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289A -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289A
KR20150106289A KR1020140028638A KR20140028638A KR20150106289A KR 20150106289 A KR20150106289 A KR 20150106289A KR 1020140028638 A KR1020140028638 A KR 1020140028638A KR 20140028638 A KR20140028638 A KR 20140028638A KR 20150106289 A KR20150106289 A KR 2015010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ents
plate member
housing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310B1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바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2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310B1/ko
Application filed by 바쉔(주) filed Critical 바쉔(주)
Priority to EP14839189.9A priority patent/EP3040289B8/en
Priority to PCT/KR2014/007895 priority patent/WO2015030450A1/ko
Priority to BR112016004165A priority patent/BR112016004165A2/pt
Priority to CA2922088A priority patent/CA2922088C/en
Priority to AU2014312531A priority patent/AU2014312531A1/en
Priority to CN201480047691.9A priority patent/CN105813956B/zh
Priority to JP2016536046A priority patent/JP6413155B2/ja
Publication of KR2015010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310B1/ko
Priority to US15/047,889 priority patent/US20160159555A1/en
Priority to JP2018129754A priority patent/JP2018172178A/ja
Priority to US16/443,837 priority patent/US117728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포장용기의 내부에서 가변되며 내용물 토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DISCHARGE DEVICE OF REQUIRED DOSE AND PACKING CONTAINER HAVING THE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내부에 사용자의 사용으로 가변되고, 내용물이 정량 토출시에 연계되어 용기의 내용물 토출측을 막음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포장용기는 상부 외주연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개폐 기구(마개)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사용되는 개폐 기구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며, 그 형태에 따라 쓰임새 또한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용기 개폐 기구의 경우 캡 형태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면은 판판한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 테두리에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개폐 기구를 개방 시에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용기 개폐 기구에 대해서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0697호(고안의 명칭: 뚜껑을 이용한 삼중용기)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사용자가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양만큼 꺼내기 불편한 점이 있다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때는,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포장용기를 기울이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이 포장용기 내부의 하부에 있을 때 내용물을 손으로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포장용기 내에서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가 제시된 바 있으나, 현재 고안되어 사용 중인, 포장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포장용기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심대에 의하여 내용물 일부가 포장용기 상부의 토출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식 용기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포장용기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 놓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포장용기에는 각종 음식물, 약품 또는 물품 등이 담겨 제공되고 있으며, 통상의 포장용기에 제공되는 개폐 기구는 개폐를 위한 기능 이외에는 별 다른 기능이 없다. 또한, 일정량의 내용물을 습득하기 위하여 개폐 기구를 개방한 후 사용하는 이유로 부득이하게 포장용기 내부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내용물의 정량만을 습득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포장용기 내에 집어넣어 내용물을 잡거나, 포장용기를 기울여 일부 내용물을 손바닥에 붓고 다시 남은 내용물을 포장용기 내에 수납하는 관계로 내용물이 쉽게 외부 오염에 노출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잡고 흔들면서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정량만큼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흔들어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을 한 번에 정량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기울이는 등 사용상 번거로움 없이 한 번에 쉽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서 고형물인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하면서 용기의 내용물 토출측을 막도록 한 쌍씩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는 개폐판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 토출측을 번갈아 막는 개폐판의 개폐를 위한 회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토출부는,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정량씩 토출 유도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토출부는,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고,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홀을 갖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획부재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개폐판부재; 및 상기 개폐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개폐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개방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홀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누름, 또는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시 회동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에 접하여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되지 않아 회동에 의해 개폐되되, 서로 인접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는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홀에 토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축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통공 공간인 통공부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동되어 개방된 상기 개방홀을 닫는 막음판부재를 더 포함하여, 내용물이 상기 개폐판부재를 누름시,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젖혀짐에 따라 개방된 상기 개방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홀을 닫음에 따라 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상기 개방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구획부재에 접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축 회전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회전 고정단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축회전 고정단은 상기 축 회전부재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이 상기 정량토출부측으로 유입 안내되도록 하는 유입안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안내부재는 상기 정량토출부측으로 통공되는 가이드홀을 통공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개방홀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토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결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는 토출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토출틀과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 내에 상기 내용물의 토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부재의 회동시, 상기 개폐판부재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토출 공간이 있는 토출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개방부 내부 방향으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틀 내측의 상기 연장부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개방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와, 상기 내용물 저장부에서 정량 토출된 후 인출 대기하는 내용물 인출부로 나뉘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 및 내용물이 상기 정량토출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입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케이싱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정량 토출 유도하는 정량 토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 토출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회동에 의한 개폐식으로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정량 토출장치를 통해 정량씩 토출되는 내용물을 받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상기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용기에서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하면서 용기의 내용물 토출측을 막도록 한 쌍씩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는 개폐판을 구비하거나 개방부를 가지는 토출틀을 구비하여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토출측을 번갈아 막는 개폐판의 개폐를 위한 회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리 형태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는 토출틀에 분리판을 연결하여 개방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개방부의 안쪽 토출 공간으로 내용물의 정량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정량토출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초기 복귀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정량토출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정량토출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초기 복귀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정량토출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는 하우징(110) 및 정량토출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을 담은 케이싱(10)의 토출측에 구비된다. 즉, 하우징(110)의 하측은 케이싱(10)에 연결된다. 이때,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으로 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케이싱(10)의 내용물 토출측에 구비된다. 특히, 하우징(110)은 케이싱(10)의 내용물 토출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케이싱(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하우징(110)은 케이싱(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케이싱(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통공부(121a)를 형성한다.
그리고, 정량토출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싱(10)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定量) 토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토출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상측에 커버(30)를 구비한다. 커버(30)는 정량토출부(120)를 통해 정량씩 토출되는 내용물을 받는다. 커버(3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정량토출부(120)는 구획부재(121) 및 개폐부(123)를 포함한다.
구획부재(121)는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 내측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구획부재(121)는 하우징(110) 내측 특히, 통공부(121a)를 구획한다. 그리고, 구획부재(121)는 토출부가 있는 개방홀(122)을 통공한다. 이때, 개방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구획부재(121)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구획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개폐부(123)는 토출 공간(112c)(도 8 참고)을 통해 내용물을 정량씩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부(123)는 개방홀(122)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씩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개폐부(123)는 개폐판부재(124), 축 회전부재(125) 및 막음판부재(127)를 포함한다.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의 내측면 또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싱(10)이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닫아 내용물의 임의적 토출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케이싱(10)이 뉘여지거나 반대로 세워진 사용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은 토출된다. 이때, 내용물은 개방홀(122)의 내부에 있는 토출 공간(112c)의 확보된 직경에 의해 정량씩 토출된다.
개폐판부재(124)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내용물의 토출을 허용할 수 있도록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개폐판부재(124)는 삼각 형상으로 도시한다. 물론, 개폐판부재(124)는 개수와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축 회전부재(125)은 개폐판부재(124)에 구비되어 개폐판부재(124) 각각을 회동(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획부재(121)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구획부재(121)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축회전 고정단(1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면'은 케이싱(10)을 미사용 상태로 세워놓았을 때 상부를 향하는 구획부재(121)의 표면이다.
그리고, 축 회전부재(125)은 개방홀(122)을 닫고 있는 상태의 개폐판부재(124) 각각의 상면에 구비된 채 대응되는 축회전 고정단(126)에 연결된다. 그래서, 축 회전부재(125)은 축회전 고정단(126)를 따라 이동된다. 물론, 축 회전부재(125)와 축회전 고정단(12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축 회전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개폐판부재(124)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축회전 고정단(126)는 구획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구획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막음판부재(127)는 개폐판부재(124) 각각에 구비된다. 그래서, 막음판부재(127) 각각은 대응되는 개폐판부재(124)에 연동되어 회동된다.
특히,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닫고 있을 때,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을 때,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닫는 상태가 된다.
막음판부재(127)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받은 상태에서, 막음판부재(127)가 닫힘과 동시에 개폐판부재(124)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토출 공간(112c)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된다.
일대일 대응되는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는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정 양(개수)의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를 누르게 되면, 개폐판부재(124)는 젖혀지면서 개방홀(122)을 개방한다. 이에 연동되어, 막음판부재(127)가 개방홀(122)을 막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은 정량씩만 개방홀(122)을 통해 토출된다.
개방홀(122)을 통해 토출된 내용물은 커버(30)에 수용된다. 아울러, 케이싱(10)이 기울어지면, 개폐판부재(124)는 막음판부재(127)의 자중에 의한 회동으로 인해 개방홀(122)을 닫게 된다. 그래서, 커버(30)에 수용된 내용물은 케이싱(10) 내부로 투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 각각이 개방홀(122)을 개방한 상태에서 구획부재(121)의 표면에 대해 수직 또는 예각만큼 세워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 각각의 닫힘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로서, 개폐판부재(124)의 개방시,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축회전 고정단(126)은 스토퍼(129)를 구비한다. 스토퍼(129)는 축회전 고정단(126)에 돌출되어 개폐판부재(124)에 연결된 축 회전부재(125)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토퍼(12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막음판부재(127)의 개방시,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의 개방상태에서 구획부재(121)에 접하는 지지부재(128)를 구비한다. 지지부재(128)는 막음판부재(127)가 일정 각도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지지부재(128)는 개폐판부재(124)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지지부재(12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정량토출부(120)는 하우징(110)의 둘레면 즉, 통공부(121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입안내부재(130)는, 케이싱(10)을 기울였을 때, 케이싱(10) 내부의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세워져 있는 막음판부재(127) 내측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유입안내부재(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가이드홀(132)을 통공한다. 이때, 유입안내부재(130)는 개방홀(122)과 일치되도록 가이드홀(132)을 통공한다. 아울러, 유입안내부재(130)는 가이드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134)을 형성한다. 특히, 경사면(134)은 가이드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안내부재(13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경사면(134)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케이싱(10)측을 향하는 유입안내부재(130)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34)은, 케이싱(10)을 기울였을 때, 내용물이 개폐부(123)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케이싱(10)측 반대방향을 향하는 유입안내부재(130)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134)은 토출 공간(112c)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된 후 개폐부(123)측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케이싱(10)의 내용물 본류로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유입안내부재(130)는 구획부재(121)와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 기능을 갖는 포장용기(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처럼, 사용자가 케이싱(10)을 기울이거나, 반대로 세우는 등 사용 상태로 하게 되면, 케이싱(10) 내부의 내용물은 하우징(110)의 유입안내부재(130)의 경사면(134)을 따라 가이드홀(132)을 통과해서 개폐판부재(124)에 접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는 구획부재(121)의 개방홀(122)을 막고 있고,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이다.
내용물은 가이드홀(132)의 설정된 직경 및 구획부재(121)의 설정된 직경에 의해 일정량(일정개수)만이 개폐판부재(12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는 막음판부재(127)를 구획부재(121)에 대해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128)에 의해 개방홀(122)을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에서처럼, 일정량의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를 누르게 되면,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방하도록 젖혀지게 되며 토출공간(112c)이 확보된다.
이때, 축 회전부재(125)가 축회전 고정단(126)의 스토퍼(129)에 접할 때까지,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된다.
막음판부재(127)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받은 상태에서, 막음판부재(127)가 닫힘과 동시에 개폐판부재(124)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토출 공간(112c)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일어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에서처럼, 개폐판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막음판부재(127)가 개방홀(122)을 닫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더 이상 개방홀(12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개방홀(122)을 통과한 내용물은 커버(30)에 수용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0에서처럼, 사용자가 케이싱(10)을 초기 상태로 세우게 되면, 개방홀(122)을 개방한 개폐판부재(124)가 닫힘 상태로 복귀하면서, 닫힌 상태의 막음판부재(127)는 개방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는 커버(3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후 정량 토출된 내용물을 꺼내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토출 기능을 갖는 포장용기(1)는 하우징(110) 및 정량토출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과 케이싱(10)이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나, 분리 결합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나사선 회전결합이나 강제 끼움 등)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이 별도로 유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편의상, 정량토출부(12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 충전을 위해 바닥이나 둘레면을 개폐 가능한 구조이거나, 스냅(snap, 똑딱단추) 형태로도 개폐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하우징(110)은 별도의 케이싱의 내용물 토출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케이싱의 내용물 토출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케이싱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통공부(121a)를 형성한다.
그리고, 정량토출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또는 케이싱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定量) 토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토출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상측에 커버(30)를 구비한다. 커버(30)는 정량토출부(120)를 통해 정량씩 토출되는 내용물을 받는다. 커버(3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량토출부(120)는 가변 작동판(140), 토출틀(150) 및 걸림 고정구(160)를 포함한다.
한편,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술한, 구획부재(1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게 부여한다.
구획부재(121)는 토출부가 있는 개방홀(122)을 통공한다. 이때, 개방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구획부재(121)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구획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실시예에서의 구획부재(121)는 정량토출부(120)와 접해있는 하우징(110) 내벽으로서 하우징(110)과 일체화되어 있다.
개폐부(123)는 토출 공간(112c)을 통해 내용물을 정량씩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개폐부(123)는 하우징(110) 내벽의 전체 개방 공간인 개방홀(122)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씩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개폐부(123)는 개폐판부재(142), 축 회전부재(125) 및 토출틀(150)을 포함하고, 축 회전부재(125)는 연결 관통공(164), 걸림 고정구(160) 및 걸림돌기(166)를 포함한다.
개폐판부재(142)는 개방홀(122)의 내측면 또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싱(10)이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42)는 개방홀(122)을 닫아 내용물의 임의적 토출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케이싱(10)이 뉘여지거나 반대로 세워진 사용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42)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은 토출된다. 이때, 내용물은 개방홀(122) 내부에 있는 토출 공간(112c)의 확보된 직경에 의해 정량씩 토출된다.
개폐판부재(142)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내용물의 토출을 허용할 수 있도록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개폐판부재(142)는 삼각 형상으로 도시한다. 물론, 개폐판부재(142)는 개수와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축 회전부재(125)는 개폐판부재(142)에 구비되어 개폐판부재(142) 각각을 회동(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획부재(121)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구획부재(121)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축회전 고정단(1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면'은 케이싱(10)을 미사용 상태로 세워놓았을 때 상부를 향하는 구획부재(121)의 표면이다.
그리고, 축 회전부재(125)는 개방홀(122)을 닫고 있는 상태의 개폐판부재(142) 각각의 상면에 구비된 채 대응되는 걸림 고정구(160)에 연결된다. 그래서, 축 회전부재(125)는 걸림 고정구(160)를 따라 이동된다. 물론, 축 회전부재(125)와 걸림 고정구(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축 회전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개폐판부재(14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 고정구(160)는 본 실시예와 같이 구획부재(121)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구획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구획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개폐판부재(142)의 개방시, 개폐판부재(142)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40)은 유입안내부재(130)로서 기능하게 되며, 케이싱(10)을 기울였을 때, 케이싱(10) 내부의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토출 공간(112c)이 있는 토출틀(150) 방향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정량토출부(120)의 개폐판부재(142)는 하우징(110)의 내벽인 구획부재(121)에 일측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다른 한쪽이 회동하여,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일정 부위에는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토출 공간(112c)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폐판부재(142)으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40)을 포함한다.
또한, 내용물의 토출은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타측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회동함에 따라 토출 공간(112c)이 넓어지면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타측은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기울이거나 흔드는 경우 개폐판부재(142)의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정량토출부(120)는 고리 형태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52)를 가지는 토출틀(150)을 더 포함한다.
개폐판부재(142)은 고정되지 않은 타측이 토출틀(150)과 연결되고, 개방부(152) 내에 토출 공간(112c)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개방부(152) 안쪽으로 연장부(146)가 형성된다.
여기서, 내용물 토출은 개폐판부재(142)이 변형되면서 토출틀(150)의 개방부(152)에 형성된 연장부(146)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내용물이 개방부(152) 안쪽의 토출 공간(112c)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판부재(142)의 연장부(146)에는 개폐판부재(142)이 토출틀(150)에 형성된 연결공(1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걸림부(144)가 더 형성된다.
연장부(146)의 끝단은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토출 공간(112c)을 통과시 저항하는 역할을 하여 정량 토출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틀(150)의 바디(151)에는, 개폐판부재(142)의 끝단부가 관통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면서, 개폐판부재(142)의 변형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연결공(15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토출틀(150)은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 있으나,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토출틀(150)은 자중에 의한 운동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이면 적당하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도 무방하다.
그리고, 정량토출부(120)는 몸체(162)이 둘레부를 따라 개폐판부재(142)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연결 관통공(164)이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벽에 고정되어 개폐판부재(142)가 하우징(11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 고정구(160)를 더 포함한다.
걸림 고정구(160)는 몸체(162)의 바깥 둘레부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어 포장용기(1)의 하우징(110) 내벽에 몸체(162)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66)를 더 형성한다.
정량토출부(120)는 토출틀(150)을 관통하며 일단이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토출틀(150)의 가변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봉(1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봉(170)은 돌출부(172)를 구비하고, 돌출부(172)는 토출틀(150)의 아래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다른 한쪽이 회동하여 하우징(110)의 내용물 인출부(112b) 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토출 공간(112c)이 넓어지면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포장용기(1)를 잡은 사용자가 포장용기(1)를 전방으로 흔들면, 정량토출부(120)의 토출틀(150)이 전방으로 순간 전진하면서 토출틀(150)의 토출 공간(112c)을 막고 있던 개폐판부재(142)의 길이 끝단부가 토출틀(150)의 외경에 가깝게 되어 토출틀(150)의 내경이 개방되고, 공간부(112) 안쪽에 있는 내용물이 통과틀 내의 토출 공간(112c)을 통하여 토출되어 내용물의 통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용기를 흔드는 것이 익숙하게 되면 사용자의 흔드는 힘과 흔드는 시간의 조절로 정량만을 더 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포장용기 10: 케이싱
30: 커버 100: 정량 토출장치
110: 하우징 120: 정량토출부
121: 구획부재 122: 개방홀
123: 개폐부 124,142: 개폐판부재
125: 축 회전부재 127: 막음판부재
129: 스토퍼 130: 유입안내부재
132: 가이드홀 134: 경사면
140: 가변 작동판 146: 연장부
150: 토출틀 151: 바디
152: 개방부 153: 연결공
160: 걸림 고정구 162: 몸체
164: 연결 관통공 166: 걸림돌기
170: 가이드 봉 172: 돌출부

Claims (20)

  1.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토출부는,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정량씩 토출 유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토출부는,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고,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홀을 갖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획부재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개폐판부재; 및
    상기 개폐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개폐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개방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토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누름, 또는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시 상기 개폐판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됨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에 접하여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되지 않아 회동에 의해 개폐되되, 서로 인접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구획부재는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홀에 토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축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통공 공간인 통공부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동되어 개방된 상기 개방홀을 닫는 막음판부재를 더 포함하여,
    내용물이 상기 개폐판부재를 누름시,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젖혀짐에 따라 개방된 상기 개방홀로 유입되며,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홀을 닫음에 따라 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상기 개방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구획부재에 접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축 회전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회전 고정단을 구비하고;
    상기 축회전 고정단은 상기 축 회전부재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이 상기 정량토출부측으로 유입 안내되도록 하는 유입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안내부재는 상기 정량토출부측으로 통공되는 가이드홀을 통공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개방홀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결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는 토출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토출틀과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 내에 상기 내용물의 토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부재의 회동시, 상기 개폐판부재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토출 공간이 있는 토출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개방부 내부 방향으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틀 내측의 상기 연장부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와, 상기 내용물 저장부에서 정량 토출된 후 인출 대기하는 내용물 인출부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8.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 및
    내용물이 상기 정량토출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입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장치.
  19. 내용물을 담는 케이싱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정량 토출 유도하는 정량 토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 토출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회동에 의한 개폐식으로 정량 토출 안내하기 위한 정량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정량 토출장치를 통해 정량씩 토출되는 내용물을 받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상기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1020140028638A 2013-08-27 2014-03-11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156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38A KR101560310B1 (ko) 2014-03-11 2014-03-11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PCT/KR2014/007895 WO2015030450A1 (ko) 2013-08-27 2014-08-25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BR112016004165A BR112016004165A2 (pt) 2013-08-27 2014-08-25 dispositivo de recepção de conteúdo, mecanismo de abertura/fechamento e recipiente de empacotamento compreendendo os mesmos
CA2922088A CA2922088C (en) 2013-08-27 2014-08-25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EP14839189.9A EP3040289B8 (en) 2013-08-27 2014-08-25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AU2014312531A AU2014312531A1 (en) 2013-08-27 2014-08-25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CN201480047691.9A CN105813956B (zh) 2013-08-27 2014-08-25 物品接纳装置、打开/关闭机构、以及包括其的容器机构
JP2016536046A JP6413155B2 (ja) 2013-08-27 2014-08-25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US15/047,889 US20160159555A1 (en) 2013-08-27 2016-02-19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JP2018129754A JP2018172178A (ja) 2013-08-27 2018-07-09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US16/443,837 US11772879B2 (en) 2013-08-27 2019-06-17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38A KR101560310B1 (ko) 2014-03-11 2014-03-11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324A Division KR20150106315A (ko) 2014-09-03 2014-09-03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289A true KR20150106289A (ko) 2015-09-21
KR101560310B1 KR101560310B1 (ko) 2015-10-15

Family

ID=5424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38A KR101560310B1 (ko) 2013-08-27 2014-03-11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2600A4 (en) * 2016-02-01 2018-12-12 Suhjun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9442B2 (ja) * 2001-01-31 2008-1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錠剤収納容器
KR200359435Y1 (ko) * 2004-05-18 2004-08-21 메디정밀 주식회사 고형체 배출장치
JP4931195B2 (ja) * 2006-07-27 2012-05-16 大成化工株式会社 定量取り出し装置及び定量取り出し装置付き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EP3412600A4 (en) * 2016-02-01 2018-12-12 Suhjun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310B1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943B2 (en) Spray bottle with refill cartridge
US9499305B2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EP3040289B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US20060226035A1 (en) Multimix bottle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KR102026749B1 (ko) 고체 화학 세정제용의 분배 장치 및 시스템
US20140312075A1 (en) Dispenser with discharge control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EP3580144B1 (en) Dispenser
RU2756123C2 (ru) Диспенсер
US20070210119A1 (en) Dispensing cap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20150106315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4892269B2 (ja) 定量吐出容器
JP6774904B2 (ja) 計量キャップ
KR20160070565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60023624A (ko) 내용물 수취장치
KR20160023420A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20160104531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046266A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50024774A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장치
KR20160104512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104513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50108811A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60038213A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