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422A -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 Google Patents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422A
KR20150045422A KR20150052868A KR20150052868A KR20150045422A KR 20150045422 A KR20150045422 A KR 20150045422A KR 20150052868 A KR20150052868 A KR 20150052868A KR 20150052868 A KR20150052868 A KR 20150052868A KR 20150045422 A KR20150045422 A KR 20150045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opening
hous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5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바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쉔(주) filed Critical 바쉔(주)
Priority to KR2015005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422A/ko
Publication of KR2015004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사용자의 사용으로 가변되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제공하여 용기에서 내용물을 정량으로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변되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가변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통과 또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면서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하우징 내부로 깊게 손을 뻗어 내용물을 반출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PACK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BY REQUIRED DOS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부에 형태가 변하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제공하여 용기에서 내용물을 정량으로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내용물(과자, 사탕, 껌, 알약, 분말, 액상 등)은 용기에 포장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용기 내의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양만큼 꺼내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는 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이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이 용기 내부의 하부에 있을 때 내용물을 손으로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제시된 바 있으며, 현재 고안되어 사용 중인,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용기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상기 심대에 의하여 일부 내용물이 용기 상부의 통과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 용기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용기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 놓아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용기가 시장에 공급되는 상황에서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유희를 제공하는 수단의 필요성도 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334601 (2003. 11. 19)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를 잡고 흔들면서 용기의 내용물을 정량만큼만 통과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어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을 한 번에 정량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기울이는 등 사용상 번거로움 없이 한 번에 쉽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부인 공간부에 내용물을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용기로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통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하며 상기 통과 공간의 형성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통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회동이라 함은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움직여서 일단을 축으로 운동하게 됨을 의미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회동 고정부에 접하여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되지 않아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작동부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통공 공간인 통공부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재에 인접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을 가지는 통과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 내에 상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동 시, 상기 개폐부재로 구성되는 작동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통과 공간이 있는 통과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상기 통과틀과 근접한 내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하면서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 내측과 접한 상기 내접부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상기 통과 공간을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의 상기 개방부와 겹쳐지며 상기 통과틀의 내측에 접하는 내접부는 상기 통과틀의 상기 개방부 상부, 하부 또는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내접할 수 있다. 상기 내접부의 끝단은 상기 내용물이 상기 통과 공간을 통과 시 저항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내용물이 정량 통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와, 상기 내용물 저장부에서 정량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내용물 인출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통과틀의 몸체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끝단부가 관통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면서, 상기 개폐부재의 회동 시 움직이는 공간이 확보되는 연결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통과틀에 형성된 상기 연결 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걸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독립 부재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일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 고정부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폐부재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연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과틀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통과틀의 가변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봉의 일단은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 연결홈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봉의 일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통과틀의 아래 면을 지지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아래 면을 지지하여 주는 개폐부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용물 저장부와 상기 내용물 인출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정량 통과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통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통과 공간의 형성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통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재에 인접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는 통과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 내에 상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상기 통과틀과 근접한 내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 내측과 접한 내접부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통과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의 회동 시, 상기 개폐부재로 구성되는 작동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통과 공간이 있는 통과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의 상기 개방부와 겹쳐지며 상기 통과틀의 내측에 접하는 내접부는 상기 통과틀의 상기 개방부 상부, 하부 또는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내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형성되어 형태가 달라지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정량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면서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를 내용물 저장부와 내용물 인출부로 구획하여 내용물 소진 시 하우징 바닥면보다 개구부와 가까운 곳인 내용물 인출부에 내용물이 정량으로 이동되어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태가 변형되되,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상기 공간부의 일정 부위(저장부와 인출부의 경계 부위)에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로 구성되는 작동부를 개시하여, 내용물이 정량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잔류량이 적을 때에도 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깊게 손으로 집거나 기울임 없이 내용물을 한 번에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과 과정에서 청각적, 촉각적으로 유희를 즐길 수 있으며, 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명재질로 제작 시에는 시각적으로도 유희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용기의 저장부와 인출부 외관을 투명 재질로 제작하여 인출 대기 수량과 저장 수량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을 보인 상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되기 전 상태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되기 전 상태 횡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된 상태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된 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통과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용기가 세워졌을 때 뚜껑이 개폐되는 쪽을 상부(또는 상측)로 설명하고, 용기를 기울였을 때 뚜껑이 개폐되는 쪽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형태가 달라지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1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100)는 안쪽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부(103)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101)의 바닥은 바닥면(105)으로 밀폐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1)은 내용물 충전을 위해 상기 바닥면을 돌려서 개폐 가능한 구조이거나, 스냅(snap: 똑딱단추) 형태로도 개폐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03)는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경계로 하우징의 안쪽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103a)와, 상기 내용물 저장부(103a)에서 내용물 통과수단에 의해 내용물이 정량으로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내용물 인출부(103b)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저장부(103a)와 상기 내용물 인출부(103b)는 분리 결합될 수 있는 구조(예를 들면 나사선 회전결합이나 강제끼움 등)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이 별도로 유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되지 않아 형태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일정 부위에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103c)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폐부재(131)로 구성되는 작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의 통과는 상기 개폐부재(131)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상기 하우징(101)의 공간부(103)에서 변형됨에 따라 상기 통과 공간(103c)이 넓어지면서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31)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은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1)을 흔드는 경우 관성에 의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고리 형태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12)를 가지는 통과틀(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131)는,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상기 통과틀(110)과 연결되면서, 상기 개방부(112) 내에 상기 통과 공간(103c)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개방부(112) 안쪽으로 내접부(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내용물 통과는 상기 개폐부재(131)가 변형되면서 상기 통과틀(110)의 상기 개방부(112)에 형성된 상기 내접부(132)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112) 안쪽의 상기 통과 공간(103c)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31)의 상기 내접부(132)에는, 상기 개폐부재(131)가 상기 통과틀(110)에 형성된 연결 관통공(1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걸림부(133)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접부(132)의 끝단(132a)은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걸리도록 하여 정량 통과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31)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은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1)을 흔드는 경우 관성에 의하여 그 형태가 바뀌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과틀(110)의 몸체(111)에는, 상기 개폐부재(131)의 끝단부가 관통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면서, 상기 개폐부재(131)의 변형 시 자유롭게 미끄러지질 수 있는 연결 관통공(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몸체(121)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폐부재(131)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연결 관통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부재(131)가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 고정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개폐부재(131)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 측 끝단에 강제 끼움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끼움부(134)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는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폐부재(131)의 상기 끼움부(134)가 강제로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104)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131)가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 고정부(120)는 몸체(121)의 바깥 둘레부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어 용기(100)의 내벽에 상기 몸체(121)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25)가 더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통과틀(110)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105)에 고정되어 상기 통과틀(110)의 가변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봉(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140)의 일단은 용기(100)의 바닥면(105)에 형성되는 바닥 연결홈(106)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봉(140)의 일부분에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상기 통과틀(110)의 아래 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부재(131)는 그 일단에 통과틀(210)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장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31)는 그 내접부(232a)를 통하여 하우징(101) 내용물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접부(23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131)의 아래 면을 지지하여 주는 개폐부재 지지부(10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 지지부(10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봉(140)의 구조 없이 상기 개폐부재(131)의 처짐을 방지하는 등 원활한 내용물 통과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과틀(110)은 원형의 고리 형태가 바람직하나 사각, 팔각 등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과틀(110)은 자중에 따른 무게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이면 적당하나, 무게감을 줄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31)의 각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통과틀(110)이 한쪽으로 편중되어 형태가 달라지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하우징(101)을 옆으로 눕혀 사용자가 흔들어 사용할 경우 하우징(101) 내에서 내용물이 하우징(101)이 경사진 한쪽으로 쉽게 몰리도록 하면서 신속하게 내용물을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되기 전 상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되기 전 상태 횡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된 상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개방된 상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의 사용 상태도 이다.
먼저, 사용자가 도 5a와 같이 세워진 용기 내의 내용물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 하우징(101)을 잡고 흔들면서 도 6a와 같이 용기 내의 내용물 통과수단인 작동부의 전후의 형태 변형을 도모하여야 한다.
사용에 따른 내용물 통과는 상기 개폐부재(131)가 변형되면서 상기 통과틀(110)의 상기 개방부(112)에 형성된 상기 내접부(132)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112) 안쪽의 상기 통과 공간(103c)으로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경계로 하우징(101)의 안쪽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103a)에서 내용물 통과수단에 의해 내용물이 정량으로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내용물 인출부(103b)로 내용물을 완전히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용물의 통과는 상기 개폐부재(131)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상기 하우징(101)의 공간부(103)에서 변형됨에 따라 상기 통과 공간(103c)이 넓어지면서 상기 내용물이 배출할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용기를 잡은 사용자가 하우징(101)을 전후방으로 흔들게 되면 상기 용기 내의 내용물 통과수단인 통과틀(110)이 전방으로 순간 전진하면서 상기 통과틀(110)의 개방부를 막고 있던 개폐부재(131)의 길이 끝단부가 상기 통과틀(110)의 외경에 가깝게 되어 통과틀(110) 내경이 개방되도록 열리면서 하우징(101)을 흔드는 관성에 의해 하우징(101) 안쪽에 있던 내용물이 전방 통과틀(110)의 개방부(112)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내용물 통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하우징(101)을 흔드는 것이 익숙하게 되면 사용자의 흔드는 힘과 흔드는 시간의 조절로 정량만을 더 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용기
101 : 하우징
102 : 뚜껑
103 : 공간부
103a : 내용물 저장부
103b : 내용물 인출부
103c : 통과 공간
104 : 걸림부
105 : 바닥면
106 : 바닥 연결
107 : 개폐부재 지지부
110 : 통과틀
111 : 몸체
112 : 개방부
113 : 연결 관통공
120 : 회동 고정부
121 : 몸체
123 : 연결 관통공
125 : 걸림돌기
130 : 작동부
131 : 개폐부재
132 : 내접부
132a : 끝단
133 : 돌출 걸림부
134 : 끼움부
140 : 가이드 봉
141 : 돌출부
210 : 통과틀
230 : 연결장공
232a : 내접부

Claims (2)

  1. 하우징 내부인 공간부에 내용물을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용기로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통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정량 통과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통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KR20150052868A 2015-04-15 2015-04-15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KR20150045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2868A KR20150045422A (ko) 2015-04-15 2015-04-15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2868A KR20150045422A (ko) 2015-04-15 2015-04-15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665A Division KR101621756B1 (ko) 2014-08-08 2014-08-08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422A true KR20150045422A (ko) 2015-04-28

Family

ID=5303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52868A KR20150045422A (ko) 2015-04-15 2015-04-15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4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155B2 (ja)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AU2016224240B2 (en) Pas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KR20170048552A (ko) 흘림 방지 스낵 용기 및 분배기
JP4980767B2 (ja) 錠剤容器の中栓
KR20160104526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1621756B1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US20190031424A1 (en) Cap assembly with dispensing vessel
KR20150045422A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US9688460B1 (en) Toy candy dispenser
KR201700915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357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20190029381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JP2003292069A (ja) 錠剤状固形物振出し容器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JP5686411B2 (ja) 定量栓
KR20160104556A (ko) 통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KR20180048359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20170091500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28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1606341B1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JP7313785B2 (ja) 容器用キャップ
KR20180003140U (ko) 디퓨져 홀더
KR20160104531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80048268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60104512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