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957A -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957A
KR20150043957A KR20140050900A KR20140050900A KR20150043957A KR 20150043957 A KR20150043957 A KR 20150043957A KR 20140050900 A KR20140050900 A KR 20140050900A KR 20140050900 A KR20140050900 A KR 20140050900A KR 20150043957 A KR20150043957 A KR 2015004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ischarging
discharged
discharge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태
Original Assignee
한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강회 filed Critical 한강회
Publication of KR2015004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65D2590/662Operating devices therefor allowing a particular motion, e.g. combination of rotational and 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미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곡물(필요한 경우에는 합성수지원료라든지 세라믹원료 등)이 선택적으로 보관된 상태에서 1회의 인출작용시마다 정량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물보관장치는 곡물이 수납되는 곡물보관함체와, 상기 곡물보관함체에 보관된 상기 곡물의 정량이 인출되도록 하는 곡물토출유니트 및 상기 곡물보관함체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구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곡물토출유니트는 상기 곡물보관함체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인출을 위해 수납되는 토출곡물수납부를 갖춘 곡물인출지지부재와,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납된 곡물을 인출하기 위한 조작노브와, 그 조작노브의 후방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납된 곡물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곡물배출판,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상기 인출대상의 곡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양측의 측판에 의해 곡물배출판이 연계되는 곡물배출부 및, 상기 곡물배출판의 후방에 연설되어 상기 곡물의 인출작용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곡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곡물유입차단부를 갖춘 곡물인출작동부재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GRAIN CONTAINER HAVING FIXED AMOUNT DISCHARG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곡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일정한 양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표적으로 백미(白米)라든지 보리 등의 주식(主食)곡물에 대해서는 안전한 보관을 위한 수단이 다양한 형태로 제안된 상태로서, 그러한 곡물보관수단은 대개 합성수지재라든지 목재, 금속재 또는 도기(陶器) 등으로 제조되면서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상부커버(또는 뚜껑)가 설치된다.
그러한 곡물보관수단의 일예에 따르면, 내부가 곡물수납공간으로 정의되고 상단에는 그 곡물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커버(또는 뚜껑)가 설치되는 바, 그러한 형태의 곡물보관수단의 경우는 특정의 곡물이 수납/보관된 상태에서 소정의 계량 컵 또는 그에 대응하는 용기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만큼 퍼내야만 되기 때문에, 곡물을 퍼내야 할 때마다 커버(또는 뚜껑)를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계량 컵이나 별개의 용기를 사용하여 매번 일정한 양을 퍼내기는 어려워 그 퍼낸 양에 대해 가감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예컨대 누름식 버튼의 조작 시 정해진 양의 곡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수단이 제안되어 실용에 적용된 상태이지만, 그러한 곡물보관수단에서는 대체로 그 전면에 최소한 하나의 누름식 버튼이 배치됨과 더불어 그 하측면에는 누름식 버튼에 연동하여 곡물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곡물배출구개폐구조가 설치됨에 따라 비교적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백미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곡물을 선택적으로 보관시킨 상태에서 1회의 인출작업 시 마다 정량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곡물의 인출과정에서 임의로 비산되는 현상을 배제하고, 인출될 곡물의 양을 필요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곡물의 인출과정에서 곡물이 구성요소 간의 간극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된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르면 곡물이 수납되는 곡물보관함체와, 상기 곡물보관함체에 보관된 상기 곡물의 정량이 인출되도록 하는 곡물토출유니트 및, 상기 곡물보관함체가 안착되는 받침구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토출유니트는 상기 곡물보관함체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인출을 위해 수납되는 토출곡물수납부를 갖춘 곡물인출지지부재와,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납된 곡물을 인출하기 위한 조작노브와, 그 조작노브의 후방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납된 곡물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곡물배출판,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상기 인출대상의 곡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양측의 측판에 의해 곡물배출판이 연계되는 곡물배출부 및, 상기 곡물배출판의 후방에 연설되어 상기 곡물의 인출작용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곡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곡물유입차단부를 갖춘 곡물인출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물토출유니트는 상기 조작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곡물보관함체의 내부 하측 또는 상기 받침구에 설치된다.
또,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는 하부-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원통형의 곡물인출작동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는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의 내측에 전/후진 슬라이드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조작노브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상기 곡물보관함체로부터 곡물이 유입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양 측판에 의해 상기 곡물배출판이 연계되는 곡물배출부와 상기 곡물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곡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곡물유입차단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의 상기 토출곡물수납부는 상기 받침구의 내측 상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토출곡물수납부 상에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유입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곡물배출부의 양 측판 사이에 곡물토출양조절부재가 착탈식으로 개재된다.
상기 곡물배출판의 후단에는 실리콘재질, 고무재질, 연성의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곡물비산방지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대응하는 상기 곡물배출부 상에는 상기 곡물배출작동부재의 곡물인출동작과 곡물인출완료 후의 복귀동작 중에 상기 곡물보관함체로부터의 곡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곡물누출방지판이 배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의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에 곡물(필요한 경우에는 합성수지원료라든지 세라믹원료 등)이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곡물보관함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간을 일정한 양만큼 인출해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곡물보관함체에서 배출된 곡물에 대해 별개의 곡물토출양조절부재를 부가하면 그 곡물토출양조절부재에 의해 설정되는 양으로 조절된 상태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곡물인출과정 중에 곡물이 튀어서 비산하는 현상에 대해 실리콘재질이라든지 고무재질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완충부재를 채용함으로써 곡물의 인출과정 중에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인출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물의 인출 중 또는 인출 후 후속의 인출대기상태로 복귀하는 도중에 구성요소 간의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양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보관함체의 내부에서 곡물토출유니트의 하측에 인출대상의 곡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토출유니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보관함체와 곡물토출유니트가 결합되는 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인출작용 범위의 설정에 필요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의 정량토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에의 변형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의 분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비되는 곡물보관함체의 곡물배출구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비되는 곡물보관함체가 장착되는 받침구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의 인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인출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인출구조의 다른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갱이 형태의 곡물(예컨대, 백미, 현미를 비롯해서 콩, 조, 보리, 밀 등)이 저장/보관가능하면서 예컨대 합성수지라든지 도기(陶器), 금속판재, 목재 또는 유리재로 제작되는 소정 형상의 곡물보관함체(10)의 내부 하측에는 일정한 양의 곡물을 인출하도록 작용하는 곡물토출유니트(20)가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보관함체의 내부에서 곡물토출유니트의 하측에 인출대상의 곡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는 곡물의 원활한 인출(또는 토출)작용을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하측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곡물인출유니트(20)의 하측에 위치하는 곡물의 잔량은 토출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의 하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다량의 곡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충전재(21)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전재(21)는 항균제가 혼합되어 사출되는 합성수지라든지 고무, 목재(바람직하게는 오동나무) 등의 재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유리하게, 상기 충전재(21)는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비해 양측이 높게 경사진 형태이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내의 곡물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바닥면에 대해서는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가 설치되는 위치를 향해 양측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충전재(21)를 별도로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토출유니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설치되는 곡물인출지지부재(20A)와 그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내측에서 수납되어 곡물의 인출작용을 위해 전진/후진 슬라이드작동되는 곡물배출부재(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는 그 선단측에 상기 곡물보관함체(10)와의 결합시 그 곡물보관함체(10)의 외면(外面)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대체로 원형(또는 다각형상)의 함체외면지지판(22)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함체외면지지판(22)의 전단에는 상기 곡물배출부재(20B)의 인출조작 시에 곡물이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원호형으로 하향 경사진 각도의 곡물유출편(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에서 상기 함체외면지지판(22)의 후방에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실제 상기 곡물보관함체(10)로부터 배출되는 인출대상의 곡물이 수납되는 토출곡물수납부(26)와, 상기 곡물배출부재(20B)의 슬라이드작동을 안내하는 곡물인출작동지지부(28)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곡물배출구(도시는 생략)의 직하(直下)위치에 설계되면 인출대상의 곡물이 낙하되어 수납되기 용이하게 되고, 그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납된 곡물이 1회에 인출작동에 의해 인출가능한 양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로부터 인출대상의 곡물이 수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물인출작동지지부(28)는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후방에서 상기 곡물배출부(20B)의 후방의 슬라이드작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에서 상기 함체외면지지판(22)과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사이에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가 개재되는 함체결합영역(30)이 정의되고, 그 함체결합영역(30)에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가 개재된 상태에서 그 곡물보관함체(10)의 내면을 지지하는 '스페이서(Spacer)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함체내면지지구(32)가 필요에 따라 제공된다.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에서 상기 함체결합영역(30)의 후방에는 나사체결부(34)가 형성되고, 그 나사체결부(34)에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함체결합너트(36)가 체결된다.
또, 상기 곡물인출작동지지부(28)의 후단에는 예컨대 곡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링하기 위한 후단커버(38)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곡물배출부재(20B)는 그 선단에 곡물의 인출을 위해 출입조작에 유리하도록 조작노브(40)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후방에는 그 곡물배출부재(20B)가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내부로 진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전방에서 노출되는 내부를 은폐시키고 인출대상의 곡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면커버(42)가 형성된다.
상기 곡물배출부재(20B)는 상기 전면커버(42)의 후방에는 곡물배출부(44)와 곡물유입차단부(46)가 순차로 형성되는 바, 상기 곡물배출부(44)는 곡물의 인출대기위치에서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그 상부와 하부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곡물보관함체(10)로부터 곡물이 배출되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유입되는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그 곡물배출부(44)의 양측에서 일정한 폭의 측판(44a,44b)이 실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납된 곡물의 배출을 위한 곡물배출판(46)에 연계된다.
상기 곡물배출판(46)은 그 하단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접면되는 구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납된 곡물을 밀어내어 배출되도록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된다.
또, 상기 곡물배출부(44)와 곡물유입차단부(46)는 상기 곡물배출판(46)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 구성되는 곡물토출유니트가 곡물보관함체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대체로 원형의 관통공(상세한 도시는 생략)을 통해 그 곡물보관함체(10)의 내부로 넣어지면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함체외면지지판(22)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외면에 밀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내측에서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함체결합영역(30)에 상기 함체내면지지구(32)를 위치시키고나서 상기 나사체결부(34)에 상기 함체결합너트(3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곡물보관함체(10)에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외면과 내면에 밀착되는 상기 함체외면지지판(22)과 상기 함체내면지지구(32)의 형상(경사각) 및 폭(두께)는 그 곡물보관함체(10)에 대응하는 형태로 적용된다.
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곡물인출작동지지부(28)의 내측에는 상기 곡물배출부재(20B)의 상기 곡물유입차단부(48)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곡물유입차단부(48)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 요홈(48a)에는 해당하는 곡물배출부재(20B)의 인출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환형의 스토퍼(50)가 체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곡물인출작동지지부(28)의 내측에는 곡물인출작용 시에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20B)가 최대로 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50)가 걸려서 상기 곡물배출부재(20B)가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걸림턱(52)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참조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곡물배출구(도시는 생략)로부터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배출된 곡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조작노브(42)를 당김조작하면 상기 곡물배출부재(20B)의 전체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곡물배출판(46)에 의해 그 곡물이 밀려나와 상기 곡물유출편(24)을 통해 토출되어 별개의 용기(도 8에서 '54'참조)에 담겨지게 된다.
그러한 곡물의 토출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곡물유입차단부(48)가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상에 이동되어 위치됨에 따라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곡물배출구로부터 곡물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고, 상기의 곡물인출과정이 완료되어 상기 조작노브(42)를 밀어넣으면 상기 곡물배출부재(20B)가 전체적으로 후진함에 따라 상기 곡물유입차단부(48)에 의해 차단된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곡물배출구가 점차 개방되면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곡물이 재차 유입되어 후속의 인출과정을 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는 상기 곡물보관함체 내에 설치된 상기 곡물토출유니트의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용된 곡물이 인출되기 때문에 항시 일정한 양의 곡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에서는 곡물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외부에서 토출이 이루어지면서 별개의 곡물수납용기(예컨대, 도 8에서 '54')가 필요하게 되지만,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하측에 받침구(60)를 설치하고, 그 받침구(60)의 내부에 상기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물토출구조가 적용된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하부에는 받침구(60)가 제공되고,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하면은 일측으로 편중되게 곡물배출구(10c)가 형성되도록 경사져서 그 내부에 저장/보관된 곡물이 상기 곡물배출구(10c)를 향해 집중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곡물배출구(10c)의 양측은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양측을 커버링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그 곡물배출구(10c)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이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제 2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상기 받침구(60)의 전면에 위치되는 곡물수납용기(도시는 생략)에 정량의 곡물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는 그 하단이 온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받침구(60)의 상측에서 햐항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대체로 중앙에 곡물배출구(10c)가 형성되며, 그 곡물배출구(10c)의 하측에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가 위치되도록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가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20B)를 출입시키기 위한 상기 조작노브(40)는 일정한 길이의 핸들연결로드(40a)에 의해 상기 받침구(6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구(60)의 전방(즉, 곡물토출위치)에는 별개의 슬라이드출입 방식의 곡물수납용기(54)가 수납된다.
따라서, 본 제 2실시예의 변형예에서도 상기 조작노브(40)의 반복적인 출입조작에 따라 곡물인출작동부재(20B)가 정량의 곡물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함으로써 정량의 곡물이 상기 곡물수납용기(54)내에 토출되고, 그 곡물수납용기(54)를 인출해냄으로써 필요한 양의 곡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는 대체로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구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곡물의 투입을 위해 착탈가능한 함체커버(10A)가 결합되며, 그 하측에는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는 받침구(60)가 제공된다.
본 예의 경우에도 상기 받침구(60)의 전면에는 곡물의 인출을 위한 곡물토출유니트(20)가 제공되어 상기 조작노브(40)의 조작에 따라 정량의 곡물이 인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2에 도시된 상기의 곡물보관장치의 분해도를 참조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측에는 상기 함체커버(10A)가 착탈식으로 제공되고, 그 하측에는 받침구(60)가 제공되며, 그 받침구(60)의 전면에는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구(60)는 예컨대 외부에서 해충이라든지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 저면이 받침구커버판(62)에 의해 커버링되는 바, 그 받침구커버판(62)는 그 상측면에 다수의 제 1결합돌기(62a)가 형성되고, 각 결합돌기(62a) 는 그 상단에 일정한 깊이의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구(6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 2결합돌기(후술하는 도 15의 60e 참조)가 대응적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구(60)의 저면에 체결된다.
또,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저면에는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에 인출대상의 곡물이 배출되는 곡물배출구(10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의 경우에도 그 전방에 조작노브(40)를 갖춤과 더불어 그 후방에는 상기 곡물배출판(46)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곡물배출부(44)와 상기 곡물유입차단부(48)를 포함하게 되고, 상기 조작노브(40)의 전면에는 별개의 장식부재(40a)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저면에서 소정 위치에는 곡물이 배출되는 곡물배출구(10c)가 일정한 구경으로 천공되고, 그 곡물배출구(10c)에는 별개의 링형상 보강부재(70)가 장착되며,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하측에는 상기 받침구(6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단에 비해 작은 구경의 받침구안착단(10d)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그 받침구안착단(10d)의 외면에는 예컨대 실리콘재질의 완충기능의 링부재(도시는 생략)가 제공되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기 받침구안착단(10d)은 상기 받침구(60)에 대한 안착구조에 따라 배제되거나 다른 형상(예컨대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기 받침구안착단(10d)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구(60)의 상단 외주변에는 일정한 높이의 환형상 함체지지벽(60a)이 형성되고, 그 함체지지벽(60a)의 내주면에는 소정 위치마다 함체지지돌기(60b)가 형성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받침구(60)의 상면(60c)에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곡물배출구(10c)에 연통되는 일정한 너비의 곡물통과구(60d)가 형성되며, 그 곡물통과구(60d)의 하측에는 곡물인출대기상태의 경우에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의 곡물배출부(44)(및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가 위치되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기 곡물배출구(10c)를 통해 인출대상의 곡물이 공급된다.
상기 받침구(60)의 상면에서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특히,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20B)가 통과하는 관통구의 후단에는 일정한 길이로 원호형상의 작동부재안내편(80)이 일체로 형성되는 바, 그 작동부재안내편(80)은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20B)가 곡물의 인출을 위해 전진이동하는 경우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납된 곡물을 깍아내어 일정한 양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도 갖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상기 받침구(60)와 상기 받침구커버판(62)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상기 받침구커버판(62)의 상측면에는 다수의 제 1결합돌기(62a)가 형성되고, 각 결합돌기(62a)는 그 상단에 일정한 깊이의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구(6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 2결합돌기(60e)가 대응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받침구(60)의 저면에 상기 받침구커버판(62)이 결합된다.
도 16은 상기의 곡물인출유니트(20)의 다른 구성예가 예시된 도면으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가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와 상기 곡물배출부재(20B)로 구성되고,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는 실제 인출대상의 곡물이 유입되는 토출곡물수납부(26)와 그 후단의 곡물인출작동지지부(28)로 구성되지만, 본 예에서는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20A)의 구성요소가 상기 받침구(6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 특징을 갖게 된다.
즉,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곡물유입구(60d)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인출대상의 곡물이 유입되는 하부-반구형의 토출곡물수납부(26)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토출곡물수납부(26)의 후방(즉, 도면애서 그 토출곡물수납부(26)의 우측)은 개방되어 상기 곡물토출유니트(20; 즉, 곡물인출작동부재(20B))의 상기 곡물유입차단부(48)가 통과하도록 하게 되며, 그 토출곡물수납부(26)의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곡물배출부재(20B)의 후단에 설치되는 스토퍼(50)에 대응하는 스토퍼걸림턱(80; 상기한 실시예의 스토퍼걸림턱(52)에 대응)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에 의해 정량의 곡물인출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의 토출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곡물배출구(10c)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양은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깊이와 너비(즉, 면적)에 의존하게 되는 바, 본 변형예에서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필요하거나 또는 상기 곡물수납공간ㅂ2n(26)에 의한 양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 곡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기 곡물배출부재(20B)의 상기 곡물배출부(44)를 형성하는 양 측판(44a, 44b)의 내면에 걸림돌기(90)가 형성되고, 그 걸림돌기(90)에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곡물토출조절부재(92)의 양측단(92a)이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안착된다.
상기 곡물토출양조절부재(92)는 상기 곡물보관함체(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납되도록 하기 위해 그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물토출양조절부재(92)는 예컨대 도 19 또는 도 20에 예시된 형태로 곡물수용면적이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곡물의 종류 또는 필요한 양에 맞도록 교체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한 곡물토출양조절부재(92)를 적용하면 인출되는 곡물의 양을 복잡한 구성요소가 적용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인출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배출된 곡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조작노브(40)를 당기는 경우 상기 곡물배출부(44)에 연계된 상기 곡물배출판(46)에 의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내의 곡물이 밀려나오는 과정에서 곡물이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원호형상 작동부재안내편(80)과의 사이에 끼여 나오면서 임의로 튀어서 비산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곡물배출판(46)에 대응하는 대체로 원형의 제 1원판(100a; 즉 상기 곡물배출판(46)에 대응))과 그 제 1원판(100a)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원형의 제 2 원판(100b)의 사이에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곡물비산방지부재(102)가 개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물비산방지부재(10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원호형상 작동부재안내편(80)과의 사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 상기 곡물비산방지부재(102)가 개재되는 상기 제 2원판(100b)의 후방에서 상기 곡물유입차단부(48)의 일부는 슬라이드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작은 구경의 단차부(104)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노브(40)를 당겨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용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경우 곡물이 각 구성요소의 사이(특히,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원호형상 작동부재안내편(80)과의 사이)에서 강제로 밀려나오는 경우에도 상기 곡물비산방지부재(102)의 완충작용에 의해 곡물이 임의로 튀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에서 곡물인출구조의 다른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한 토출곡물수납부(26)에 수용된 곡물을 인출하거나 인출완료 후에 상기 조작노브(4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서서히 당기거나 밀어주는 경우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작동부재안내편(80)과 상기 완충부재(102)의 사이에 간극('A')이 생김과 더불어 상기 전면커버(42)와 상기 곡물유출편(24)와의 사이에도 간극('B')이 형성되는 경우 그 간극('A', 'B')를 통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기 곡물배출구(10c)로부터의 곡물이 연속해서 흘러내려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작동부재안내편(80)의 상측에 그 작동부재안내편(80)에 비해 상기 곡물배출부(44)를 더 커버링하기 위한 곡물누출방지판(100)이 더 배치된다.
그러한 곡물누출방지판(100)이 더 구성되는 경우, 곡물인출대기상태에서는 상기 곡물누출방지판(100)이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기 곡물배출구(10c)로부터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의 사이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곡물보관함체(10)의 상기 곡물배출구(10c)로부터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에 곡물이 유입되어 저장된다(도 23 참조).
그에 대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26)내의 곡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조작노브(40)를 서서히 당기거나 인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밀어넣는 경우 상기 곡물누출방지판(100)이 상기 받침구(60)의 상기 작동부재안내편(80)과 상기 완충부재(102)의 사이에 간극('A')을 폐쇄해주기 때문에 임의적인 곡물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예에서는 본 발명이 곡물의 보관 및 토출작용에 적용된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정량의 토출이 필요한 고체형태의 합성수지원료라든지 세라믹분말 또는 입자 등의 보관 및 토출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곡물보관함체, 20: 곡물토출유니트,
20A: 곡물인출지지부재, 20B: 곡물배출부재,
22: 충전재, 24: 곡물유출편.
26: 토출곡물수납부, 28: 곡물인출작동지지부,
40: 조작노브, 44: 곡물배출부,
46: 곡물배출판, 50: 스토퍼,
60: 받침구. 80: 작동부재안내편,
92: 곡물토출양조절부재. 100: 곡물누출방지판,
102: 곡물비산방지부재

Claims (7)

  1. 곡물이 수납되는 곡물보관함체와,
    상기 곡물보관함체에 보관된 상기 곡물의 정량이 인출되도록 하는 곡물토출유니트 및,
    상기 곡물보관함체가 안착되는 받침구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토출유니트는 상기 곡물보관함체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인출을 위해 수납되는 토출곡물수납부를 갖춘 곡물인출지지부재와,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납된 곡물을 인출하기 위한 조작노브와, 그 조작노브의 후방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수납된 곡물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곡물배출판,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상기 인출대상의 곡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양측의 측판에 의해 곡물배출판이 연계되는 곡물배출부 및, 상기 곡물배출판의 후방에 연설되어 상기 곡물의 인출작용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곡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곡물유입차단부를 갖춘 곡물인출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토출유니트는 상기 조작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곡물보관함체의 내부 하측 또는 상기 받침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는 하부-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원통형의 곡물인출작동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는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의 내측에 전/후진 슬라이드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조작노브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상기 곡물보관함체로부터 곡물이 유입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양 측판에 의해 상기 곡물배출판이 연계되는 곡물배출부와 상기 곡물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곡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곡물유입차단부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인출지지부재의 상기 토출곡물수납부는 상기 받침구의 내측 상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토출곡물수납부 상에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곡물수납부에 유입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곡물배출부의 양 측판 사이에 곡물토출양조절부재가 착탈식으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배출판의 후단에는 실리콘재질, 고무재질, 연성의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곡물비산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에서 상기 곡물인출작동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구의 상측에는 그 곡물인출작동부재의 슬라이드작동을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작동부재안내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안내편의 상측에는 상기 곡물배출작동부재의 곡물인출동작과 곡물인출완료 후의 복귀동작 중에 상기 곡물보관함체로부터의 곡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곡물누출방지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KR20140050900A 2013-10-15 2014-04-25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KR20150043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351 2013-10-15
KR20130122351 2013-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957A true KR20150043957A (ko) 2015-04-23

Family

ID=5303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0900A KR20150043957A (ko) 2013-10-15 2014-04-25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9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454A (zh) * 2019-08-01 2019-10-25 杜萌 底座结构及具有其的周转箱
WO2022078230A1 (zh) * 2020-10-15 2022-04-21 台州宽源家居有限公司 一种多仓位功能型储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454A (zh) * 2019-08-01 2019-10-25 杜萌 底座结构及具有其的周转箱
WO2022078230A1 (zh) * 2020-10-15 2022-04-21 台州宽源家居有限公司 一种多仓位功能型储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2879B2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US10034452B2 (en) Pet food dispenser
US8175327B2 (en) System to determine in near real-time product density in a continuous dispensing product flow
KR20150043957A (ko)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US5758803A (en) Milk powder dispenser
US2676734A (en) Granulated soap dispenser
US20200397115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oose powder and method of filling the container
KR101179698B1 (ko)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AU2018218303A1 (en) Dispenser
US9530268B1 (en) ADA compliant coin recycling device
US11279550B2 (en) Dispenser
KR200190409Y1 (ko) 분말공급장치
CN210213476U (zh) 一种储药瓶
KR101561076B1 (ko) 곡물 보관장치
DE202012100722U1 (de) Getränkeausgabevorrichtung
FR2848380B1 (fr) Mecanisme de dosage pour un semoir et semoir muni d'un tel mecanisme de dosage
US1139831A (en) Measuring device.
JP2003190029A (ja) 計量米びつ
KR200433076Y1 (ko) 정량 인출장치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200326874Y1 (ko) 분유통용 정량 배출기
KR101444894B1 (ko) 세제 정량 투입기
TW201913047A (zh) 材料計量裝置及材料計量方法
KR101380377B1 (ko) 기능성 바가지
KR200479884Y1 (ko) 곡물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