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014A -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배출기 - Google Patents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014A
KR20070060014A KR1020060122963A KR20060122963A KR20070060014A KR 20070060014 A KR20070060014 A KR 20070060014A KR 1020060122963 A KR1020060122963 A KR 1020060122963A KR 20060122963 A KR20060122963 A KR 20060122963A KR 20070060014 A KR20070060014 A KR 2007006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ejector
box
reservoi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켈리 루카스
벤자민 리 종
Original Assignee
켈리 루카스
벤자민 리 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리 루카스, 벤자민 리 종 filed Critical 켈리 루카스
Publication of KR2007006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1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 G01F11/14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eciprocates
    • G01F11/1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eciprocates for liquid or semi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에 저장된 물, 액상의 약 또는 부식성 화학 약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는 a)모듈의 중앙으로부터의 후면에 수직으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액체의 부피를 정량할 수 있도록 된 긴 직육면체의 액체 정량 모듈과, b) 그 긴 직육면체의 모듈을 두 옆면, 뒷면, 윗면, 밑면의 다섯 면으로 둘러싸며, 그 윗면에, 액체의 용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나사선이 형성된, 하나의 저장용기 수취부와 하나의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에 직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된 안내 상자, c) 그 안내 상자의 뒷면 안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차례로 포개어 끼워지는, 접이식의 플라스틱 상자, 그리고 d)그 접이식 플라스틱 상자의 안 쪽에 설치된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O'링이 전기의 원통형 공간의 양 단면에 형성된 'O'링 홈에 끼워져 있다. 원통형 공간의 부피는 부피를 알고 있는 불활성의 구를 전기의 공간에 삽입하여 조절한다.
배출기, 액체, 일정량, 모듈, 안내 상자, 부피 조절

Description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 배출기{A DISPENSER FOR DISCHARGING A MEASURED AMOUNT OF VARIOUS LIQUIDS FROM THEIR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가 외장용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액체 저장용기를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에 장착하고 외장용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 배출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의 액체 정량 모듈의 전개도.
도 5는 배출용적을 줄이기 위하여 불활성의 구가 액체 정량 모듈의 안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에서 스프링이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저장용기에서 나온 액체가 액체 정량 모듈의 직립 원통형 공간에 채워지는 모습을 도 3의 A-A'선을 따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에서 스프링이 수축된 상태에서 직립 원통형 공간에 채워졌던 액체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 3의 A-A'선을 따라 보여주는 단 면도.
도 7은 안내 상자의 윗면에 설치된 저장용기 수취부의 안쪽에 형성된 표면 장력 감소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액체 정량 모듈이 제거된 상태에서 안내 상자의 뒷면 안쪽에 설치된 스프링 상자를 보여주는 안내 상자의 정면도.
도 9의 (a)는 안내 상자의 윗면에 설치된 표면장력 감소장치와 공기 유통구를 보여주는 안내 상자 윗면의 내면도.
도 9의 (b)는 안내 상자의 밑면에 설치된 배출구 깔때기의 직사각형 출구를 보여 주는 안내 상자 밑면의 내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체 배출기 2: 외장용기
4: 액체 저장용기 5: 배출구 깔때기
10: 공기 유통구 11: 표면장력 감소장치
12: 저장용기 수취부 13: 액체 정량 모듈
14: 직립 원통 15: 'O'링
16: 'O'링 홈 17: 그물 망
18: 불활성 구 19: 스프링
22: 직립 원통형 공간의 내경 23: 액체 저장용기 목의 내경
24: 접촉점 25: 접이식 플라스틱 상자
26: 안내 상자 27: 어댑터
29: 직사각형 배출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쉽고 정확한 량의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따라 내는 저렴한 배출기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체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액체가 저장된 용기로부터 일정량의 액체를 따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의 편의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래의 액체 배출기는 사용자가 눈으로 관측하면서 따라지는 액체의 양을 조절한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액체 배출기는 컵과 여기에 따라지는 액체의 무게를 달아서 양을 조절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조절되는 배출기는 전기 모터, 솔레노이드 밸브, 그리고 소형 프로세서 등을 필요로 한다. 비록 이러한 설비들이 치과 치료용 의자에 감추어져 있더라도 넓은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상당히 비싸다. 일정한 양의 내용물을 따라 내는 다른 종류의 배출기에는 분말 배출기가 있다. 하지만 이들 배출기들은 단순히 저장용 호 파 밑에 설치된 서랍형의 구조를 갖고 있어서 정확한 양의 액체를 다룰 수는 없다.
스튜아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003,562호, 비겔로우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039,624호, 밥브릭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283,529호, 처칠 등에게 허여 된 미국특허 제2,605,021호, 마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622,539호, 슈베르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233,411호, 트린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580,429호, 포이스트라스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952,918호, 그리고 킹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161,773호에는 일정량의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미국특허 제2,039,624호가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하다. 이 발명에서는 정량 챔버(14) 양단을 막는 두 개의 밸브(22, 24)가 사용되었다. 밸브(22)는 밸브(24)보다 크다. 정량 챔버(14)는 넓은 동공(27)과 밸브(22)에 의하여 이 동공이 밀봉될 수 있도록 하는 홈(28)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은 밸브(24)는 주 동공(30)에 꼭 맞도록 되어있다. 스프링(34)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밸브(22)가 넓은 동공(27)에 꼭 맞게 끼어져서 정량 챔버(14)의 한쪽을 막는다. 이 막힌 쪽은 액체 공급 챔버(12)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34)이 눌려지면 막대(26)가 밸브(22)를 액체 공급 챔버(12)쪽으로 밀어준다. 밸브(22)가 넓은 동공(27) 밖으로 빠져 나와서 액체 공급 챔버 속으로 들어가면, 그 속에 담겨 있던 액체가 정량 챔버(14) 속으로 공급된다. 이때에, 다른 밸브(24)는 주 동공(30) 안 쪽으로 들어와서 정량 챔버(14) 속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막아준다. 사용자가 스프링(34)를 놓아주면, 밸브(22)는 넓은 동공(27) 속으로 되돌아 가며 동시에 밸브(24)는 주 동공(30)을 빠져나온다. 그러면 액체는 밸브(24)와 함께 정량 챔버(14)에서 빠져나온다.
하지만 이 발명 '624의 최대 약점은 액체가 정량 챔버(14)에 들어가기 시작할 때에 액체가 여러 방향에서 채워 지기 때문에 이미 챔버(14)에 차 있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갇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챔버(14)에 갇히는 공 기의 양은 일정치 않다. 이는 배출 되는 액체의 양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발명이 의도하는 바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전승 등은 대한민국 특허접수번호 제10-2002-0021187호 공개번호 제P-2003-0082726호를 등록하였다. 이와 유사한 특허가 홍춘강에 의하여 등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접수번호 제10-2003-0094843호, 세계특허번호 WO 2005/061365. 이 두 특허는 전기한 미국특허 제2,039,624호와 똑같은 작동원리를 사용하였다. 유일한 차이점은 정량 챔버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음료수 배출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 작동용 레버를 채용했다는 점이다.
상기의 모든 액체 배출기는, 미국특허 '624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액체가 스프링에 접촉한다. 이는 물만이 접촉을 할 때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액체가 산이거나 부식성이 있는 염소, 불소, 붕소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을 때에는 스프링이 부식되어 배출되는 액체의 색깔을 변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밖에, 라스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1,066,753호, 보마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505,697호, 그리고 와이쯔만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004,719호에는 저장 챔버로부터 물건을 덜어내는 배출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배출되는 물건의 갯 수는 받는 그릇의 부피에 의하여 결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고체 배출장치는, 밀봉이 되지 않아서, 일정량의 액체를 따라 내기에는 부적합하다.
카스트로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109,835호, 와이퍼만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232,718호, 갈로핀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531,658호, 와드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529,219호, 그린버그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642,762호, 블라스투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685,460호, 이글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308,860호, 그리고 라베르니토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951,294호에는 일정량의 곡물을 덜어내는 배출기가 소개되어 있다. 덜어지는 곡물가루의 양은 받는 그릇의 부피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에 서술된 어떠한 액체 배출 장치도 본 발명에서 소개되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화학적 특성 때문에 부식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액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정확한 양을 따라 내는 배출기는 없다.
상기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이제까지의 액체 정량 배출 장치는 일일이 사용자가 따라지는 양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비싸고 부피가 큰 자동설비이거나 아니면 제한된 액체만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모두 제거한 제조하기도 쉽고, 가격이 저렴하며, 사용하기 쉽고 부식성이 있는 액체나 액체 약 등을 정량으로 따라 낼 수 있는 배출기를 만드는데 있다.
이제까지 소개된 대부분의 액체 배출기는 액체 저장용기의 뚜껑을 연 후, 입구가 아래에 오도록 저장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저장용기의 입구를 배출기에 끼워 넣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저장용기 내용물이 흘러나오고는 한다. 이렇게 저장용기를 뒤집어서 장착하는 불편함이 없는 액체 배출기를 개발하는 것도 본 발명 이 추구하는 목표의 하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가 외장용기(2)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이 외장용기의 전면에는 커버(3)가 있다. 커버(3)에는 창(3-1) 이 달려 있어서 사용자가 보면서 액체 배출기(1)에 접근하도록 되어있다. 액체 저장용기(4)는 액체 배출기(1) 윗부분에 위 아래가 뒤집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액체 저장용기(4)를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에 장착하고 외장용기(2)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는 액체 저장용기(4)를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첫 단계는 액체 저장용기(4)를 똑바로 세운 다음 액체 배출기(1)의 위 아래를 뒤집어서 액체 저장용기에 장착한다. 이 위치에서는 배출구 깔때기(5)가 하늘을 향하게 된다. 액체 배출기(1)를 저장용기 수취부(12) 안쪽에 파여진 나사선 홈(6)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액체 배출기(1)가 액체 저장용기(4)에 장착되면, 액체 저장용기 (4)와 액체 배출기(1)를 똑바로 세운 다음 레일(7)을 따라 끼워 넣는다. 이 레일은 외장용기(2) 내부의 가로막(8)에 형성되어 있으며 액체 배출기의 양 옆면과 뒷면에 형성된 홈(9)에 끼워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 배출기(1)의 사시도 이다. 액체 배출기(1)의 윗면에는 하나의 공기 유통구(10)와 하나의 저장용기 수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표면장력 감소장치(11)가 저장용기 수취부(12)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가 저장용기(4)로부터 액체 정량 모듈(13)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의 액체 정량 모듈(13)의 전개도이다.
액체 정량 모듈(13)은 중앙으로부터의 후면에 수직으로 원통(14)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액체의 부피를 정량할 수 있도록 된 긴 직육면체이다. 두 개의 'O'-링 (15-U 및 15-B) 들이 두 개의 'O'-링 홈(16-U 및 16-B)에 장착되어 있다. 하나의 'O'-링 홈(16-U)은 액체 정량 모듈(13)의 윗면에 다른 하나의 'O'-링 홈(16-B)은 모듈(13)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O'-링들(16-U 및 16-B)은 액체가 직립 원통형 공간(14)에서 새어 나오는 것을 막아준다. 하나의 그물망(17)이 직립 원통(14)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정량되는 액체의 부피나 양은 이 직립 원통형 공간(14)의 부피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의 또 다른 특징은 배출되는 부피를 배출기(1) 자체를 크게 변형하지 않고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5는 배출 용적을 줄이기 위하여 불활성의 구(18)가 액체 정량 모듈(13)의 안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불활성 구(18)는 원통(14)의 파이프와 같은 불활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만약 이 구(18)가 파이프와 다른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것은 내부의 액체에 대하여 불활성을 보여야 하며 또한 부피를 알아야 한다. 각기 다른 부피를 갖는 불활성 구(18)를 삽입함으로써 쉽게 배출기가 따라 내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직립 원통(14)의 밑에 설치된 그물망(17)은 이 불활성 구(18)를 잡아준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가 매번 똑같은 양의 액체를 따라 내는가를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 에서 스프링(19)이 완전히 펴진 상태를 도 3의 A-A'선을 따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때에는 액체 저장용기(4)에서 나온 액체(20)가 액체 정량 모듈(13) 내의 직립 원통(14) 내의 빈 공간(21)으로 들어온다. 이 위치에서는 액체 정량 모듈(13) 의 직립 원통(14)은 저장용기 수취부(12)의 바로 밑에 위치한다. 직립 원통(14)의 내경(22)은 저장용기(4) 목의 내경(23)과 일치한다. 표면 장력 감소 장치(11)의 역할은 액체의 표면 장력이 액체 저장용기(4)의 목 부분의 내경(22)에 비하여 너무 높을 때 내부공간(21)에 흘러들어가는 것을 촉진시킨다. 만약 직립 원통(14)과 저장용기 목의 내경(22 및 23)이 2 센티 미터 이상이고 액체가 물일 경우에는 물은 표면장력 감소 장치가 없어도 쉽게 흘러 내려간다. 따라서, 배출기가 물을 따라 내는 용도로 사용되고 저장용기 목의 내경이 2 센티 미터 이상이면 표면장력 감소기는 필요 없다.
사용자가 누름 점(24)을 누르면, 접이식 플라스틱 상자(25) 속에 내장된 스프링(19)이 수축된다. 그러면 액체 저장 모듈(13)이 안내 상자(26) 속으로 밀려 들어간다. 안내 상자(26)는 액체 정량 모듈(13)을 감싸고 있으며 액체저장용기(4)를 장착하는 수취부(12)가 달려 있다. 도 6a와 도 6b의 'O'-링 들(15-U 및 15-B)의 왼쪽 면(15-U-L 및 15-B-L)들이 배출 깔때기(5)의 오른쪽(5-R)에 이르면 'O'링들 (15-U, 15-B)의 오른쪽(15-U-R, 15-B-R)은 수취부(12)의 왼편(12-L)을 지나친다. 따라서, 직립 원통(14)의 내부에 갇혀 있던 액체는(20-t) 배출구 깔때기(5)를 통하여 배출되며, 저장 용기 수취부(12)는 액체 정량 모듈(13)의 오른편(13-R)에 의하여 막힌다. 이 같은 기능이 작동하기 위하여, 액체 정량 모듈(13)의 앞쪽인 오른 편(13-R)은 모듈(13)의 다른 편인 뒤쪽(13-L) 보다 2.5배 길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배출기(1)에서 스프링(19)이 수축된 상태에서 직립 원통(14)형 공간에 채워졌던 액체(20-t)가 배출되는 모습을 도 3의 A-A'선을 따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위에 뚫려 진 공기 유통구(10)는 갇혀있던 액체(20-t)가 배출구 깔때기를 따라 배출되는 것을 도와준다. 'O'-링들(15-U, 15-B)에 스며있는 수분은 액체 정량 모듈(13)이 쉽게 드나드는 것을 도와준다.
도 7은 안내 상자(26)의 윗면에 설치된 저장용기 수취부(12)의 안쪽에 형성된 표면 장력 감소장치(11)의 단면도이다. 어댑터(27)를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 수취부(12)의 나사선(6)과 다른 목 부분 나사선을 갖는 저장용기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액체 정량 모듈(13)이 제거된 상태에서 안내 상자 (26)의 뒷면 안쪽에 고정장치(25-1)에 의하여 설치된 스프링 상자(25)를 보여주는 안내 상자(26)의 정면도이다.
도 9의 (a)는 안내 상자(26)의 윗면에 설치된 표면장력 감소장치(11)와 공기 유통구(10)를 보여 주는 안내 상자(26) 윗면의 내면도 이다.
도 9의 (b)는 안내 상자(26)의 밑면에 설치된 배출구 깔때기(5)의 직사각형 출구(29)를 보여주는 안내 상자(26) 밑면의 내면도 이다.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떨어지는 땀이나 먼지 등은 이 개봉공간(30)을 통하여 땅으로 떨어진다. 윗면에 형성된 턱(28)은 액체 정량 모듈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종래의 액체 정량 배출 장치는 일일이 사용자가 따라지는 양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비싸고 부피가 큰 자동설비이거나 아니면 제한된 액체만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들이 있었지만, 본 발명으로 이러한 단점들을 모두 제거한 제조하기도 쉽고, 가격이 저렴하며, 사용하기 쉽고 부식성이 있는 액체나 액체 약 등을 정량으로 따라 낼 수 있는 배출기를 만들 수 있다.

Claims (3)

  1. 정량된 양의 액체를 저장용기로부터 따라 내는 배출기로서:
    a) 중앙으로부터의 후면에 수직으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기의 수직으로 원통형의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의 불활성 구와,
    상기의 수직 원통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양 단간에 형성된 O-링 홈에 설치된 두 개의 O-링과,
    상기의 수직 원통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밑면에 설치된 그물망으로 이루어져 액체의 부피를 정량할 수 있도록 된 하나의 긴 직육면체의 액체 정량 모듈과;
    b) 전기의 긴 직육면체의 액체 정량 모듈을 양 옆면과 윗면, 밑면, 그리고 밑면의 다섯 면으로 둘러싸며, 나사선을 갖는 하나의 액체 저장 용기 수취부와,
    하나의 공기 유통구가 윗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취부의 나사선과 맞지 않는 목 부분의 나사선을 갖는 액체저장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와,
    액체정량 모듈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윗면의 안쪽과 양 옆면의 안쪽에 형성된 턱들과,
    밑면의 앞쪽에 형성된 사각형의 개방공간과,
    양 옆면의 외부와 뒷면에 걸쳐서 형성된 홈들로 이루어진 안내 상자와;
    c) 전기의 안내 상자의 뒷면 안쪽에 설치된 접이식 플라스틱 상자와;
    d) 전기의 접이식 플라스틱 상자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을 구비하는 배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직립 파이프는 원통형 파이프인 배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직립 파이프는 직사각형 파이프인 배출기.
KR1020060122963A 2005-12-06 2006-12-06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배출기 KR20070060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94,104 2005-12-06
US11/294,104 US20070125807A1 (en) 2005-12-06 2005-12-06 Dispenser for discharging a measured amount of various liquids from their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014A true KR20070060014A (ko) 2007-06-12

Family

ID=3811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963A KR20070060014A (ko) 2005-12-06 2006-12-06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배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25807A1 (ko)
KR (1) KR20070060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52B1 (ko) * 2012-10-02 2014-10-24 (주)씨앤씨컴퍼니 위생용 구강 세정액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5598B2 (en) * 2008-09-25 2013-02-19 Bahman Khoshnoo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maintaining dry air conditions for storage of moisture-sensitive electronic components
US9642437B2 (en) * 2015-07-22 2017-05-09 Seven Continents Corporation Gravity flow spo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676A (en) * 1905-01-16 1905-07-25 Charles Ammen Dispensing apparatus.
US847000A (en) * 1906-02-12 1907-03-12 Julius F Helmold Liquid-soap holder.
US933528A (en) * 1908-03-06 1909-09-07 Archibald Bruce Liquid-measuring device.
US923611A (en) * 1908-11-14 1909-06-01 William E Werd Valve.
US1647686A (en) * 1924-06-20 1927-11-01 Theodore M Costakos Measuring faucet for cream
US2562212A (en) * 1948-05-10 1951-07-31 Harold E Rogers Liquid dispensing device
US2983408A (en) * 1959-03-23 1961-05-09 Alvin S Schwartz Dispensing device
US3185190A (en) * 1961-10-12 1965-05-25 Thomas E Crawford Dispenser for instant coffee and the like
US3685702A (en) * 1970-09-28 1972-08-22 Bernard Gerald Harter Measuring dispenser
US4279364A (en) * 1979-09-18 1981-07-21 Perez Sergio J Coffee dispenser contained inside a wall mounted bracket
MC1373A1 (fr) * 1980-12-05 1982-01-19 F Galopin Dispositif doseur-distributeru notamment de produits en poudre
US4403715A (en) * 1981-06-29 1983-09-13 Ludovissie Anthony W Device for dispensing a measured amount of a particulate material
US4440322A (en) * 1982-09-28 1984-04-03 Henry Joseph D Dispenser for nuts or the like
US4616759A (en) * 1985-11-08 1986-10-14 Darrell Mahler Liquid-dispensing container assembly
US4673111A (en) * 1986-03-12 1987-06-16 Carousel Industries, Inc. Nut dispensing machine
US4964546A (en) * 1988-07-12 1990-10-23 Marlboro Marketing, Inc. Measured quantity dispenser
US5469992A (en) * 1994-01-03 1995-11-28 Jenkins; Johnny L. Multi-compartmented device for dispensing exact quantities of dry material
CA2115591C (en) * 1994-02-14 2003-09-23 Teresa M. Shaw Modular dispenser
US6488184B2 (en) * 1999-12-15 2002-12-03 Schwan's Technology Group, Inc. Dry particulate dispenser
US6315168B1 (en) * 2000-05-24 2001-11-13 Illinois Tool Works Inc. Removable inline nozzle filter
US6412663B1 (en) * 2000-11-16 2002-07-02 Sig Combibloc Inc. Carton holder
US6619339B2 (en) * 2001-04-04 2003-09-16 Multi-Fill, Inc. Pneumatically controlled volumetric pocket filler
US6749091B2 (en) * 2001-04-16 2004-06-15 H. F. Scientific, Inc. Universal reagent dispenser
US6450371B1 (en) * 2002-01-24 2002-09-17 Yury Sherman Device for measuring, dispensing and storing of granular and powder materials
US6929158B2 (en) * 2002-08-14 2005-08-16 Traex Company Dispenser for delivering an adjustable volume of flowable dry material
US6811061B2 (en) * 2003-03-06 2004-11-02 Yuri Tuvim Device for storing, measuring and dispensing granular and powder materials
US6832703B1 (en) * 2003-05-20 2004-12-21 Howmedica Osteonics Corp. Monomer vial breaker
US6991134B2 (en) * 2004-05-07 2006-01-31 Bailey Robert L Device to store, sift and measure flour
US7472810B2 (en) * 2005-05-10 2009-01-06 Tal Amir Dosing dispenser particularly useful for dispensing baby formul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52B1 (ko) * 2012-10-02 2014-10-24 (주)씨앤씨컴퍼니 위생용 구강 세정액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5807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988B2 (en) Refillable/reusable mixer bottle
US5054660A (en) Self-dosing measuring chamber and container
US6006388A (en) Dispenser for dispensing concentrated liquid soap to industrial cleaning apparatuses
US8157131B2 (en) Spray bottle with refill cartridge
US8152025B2 (en) Valving for a refillable reusable mixer bottle
CA2312303A1 (en) Pre-measured liquid dispenser
US20100084430A1 (en) Spray Bottle with Refill Cartridge
NO151584B (no) Beholderenhet for lagring og transport av drikk-konsentrater
US8181830B2 (en) Powder dispenser
KR20070060014A (ko)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배출기
CA2363190A1 (fr) Dispositif amelior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osee d&#39;un produit liquide
EP0015560A1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US4969585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3595279A (en) Ling attachment for transfer of contents from one element to another
US2603386A (en) r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WO2005060473A3 (en) Ophthalmic fluid dispenser
WO2006123327A2 (en) Liquid dispenser for concurrent manual measuring and pouring and application thereof
DK165073B (da) Dispenser
US20230406611A1 (en) Bottle
JP6774904B2 (ja) 計量キャップ
JP2007069947A (ja) 計量容器
JP4892269B2 (ja) 定量吐出容器
KR101788937B1 (ko) 액제 용기용 정량토출장치
EP2857328B1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CN112368216A (zh)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