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377B1 - 기능성 바가지 - Google Patents

기능성 바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377B1
KR101380377B1 KR1020130161725A KR20130161725A KR101380377B1 KR 101380377 B1 KR101380377 B1 KR 101380377B1 KR 1020130161725 A KR1020130161725 A KR 1020130161725A KR 20130161725 A KR20130161725 A KR 20130161725A KR 101380377 B1 KR101380377 B1 KR 10138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andle
main body
ban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진 filed Critical 정유진
Priority to KR102013016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8Pails for kitche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가지에 담은 대상물의 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바가지(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1)는 일측에 손잡이(3)가 형성된 본체(2)의 하부에 대상물을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향 좁아지게 돌출된 배출구(4)가 형성되며, 본체(2)의 내측 하부에 배출구(4)를 차단토록 탄력스프링(51)에 의해서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형성된 개폐편(5)이 구비되며, 본체(2)의 손잡이(3)에 개폐편(5)을 상승시켜서 배출구(4)를 개방토록 개폐버튼(6)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편(5)과 개폐버튼(6)을 가이드관체(9)와 견인관체(10)에 각각 내입된 연결밴드(7) 및 연결밴드(7)에 고정된 견인밴드(8)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바가지를 기울이지 않고 개폐버튼(6)을 누르기만 하면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옮길 시 별도의 깔때기 없이도 주변으로 대상물을 흘리지 않으면서 옮길 수 있으며, 개폐버튼(6)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대상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출구(4)를 통해서 배출되는 대상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바가지{Functional gourd}
본 발명은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대상물을 용기에서 퍼내어 담아 두거나, 다른 용기로 옮길 때 주로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바가지에 담은 대상물의 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바가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가지는 어떤 대상물을 퍼내어 담아 두거나,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그 대상물이 액체일 경우 주입구가 넓은 대용량의 용기에서 주입구가 좁은 소용량의 용기로 이동시킬 때 주입구가 좁아서 바가지만으로 부어 넣기가 어려우므로 주로 깔때기 등을 사용하여 대상 액체를 부어 넣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바가지의 경우 주입구가 좁은 다른 용기로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87년 제4818호(1987년 4월 21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바가지의 중심부에서 상부 일측에 단부가 뾰족한 유출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출구를 대상 용기의 주입구에 대고 부어 넣도록 하였으나, 바가지의 기울기가 심해지면 바가지에 담긴 액체가 대량으로 배출되어 대상 용기의 외부로 흘러서 주변이 젖거나 오염되며, 대상 액체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74563호(2000년 3월 15일자 공고)나 등록실용신안 제346781호(2004년 4월 6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개발하였는바, 이러한 근자에 개발된 바가지는 손잡이에 바가지 내부와 연통되는 유출구 또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바가지에 담긴 대상물을 손잡이의 유출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서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도 배출이 가능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근자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도 일일이 바가지를 기울여야 하므로 바가지에 담긴 대상물이 많을 경우 무거워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손잡이에 형성된 유출구 또는 배출구로 대상물을 일정량으로 배출하다가 대상 용기에 대상물이 가득 차게 되었을 시 기울였던 바가지를 원상태로 놓을 때 상기 유출구 또는 배출구를 차단하는 수단이 부재(不在)하여 대상물이 용기의 주입구 주변으로 흐르게 되므로 이 역시 주변에 대상물을 흘리게 되어 주변이 젖거나 오염되며, 대상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으며, 이는 단순히 대상물을 동일한 용량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 용기에 담기는 대상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갖지는 못하므로 상기 기존의 바가지가 갖는 다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KR 20-1987-0004818 U 1987. 4. 21. KR 20-0174563 Y1 2000. 3. 15. KR 20-0346781 Y1 2004. 4. 6.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가지를 사용하여 액상의 대상물을 옮길 때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배출이 가능토록 하면서 대상물의 배출 시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배출구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여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옮기더라도 별도의 깔때기가 필요 없으며, 바가지에 담긴 대상물을 배출 시 바가지를 별도로 기울일 필요도 없으며, 대상물을 옮길 때 대상물을 흘리지 않으며, 배출되는 양의 조절 및 배출구의 차단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한 기능성 바가지를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바가지를 구성하되,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가 구비되며, 본체의 하부에 대상물을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출구를 차단토록 탄력스프링에 의해서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며 원추형 꼭지점이 하향되게 형성되거나 구형으로 형성된 개폐편이 구비되며, 본체의 손잡이에 개폐편을 상승시켜서 배출구를 개방토록 개폐편과 연결밴드 및 연결밴드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밴드로 연결 구성되며 돌출스프링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돌출 설치된 개폐버튼이 구비되며, 손잡이 내측에서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배출구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연결밴드가 내입된 가이드관체가 구비되며, 손잡이 내측의 가이드관체 후단에 후방으로 좁아지게 "Y"자 형태로 연통되도록 설치된 견인관체가 구비되며, 견인관체의 내부에 내입되어 연결밴드의 후단에 후방으로 좁아지게 "Y"자 형태로 일단이 고정 구성되며 타단이 개폐버튼의 내측에 고정 구성된 견인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폐버튼을 눌러서 견인밴드를 견인관체에서 손잡이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견인밴드가 고정된 연결밴드가 가이드관체에서 손잡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평소에 탄력스프링에 의해서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던 개폐편을 상승시켜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는 본체 하부에 하향으로 좁아지게 돌출된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를 탄력스프링에 의해서 차단시키고 있던 개폐편을 손잡이의 개폐버튼을 눌러 상승시키므로 해서 배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입구가 넓은 대용량의 용기에서 각종 대상물을 본체 내부로 담은 후 주입구가 좁은 소용량의 용기로 옮길 수 있으며,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옮길 시 바가지를 기울이지 않고 별도의 깔때기도 없이 주변으로 대상물을 흘리지 않으면서 옮길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이 깨끗하고 깔때기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폐버튼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가지의 본체 하부에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어서 조작이 간단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대상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정량 및 조절배출을 원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두루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단순한 바가지에 비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는 제품의 질을 향상시켜서 고가로 판매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배출구 및 개폐편의 작용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배출구 및 개폐편의 다른 실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개폐버튼의 작용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더불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대상물을 퍼내어 담아 두거나,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주로 사용하는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바가지에 담긴 대상물을 주입구가 좁은 용기 등에 옮길 때 별도의 깔때기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흘리지 않도록 옮길 수 있으며, 배출되는 양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바가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대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2)의 일측으로 본체(2)에 대상물을 담을 시에나 담긴 후 파지하여 들 수 있도록 길게 돌출된 손잡이(3)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본체(2)에 담긴 대상물을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배출구(4)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2)의 내측 하부에는 배출구(4)를 차단토록 개폐편(5)이 구비되되, 상기 개폐편(5)은 도 2의 전체 단면도 내지 도 3의 확대 단면도에서와 같이 꼭지점이 하부를 향하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U"자 형태의 상부배출구(41)와 상부배출구(41)의 하단에 외부로 관통 형성된 하부배출구(42)를 각각 이중으로 차단토록 이루어지거나, 도 4의 확대 단면도에서와 같이 구형으로 형성하여 반구형의 상부배출구(41)와 상부배출구(41)의 하단에 외부로 관통 형성된 하부배출구(42)를 동시에 차단토록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2)의 손잡이(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편(5)을 상승시켜서 배출구(4)를 개방토록 개폐편(5)과 연결밴드(7) 및 연결밴드(7)의 후단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밴드(8)로 연결 구성되며, 돌출스프링(61)에 의해 하향 탄력 지지되어 돌출 설치된 개폐버튼(6)이 구비되는바, 상기 연결밴드(7)는 손잡이(3) 내측에서 본체(2)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배출구(4)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된 가이드관체(9)의 내부로 내입 구성되며, 이때 본체(2)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관체(9)의 일측에는 본체(2)와 연결되어 가이드관체(9)를 고정 지지토록 연결지지대(91)가 연결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 내측의 가이드관체(9) 후단에는 후방으로 좁아지게 "Y"자 형태로 연통되도록 견인관체(10)가 설치되며, 상기 견인관체(10)의 내부에는 연결밴드(7)의 후단에 후방으로 좁아지게 "Y"자 형태로 일단이 고정 구성되며, 타단이 개폐버튼(6)의 내측에 고정 구성된 견인밴드(8)가 내입 구성되는바, 이때 개폐버튼(6)을 누르면 견인관체(10)에서 견인밴드(8)가 손잡이(3)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견인밴드(8)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밴드(7)가 가이드관체(9)에서 손잡이(3)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탄력스프링(51)에 의해서 배출구(4)를 차단하고 있던 개폐편(5)을 상승시키므로 배출구(4)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편(5)을 배출구(4)로 탄력 지지되게 하는 탄력스프링(51)의 일단은 개폐편(5)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타단은 가이드관체(9)의 선단에 개폐편(5) 쪽으로 확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9a)의 내측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개폐버튼(6)을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는 돌출스프링(61)의 일단은 개폐버튼(6)의 내측 하부에 지지되면서 타단은 견인관체(10)의 선단에 개폐버튼(6) 쪽으로 개방되게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10a)의 내측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연결밴드(7)의 손잡이(3) 후방쪽 단부에는 가이드관체(9)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관체(9)에 걸림되게 일체로 형성되거나, 가이드관체(9)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고정되게 결합 설치되는 걸림편(11)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밴드(7)와 견인밴드(8)는 절단면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로 형성하되, 절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관체(9)와 견인관체(10)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계열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1)는 손잡이(3)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개폐버튼(6)을 눌러 손잡이(3)에 고정된 견인밴드(8)에 의해서 연결밴드(7)를 손잡이(3) 후방으로 당겨서 연결밴드(7)의 단부에 고정된 개폐편(5)을 상승시켜서 배출구(4)가 개방되도록 하므로 본체(2)에 담긴 각종 대상물을 배출구(4)로 배출시켜서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 옮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기능성 바가지(1)는 일측에 손잡이(3)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2)의 하부에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배출구(4)를 형성하되, 손잡이(3)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개폐버튼(6)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밴드(8)의 타단이 후방으로 좁아지게 경사지도록 고정된 연결밴드(7)를 손잡이(3) 내측에서 본체(2)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관체(9) 내부를 통해서 배출구(4)를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차단하고 있는 개폐편(5)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개폐버튼(6)을 누르면 견인관체(10) 내부에서 견인밴드(8)가 손잡이(3)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견인밴드(8)의 단부가 고정된 연결밴드(7)를 가이드관체(9) 내부에서 손잡이(3)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므로 연결밴드(7)의 단부가 고정된 개폐편(5)이 상승하면서 배출구(4)가 개방되어 본체(2) 내부에 담긴 대상물을 기능성 바가지(1)의 본체(2)나 손잡이(3)를 기울이지 않고도 원하는 만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배출구(4)가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주입구가 좁은 용기로의 배출도 별도의 깔때기를 사용하지 않고서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에 대상물이 원하는 만큼 투입된 후 누르고 있던 개폐버튼(6)을 놓으면 가이드관체(9)의 단부에 탄력 지지되어 있던 탄력스프링(51)에 의해서 개폐편(5)을 배출구(4)쪽으로 가압하여 배출구(4)가 차단되므로 대상물의 배출량을 개폐버튼(6)의 누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개폐버튼(6)을 놓으면 탄력스프링(5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개폐편(5)이 배출구(4)를 차단하여 대상물을 주변에 흘리지 않고도 배출을 차단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주입구가 넓은 대용량의 용기에서 주입구가 좁은 소용량의 용기로 각종 대상물을 옮길 시 개폐버튼(6)을 누르거나 놓는 등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본체(2) 하부의 배출구(4) 개폐가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가지면서 대상물을 옮길 때 흘리지 않고 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험실 등에서 인체에 유해한 화공약품 등의 위험성물질을 이송하는데도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이나 각종 가계 및 공장 등에서 물, 간장, 참기름, 초장, 술 등의 액상 또는 겔(gel)상의 대상물을 옮기는데도 유용하며, 주유소나 카센터 등에서 휘발유 등을 정량으로 주입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액상이나 겔상이 아닌 밀가루 등의 곡식분말이나 쌀, 깨 등의 곡식알갱이 및 농약 등의 화학분말 등의 이송에도 유용한 등 그 활용도가 다대한 것이다.
1:기능성 바가지 2:본체
3:손잡이 4:배출구
41:상부배출구 42:하부배출구
5:개폐편 51:탄력스프링
6:개폐버튼 61:돌출스프링
7:연결밴드 8:견인밴드
9:가이드관체 91:연결지지대
9a:지지대 10:견인관체
10a:지지구 11:걸림편

Claims (2)

  1. 일측에 손잡이(3)가 형성된 본체(2)와,
    본체(2)의 하부에 본체(2) 내부로 담긴 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배출구(4)와,
    본체(2)의 내측 하부에 배출구(4)를 차단토록 탄력스프링(51)에 의해서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구성되며, 원추형 꼭지점이 하향되게 형성된 개폐편(5)과,
    본체(2)의 손잡이(3)에 개폐편(5)을 상승시켜서 배출구(4)를 개방토록 개폐편(5)과 연결밴드(7) 및 연결밴드(7)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밴드(8)로 연결 구성되며, 돌출스프링(61)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손잡이(3)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개폐버튼(6)과,
    손잡이(3) 내측에서 본체(2)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배출구(4)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연결밴드(7)가 내입 구성된 가이드관체(9)와,
    손잡이(3) 내측의 가이드관체(9) 후단에 후방으로 좁아지게 "Y"자 형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견인밴드(8)가 내입 구성된 견인관체(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가지.
  2. 일측에 손잡이(3)가 형성된 본체(2)와,
    본체(2)의 하부에 본체(2) 내부로 담긴 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향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배출구(4)와,
    본체(2)의 내측 하부에 배출구(4)를 차단토록 탄력스프링(51)에 의해서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구성된 구형의 개폐편(5)과,
    본체(2)의 손잡이(3)에 개폐편(5)을 상승시켜서 배출구(4)를 개방토록 개폐편(5)과 연결밴드(7) 및 연결밴드(7)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밴드(8)로 연결 구성되며, 돌출스프링(61)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손잡이(3)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개폐버튼(6)과,
    손잡이(3) 내측에서 본체(2)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배출구(4)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연결밴드(7)가 내입 구성된 가이드관체(9)와,
    손잡이(3) 내측의 가이드관체(9) 후단에 후방으로 좁아지게 "Y"자 형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견인밴드(8)가 내입 구성된 견인관체(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가지.
KR1020130161725A 2013-12-23 2013-12-23 기능성 바가지 KR10138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25A KR101380377B1 (ko) 2013-12-23 2013-12-23 기능성 바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25A KR101380377B1 (ko) 2013-12-23 2013-12-23 기능성 바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377B1 true KR101380377B1 (ko) 2014-04-02

Family

ID=5065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725A KR101380377B1 (ko) 2013-12-23 2013-12-23 기능성 바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11Y1 (ko) 2017-06-05 2018-07-04 장지환 다용도 바가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429U (ko) * 1989-10-11 1991-06-06
JPH03119022U (ko) * 1990-03-14 1991-12-09
JP3058429U (ja) 1998-10-13 1999-06-18 光輝 小野寺 開閉漏斗器
JP3119022U (ja) 2005-09-09 2006-02-16 一 笹田 流出制御片手漏斗
KR20100026011A (ko) * 2008-08-29 2010-03-10 김환희 유량조절봉을 구비한 깔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429U (ko) * 1989-10-11 1991-06-06
JPH03119022U (ko) * 1990-03-14 1991-12-09
JP3058429U (ja) 1998-10-13 1999-06-18 光輝 小野寺 開閉漏斗器
JP3119022U (ja) 2005-09-09 2006-02-16 一 笹田 流出制御片手漏斗
KR20100026011A (ko) * 2008-08-29 2010-03-10 김환희 유량조절봉을 구비한 깔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11Y1 (ko) 2017-06-05 2018-07-04 장지환 다용도 바가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3685A (zh) 带有盘形弹簧的分配泵
US9068874B2 (en) Container for a fluid with adjustable dosage
AU4112199A (en) Combined measuring cup, funnel and strainer utensil
DE60216465T2 (de) Abgabebehälter
KR20140043736A (ko) 액체 디스펜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1027B1 (ko) 캡슐 토출용 펌프 용기
US10422679B2 (en) Metering nozzle for squeeze bottle
KR101380377B1 (ko) 기능성 바가지
EP2744720B1 (en) Holder for a liquid
US20140083555A1 (en) Combination scoop and funnel
US9433334B2 (en) Damp mop tool with hand activated liquid dispenser
DE19839842A1 (de) Entnahmevorrichtung für einen Flüssigkeitsbehälter
TWI327550B (ko)
US8430137B2 (en) Refill cap cartridge
US20120056016A1 (en) Advanced spray bottle with synclined floor
US3405848A (en) Liquid dispenser
US10233071B2 (en) Fluid dispenser
CN203652303U (zh) 一种新型液体倾倒装置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US9265699B2 (en) Gravity feeding device
US20160113385A1 (en) Self Moistening Brush
US2716535A (en) Dispensing valve
US350810A (en) Liquid-measure
JP2012106757A (ja) 液体用吐出容器及び容器入り液体洗浄剤
KR101997598B1 (ko) 기능성 깔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