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811A -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811A
KR20150108811A KR1020150127290A KR20150127290A KR20150108811A KR 20150108811 A KR20150108811 A KR 20150108811A KR 1020150127290 A KR1020150127290 A KR 1020150127290A KR 20150127290 A KR20150127290 A KR 20150127290A KR 20150108811 A KR20150108811 A KR 20150108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ents
closing mechanism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바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쉔(주) filed Critical 바쉔(주)
Priority to KR102015012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811A/ko
Publication of KR2015010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기구 내부에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포장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폐 기구와, 상기 개폐 기구로 개폐되며 내부 안쪽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를 갖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로서, 상기 개폐 기구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포장용기의 개폐 기구에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내용물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STORAGE SPACE CAP AND PACKING CONTAINER HAVING THE STORAGE SPACE CAP}
본 발명은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개폐 기구로서, 상기 개폐 기구 내부에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포장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포장용기는 상부 외주연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개폐 기구(마개)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사용되는 개폐 기구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며, 그 형태에 따라 쓰임새 또한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용기 개폐 기구의 경우 캡 형태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면은 판판한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 테두리에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개폐 기구를 개방 시에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에는 각종 음식물, 약품 또는 물품 등이 담겨 제공되고 있으며, 통상의 용기에 제공되는 개폐 기구는 개폐를 위한 기능 이외에는 별 다른 기능이 없었다.
또한, 일정량의 내용물을 습득하기 위하여 개폐 기구를 개방한 후 사용하는 이유로 부득이하게 용기 내부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내용물의 정량만을 습득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용기 내에 집어넣어 내용물을 잡거나, 용기를 기울여 일부 내용물을 손바닥에 붓고 다시 남은 내용물을 용기 내에 수납하는 관계로 내용물이 쉽게 외부 오염에 노출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내용물 습득을 위해 매번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양만큼 꺼내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는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이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이 포장용기 내부의 하부에 있을 때 내용물을 손으로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360697 (2004. 09. 01)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기의 개폐 기구에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고형,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개구부를 가지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개폐 기구를 제공하여, 상기 별도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의 내용물을 인출함으로써, 내용물 용기 본체 내부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흔들어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을 한 번에 정량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기울이는 등 사용상 번거로움 없이 한 번에 쉽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을 구분하여 보관토록 하여 사용자가 정해진 기간에 인출해야 할 수량의 파악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포장용기 개폐 기구가 다단 또는 양방향으로 구성될 경우 복수의 사용자가 내용물을 각자의 개폐 기구를 통해 얻게 됨으로써 위생 관리와 정량 인출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개폐 기구로서, 상기 개폐 기구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 기구는 대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개폐 기구 몸체와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대기 수납부가 일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대기 수납부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개폐 기구 몸체와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된 필요한 양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개방홀을 가지면서, 상기 개방홀이 일정 높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대기 수납부를 형성하면서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상기 개폐 기구의 대기 수납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한쪽이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되지 않아 형태가 변형되되,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일정 부위에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이 형성되는 가변 작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의 통과는 상기 가변 작동판의 고정되지 않은 한쪽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통과 공간이 넓어지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작동판은 개폐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접하여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되지 않아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서로 인접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기구는 내용물이 상기 정량 통과부 측으로 유입 안내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과 공간에 결합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홀을 가지는 통과틀을 더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통과 칸막이부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정량 통과 안내하기 위한 정량 통과부일 수 있다.
상기 정량 통과부는 상기 가변 작동판을 포함하고,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대기 수납부 내부로 정량씩 통과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 가변 작동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개폐판부재; 및 상기 개폐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개방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통과를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회동이라 함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움직여서 일단을 축으로도 운동하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개방홀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누름, 또는 상기 용기의 흔들림시 상기 개폐판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축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상기 개폐 기구의 내부 통공 공간인 통공부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축 회전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회전 고정단을 구비하며; 상기 축 회전부재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개방홀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통과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결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홀을 가지는 통과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과 연결되고, 상기 개방홀 내에 상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부재의 회동시, 상기 개폐판부재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통과 공간이 있는 통과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개방홀 내부 방향으로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틀 내측의 상기 차단부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개방홀을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 기구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와, 상기 내용물 저장부에서 정량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내용물 인출부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개폐 기구의 하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담는 용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 및 상기 대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개폐 기구 몸체와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대기 수납부가 일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된 필요한 양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상기 개폐 기구의 대기 수납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량 통과부는 상기 개폐 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개폐 기구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개폐 기구로 개폐되며 내부 안쪽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를 갖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 기구는 내부에는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는 대기 수납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포장용기의 개폐 기구에 내용물의 대기 수납부을 제공하여 내용물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부에 형성되어 형태가 달라지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자중에 의한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정량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이거나 흔들면서 내용물이 상기 개폐 기구의 대기 수납 공간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개폐 기구를 분해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개폐 기구를 분해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개폐 기구를 분해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보인 분해도,
도 7은 도 5의 개폐 기구만을 보인 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분해 단면도 및 사용 상태를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포장용기가 세워졌을 때 개폐 기구가 개폐되는 쪽을 '상부(또는 상측)'로 설명하고, 포장용기를 기울였을 때 개폐 기구가 개폐되는 쪽을 '전방'이라 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공지의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개폐 기구이며, 상기 개폐 기구에 대기 수납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대기 수납부는 상기 개폐 기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는 별도의 대기 수납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 기구는 대기 수납부가 형성되는 개폐 기구 몸체와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 수납부에 별도로 수납되는 내용물은 상기 개폐 기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과 칸막이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상기 대기 수납부에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칸막이는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대기 수납부가 일부 통하여,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된 필용한 양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개의 실시 예를 통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각각의 실시 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개폐 기구의 하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개폐 기구 몸체와 탈착이 가능하거나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된 형태일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이 용기 본체의 상하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개폐기구가 연속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면 용기의 대기 수납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과 칸막이부가 탈착이 가능한 경우 내용물에 따라 적절한 통과 칸막이부를 선택하여 결합 가능하고, 상기 대기 수납부의 세척도 용이하게 된다.
<제1 실시 예>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는 개폐 기구(100)와, 상기 개폐 기구(100)로 개폐되는 용기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 기구(10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113) 또는 대기 수납부(113)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200)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기구(100)는 상단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1)가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도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기구(10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 보관부(113)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개폐 기구 몸체(110)와;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120)과;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내용물 보관부(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용물 보관부(113)와 상기 용기본체(200)의 저장 공간을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는 통과 칸막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200)는 상기 개폐 기구(100)가 개폐되도록 상단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01)가 형성되고, 바닥부(202)는 밀폐되도록 형성되며, 안쪽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203)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는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사용량만큼 개폐 기구의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에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어 용기본체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쉽게 내용물의 일정량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 예>
한편,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개폐 기구를 분해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는 내용물 내용물 보관부를 갖는 구성이라는 점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는 개폐 기구(100)와, 상기 개폐 기구(100)로 개폐되는 용기본체(200)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에 적용된다.
상기 개폐 기구(10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113)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개폐 기구 몸체(110)와;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120)과;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내용물 보관부(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용물 보관부(113)와 상기 용기본체(200)의 저장 공간을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는 통과 칸막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140)는 개방홀(141)을 가지면서, 상기 개방홀(141)이 일정 높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방홀(141)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본체(200)의 내용물 보관부(203)에서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내용물 보관부(113)로 이동할 수 있다.
내용물 보관부(203)에 있던 내용물은 포장용기를 크게 기울이거나 흔드는 경우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내용물 보관부(113)로 이동하는 것이며, 일단 이동 후에는 상기 개방홀(141)이 일정 높이 높은 곳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다시 상기 개방홀(141)을 통하여 용기본체(200)로 돌아가지는 않게 되며,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상기 개폐 기구 밖으로 인출할 때에도 내용물 보관부에 있는 내용물은 인출되지 않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개폐 기구를 분해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보인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5의 개폐 기구만을 보인 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분해 단면도 및 사용 상태를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는 내용물 내용물 보관부를 갖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는 개폐 기구(100)와, 상기 개폐 기구(100)로 개폐되는 용기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기에 적용된다.
상기 개폐 기구(10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113)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개폐 기구 몸체(110)와;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120)과; 상기 개폐 기구 몸체(110)의 내용물 보관부(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용물 보관부(113)와 상기 용기본체(200)의 저장 공간을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면서 형태가 달라지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용물이 상기 개폐 기구(100)로 통과된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고정부재(170)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되지 않아 형태가 변형되되,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일정 부위에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150a)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폐판부재(151)으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50)과; 고리 형태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홀(161)을 가지는 통과틀(160)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재(151)은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상기 통과틀(160)과 연결되면서, 상기 개방홀(161) 내에 상기 통과 공간(150a)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개방홀(161) 안쪽으로 차단부(152)가 형성되고, 내용물 통과는 상기 개폐판부재(151)가 변형되면서 상기 통과틀(160)의 상기 개방홀(161)에 형성된 상기 차단부(152)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개방홀(161) 안쪽의 상기 통과 공간(150a)을 통해 이동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과 연결되고, 상기 개방홀 내에 상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부재의 회동시, 상기 개폐판부재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통과 공간이 있는 통과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개방홀 내부 방향으로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틀 내측의 차단부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개방홀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재(151)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은 사용자가 용기본체(2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재 자유단의 자중에 의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며, 상기 차단부(152)는 그 끝단(152a)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이 상기 통과 공간을 통과 시 저항하는 역할을 하여 정량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과틀(160)의 몸체는 상기 개폐판부재(151)의 끝단부가 관통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면서, 상기 개폐판부재(151)의 변형 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연결 관통공(16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판부재(151)의 상기 차단부(152)에는 상기 개폐판부재(151)이 상기 통과틀(160)에 형성된 상기 연결 관통공(1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걸림부(15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틀은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 있으나,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과틀은 자중에 의한 운동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이면 적당하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폐판부재(151)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연결 관통공(171)이 형성되며, 상기 둘레부는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판부재(151)이 상기 칸막이 둘레부 내벽 또는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70)의 바깥 둘레부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벽에 상기 고정부재(170)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7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의 통과는 상기 개폐판부재(151)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상기 개폐 기구(100)의 내용물 보관부(113) 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통과 공간(150a)이 넓어지면서 상기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장용기를 잡은 사용자가 용기를 전후방으로 흔들게 되면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 통과수단인 통과틀이 전방으로 순간 전진하면서 상기 통과틀의 개방홀을 막고 있던 개폐판부재의 길이 끝단부가 상기 통과틀의 외경에 가깝게 되어 통과틀 내경이 개방되도록 열리면서 용기를 흔드는 관성에 의해 용기 안쪽에 있는 내용물이 전방 통과틀의 개방홀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내용물 통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용기를 흔드는 것이 익숙하게 되면 사용자의 흔드는 힘과 흔드는 시간의 조절로 정량만을 더 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들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 연결, 물리적 연결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상기 연결들로 나타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100 : 개폐 기구
110 : 개폐 기구 몸체
120 : 개폐 기구 캡
130, 140 : 통과 칸막이부
150 : 가변 작동판
150a : 통과 공간
160 : 통과틀
170 : 고정부재

Claims (2)

  1. 용기 본체에 적용되며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개폐 기구로서,
    상기 개폐 기구는 개폐 기구 몸체와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기구.
  2. 내용물을 담는 용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 및
    개폐 기구 몸체와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1020150127290A 2015-09-08 2015-09-08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50108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90A KR20150108811A (ko) 2015-09-08 2015-09-08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90A KR20150108811A (ko) 2015-09-08 2015-09-08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211A Division KR101606341B1 (ko) 2014-08-20 2014-08-20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811A true KR20150108811A (ko) 2015-09-30

Family

ID=5424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90A KR20150108811A (ko) 2015-09-08 2015-09-08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88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155B2 (ja)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US20160280447A1 (en) Sports and/or mixing bottle
US10065774B1 (en) Powde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180072460A1 (en) Container
KR101020774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약제통
KR20160104526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50108811A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50090810A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60038213A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기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GB2559586A (en) Dispenser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5686411B2 (ja) 定量栓
KR101621756B1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KR20180048357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20190029381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1812083B1 (ko) 액상 세제 용기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JP4840650B2 (ja) 錠剤用容器
JP2005015008A (ja) 定数量個取り出し機構つき錠剤容器
KR20160104531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104513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104512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50045422A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KR2018004828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20081520A (ko) 안전하게 토출이 가능한 알약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