은 용량조절부(14)의 일측 최초 위치와 일치하고 가이드홈(32)의 다른 일단은 용량조절부(14)의 다른 일측 최종 위치와 일치된다.
용량조절커버(20)가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서 기능적으로 회전하면서 목적하는 일정한 용량의 분유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서 회전을 자유롭게 하면서 용량조절커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조절커버(20)가 결합되는 용량조절부(14)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조절기어(30)를 형성한다. 이 조절기어(30)의 간격은 분유저장부에 형성된 눈금의 간결과 동일하고 용량조절부의 수납부의 간격과도 동일하다. 그리고 조절기어(30)의 구조는 한쌍의 걸림턱(30a, 30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용량조절커버(20)는 분유저장부의 외주에서 회전되고, 돌출된 조절기어(30)의 높이를 고려하여 분유저장부(12)의 외주 보다는 좀 더 큰 내경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원통형의 용량조절커버(20)의 일측 단부 내경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라인(2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용량조절커버(20)의 일단에 돌출라인(20b)이 형성되어 분유저장부(12)에 결합되면 돌출라인(20b)이 형성되지 않은 쪽은 들뜨게 된다. 이러한 들뜨는 구조를 제거하기 위하여 돌출라인(20b)의 대향측 단부가 결합되는 분유저장부(12)에는 돌출라인(20b)의 높이 만큼 보상되는 돌출턱(12c)이 분유저장부(12)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용량조절커버(20)의 내경면 중앙에는 조절돌기(20c)를 형성시켜 용량조절커버(20)가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서 회전될 때 용량조절커버(20)의 조절돌기(20c)와 조절기어(30)의 걸림턱이 일정한 압력으로 마찰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즉, 용량조절커버(20)가 회전중에 조절돌기(20c)와 조절기어의 걸림턱(30a)이 마찰되면 조절돌기가 걸림턱 사이에 일단 걸린 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량조절커버(20)를 회전시키다가 조절돌기(20c)가 걸림턱(30a) 사이에 끼이면 회전을 멈추고 목적하는 용량을 토출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조절돌기(20c)와 조절기어(30)간의 마찰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 일때는 회전성은 좋으나 조절돌기(20c)의 일단 걸림기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어렵고 마찰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때는 일단 걸림성은 좋으나 회전성이 떨어져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일단 걸림성과 회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 조절돌기(20c)가 형성된 부분의 용량조절커버(20) 상,하를 원주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하여 탄성라인(20d)을 형성함으로써 조절돌기(20c)에 적절한 탄성이 부여되어 회전성과 일단 걸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용량조절커버는(20)는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서 회전하게 되면, 관성에 의해 상향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돌출턱(12c)의 상부에 용량조절커버(20)가 상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향방지턱(12d)을 형성하여 용량조절커버(2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분유출구통(24)은 분유저장부(12)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14)에서 토출된 분유를 안내하여 목적하는 곳에 토출시키는 것으로,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분유출구통(24)은 일단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에 대응되는 탭이 분유저장부(12)의 하단 내경에 형성되어 있어, 분유출구통(24)이 분유저장부(12)의 하단에 결합된다.
하부덮개(28)는 분유출구통(24)의 토출구(24a)를 폐쇄하여 분유출구통(24)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 분유출구통(24)의 토출구(24) 직경과 일치하고, 소정길이 돌출된 걸림구(28a)가 형성된다. 이 걸림구(28a)는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절개하여 각각의 절개된 부분이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즉, 상부덮개(26)를 토출구(24a) 위에서 누르면 토출구(24a)에 상부덮개(26)가 가압력에 의해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결합되고 반대로 상부덮개(26)를 잡아 당기면 걸림구(28a)에서 토출구(24a)가 빠져 토출구(24a)가 개방된다. 상기의 걸림구(28a)에 삽입되는 토출구(24a)에 가압력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면 결합과 분리과 힘들고, 너무 약하게 작용하면 상부덮개가 쉽게 분리되어 상부덮개로서의 기능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걸림구(28a)의 탄성력을 충분히 고려하여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분유통의 바람직한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유저장부(12)를 거꾸로 세운 후 상단칸막이(16)를 장착한다. 즉, 상단칸막이(16)의 외주에는 돌출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분유저장부에는 상기 돌출부(16a)에 대응되는 고정홈(1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단칸막이(16)를 분유저장부(12)에 삽입시켜 돌리면 돌출부(16a)와 고정홈(12a)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상단칸막이(16)가 고정된다. 분유저장부(12)의 상단에는 분유저장부를 개방하는 상부덮개(26)가 결합되어 있다.
상단칸막이(16)가 고정된 후에는 그 위에 용량조절부(14)를 장착한다. 즉, 상단칸막이(16)의 중앙에는 회전축(16b)이 형성되어 있고, 용량조절부(14)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16b)에 대응되는 회전축 구멍(14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6b)에 회전축 구멍(14b)을 일치시켜 삽입하면 용량조절부(14)의 위치는 고정되고 회전축(16b)에 의해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용량조절부(14)가 고정된 후에는 그 위에 하단 칸막이(18)를 장착한다. 즉 상단칸막이(16)와 마찬가지로 하단칸막이(18)의 외주에도 돌출부(18a)가 형성되고 분유저장부(12)에 상기 돌출부(18a)과 대응되는 고정홈(12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단칸막이(18)를 용량조절부(14) 위의 분유저장부(12)에 삽입시켜 돌리면 돌출부(18a)와 고정홈이(12b)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하단칸막이(18)가 고정된다. 상기에서 하단칸막이(18)는 상단칸막이(16)와 180°의 위상차이를 두고 고정하므로 상단칸막이(16)의 공간부와 하단칸막이(18)의 공간부는 항상 반대로 위치된다.
하단칸막이(18)가 고정된 후에는 그 위에 분유출구통(24)를 체결한다. 즉, 분유출구통(24)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분유저장부(12)의 하단에는 분유출구통(24)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탭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유출구통(24)를 분유저장부(12)의 하단에 볼트/너트 결합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에서 분유출구통(24)은 하단칸막이(18)와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하단칸막이(18)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도 한다.
분유출구통이(24)가 고정된 후에는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 용량조절커버(14)를 장착한다. 즉 용량조절커버(14)의 연결구멍(20a)과 용량조절부(14)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핀 구멍(14c)을 일치시킨 후 연결핀(22)을 삽입시켜 용량조절부(14)와 용량조절커버(20)가 가이드홈(32)을 따라 일체로 연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유저장부(12)에는 연결핀(22)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량조절커버(20)가 회전되면 연결핀(22)에 의해 연결된 용량조절부(14)도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연결핀(22)이 삽입되는 위치의 용량조절커버(20)에는 삽입된 연결핀(22)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연결핀 잠금장치(22a)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핀(22)을 이 연결핀 잠금장치(22a)에 고정하여 연결핀(2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용량조절커버(14)와 분유출구통(24)의 조립순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바꾸어 실시해도 무관하다.
용량조절커버(20)가 결합된 후에는 최종적으로 분유출구통(24)의 토출구(24a)와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결합되는 하부덮개(28)를 장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휴대용 분유통을 분리할 때에는 연결핀(22)을 빼낸 후 가장 하부에 결합된 하부덮개(28)에서부터 용량조절커버(20), 분유출구통(24), 하단칸막이(18), 용량조절부(14), 상단칸막이(16)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휴대용 분유통의 작용과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덮개(26)를 열고 분유저장부(12)에 분유를 채워넣는다. 분유저장부(12)에 채워진 분유는 그 하부에 내장된 용량조절부의 수납부(14a)에 채워진다. 용량조절부(14)의 상부에는 상단칸막이(16)가 있고, 이 상단칸막이(16)는 반쪽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개방되지 않으므로 분유는 개방된 곳으로만 통과하고, 개방되지 않은 곳으로는 통과되지 않는다. 즉, 개방된 곳의 하부에 위치된 수납부(14a)에만 분유가 채워지고, 나머지는 채워지지 않는다. 그렇지만 용량조절부(14)의 최초 위치는 상단칸막이(16)의 개방부와 수납부(14a) 전체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모든 수납부(14a)에 분유가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최초 위치는 분유저장부(12)에 표기된 눈금의 0 지점과 용량조절커버(20)에 표기된 화살표가 일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최초의 위치에서 용량조절커버(2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분유저장부(12)를 잡은 후 용량조절커버(20)나 용량조절부(14)를 회전시키면 용절조절커버(20)는 가이드홈(32)를 따라 회전한다. 분유저장부(12)에는 0㎖에서 100㎖까지 20㎖씩을 단위로 하여 5단계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까지 용량조절커버(20)를 회전시킨다. 예로서 용량조절커버를 회전시켜 20㎖라는 눈금에 용량조절커버(20)의 화살표를 일치시키면 용량조절커버(2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용량조절부(14)도 하나의 수납부(14a)거리 만큼 회전한다. 즉, 용량조절부(14)의 수납부(14a)는 5개의 수납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수납부(14a)에서 다른 하나의 수납부(14a) 까지의 거리는 분유저장부(12)에 형성된 눈금의 한단계에 해당되므로 용량조절부(14)가 하나의 수납부(14a) 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가이드홈(32)의 길이는 용량조절커버(20)의 회전량을 결정하는 기능을 하고, 가이드홈(32)의 길이는 용량조절부의 180°회전한 길이와 대략 일치한다.
용량조절부(14)가 회전하면 용량조절부(14)의 수납부(14a)에 있던 분유가 하단칸막이(18)의 공간을 통과하여 분유출구통(24)으로 토출된다. 반대로 상단칸막이(16)는 하단칸막이(18)와 180°의 위상차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유가 토출된 수납부(14a)의 상단은 상단칸막이(16)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더 이상의 분유 토출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량조절커버(20)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도 2a, 도 2b, 도 2c,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용량조절부(14)의 수납부(14a)가 개방되면서 하단칸막이(18)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토출되고, 반대로 상단칸막이(16)는 하단칸막이와 180°의 위상차를 계속 유지하여 더 이상의 분유 토출을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분유저장부(12)에 형성된 조절기어(30)는 단계적으로 표시된 눈금부위와 각각 일치되어 있으므로 용량조절커버(20)를 회전하다가 용량조절커버(20)에 형성된 조절돌기(20c) 조절기어의 걸림턱(30a)에 마찰되어 걸리면 이 부분에서 용량조절커버(20)의 회전을 일단 멈추어 필요로 하는 정확한 용량을 얻을 수 있다.
용량조절커버(20)는 회전을 하게 되면 관성에 의하여 상향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분유저장부(12)의 외주에 형성된 상향방지턱(12d)에 의하여 상향되는 것이 방지된다.
용량조절커버(20)를 회전시켜 필요로 한 만큼의 분유를 토출시키고 난 후에는 용량조절커버(20)를 원위치시켜 수납부(14a)에서 빠져 나간 분유를 다시 채우고, 더 많은 분유를 필요로 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용량조절커버(20)의 회전과원위치를 반복해서 시행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분유통에 용량을 매번 계량하여 넣을 필요 없이 분유를 투입하고, 용량을 임의로 제어하여 필요한 용량만 사용할 수 있고, 용기가 작고 가벼워 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작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연결핀만 빼내만 간단하게 분해되므로 세척이 용이하고, 분유투입시 매번 분해, 조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의 가장 큰 효과로서 수유에 필요한 분유량을 용량조절부의 회전작용으로 용량조절부에 형성된 수납부에 의해 목적하는 곳에 정확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분유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분유저장부와; 상기 분유저장부에 내장되어 분유를 일정량씩 나누어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납부를 갖는 원통형의 구조체이고, 상기 수납부는 구조체의 절반에만 형성되는 용량조절부와; 절반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유저장부내에 먼저 고정된 후 그 위에 장착되는 용량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단칸막이와; 상기 상단칸막이와 동일하게 절반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폐쇄된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용량조절부가 장착된 후 그 하부에 상기 상단칸막이와 180°의 위상차로 고정되어 상기 용량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하단 칸막이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와 연결핀으로 연결된 후 용량조절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용량조절커버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량조절부에서 토출된 분유를 목적하는 곳에 가이드 하는 깔때기 형태의 토출구를 갖는 분유출구통과; 상기 분유출구통의 토출구에 원터치로 결합/해제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분유저장부의 상단에 분유저장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저장부에는 상기 용량조절커버가 일정범위만 회전될 수 있도록 분유저장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용량조절커버가 일정한 회전량에 따라 마찰되도록 하여 일단 멈춤을 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정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저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용량조절커버가 회전시 상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분유저장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된 상향방지턱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저장부의 상단에는 작은 수유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20010008928U 2001-03-30 2001-03-30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235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28U KR200235884Y1 (ko) 2001-03-30 2001-03-30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28U KR200235884Y1 (ko) 2001-03-30 2001-03-30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903A Division KR100407551B1 (ko) 2001-03-30 2001-03-30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884Y1 true KR200235884Y1 (ko) 2001-10-10

Family

ID=7309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928U KR200235884Y1 (ko) 2001-03-30 2001-03-30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88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595A (ko) * 2002-01-10 2003-07-16 황현덕 정용량 토출장치를 갖는 분말용기
KR20030070801A (ko) * 2002-02-26 2003-09-02 정희채 정량 배출 용기
KR100407551B1 (ko) * 2001-03-30 2003-12-01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WO2008094880A1 (en) * 2007-02-01 2008-08-07 Johnson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KR200447857Y1 (ko) 2009-08-05 2010-02-24 (주)레몬옐로우 분유 정량 배출용기
US8261951B2 (en) 2004-05-06 2012-09-11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51B1 (ko) * 2001-03-30 2003-12-01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30060595A (ko) * 2002-01-10 2003-07-16 황현덕 정용량 토출장치를 갖는 분말용기
KR20030070801A (ko) * 2002-02-26 2003-09-02 정희채 정량 배출 용기
US7950550B2 (en) 2004-05-06 2011-05-31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US8261951B2 (en) 2004-05-06 2012-09-11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US8276790B2 (en) 2004-05-06 2012-10-02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US8833614B2 (en) 2004-05-06 2014-09-16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WO2008094880A1 (en) * 2007-02-01 2008-08-07 Johnson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KR200447857Y1 (ko) 2009-08-05 2010-02-24 (주)레몬옐로우 분유 정량 배출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551B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US4346823A (en) Multiple function closure
US5685461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uniform volume of granular material
US7959031B2 (en) Method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ice
US7441676B2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a
US4957219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cap
US4144989A (en) Granular material dispenser
US4892233A (en) Dispensing apparatus
EP3040289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US5772086A (en) Particulate dispenser
US5186366A (en) Ground coffee dispenser utilizing a metering trap chamber
US5794816A (en) Vending machine
US20110163118A1 (en) Metered Dispenser
KR200235884Y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US5169036A (en) Granular-liquid hand-held dispenser
WO2016019299A1 (en) Powdered beverage product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40041700A1 (en) Portable milk powder container
US5251559A (en) Drain cleaner dispenser with locking feature
US5054934A (en) Sanitary dispenser
KR0136233Y1 (ko) 분체계량장치
US202400608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sing a flowable solid
CN219807168U (zh) 一种定量片状物的瓶盖结构和定量药片瓶
EP0471417A1 (en) Dispensing device for bulk material such as confectio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