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932B1 - 양념통 - Google Patents

양념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932B1
KR101523932B1 KR1020130126965A KR20130126965A KR101523932B1 KR 101523932 B1 KR101523932 B1 KR 101523932B1 KR 1020130126965 A KR1020130126965 A KR 1020130126965A KR 20130126965 A KR20130126965 A KR 20130126965A KR 101523932 B1 KR101523932 B1 KR 10152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rotrusion
metering
discharg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199A (ko
Inventor
최영숙
Original Assignee
이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념통은 양념 분말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저장통;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의 제1돌기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구비되고 밑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양념 분말을 일정량만큼 계량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돌기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계량통; 상기 계량통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1돌기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배출구와 이격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통; 및 상기 계량통의 관통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이 각각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정확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고정쇠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통은 상기 제1돌기를 축으로 회전할 시 상기 제2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양념 분말을 제2배출구로 배출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상기 제1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에 상기 제1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양념 분말이 채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양념통{Cruet}
본 발명은 양념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념 분말을 일정한 량만큼 계량하여 배출하는 양념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통은 통상 보통의 다른 용기와 같이 가루 또는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양념통은 기본적으로 양념 분말이 수용 보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의 구성관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양념통은 양념 분말을 단지 보관기능만 제공되었을 뿐, 양념 분말을 계량하는 기능은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양념통에 저장되어 있는 양념 분말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 본인의 감각에 의하여 배출량을 조절하지만 그 량이 항상 일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뚜껑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계량도구를 사용하여 양념 분말의 배출량을 계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뚜껑 혹은 계량도구를 이용하여 양념 분말의 배출량을 계량할 경우에는 계량되는 량을 항상 동일하게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며, 양념통에 담겨 진 양념 분말을 뚜껑에 따르는 과정에 있어서 손에 묻게 되거나, 넘쳐 흘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계량기구는 계량기구를 구입하는데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비용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계량기구를 별로도 보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계량기구 없이도 양념 분말이 일정한 량만큼 계량되어 배출되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양념 분말의 정확하고 지속적인 정량 배출을 할 수 있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념통은 양념 분말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저장통;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의 제1돌기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구비되고 밑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양념 분말을 일정량만큼 계량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돌기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계량통; 상기 계량통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1돌기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배출구와 이격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통; 및 상기 계량통의 관통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이 각각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정확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고정쇠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통은 상기 제1돌기를 축으로 회전할 시 상기 제2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양념 분말을 제2배출구로 배출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상기 제1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에 상기 제1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양념 분말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쇠는 상기 제1돌기와 맞대어지도록 결합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돌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삽입부가 안착하는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 내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은 제1돌기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출통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통과 결합하는 제2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통은 상기 제2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하고 다수의 배출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양념 분말이 비정량적으로 배출되는 제1뚜껑과, 상기 배출통의 하면에 결합하여 상기 양념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 제2뚜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 의하면, 계량통의 저장공간에 의해 양념 분말이 계량되어 배출되므로 별도의 계량기구 없이 정량 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계량통이 제1돌기를 축으로 회전하고 고정쇠에 의해 계량통의 저장공간과 배출구가 정확하게 동일선상에 위치하므로 양념 분말의 정확하고 지속적인 정량 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통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쇠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통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통의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10)은 저장통(100), 계량통(200), 배출통(300) 및 고정쇠(400)를 구비한다.
저장통(100)은 양념 분말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통(100)의 하부에 계량통(200)이 구비되고, 상기 계량통(200)의 하부에 배출통(300)이 구비되며, 고정쇠(400)는 저장통(100)과 계량통(200) 사이에 구비된다.
저장통(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양념 분말은 계량통(200)을 통해 일정한 량이 계량되고, 배출통(300)을 통해 계량된 양만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100), 계량통(200) 및 배출통(300)은 서로 탈착이 가능하여 내부 청소가 용이하기 때문에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미 사용시에는 분리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양념통(10)이 원기둥 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양념통(10)은 다양한 모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통(1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제1뚜껑(500)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통(100)의 개방된 상부는 양념 분말이 저장통(100)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구 역할을 하며 제1뚜껑(500)을 구비함으로써 저장통(100)에 저장된 양념 분말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뚜껑(500)의 일부분에는 다수의 배출구멍(510)을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저장통(100) 내부에 구비된 양념 분말은 제1뚜껑(500)의 다수의 배출구멍(510)을 통해 비정량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뚜껑(500)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양념통(10)을 사용하지 않을 시 양념 분말이 다수의 배출구멍(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배출구멍(510)을 막는 덮개(520)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520)는 제1뚜껑(500)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부(521)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521)는 상기 제1뚜껑(5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제1뚜껑(500)과 결합하고 힌지부(521)에 의해 제1뚜껑(500)의 중심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520)가 제1뚜껑(500)으로부터 제안된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뚜껑(500)에는 가이드라인(5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520)는 상기 가이드라인(530) 상을 움직이는 돌기부(52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522)가 상기 가이드라인(530) 상의 일측으로 회전할 경우, 다수의 배출구멍(510) 위에 덮개(520)가 위치하게 되어 정확하게 다수의 배출구멍(510)을 막을 수 있어 부주의로 인한 양념 분말의 배출을 막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돌기부(522)가 상기 가이드라인(530) 상의 타측으로 회전할 경우, 다수의 배출구멍(51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다수의 배출구멍(510)을 통해 양념 분말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통(300)의 하부에는 제2뚜껑(6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뚜껑(600)은 양념통(10)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배출통(30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양념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뚜껑(600)은 상기 배출통(300)으로부터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출통(300)으로부터 외부로 양념 분말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 뚜껑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뚜껑(600)은 상기 배출통(30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저장통(1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통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통(100)은 양념 분말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120)와, 상기 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돌기(1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10)는 양념 분말이 저장되는 곳으로, 몸체(110)의 크기와 길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구(120)는 몸체(110)에 저장된 양념 분말이 계량통(20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로써 몸체(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1돌기(130)는 몸체(110)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계량통(2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계량통(20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돌기(130)의 형태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돌기(130)가 관통된 계량통(200)이 상기 제1돌기(130)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기(130)에는 고정쇠(400)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안착홈(131)을 구비한다. 상기 제1돌기(130)에 안착홈(131)이 구비됨으로써 고정쇠(400)가 제1돌기(130)에 결합 되더라도 제1돌기(130)를 축으로 상기 계량통(200)이 회전하는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제1돌기(130)에는 제1돌기(130)로부터 연장되고 배출통(300)과 결합하는 제2돌기(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2돌기(140)는 제1돌기(130)와 달리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2돌기(140)를 축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제2돌기(140)에 의해 저장통(100)이 배출통(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량통(200)은 양측이 몸체(110)와 배출통(300)에 각각 고정된 제1돌기(130)를 축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1돌기(130)의 안착홈(131)에 구비되는 고정쇠(4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쇠(40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쇠(400)는 상기 제1돌기(130)와 맞대어지도록 결합하는 삽입부(410)와, 상기 삽입부(410)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420)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410)는 상기 제1돌기(130)의 안착홈(131)에 맞대어지기 위해 제1돌기(130)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쇠(400)가 제1돌기(130)에 결합 되더라도 제1돌기(130)를 축으로 상기 계량통(200)이 회전하는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돌출부(420)는 상기 삽입부(410)로부터 상기 제1돌기(13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20)는 후술할 상기 계량통(200)의 다수개의 삽입홈(2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통(200)을 회전시킴에 따라 돌출부(420)가 상기 다수개의 삽입홈(2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삽입홈(211)으로부터 이탈된 후 이웃하는 또 다른 삽입홈(211)에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쇠(400)는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하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고정쇠(400)의 돌출부(420)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홈(211)을 구비하는 계량통(2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통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통(200)은 상기 저장통(100)의 몸체(110)에 구비된 제1돌기(130)가 관통하는 관통홀(210)과, 상기 관통홀(210)을 중심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저장공간(220)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210)의 길이는 상기 제1돌기(13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0)의 크기는 상기 제1돌기(130)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계량통(200)이 상기 제1돌기(130)를 축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쇠(400)의 돌출부(420)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홈(21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220)은 밑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220)은 분리벽(230)에 의해서 나누어지게 되고, 저장공간(220)과 분리벽(230)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저장공간(220)이 세 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저장공간(220)은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장공간(220)의 단면 형상은 저장공간(220)의 개수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통(100)의 제1배출구(120)의 단면 형상은 저장공간(2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1배출구(120)로부터 저장공간(220)까지 동일한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양념 분말은 보다 원활하게 저장통(100)에서 계량통(200)으로 옮겨질 수 있다.
한편, 계량통(200)은 상기 제1돌기(13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저장공간(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220)에 양념 분말이 저장된 후, 계량통(200)을 회전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저장공간(220)에 양념 분말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량통(200)은 저장통(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저장통(100)의 제1배출구(120)와 저장공간(220)이 정확하게 동일선상에 놓여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저장공간(220)에 정확한 일정 량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 또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관통홀(210)에 상기에서 언급한 고정쇠(4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쇠(4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돌출부(420)가 관통홀(210)에 구비되는 다수의 삽입홈(211)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된 상태의 돌출부(420)는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 계량통(200)을 회전시키지 않는 한 삽입홈(2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삽입홈(211)을 상기 분리벽(230)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분리벽(230)과 동일한 위치의 관통홀(210)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저장공간(220)을 상기 제1배출구(120)와 정확하게 동일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계량통(200)을 회전시킬 경우, 돌출부(420)가 삽입홈(211)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방향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삽입홈(211)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또 다른 저장공간(220)이 제1배출구(12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제1배출구(120)와 저장공간(220)이 정확하게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더불어 저장공간(220)에 정확한 일정 량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계량통(200)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계량통(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부재를 구비하거나 마찰력이 큰 부재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저장공간(220)에 저장된 양념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통(3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통(30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통(300)은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31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통(300)은 상기 계량통(200)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1돌기(130)로부터 연장되는 제2돌기(140)가 삽입되어 저장통(100)과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통(300)에는 상기 제2돌기(140)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홈(320)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홈(320)은 상기 제2돌기(14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2돌기(14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2돌기(140) 전체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배출구(310)는 저장공간(220)에 저장되어 있는 양념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 상기 제1배출구(120)와 이격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구(310)가 상기 제1배출구(120)와 이격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배출구(120)와 상기 저장공간(220)은 별도의 마개(미도시)나 뚜껑(미도시)이 없기 때문에 제1배출구(120)와 저장공간(220)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경우 양념 분말은 저장공간(220)에 자동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제2배출구(310)가 제1배출구(12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경우, 제1배출구(120), 저장공간(220) 및 제2배출구(310)가 모두 동일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념 분말은 저장공간(220)에 채워지지 않고, 바로 제2배출구(31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일정 량만큼 계량된 양념 분말이 저장공간(220)에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배출구(310)는 제1배출구(120)와 이격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2배출구(310)의 단면은 저장공간(2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저장공간(220)에 저장된 양념 분말이 보다 원활하게 제2배출구(31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념통(10)은 제1배출구(120)를 통해 몸체(110)에 저장되어 있던 양념 분말이 자동으로 계량통(200)의 저장공간(220)에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통(200)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저장공간(220)이 제2배출구(3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양념 분말을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제1배출구(120)를 통해 일정 량의 양념 분말이 이웃하는 또 다른 저장공간(220)에 자동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양념통(10)은 별도의 계량기구 없이도 지속적인 정량 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계량통(200) 내부에 고정쇠(400)가 구비되기 때문에 저장공간(220)과 제1배출구(120) 및 제2배출구(310)가 정확하게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양념 분말의 정확한 배출과 계량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양념통 100: 저장통
200: 계량통 300: 배출통
400: 고정쇠 500: 제1뚜껑
600: 제2뚜껑

Claims (7)

  1. 양념 분말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저장통;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의 제1돌기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구비되고 밑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양념 분말을 일정량만큼 계량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돌기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계량통;
    상기 계량통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1돌기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배출구와 이격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양념 분말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통; 및
    상기 계량통의 관통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이 각각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정확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고정쇠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통은 상기 제1돌기를 축으로 회전할 시 상기 제2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양념 분말을 제2배출구로 배출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상기 제1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에 상기 제1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양념 분말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상기 제1돌기와 맞대어지도록 결합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돌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삽입부가 안착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내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제1돌기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출통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통과 결합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은 상기 제2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하고 다수의 배출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양념 분말이 비정량적으로 배출되는 제1뚜껑과,
    상기 배출통의 하면에 결합하여 상기 양념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 제2뚜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KR1020130126965A 2013-10-24 2013-10-24 양념통 KR10152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65A KR101523932B1 (ko) 2013-10-24 2013-10-24 양념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65A KR101523932B1 (ko) 2013-10-24 2013-10-24 양념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99A KR20150047199A (ko) 2015-05-04
KR101523932B1 true KR101523932B1 (ko) 2015-05-29

Family

ID=5338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65A KR101523932B1 (ko) 2013-10-24 2013-10-24 양념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9921B (zh) * 2017-05-05 2019-02-05 武汉商学院 定量调料瓶和调味装置
CN107098075B (zh) * 2017-06-16 2020-12-25 中山市意创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可定量的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14B1 (ko) * 2008-11-17 2009-09-14 (주)연우 파우더 정량 토출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14B1 (ko) * 2008-11-17 2009-09-14 (주)연우 파우더 정량 토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99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641B1 (en)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A2922088C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US20120267401A1 (en) Powder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EP2349870A1 (en) A container with means for metering a dose of a predetermined size
KR101523932B1 (ko) 양념통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KR101679261B1 (ko) 계량이 가능한 이중 덮개를 포함하는 조미료 계량용기
EP3652506B1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CA2874020A1 (en) Dry goods portion control container
WO2013055200A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
JP6746228B2 (ja) 計量カップ付き液体容器
US7559442B1 (en) Laundry soap dispensing apparatus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US20150014349A1 (en) Dispensing Contents from Selected Chambers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101318767B1 (ko) 수평으로 슬라이딩되는 계량스푼을 이용한 분말공급장치
KR20160002984U (ko) 조미료통
KR101812083B1 (ko) 액상 세제 용기
KR200186755Y1 (ko) 액체 내용물 보관용 용기의 정량 유출장치
KR200141598Y1 (ko) 쌀통의 계량토출장치
JP2023174290A (ja) スクイズ計量容器
JP2001114322A (ja) 注出量可変容器
JP2020029285A (ja) 計量キャップ
EP3489166A1 (en) Dispenser for dry foodstuff
JP5491580B2 (ja) 米と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